맨위로가기

데카브리스트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1825년 러시아 제국에서 일어난 군 장교들의 반란 사건으로, 자유주의 사상을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와 농노제 폐지를 요구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자유주의적 사상에 영향을 받은 장교들은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알렉산드르 1세의 개혁 좌절에 실망하여 봉기를 계획했다. 알렉산드르 1세의 사망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봉기를 일으켰으나, 준비 부족과 지도부의 체포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 봉기 이후 주동자들은 처형되거나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며, 이 사건은 러시아의 자유주의 운동의 첫걸음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카브리스트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주요 사건데카브리스트의 난
발생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날짜1825년 12월 26일 (율리우스력 12월 14일)
결과정부군 승리, 데카브리스트 처형 또는 시베리아 유배
관련 사건1820년대 혁명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데카브리스트 북부 비밀 결사
교전 세력 2러시아 제국
지휘관
지휘관 1세르게이 페트로비치 트루베츠코이
예브게니 오볼렌스키
니키타 무라비요프
파벨 페스텔(처형)
표트르 카홉스키(처형)
콘드라티 릴레예프(처형)
지휘관 2니콜라이 1세(러시아 제국)
미하일 밀로라도비치(전사, 러시아 제국)
병력 규모
병력 13,000명
병력 29,000명
관련 정보
원인니콜라이 1세의 즉위에 반대하는 시도

2. 역사적 배경

19세기 전반 러시아 제국농노제와 전제정치로 인해 백성들의 삶이 빈곤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유럽에 원정했던 러시아 청년 귀족들 사이에서 자유주의 사상이 유입되었다.[53]

이들은 1816년 구제동맹이라는 결사를 조직했으나, 사상적 차이로 남부결사, 북부결사, 통일슬라브 결사 등으로 분열되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알렉산드르 1세는 미하일 스페란스키를 등용하여 헌정 도입 등 개혁을 시도했다. 스페란스키는 내무부 조직화, 성직자 교육 개혁, 정부 주도 경제 개발 체계화 등에 관여했다. 1808년에는 국가와 지방에 선거 제도 의회(두마)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헌정 도입을 구상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귀족과 관료 계급의 격렬한 반발을 샀고, 1812년 나폴레옹과의 전쟁을 앞두고 알렉산드르 1세는 국내 통일을 위해 스페란스키를 해임하고 추방했다.

러시아 전쟁 승리 후, 나폴레옹 전쟁 참전 귀족 출신 젊은 장교들은 유럽의 정치·사회 제도를 접하고 러시아와 큰 격차를 느꼈다. 이들은 농민 출신 병사들과 접촉하며 그들의 열악한 처지를 인식하고, 국가 사회 개혁 필요성을 절감했다.

2. 1. 자유주의 사상의 전파

나폴레옹 전쟁 때, 나폴레옹을 추격해 유럽을 원정했던 진보적인 성향의 청년 귀족들이 자유주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으면서 러시아 제국에 자유주의 사상이 전파되기 시작했다.[53] 이들은 1816년부터 구제동맹이라는 결사를 조직하였으나, 사상적 차이로 인해 공화제를 주장하는 남부결사, 입헌 군주제를 주장하는 북부결사, 연방제를 주장하는 통일슬라브 결사 등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갔다.

초기 러시아 사회와 정치 개혁에 대한 알렉산드르 1세의 자유주의적 개혁은 많은 장교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자유주의는 공식적으로 장려되었고, 나폴레옹과 알렉산드르 사이의 화해 기간 동안 높은 기대감을 불러일으켰다. 알렉산드르 정권의 개혁을 주도한 인물은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스페란스키 백작이었다. 스페란스키는 정권 초기에 내무부 설립, 교회 교육 개혁, 그리고 정부의 경제 발전 역할 강화에 기여했다. 1819년 망명에서 돌아온 스페란스키는 지방 정부 개혁 임무를 맡은 시베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818년, 차르는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노보실체프 백작에게 헌법 초안 작성을 요청했다.[4] 농노제 폐지는 1816년부터 1819년 사이에 발트 지방에서 시행되었다.[5] 그러나 차르가 정치적 자유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믿었던 내부 및 외부의 불안은 일련의 탄압과 이전의 억압적이고 보수적인 정부로의 복귀를 초래했다.

한편, 나폴레옹 전쟁의 경험과 농민 병사들의 고통에 대한 인식은 12월당 장교들과 동조자들을 사회 개혁에 대한 변화에 끌어들였다.[6] 궁정 생활을 거부하고 학문 연구에 몰두하는 등의 행동은 12월당이 농민과 해외 지식인들의 개혁 운동을 받아들이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파벨 페스텔은 개혁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역사가들은 미국 독립 선언과 미국 독립 전쟁이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12월당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지적했다.[8] 니키타 무라비요프가 작성한 헌법은 미국 헌법과 매우 유사했다. 그러나 12월당은 미국의 노예 제도에 반대했다. 그들은 러시아의 모든 노예와 농노를 즉시 해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9] 페스텔과 그의 추종자들은 평화로운 시대에 미국의 연방 모델이 장차 러시아/슬라브 연방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여 반대했다. 그들은 미국 혁명 모델만을 지지했다.[10]

1816년, 황실 러시아 근위대의 여러 장교들은 구원의 연합 또는 조국의 충실하고 진실된 아들들로 알려진 단체를 설립했다. 이상주의적인 파벨 페스텔이 가입한 후 이 단체는 혁명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헌장은 ''카르보나리'' 조직의 헌장과 유사했다.

