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데라 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데라 신전 부조는 덴데라에 거주하는 신 하르솜투스를 묘사하며, 세 개의 물체가 각기 두 개의 부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류 해석에 따르면 이 부조는 이집트 신화의 한 장면을 나타내며, 제드 기둥과 연꽃의 상징성을 강조한다. 반면, 변두리 이론은 부조가 고대 이집트의 기술, 특히 음극선관과 같은 현대 장치와 유사하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유사한 모티프는 덴데라 신전의 다른 부분과 나카의 사자 신전에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열등 - 센테니얼 라이트
    센테니얼 라이트는 1901년부터 켜져 있는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 소방서의 전구로, 1890년대 셸비 일렉트로닉 컴퍼니에서 제작되었으며 낮은 전력으로 작동하고 장수하는 특징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어 여러 기관의 관리를 받는다.
  • 백열등 - 할로젠등
    할로겐등은 텅스텐 필라멘트와 할로겐 가스를 이용해 빛을 내는 전구로, 할로겐 주기를 통해 수명을 늘리고 흑화 현상을 방지하지만, 에너지 효율 문제와 안전 문제, 높은 작동 온도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 퇴출되고 있다.
  • 이집트학 -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30년까지 나일강 유역에서 존재하며 강력한 왕권과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유지하며 농업, 건축,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된 문화를 이룬 문명이다.
  • 이집트학 - 로제타석
    로제타석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 시대에 제작된 흑색 화강섬록암 돌로, 상형 문자, 민중 문자, 고대 그리스어 세 가지 언어로 동일한 내용이 기록된 기원전 196년 칙령이며,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유사고고학 - 코소 유물
    코소 유물은 1961년 캘리포니아 코소 산맥에서 발견된 물체로, 처음에는 오래된 유물로 추정되었으나, 1920년대 점화 플러그로 밝혀졌으며 유사과학적 주장의 허점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유사고고학 - 레무리아
    레무리아는 필립 스클래터가 여우원숭이 화석 분포 설명을 위해 인도양에 가상으로 설정한 대륙으로, 과학계에서는 부정되었으나 신지학, 오컬트, 타밀 민족주의 등에서 변형되어 전승되고 대중문화 소재로도 활용된다.
덴데라 등
명칭
한국어덴데라 등
영어Dendera light
개요
덴데라 신전의 전구
덴데라 신전의 전구
설명덴데라 등은 이집트의 하토르 신전에서 발견된 부조에 묘사된 논쟁적인 형상이다.
논쟁고대 이집트 전기의 증거라는 주장이 있지만, 주류 이집트 학자들은 종교적 상징주의로 해석한다.
위치
장소덴데라의 하토르 신전
특징
묘사기다란 모양의 물체 (전구와 유사)
물체 내부의 필라멘트와 같은 구조
물체를 잡고 있는 인물 형상
해석전구: 고대 이집트인들이 전기를 사용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됨.
종교적 상징주의: 연꽃 봉오리, 뱀, 제드 기둥 등의 상징으로 해석됨.
논란
고대 전기 기술 주장일부 연구자들은 덴데라 부조가 고대 이집트인들이 전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주류 학계의 반론주류 이집트 학자들은 덴데라 부조를 종교적 상징주의로 해석하며, 고대 이집트에서 전기 기술이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주장한다.
추가 정보
관련 항목에리히 폰 데니켄
고대 외계인
시대착오적 물건

2. 덴데라 신전 부조에 대한 묘사 및 주류 해석

이집트학자들은 덴데라 신전 부조가 이집트 신화의 여러 요소들을 나타낸다고 본다. 부조에는 제드 기둥과 그 안에 뱀을 품은 연꽃(Nymphaea caerulea)이 묘사되어 있다.[1][2] 제드 기둥은 안정성을 상징하며, 오시리스 신의 척추로 해석되기도 한다. 제드 기둥 머리 부분의 네 개의 평평한 줄은 척추처럼 보이며, 사람의 팔이 이를 받치고 있다. 이 팔은 연꽃 안의 뱀을 감싸고 있는데, 연꽃 속 뱀은 매년 나일강의 홍수와 관련된 풍요로움을 상징한다.[2]

2. 1. 부조의 구성 요소

부조는 세 개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물체는 두 개의 부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부조들은 덴데라 하토르 신전의 지하 묘지와 신전 G 구역에서 발견되었다. 각 부조에는 하르솜투스 신의 말과 관련된 내용의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1][2]