1820년 세메노프스키 연대의 반란 이후, 이 단체는 1821년 활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두 개의 그룹은 비밀리에 계속 활동했다. 페스텔이 두각을 나타낸 남부 사회는 우크라이나의 작은 주둔 도시인 툴친에 기반을 두었고, 근위 장교 니키타 무라비요프,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 공 및 유진 오볼렌스키 공이 이끄는 북부 사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기반을 두었다.[13] 더 온건한 북부 사회의 정치적 목표는 제한된 선거권을 가진 영국식 입헌 군주제였다. 페스텔의 영향 아래 있는 남부 사회는 더욱 과격하여 군주제 폐지, 구원의 연합과 유사한 공화국 수립, 그리고 토지 재분배를 원했다.[13][14] 연합 슬라브 사회(슬라브 연합 - 범슬라브주의으로도 알려짐)는 1823년 우크라이나 노보흐라드-볼린스키(현 즈비아헬)에 설립되었다.[15][16]

일반적으로 데카브리스트의 난과 혁명 운동의 기원은 알렉산드르 1세 치세에 있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러시아 귀족 계급은 유럽의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적 사조에 기울었다. 러시아 전쟁에 종군했던 귀족 출신의 젊은 장교들은 유럽 여러 나라의 정치·사회 제도에 접하고, 조국 러시아와 비교하여 격차가 매우 크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또한, 전쟁에 종군하고 있던 농민 출신의 많은 병사들과 직접 접촉하여 그들의 열악한 처지를 직접 느끼고, 국가 사회의 개혁을 강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2. 2. 알렉산드르 1세의 개혁과 좌절

일반적으로 데카브리스트의 난과 혁명 운동의 기원은 알렉산드르 1세 치세에 있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러시아 귀족 계급은 유럽의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적 사조에 기울었다. 이러한 경향은 프랑스 혁명은 물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등장으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 1806년 프리틀란트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알렉산드르 1세는 나폴레옹에 대해 어느 정도 성실한 협력자였다. 이러한 알렉산드르의 태도는 러시아 국내에서 자유주의의 흥기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보수파의 분노를 샀다.

이 시기에 알렉산드르 1세는 미하일 스페란스키를 등용하여 헌정 도입을 포함한 개혁을 시도하려 했다. 스페란스키는 내무부의 조직화, 성직자 교육의 개혁, 정부에 의한 경제 개발의 체계화 등의 개혁에 관여했다. 1808년 스페란스키는 국가와 지방에 선거 제도 의회(두마)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헌정 도입을 구상했다. 이 구상은 귀족, 관료 계급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 1812년, 나폴레옹과의 전쟁을 앞두고 있던 알렉산드르 1세는 국내의 통일을 도모하기 위해 스페란스키를 고문직에서 해임하고 추방했다.

러시아 전쟁에서는, 초토 작전과 혹한으로 러시아군이 승리했다. 이후 라이프치히 전투,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실각하고 러시아군은 파리까지 진군했다. 나폴레옹 전쟁에 종군했던 귀족 출신의 젊은 장교들은 체류 중에 의회의 토론회나 자유주의적인 분위기를 가진 대학의 강의를 듣거나, 정치적 의견을 게재하는 신문을 읽는 등 유럽 여러 나라의 정치·사회 제도에 접하고, 조국 러시아의 그것과 비교하여 격차가 매우 크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또한, 전쟁에 종군하고 있던 농민 출신의 많은 병사들과 직접 접촉하여 그들의 열악한 처지를 직접 느끼고, 국가 사회의 개혁을 강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자유주의적 정치 사상·인권 사상·대의제·헌정의 영향을 받아 귀국한 그들은 조국의 전제 정치·관료 정치에 더욱 환멸을 느껴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3. 비밀결사의 형성과 분열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 원정에서 돌아온 진보적인 청년 귀족 장교들은 러시아 제국농노제와 전제정치에 대한 개혁 열망을 품게 되었다. 이들은 자유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1816년부터 비밀결사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비밀결사는 알렉산드르 N. 무라비요프, 이반 D. 야쿠시킨 등 6명의 젊은 장교들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결성한 '''구제동맹'''(Союз спасения)이었다. 이들은 '조국의 진정하고 충실한 아들들의 모임'으로 개칭하기도 했다. 1818년에는 약 200명이 참여한 '''복지 동맹'''(Союз благоденствия)으로 확대되었으나, 회원들 간의 의견 차이와 당국의 감시를 우려하여 1821년 해산되었다.

복지 동맹은 해산되었지만, 이후 세 개의 주요 비밀결사로 분열되었다.


  • '''남부결사''': 파벨 페스텔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투리친에 기반을 둔 급진파로, 공화제 수립과 토지 재분배를 주장했다. 이들은 루스카야 프라우다라는 헌법 초안을 작성하여 전제정치 타파, 공화국 수립, 농노제 폐지, 토지 개혁, 지방 자치, 소수 민족 독립 등을 주장했다.
  • '''북부결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니키타 무라비요프 등이 이끌었으며, 입헌군주제연방제를 지향했다. 이들은 스페인 1812년 헌법과 미국 헌법을 모델로 삼아 입헌군주제와 연방제를 기조로 하는 헌법 초안을 작성했다.
  • '''통일 슬라브 결사''': 1823년 우크라이나 노보흐라드-볼린스키에서 결성되었으며, 러시아, 폴란드, 몰도바 등 슬라브계 국가들의 연방을 주장했다. 1825년 9월 남부결사에 합류하였다.


알렉산드르 1세폴란드 입헌 왕국에 헌법을 부여한 것에 대한 기대와 달리, 러시아 국내에서는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자 비밀결사들은 동요했다. 온건파였던 북부 결사에도 콘드라티이 류레예프, 알렉산드르 베스투제프 등 공화주의자들이 합류하면서 급진화되었고, 표트르 카호프스키, A.I. 야크보비치처럼 황제 암살을 계획하는 세력도 나타났다.