물체위치텍스트 내용 요약이미지
물체 1 (a)지하 묘지 1-C, 남쪽 벽하르솜투스가 메스케테트-밤-바지의 뱃머리에 안겨 있고, 그의 바(Ba)가 하늘에서 라이징(Rising) [여성]을 일으키게 했다는 내용. 금속, 높이: 네 손[1]
(왼쪽)
물체 2 (a)지하 묘지 1-C, 남쪽 벽하르솜투스가 만젯-데이-바지의 연꽃 속 살아있는 바로 묘사되며, 제드 기둥의 팔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는 내용. 금과 모든 귀석, 높이: 세 손[1][2]--
물체 3 (a)지하 묘지 1-C, 북쪽 벽하르솜투스가 살아있는 바로서 연꽃에서 솟아오르며, 그의 카(Ka)의 이미지가 그를 들어 올린다는 내용. 금, 높이: 1큐빗. 개구리 머리 형상과 사당 관련 텍스트 포함.[1]
물체 1 (b)구역 G, 남쪽 벽메스케테트-밤-바지의 hn-용기에 있는 하르솜투스와 네 개의 형상을 묘사. 금 또는 금속, 높이: 네 손. 카디의 하르솜투스 텍스트 포함.[1]
물체 2 (b)구역 G, 북쪽 벽하르솜투스가 자신의 바지에 있는 모습 묘사. 금과 모든 귀석, 높이: 세 손[1]
(왼쪽)
물체 3 (b)구역 G, 북쪽 벽하르솜투스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뱀으로, hn-용기를 담고 있는 꽃에서 솟아오르는 모습 묘사.[1]--



이집트학자들은 이 부조가 제드 기둥과 그 안에 뱀을 품은 연꽃(''Nymphaea caerulea'')으로 이집트 신화의 양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제드 기둥은 안정성을 상징하며, 오시리스 신의 척추로도 해석된다. 제드 기둥 머리를 형성하는 4개의 평평한 줄은 마치 제드가 척추인 것처럼 보이며, 뻗어 있는 사람의 팔에 의해 보조된다. 이 팔은 연꽃 안에서 뱀을 안고 있으며, 연꽃 속의 뱀은 매년 나일강에서 일어나는 홍수와 관련된 비옥함을 상징한다.[2]

2. 1. 1. 물체 1 (지하 묘지 1-C, 남쪽 벽)

덴데라에 거주하는 위대한 신, 하르솜투스는 메스케테트-밤-바지(Mesketet-night-barge)의 뱃머리에 있는 자들의 팔에 안겨, 고귀한 코브라, 그의 켄티-조각상 아래에 헤가 있다고 말했다. 그의 일행은 거룩함 속에서 그의 완벽함을 운반하며, 그의 바(Ba)는 하늘에서 라이징(Rising) [여성]을 일으키게 했다. 그의 형태는 추종자들에게 존경받으며, 외로이 오며, 그의 메헨-우라에우스로 둘러싸여 있고, 쿠-엔-센(Khu-en-sen) 앞에서 수많은 이름이 있으며, 아툼(Atum)의 땅(덴데라)에 있는 의 힘이자, 신들의 아버지이며, 존재하는 것을 창조하신 분이다.[1]

금속 재질이며, 높이는 네 손이다.[1]

2. 1. 2. 물체 2 (지하 묘지 1-C, 남쪽 벽)

덴데라에 거주하는 위대한 신, 하르솜투스는 만젯-데이-바지(Mandjet-day-barge)의 연꽃 속 살아있는 바로 묘사되며, 그의 완벽함은 제드 기둥의 두 팔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제드 기둥의 무릎에 있는 카(Ka)는 팔을 구부리고 있다.[1][2] 이 형상은 금과 모든 귀석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세 손이다.

2. 1. 3. 물체 3 (지하 묘지 1-C, 북쪽 벽)

덴데라에 거주하는 위대한 신, 하르솜투스가 말하기를, 자신은 살아있는 바로서 연꽃에서 솟아오른다고 하였다. 그의 카의 퀘마티우(Qematiu)-이미지가 그의 완벽함을 들어 올리고, 그의 세세무(Seshemu)-이미지는 만젯-데이-바지(Mandjet-day-barge)의 일행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그의 몸은 제드 기둥에 의해 운반되며, 그의 세세무-이미지 아래에는 원시 [여성]이 있고, 그의 위엄은 그의 카의 동료들에 의해 운반된다.[1]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1큐빗이다.[1]

개구리 머리 형상 위에 쓰여 있기를, "당신의 이름은 웨페트(Wepet)에게 좋게 될 것이고, 당신의 얼굴은 개구리의 얼굴이다."라고 하였다.[1]

개구리 머리 형상 앞에 쓰여 있기를, "나는 당신의 반역자들을 땅에 쓰러뜨렸고, 당신의 적을 학살의 장소에서 베었다."라고 하였다.[1]

사당의 조각상 위에 쓰여 있기를, "덴데라에 거주하는 위대한 신, 하르솜투스가 말하기를, (나는) 숨겨진 형태, 그의 사당에서 보호받는다."라고 하였다. 금으로 만들어졌고, 높이는 1큐빗이다.[1]

2. 1. 4. 물체 1 (구역 G, 남쪽 벽)

메스케테트(Mesketet-night-barge)의 hn-용기에 있는 하르솜투스와 그 안에 존재하는 네 개의 형상을 묘사하고 있다. 헤(Heh)의 형상이 하르솜투스 앞에 있고, 하르솜투스 뒤에는 꽃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물이 있다.[1] 하르솜투스의 형상에 대한 재료는 금 또는 금속이며, 높이는 네 손이다.[1]

(왼쪽의 형상 위): ''카디의 하르솜투스.''[1]

2. 1. 5. 물체 2 (구역 G, 북쪽 벽)

ḥr-sꜣ-tꜣwj|하르솜투스egy가 자신의 바지에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 설명에 따르면, ''금과 모든 귀석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세 손''이라고 한다.

2. 1. 6. 물체 3 (구역 G, 북쪽 벽)

Ḥr-sꜣ-tꜣ|하르솜투스egy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뱀으로, hn|hnegy 용기를 담고 있는 꽃에서 솟아오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사람의 얼굴을 한 네 개의 형상이 그의 옆을 지키고, 그의 머리 아래에는 그의 바지(barge) 뱃머리에 있는 세레크 위의 헤(Heh) 형상이 있다. 두꺼비의 얼굴을 한 Iuf|이우프egy 원숭이는 손에 칼을 들고 그의 앞에 있으며, 이 꽃의 앞부분을 운반하는 두 개의 형상도 그러하다.[1]

2. 2. 주류 학계의 해석

이집트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이 부조는 제드 기둥과 그 안에 뱀을 품은 연꽃(''Nymphaea caerulea'')으로 이집트 신화의 양상을 표현한 묘사이다.[1][2] 제드 기둥은 안정성을 상징하며, 오시리스 신의 척추로도 해석된다. 제드 기둥 머리를 형성하는 4개의 평평한 줄은 마치 제드가 척추인 것처럼 보이며, 뻗어 있는 사람의 팔에 의해 보조된다. 이 팔은 연꽃 안에서 뱀을 안고 있으며, 연꽃 속의 뱀은 매년 나일강에서 일어나는 홍수와 관련된 비옥함을 상징한다.[2]

3. 변두리 해석 (Fringe theory)

주류 해석과는 달리, 변두리 이론은 부조가 음극선관, 가이슬러관, 크룩스관, 아크 등과 같은 현대 장치와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고대 이집트 기술을 묘사한다고 본다. 노먼 로키어는 동료가 전등이 묘에 그을음이 없는 것을 설명할 것이라는 농담을 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때때로 이러한 해석의 근거로 제시된다.[5] (다른 설명으로는 거울 시스템이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다.)[5]

이러한 주장을 펴는 사람들은 "구리판으로 덮인 높은 기둥"에 대한 텍스트를 전기 기술과 연결하기도 한다.[6] 그러나 볼코 슈테른은 구리로 덮인 기둥 꼭대기가 전기나 번개와 관련이 없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전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것은 기술적인 설치가 아닌 마법적인 설치였다고 지적했다.[7]

케네스 페더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그렇게 진보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면, 고고학 발굴 중에 전구 잔해(유리 조각, 금속 소켓, 필라멘트 등)가 발견되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컴의 면도날을 들어 거울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강조했고, 고대 이집트인들이 횃불에 소금을 첨가하면 그을음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지적했다.[3]

3. 1. 변두리 해석의 주장

변두리 이론은 부조의 모습이 가이슬러관, 크룩스관, 아크 등과 같은 현대의 전기 장치와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무덤 내부에 그을음이 없는 점을 근거로 들어 전기 램프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노먼 로키어가 동료에게서 들은 일화를 언급하기도 한다.[5] (다른 설명으로는 거울 시스템이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다.)[5]

이러한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구리판으로 덮인 높은 기둥"에 대한 텍스트를 전기 기술과 연결 짓기도 한다.[6] 그러나 볼코 슈테른은 구리로 덮인 기둥의 꼭대기가 전기나 번개와 관련이 없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전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것은 기술적인 설치가 아닌 마법적인 설치였다고 지적했다.[7]

3. 2. 변두리 해석에 대한 비판

볼코 슈테른(Volko Stern)은 구리로 덮인 기둥이 전기와 관련이 없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전기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지적했다.[7] 케네스 페더(Kenneth Feder)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전구를 사용할 정도로 발전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면, 고고학 발굴 과정에서 전구의 잔해(유리 조각, 금속 소켓, 필라멘트 등)가 발견되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 페더는 오컴의 면도날을 적용하여 거울 시스템을 사용하여 빛을 묘실 안으로 반사시켰다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주장하고, 또한 고대 이집트인들이 횃불에 소금을 첨가하면 그을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한다.[3]

4. 유사한 모티프

나카 사자 신전의 아페데마크 뱀


덴데라 신전의 다른 부분과 나카의 사자 신전 등에서도 덴데라 신전 부조와 유사한 모티프가 발견된다. 이러한 유사성은 덴데라 신전 부조의 도상학적 의미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Die Texte in den unteren Krypten des Hathortempels von Dendera: ihre Aussagen zur Funktion und Bedeutung dieser Räume Mainz 1997
[2] 웹사이트 Dendera Temple Crypt http://users.iafrica[...]
[3] 서적 Technology of the gods: the incredible sciences of the ancients Adventures Unlimited Press 2000
[4] 웹사이트 Electricity in ancient times http://www.ufo.se/uf[...]
[5] 서적 The Dawn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6] 서적 An Introduction to Electricity https://books.google[...] Kegan Paul, Trench, Trübner 1908
[7] 서적 Ägyptische Kulturgeschichte Reprint-Verlag-Leipzi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