3. 1. 구제동맹과 복지동맹

알렉산드르 1세의 초기 자유주의적 개혁에 대한 기대 속에서, 러시아 사회 및 정치 개혁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816년, 황실 러시아 근위대 장교들은 '구제 동맹' 또는 '조국의 충실하고 진실된 아들들'이라는 단체를 설립했다. 이 단체는 이상주의적인 파벨 페스텔이 가입한 후 혁명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12]

1818년에는 약 200명이 참여한 '복지 동맹'이 결성되었다. 복지 동맹은 농노제 해방과 전제정치 폐지에 의견을 같이했으나, 미래 러시아의 방향에 대해서는 입헌군주제를 주장하는 세력과 공화제를 주장하는 세력으로 의견이 갈렸다. 또한 무장봉기 채택 및 봉기 방법에 대해서도 의견 차이를 보였다.[13]

1820년 세메노프스키 연대의 반란 이후, 복지 동맹은 1821년 회원들 간의 의견 차이와 당국의 스파이를 우려하여 해산했다. 그러나 파벨 페스텔을 중심으로 한 남부 사회는 우크라이나 툴친에 기반을 두고, 니키타 무라비요프,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 공 및 유진 오볼렌스키 공이 이끄는 북부 사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기반을 두어 비밀리에 활동을 계속했다.[13]

남부 사회는 군주제 폐지, 공화국 수립, 토지 재분배를 원했다.[14] 1823년 우크라이나 노보흐라드-볼린스키(현 즈비아헬)에 설립된 연합 슬라브 사회는 남부 사회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가졌지만, 러시아, 폴란드, 몰다비아 등을 포함한 슬라브계 국가들의 연방을 강조했다. 이 사회는 1825년 9월 남부 사회에 합류했다.[15][16]

북부 결사는 교육, 자선 사업, 경제, 사법 개혁 등의 과제에 대해 황제와 정부를 돕고 온건한 형태로 러시아에 입헌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2. 남부결사와 북부결사

1816년 러시아 제국에서 농노제와 전제정치에 반대하는 자유주의 사상을 가진 청년 귀족 장교들이 구제동맹이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하였다.[13] 이들은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여 유럽의 자유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구제동맹은 이후 사상적 차이로 인해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 '''남부결사''': 파벨 페스텔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툴친에 기반을 둔 급진파로, 공화제 수립과 토지 재분배를 주장했다.[13][14] 이들은 루스카야 프라우다라는 헌법 초안을 작성하여 전제정치 타파, 공화국 수립, 농노제 폐지, 토지 개혁, 지방 자치, 소수 민족 독립 등을 주장했다.
  • '''북부결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니키타 무라비요프,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 공 등이 이끌었으며, 입헌군주제연방제를 지향했다.[13] 이들은 스페인 1812년 헌법과 미국 헌법을 모델로 삼아 입헌군주제와 연방제를 기조로 하는 헌법 초안을 작성했다.
  • '''통일 슬라브 결사''': 1823년 우크라이나 노보흐라드-볼린스키에서 결성되었으며, 러시아, 폴란드, 몰도바 등 슬라브계 국가들의 연방을 주장했다.[15][16] 1825년 9월 남부결사에 합류하였다.


이들 결사는 1825년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후계 문제로 혼란이 발생하자, 니콜라이 1세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로 끝났다.[53]

3. 3. 통일슬라브 결사

1821년, 복지 동맹이 해산된 후, 우크라이나 투리친에서는 파벨 페스텔 대령을 중심으로 한 급진파가 '''남부 결사'''(Южное общество)를 조직했다. 남부 결사는 공화제에 기반한 헌법 초안인 「'''루스카야 프라우다'''」(Русская правда)를 통해 전제정치 타도, 일시적 독재를 통한 공화국 수립, 농노제 폐지, 국유지 활용 토지 개혁, 지방 자치, 유대인을 제외한 러시아 제국 내 여러 민족의 독립 등을 주장했다.[1]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니키타 무라비요프와 N.I. 투르게네프를 중심으로 온건파가 '''북부 결사'''(Северное общество)를 설립했다. 무라비요프는 스페인 1812년 헌법과 미국 헌법을 참고하여 입헌군주제연방제를 기본으로 하는 헌법 초안을 작성했다. 북부 결사는 교육, 자선, 경제, 사법 개혁 등에서 황제와 정부를 지원하며 온건하게 러시아에 입헌제를 도입하려 했다.[1]

알렉산드르 1세가 폴란드 입헌 왕국에 헌법을 부여한 것에 대한 기대와 실망 속에서, 비밀결사들은 동요했다. 온건파였던 북부 결사에도 콘드라티이 류레예프, 알렉산드르 베스투제프 등 공화주의자들이 합류하면서 급진화되었고, 표트르 카호프스키, A.I. 야크보비치처럼 황제 암살을 계획하는 세력도 나타났다.[1]

4. 1825년 봉기

나폴레옹 전쟁 이후, 러시아 제국에는 자유주의 사상이 전파되었다. 나폴레옹을 추격하여 유럽을 원정했던 청년 귀족들이 자유주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1816년부터 이들은 구제동맹이라는 결사를 조직했으나, 사상적 차이로 인해 남부결사(공화제 주장), 북부결사(입헌 군주제 주장), 통일슬라브 결사(연방제 주장) 등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갔다.

1825년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3주 동안 후계 계승 논쟁으로 혼란한 공백기가 이어지자,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일부 청년 장교들이 봉기를 계획했다. 이들은 니콜라이 1세에게 충성을 거부하고 1825년 12월 14일 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은 입헌군주제농노제 폐지 등 서유럽과 같은 자유주의 사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봉기는 준비와 조직이 충분하지 못했고, 실행 직전 남부결사의 지도자 파벨 페스텔이 체포되면서 계획이 니콜라이 1세에게 알려져 쉽게 진압되었다. 임시정부의 권력자가 될 예정이었던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 공작은 도망쳤다. 봉기를 일으킨 체르니고프 연대 역시 쉽게 진압되었다.

니콜라이 1세는 이 사건에 직접 참여하여 광범위한 조사를 지시했다. 그 결과, 121명의 데카브리스트가 재판을 받았고, 파벨 페스텔, 릴리예프, 카홉스키, 세르게이 무라비요프, 페스트체프 류민 등 5명이 1826년 7월 25일 처형당했다. 31명은 감옥에 수감되었고, 나머지는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

데카브리스트 처형 기념비




바실리 페로프의 그림 '데카브리스트 봉기'. 표트르 카홉스키가 미하일 밀로라도비치를 살해하는 장면


1811년 알렉산드르 1세가 설립한 차르스코예 셀로 리체이에서 수학한 빌헬름 쿠헬베커와 이반 푸시킨도 데카브리스트 운동에 참여했다.[51] 그러나 1819년에 설립된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는 교수와 학생 모두 데카브리스트 운동과 무관했다.[51]

사건 후, 군사 법정에서 관련자 579명이 재판을 받았다. 주모자로 간주된 5명은 교수형을 선고받았다.[52] 다른 데카브리스트들은 시베리아, 극동, 카자흐스탄 등으로 유형을 선고받았다. 시베리아 유형은 106명에 달했는데, 이들 유형된 남편들의 뒤를 따라 11명의 아내가 귀족 신분을 포기하고 시베리아로 향한 것은 러시아에서 남편에 대한 헌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52] 유형수가 된 데카브리스트는 20대가 많았고, 기혼자는 18명이었다.[52] 또한, 데카브리스트 지도자들과 교류가 있던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리체이 출신), 알렉산드르 그리보예도프, 알렉세이 예르몰로프 등은 당국의 감시를 받았다.

사건 직후부터 이 운동은 지식인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민중의 동정과 공감을 얻었고, 유형된 어떤 데카브리스트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시베리아에서 만난 사람들이 마치 친척이나 오랜 은인인 것처럼 친절하게 대해주었다고 적고 있다.[52] 유형수 중 생존자들은 그 후 1850년대가 되어서야 알렉산드르 2세의 대사면으로 귀향할 수 있었다.[52]

4. 1. 알렉산드르 1세의 사망과 권력 공백

1825년 알렉산드르 1세 황제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러시아 제국은 권력 공백 상태에 빠졌다. 알렉산드르 1세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콘스탄틴 대공이 황위를 계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틴은 이미 황위 계승을 포기한 상태였고, 이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면서 다음 순위 계승자인 니콜라이 1세가 황제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비밀 결사였던 북부 사회는 행동을 개시했다. 이들은 수도의 일시적인 혼란과 콘스탄틴에게 이미 충성 맹세가 이루어진 점을 이용하여, 연대 지휘관들을 설득해 니콜라이에게 충성 맹세를 하지 않도록 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데카브리스트의 난으로 이어졌다. 북부 사회는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 공을 임시 지도자로 선출했다.

4. 2. 상트페테르부르크 봉기 (12월 14일)

1825년 알렉산드르 1세가 후계자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러시아 제국은 황위 계승을 둘러싼 혼란에 빠졌다. 차남 콘스탄틴 대공이 황위를 계승할 예정이었으나, 그가 신분 차이를 극복하고 비밀 결혼을 한 이유로 황위 계승권을 포기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 결국 황위는 다음 남동생인 니콜라이 1세에게 돌아갔지만, 이 사실은 극소수만이 알고 있었고, 심지어 니콜라이 자신도 알지 못했다.

이러한 권력 공백기에, 자유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청년 장교들은 1816년부터 비밀 결사 구제동맹을 조직해 활동하고 있었다. 이들은 사상적 차이로 인해 남부결사, 북부결사, 통일슬라브 결사 등으로 분열되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1825년 12월 14일, 데카브리스트들은 3,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상원 광장에서 봉기했다. 이들은 니콜라이 1세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콘스탄틴 대공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다. 또한, 니콜라이 1세가 즉위하면 자유주의적인 장관을 임명하도록 압력을 가할 계획이었다.

봉기 당일, 임시 지휘관으로 선출된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병사들은 추위 속에서 "콘스탄틴과 헌법(конституция, Konstituzia)"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지만, '헌법'을 '콘스탄틴 대공비'로 오해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하지만 이 에피소드는 카홉스키가 레바셰프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서 허구임을 시사하고 있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니콜라이 1세는 유혈 사태를 피하고자 미하일 미롤라도비치 백작을 보내 데카브리스트들을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미롤라도비치 백작이 저격당해 사망하면서, 니콜라이 1세는 정부군 투입을 지시했고, 결국 데카브리스트의 봉기는 하루 만에 진압되었다.

북부 사회는 비밀 회합을 통해 연대 지휘관들을 설득하여 니콜라이에게 충성을 맹세하지 않도록 노력했다. 그 결과, 아침, 약 3,000명의 병력(모스크바 근위 연대, 근위 그레나디어 연대, 근위 해군 장비대)을 지휘하는 장교들이 상원 광장에 집결하여 니콜라이 1세에게 충성을 거부하고 콘스탄틴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다.

그러나 봉기는 지도자 트루베츠코이 공이 도망치고, 부사령관 불라토프 대령도 사라지면서 혼란에 빠졌다. 결국 예브게니 오볼렌스키 공이 대체 지도자로 임명되었다.[17]

수 시간 동안 9,000명의 충성스러운 부대와 3,000명의 반란군 사이에 대치 상황이 이어졌고, 반란군 측에서 산발적인 사격이 있었다. 많은 민간인들이 반란군과 어울렸지만, 적극적으로 행동에 참여하지는 않았다.[18]

니콜라이 1세는 직접 광장에 나타나 밀로라도비치(Mikhail Miloradovich) 백작을 보내 반란군과 협상하도록 했다. 하지만 밀로라도비치는 연설 도중 카호프스키(Pyotr Kakhovsky)에게 등 뒤에서 치명상을 입고, 오볼렌스키(Yevgeny Obolensky)에게 칼에 찔려 사망했다. 동시에 파노프 중위가 이끄는 반란군 그레나디어 부대가 겨울 궁전(Winter Palace)에 진입했지만 점령에는 실패하고 후퇴했다.

협상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후, 니콜라이 1세는 기사 근위 연대의 기병 돌격을 명령했지만, 얼어붙은 길 때문에 실패했다. 결국 날이 저물 무렵, 니콜라이 1세는 세 대의 포를 이용하여 포도탄(grapeshot)으로 공격하도록 명령했고, 이는 엄청난 피해를 낳았다. 반란군은 흩어져 도망쳤고, 일부는 네바 강(Neva)의 얼어붙은 표면에서 재집결을 시도했지만, 포격으로 얼음이 부서지면서 많은 이들이 물에 빠져 사망했다. 밤에 경찰과 충성스러운 군부대가 도시와 네바 강을 청소하면서 많은 사망자와 부상자들이 강에 버려졌다는 소문이 있었다.[19]

4. 3. 체르니고프 연대 봉기 (12월 29일 - 1월 3일)

남부 결사는 12월 13일 페스텔리 대령을 비롯한 지도자들이 잇따라 체포되었다. 남부 결사 회원들이 페테르부르크에서의 무장 봉기 정보를 얻은 것은 반란 후 2주가 지나서였다. 남부 결사에는 러시아 민족주의(Русский национализм), 슬라브 민족(Славяне)의 연방 국가(Федеративное государство) 건설을 목표로 하는 “통합 슬라브파”가 참여했고, 페스텔리 체포 후에는 통합 슬라브파가 중심이 되어 활동했다. 통합 슬라브파는 감옥을 습격하여 체포된 지도자들 중 일부를 석방하는 데 성공했다. 그중 한 명인 세르게이 무라비요프-아포스톨(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Мура́вьёв-Апо́стол)은 12월 29일 체르니고프 연대의 무장 봉기를 이끌었으나, 포도탄(葡萄弾)으로 무장한 정부군에 의해 1826년 1월 3일 진압되었다.

5. 봉기 이후

니콜라이 1세는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진압한 후, 황제 관방 제3부를 신설하여 전제 권력을 강화하고 반동 정치를 추진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실각했던 스페란스키를 등용하여 법전 편찬 사업을 재개하는 등 국정 정비에도 힘썼다. 스페란스키의 지도 아래, 러시아 제국의 법률집이 발간되었고, 이는 이후 러시아 제국 법률의 기초가 되었다.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러시아에서 자유주의적 혁명 운동의 첫걸음으로 여겨진다. 비록 러시아 내에서는 좌절되었지만,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유럽 각국으로 자유주의 사상이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데카브리스트의 난 이후 유럽에서는 그리스 독립 전쟁, 7월 혁명 등이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빈 체제를 흔들었다.

알렉산드르 헤르젠은 자신이 발행한 정기 간행물 『북극성』의 표지에 처형된 데카브리스트들의 초상화를 게재하여 그들을 기렸다. 푸시킨, 네크라소프, 레프 톨스토이 등 많은 작가들이 데카브리스트를 주제로 한 작품을 남겼다.

5. 1. 체포와 재판

니콜라이 1세는 이 사건에 직접 참여하여 광범위한 조사를 지시했다. 그 결과 121명의 데카브리스트가 재판을 받았고, 그 가운데 파벨 페스텔, 릴리예프, 카홉스키, 세르게이 무라비요프, 베스투제프 류민 5명이 1826년 7월 25일에 처형당했다.[53] 31명은 감옥에 수감되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시베리아로 유배당했다.

반란군이 패배한 후, 생존한 지도자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송되어 북부 지도자들과 함께 재판을 받았다. 데카브리스트들은 겨울 궁전으로 압송되어 심문, 재판, 유죄 판결을 받았다.

푸시킨, 그리보예도프, 예르몰로프 등 데카브리스트 지도자들과 친분이 있었고 그들의 비밀 조직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여러 저명한 인물들도 의혹을 받았다.

5. 2. 시베리아 유형과 데카브리스트의 아내들

1825년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진압된 후, 121명의 데카브리스트들이 재판을 받았다. 그 중 파벨 페스텔, 릴리예프 등 5명은 처형되었고, 나머지는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53] 1826년 7월 13일(율리우스력 7월 25일), 최초의 데카브리스트 유형수들이 시베리아로 떠났다. 이들은 네르친스크(Nerchinsk) 광산 등으로 보내졌다.[22][23]

1885년 치타(Chita)의 데카브리스트들


시베리아 유형은 고난의 길이었지만, 일부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도 했다. 데카브리스트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바사르긴(Nikolay Vasil'yevich Basargin)은 시베리아 여정을 통해 건강을 회복했고, 회고록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묘사했다.[24] 그러나 낮은 사회적 지위의 "병사 데카브리스트들"은 가혹한 처벌을 받았고, 도보로 시베리아로 향해야 했다.[25]

124명의 데카브리스트 중 15명은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정착지 유배"를 선고받았다.[26] 이들은 베레조프(Berezov), 나림(Narym) 등 고립된 지역으로 보내졌으며, 그곳에는 퉁구스족(Tunguses), 야쿠트족(Yakuts) 등 시베리아 원주민들이 주로 살고 있었다.[27]

대부분의 유배자들은 치타(Chita)로 보내졌고, 3년 후 페트로프스크-자바이칼스키(Petrovsk-Zabaykalsky)로 이송되었다.[28] 이들은 강제 노역을 선고받았는데, 니콜라이 1세는 감시 강화와 현지 주민과의 접촉 제한을 위해 이들을 한 곳에 집중시켰다.[29] 집중 수용은 감시를 용이하게 했지만, 데카브리스트들이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27] 그러나 페트로프스크 자보드로의 이전은 데카브리스트들을 더 작은 그룹으로 나누었고, 자유로운 모임을 제한했다.[30]

시베리아 주민들은 데카브리스트들을 대체로 환대했다. 그들은 데카브리스트들을 "니콜라이 1세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한 장군들"로 여기며 존경했다.[32] 유배자들은 엄격한 감시와 규제를 받았지만, 종교적 신념에 대한 간섭도 있었다.[33] 서신은 철저히 검열되었고, 유배자들은 제한된 수당으로 생활해야 했다.[34][35]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데카브리스트들은 상황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특히, 데카브리스트의 아내들은 남편들의 노역 의무 취소와 여러 특권을 얻어냈다.[36][37]

"데카브리스카(Dekabristka)"("데카브리스트의 아내")라는 용어는 러시아에서 아내의 헌신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다. 데카브리스트 지도자 세르게이 볼콘스키(Sergei Volkonsky)의 아내 마리아 볼콘스카야(Maria Volkonskaya)는 남편을 따라 이르쿠츠크 유배지로 갔다. 세르게이 볼콘스키는 농민 복장을 하고 농민들과 어울렸으며, 마리아는 학교, 미아원, 극장을 설립했다.[40]

유배 기간 동안 데카브리스트들은 시베리아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교육, 농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의 지적 각성을 불러일으켰다.[42] 1856년 알렉산더 2세(Alexander II) 즉위 후 데카브리스트들은 사면되었고, 권리와 특권이 회복되었다. 많은 이들이 시베리아에 남아 고향으로 삼았고, 유럽 러시아로 돌아온 이들은 1861년 농노 해방 개혁 시행에 영향을 주었다.[44] 데카브리스트들의 유배는 시베리아에 지식인 계층이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45]

5. 3. 봉기의 영향

19세기 전반기 농노제와 전제정치가 존속하여 빈곤한 삶에 빠져 있던 러시아 제국자유주의 사상이 전파되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 때, 나폴레옹을 추격해 유럽을 원정했던 진보적인 성향의 청년 귀족들 사이에 자유주의 분위기 영향을 받은 것에서 시작된다.[53]

12월주의자들의 실패 이후, 러시아의 자치정부는 1861년 농노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1905년 러시아와 핀란드에 의회가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1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핀란드는 알렉산드르 1세 때부터 의회가 있었지만, 선거인 수는 제한적이었다. 1905년 러시아 헌법은 12월주의자들이 그렇게 불렀던 것처럼 "기본법"이라고 불렸다.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12월주의자들은 정권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들의 불만은 니콜라이 1세로 하여금 제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강요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상원 광장에서 자신의 군대에 합류했지만 궁극적으로 12월주의자 회의에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지지하지 않았던 많은 12월주의자들을 자신의 정부에 포함시켰다(예: 인권 감독을 맡았던 벤켄도르프, 무라비예프-빌렌스키 등). 1826년, 스페란스키는 니콜라이 1세에 의해 러시아 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설립된 위원회인 황제 폐하 친위 관방의 "제2과"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그의 지도 아래, 위원회는 35,993개의 법령을 담은 러시아 제국의 법률 완전집을 발간했다. "법률 완전집"(''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이라고 불리는 이 체계화는 니콜라이 1세에게 제출되었고, 러시아 제국에 유효한 성문법인 "러시아 제국 법률집"(''Свод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의 기초를 형성했다. 스페란스키의 자유주의적 사상은 이후 콘스탄틴 카벨린과 보리스 치체린에 의해 검토되고 정교화되었다.

니콜라이 치세 동안 반란은 금기시된 주제였지만, 알렉산드르 헤르젠은 그의 급진적인 정기 간행물 ''북극성'' 표지에 처형된 12월주의자들의 초상을 실었다.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그의 12월주의자 친구들에게 시를 바쳤고, 우크라이나에서 12월주의자들과 함께 복무했던 아버지를 둔 니콜라이 넥라소프는 12월주의자 부인들에 대한 긴 시를 썼으며, 레오 톨스토이는 그 자유주의 운동에 대한 소설을 쓰기 시작했는데, 이는 나중에 ''전쟁과 평화''로 발전했다. 소비에트 시대에 유리 샤포린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가 대본을 쓴 반란에 대한 ''데카브리스티''(12월주의자들)라는 오페라를 제작했다. 그것은 1953년 6월 23일 볼쇼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46]

어느 정도까지 12월주의자들은 1725년에서 1825년 사이에 자신의 후보를 왕위에 올리고자 했던 일련의 궁정 혁명가들의 전통을 따랐지만, 많은 12월주의자들은 파벨 페스텔의 더욱 자코뱅적인 중앙 집권화 프로그램이나 범슬라브주의 연합을 주장하는 "슬라브 연합회"의 혁명가들과는 달리 고전적 자유주의 또는 온건한 보수주의를 구현하고자 했다.[47] 대다수의 12월주의자들은 궁정 혁명 참여자들과 유사한 불법 조직의 구성원이 아니었다. 어떤 이들은 번영 연합의 구성원이었을 뿐이며, 공식적인 친정부적이고 상당히 보수적인 프로그램에 동정적이였다. 그러나 이전의 로마노프 궁정 혁명과 달리 그들의 반란은 혁명 운동의 시작으로 간주되었다. 이 봉기는 정부와 개혁적인 러시아 귀족 세력 사이의 최초의 공개적 갈등이었으며,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48][49]

데카브리스트의 난의 실패는, 반란의 주체인 북부결사와 남부결사가 상호 연락을 취하지 않고 알렉산드르 1세의 급서와 그 후 2주간의 황제 부재를 기회적으로 포착하여 장기적인 전망 없이 반란에 돌입한 것과, 대중에 대한 시위의 부족, 쿠데타 실행자로서의 결단과 실행력이 부족했던 것 등에 기인한다. 결국, 난 후 니콜라이 1세는 황제 관방 제3부를 신설하는 등 전제 권력을 강화하고 반동 정치를 추진했다. 그 한편으로 니콜라이는 실각했던 스페란스키를 등용하여 법전 편찬 사업을 재개하게 하는 등, 국정 정비로 이어지는 일도 했다.

데카브리스트 중에는 시베리아 등의 유형지에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한 사람도 있었다. 그들은 시 작품과 민속 연구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데카브리스트의 아내들은 남편의 유형지에 따라간 사람도 많았고, 후세에 러시아 여성의 귀감으로 그 덕행을 칭송받았다. 알렉산드르 헤르젠은 그가 발행한 정기 간행물 『북극성』의 표지에 처형된 데카브리스트의 초상화를 게재했다. 푸시킨네크라소프는 시 작품에서 데카브리스트를 주제로 삼았다. 레프 톨스토이는 데카브리스트의 자유주의적 사조를 다루어, 후에 『전쟁과 평화』로 이어졌다.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러시아에서 자유주의적 혁명 운동의 첫걸음으로서, 그 후의 혁명 운동의 계기로 여겨진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혁명 운동은 러시아에서는 좌절했지만, 나폴레옹 전쟁에 의해 유럽 각국으로 수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데카브리스트의 난 이후 유럽에서는 그리스 독립 전쟁, 그리고 1830년7월 혁명과 연쇄적으로 이어져, 반동하는 빈 체제에 흔들림을 주었다.

6. 평가 및 의의

12월 당원들의 실패 이후, 러시아의 자치정부는 1861년 농노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1905년 러시아와 핀란드에 의회가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1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핀란드는 알렉산드르 1세 때부터 의회가 있었지만, 선거인 수는 제한적이었다. 1905년 러시아 헌법은 12월 당원들이 그렇게 불렀던 것처럼 "기본법"이라고 불렸다.[46]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12월 당원들은 정권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들의 불만은 니콜라이 1세로 하여금 제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강요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상원 광장에서 자신의 군대에 합류했지만 궁극적으로 12월 당원 회의에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지지하지 않았던 많은 12월 당원들을 자신의 정부에 포함시켰다(예: 인권 감독을 맡았던 벤켄도르프, 무라비예프-빌렌스키 등). 1826년, 스페란스키는 니콜라이 1세에 의해 러시아 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설립된 위원회인 황제 폐하 친위 관방의 "제2과"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그의 지도 아래, 위원회는 35,993개의 법령을 담은 러시아 제국의 법률 완전집을 발간했다. "법률 완전집"(''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이라고 불리는 이 체계화는 니콜라이 1세에게 제출되었고, 러시아 제국에 유효한 성문법인 "러시아 제국 법률집"(''Свод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의 기초를 형성했다. 스페란스키의 자유주의적 사상은 이후 콘스탄틴 카벨린과 보리스 치체린에 의해 검토되고 정교화되었다.[46]

니콜라이 치세 동안 반란은 금기시된 주제였지만, 알렉산드르 헤르젠은 그의 급진적인 정기 간행물 ''북극성'' 표지에 처형된 12월 당원들의 초상을 실었다. 알렉산드르 푸슈킨은 그의 12월 당원 친구들에게 시를 바쳤다. 우크라이나에서 12월 당원들과 함께 복무했던 아버지를 둔 니콜라이 넥라소프는 12월 당원 부인들에 대한 긴 시를 썼다. 그리고 레오 톨스토이는 그 자유주의 운동에 대한 소설을 쓰기 시작했는데, 이는 나중에 ''전쟁과 평화''로 발전했다. 소비에트 시대에 유리 샤포린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가 대본을 쓴 반란에 대한 ''데카브리스티''(12월 당원들)라는 오페라를 제작했다. 그것은 1953년 6월 23일 볼쇼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46]

어느 정도까지 12월 당원들은 1725년에서 1825년 사이에 자신의 후보를 왕위에 올리고자 했던 일련의 궁정 혁명가들의 전통을 따랐지만, 많은 12월 당원들은 파벨 페스텔의 자코뱅적인 중앙 집권화 프로그램이나 범슬라브주의 연합을 주장하는 "슬라브 연합회"의 혁명가들과는 달리 고전적 자유주의 또는 온건한 보수주의를 구현하고자 했다.[47] 대다수의 12월 당원들은 궁정 혁명 참여자들과 유사한 불법 조직의 구성원이 아니었다. 어떤 이들은 번영 연합의 구성원이었을 뿐이며, 공식적인 친정부적이고 상당히 보수적인 프로그램에 동정적이었다. 그러나 이전의 로마노프 궁정 혁명과 달리 그들의 반란은 혁명 운동의 시작으로 간주되었다. 이 봉기는 정부와 개혁적인 러시아 귀족 세력 사이의 최초의 공개적 갈등이었으며,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48][49]

데카브리스트의 난의 실패는, 반란의 주체인 북방결사와 남방결사가 상호 연락을 취하지 않고 알렉산드르 1세의 급서와 그 후 2주간의 황제 부재를 기회적으로 포착하여 장기적인 전망 없이 반란에 돌입한 것과, 대중에 대한 시위의 부족, 쿠데타 실행자로서의 결단과 실행력이 부족했던 것 등에 기인한다. 결국, 난 후 니콜라이 1세는 황제 관방 제3부를 신설하는 등 전제 권력을 강화하고 반동 정치를 추진했다. 그 한편으로 니콜라이는 실각했던 스페란스키를 등용하여 법전 편찬 사업을 재개하게 하는 등, 국정 정비로 이어지는 일도 했다.

데카브리스트 중에는 시베리아 등의 유형지에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한 사람도 있었다. 그들은 시 작품과 민속 연구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데카브리스트의 아내들은 남편의 유형지에 따라간 사람도 많았고, 후세에 러시아 여성의 귀감으로 그 덕행을 칭송받았다. 알렉산드르 헤르젠은 그가 발행한 정기 간행물 『북극성』의 표지에 처형된 데카브리스트의 초상화를 게재했다. 푸슈킨과 네크라소프는 시 작품에서 데카브리스트를 주제로 삼았다. 톨스토이는 데카브리스트의 자유주의적 사조를 다루어, 후에 『전쟁과 평화』로 이어졌다.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러시아에서 자유주의적 혁명 운동의 첫걸음으로서, 그 후의 혁명 운동의 계기로 여겨진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혁명 운동은 러시아에서는 좌절했지만, 나폴레옹 전쟁에 의해 유럽 각국으로 수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데카브리스트의 난 이후 유럽에서는 그리스 독립 전쟁, 그리고 1830년7월 혁명과 연쇄적으로 이어져, 반동하는 빈 체제에 흔들림을 주었다.

참조

[1] 논문 The Decembrist Revolt and its Aftermath: Values in Conflict 2009
[2] 웹사이트 Ascent to the Throne of Nicholas I https://www.britanni[...] 2024-07-11
[3]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Pluto Press 2017
[4] 서적 (제목 없음) 2002
[5] 서적 The Abolition of Serfdom in Russia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1
[6] 기타
[7] 서적 (제목 없음)
[8] 논문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 View from Russia http://www.jstor.org[...]
[9] 웹사이트 A. Etkind. ''Another freedom'' http://znamlit.ru/pu[...]
[10] 웹사이트 Опыт США и конституционные проекты декабристов https://club-19febru[...] 2011-12-03
[11] 서적 The Decembrist Pavel Pestel: Russia's First Republican https://books.google[...] Springer
[12] 서적 Революционное движение в России в XIX веке 1985
[13] 서적 Russia: A Complete History 2003
[14] 웹사이트 Павел Иванович Пестель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России в портретах http://deduhova.ru/s[...]
[15] 뉴스 Общество соединённых славян – народные декабристы https://histerl.ru/m[...] 2020-07-04
[16] 서적 Записки. Письма 1963
[17]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Penguin 1978
[18]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Penguin 1978
[19]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Penguin 1978
[20] 웹사이트 Материалы следственного дела С. И. Муравьёва-Апостола http://kemenkiri.nar[...]
[21] 웹사이트 Декабрист Евгений Оболенский о подготовке восстания на Сенатской площади https://homsk.com/tr[...]
[22]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23] 서적 Siberia and the Exile System James R. Osgood, McIlvaine & Co. 1891
[24] 서적 Voices in Exi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4
[25] 논문 Other Decembrists: The Chizov Case and Lutskii Affair As Signifiers of The Decembrists in Siberia 2007
[26] 논문 Other Decembrists: The Chizov Case and Lutskii Affair as Signifiers of The Decembrists in Siberia 2007
[27]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28]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29] 논문 Other Decembrists: The Chizov Case and Lutskii Affair As Signifiers of The Decembrists in Siberia 2007
[30] 서적 Voices in Exi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4
[31] 서적 Voices in Exi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4
[32]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33]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34]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7
[35] 서적 Voices in Exi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4
[36] 논문 Other Decembrists: The Chizov Case and Lutskii Affair As Signifiers of The Decembrists in Siberia
[37]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38] 논문 Other Decembrists: The Chizov Case and Lutskii Affair as Signifiers of The Decembrists in Siberia
[39] 웹페이지 # or 기타 (내용상으로 판단 불가능) Peter the Great's Reforms and Aristocratic Culture
[40] 서적 # or 기타 (추가 정보 필요)
[41]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Wordsworth Book of Opera
[47] 웹사이트 Decembrist movement http://www.encyclope[...]
[48] 웹사이트 krotov.info http://www.krotov.in[...]
[49] 웹사이트 Декабристы: Становление // Николай Троицкий https://scepsis.net/[...]
[50] 서적 Бра́тья Карама́зовы (The Brothers Karamazov) The Modern Library
[51] 기타 # (추가 정보 필요. 일본어 출처 추정) 和田(2002)
[52] 기타 # (추가 정보 필요. 일본어 출처 추정) 倉持(1994)
[53] 기타 # (추가 정보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