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고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로고부시는 1150년 스몰렌스크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도시이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등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치며, 특히 혼란의 시대와 나폴레옹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도로고부시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온난한 여름의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몰렌스크주의 도시 - 옐냐
러시아 스몰렌스크주에 위치한 옐냐는 1150년 기록에 처음 등장하여 스몰렌스크 지역의 역사적 부침을 겪고 1776년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812년 러시아 원정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는 식품, 섬유, 건자재 산업이 발달했으며 작곡가 미하일 글린카의 출생지로 알려진 도시이다. - 스몰렌스크주의 도시 - 벨리시
벨리시는 서드비나강 유역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경 근처에 있는 도시로, 14세기 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국경 요새였으며, 이후 러시아에 병합되어 스몰렌스크주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고 섬유, 목재, 식품 산업이 발달했다.
도로고부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Dorogobuzh |
러시아어 표기 | Дорогобуж |
폴란드어 표기 | Dorohobuż |
위치 | 스몰렌스크 주 |
행정 구역 | 도로고부시스키 군 도로고부시스코예 도시 정착촌 |
도시 지위 | 군 중요 도시 |
행정 중심지 | 도로고부시스키 군 도로고부시스코예 도시 정착촌 |
설립일 | 1150년 (최초 언급) |
행정 | |
행정 데이터 기준일 | 2014년 2월 |
자치구 데이터 기준일 | 2011년 10월 |
면적 (도시 정착촌) | 35.15 제곱킬로미터 (2014년 2월 기준)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10,720명 |
2002년 인구 조사 | 12,250명 |
1989년 인구 조사 | 12,254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215710, 215713 |
웹사이트 | 도로고부시 (보관된 웹사이트) |
2. 역사
도로고부시는 1150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스몰렌스크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방어하기 위한 요새로 건설되었다. 몽골 제국의 러시아 침략 이전, 스몰렌스크 공국은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 등으로부터 스몰렌스크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길을 지키기 위해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고, 이후 드네프르 강 상류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했다.
1508년, 바실리 3세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부터 스몰렌스크 영토를 빼앗은 후, 리투아니아 군의 습격에 대비해 목조 요새를 건설하기 위해 이탈리아인 기술자들을 이곳에 파견했다.
혼란의 시대 동안 도로고부시는 리투아니아와 다양한 모스크바 파벌 사이를 여러 번 오갔으며,[2] 황폐화되어 1614년에는 인구가 10명으로 줄었다. 1613년에는 러시아 차르국에 점령되었고, 1617년에는 폴란드 왕자 블라디슬라프 4세 바사에게 다시 점령되었다.[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의 일부였다. 스몰렌스크 전쟁 동안 1632년에는 러시아에 의해 도로고부시 포위전을 겪으며 점령되었지만, 1634년 폴랴노프카 조약에 의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반환되었다.[2] 1667년 러시아로 넘어갔다.[2]
나폴레옹 전쟁 동안 1812년 8월에 프랑스 제1 제국 군대에 점령되었고, 1812년 10월에 러시아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2] 19세기 후반에는 곡물, 말, 가축을 위한 연례 시장이 열렸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에 의해 1941년 10월 5일부터 1942년 2월 15일까지 처음 점령되었고 (세 개의 유격대와 일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됨), 1942년 6월 7일부터 1943년 9월 1일까지 다시 점령되었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독일군은 마을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하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고,[3] 1942년 4월에서 5월 사이에는 율라크 18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도 운영했다.[4]
2. 1. 초기 역사와 요새 건설
도로고부시는 1150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스몰렌스크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요새였다. 스몰렌스크 공국에 위치해 있었으나 1404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합병되었다.[2] 1500년 베드로샤 전투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넘어갔으며,[2] 1508년 바실리 3세는 이탈리아 장인들을 보내 나무 요새를 건설하도록 했다.
혼란의 시대 동안 도로고부시는 리투아니아와 모스크바의 여러 파벌 사이에서 소유권이 বারবার 바뀌었고,[2] 그 결과 황폐화되어 1614년에는 인구가 10명으로 줄었다. 1613년 러시아 차르국에 점령되었다가 1617년 폴란드 왕자 블라디슬라프 4세 바사에게 다시 점령되었다.[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는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의 일부였다. 1632년 스몰렌스크 전쟁 동안 러시아가 도로고부시 포위전을 벌여 점령했지만, 1634년 폴랴노프카 조약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반환되었다.[2]
2. 2. 혼란의 시대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바실리 3세는 1508년 이탈리아 장인들을 보내 요새를 건설하게 했다. 혼란의 시대 동안 도로고부시는 리투아니아와 다양한 모스크바 파벌 사이를 여러 번 오가며[2] 황폐화되었고, 1614년에는 인구가 10명으로 줄었다. 1613년 러시아 차르국에 점령되었다가 1617년 폴란드 왕자 블라디슬라프 4세 바사에게 다시 점령되었다.[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의 일부였다. 스몰렌스크 전쟁 중 1632년 러시아에 의해 도로고부시 포위전을 겪으며 점령되었지만, 1634년 폴랴노프카 조약에 의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반환되었다.[2] 1667년 러시아로 넘어갔다.[2]2. 3. 러시아 제국 시대
1150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스몰렌스크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방어하는 요새로 건설되었다. 몽골 제국의 러시아 침략 이전, 스몰렌스크 공국은 스몰렌스크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길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 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다. 이것이 도로고부시의 성립이며, 이후 드네프르강 상류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했다. 1404년에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합병된 스몰렌스크 공국에 위치해 있었다.[2] 1500년 베드로샤 전투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넘어갔다.[2] 1508년, 스몰렌스크 영토를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부터 빼앗은 모스크바 대공국의 바실리 3세는 리투아니아군의 습격에 대비해 목조 요새를 건설하기 위해 이탈리아인 기술자들을 이곳에 파견했다.혼란의 시대 동안 도로고부시는 리투아니아와 다양한 모스크바 파벌 사이를 여러 번 오갔으며,[2] 황폐화되어 1614년에는 인구가 10명으로 줄었다. 1613년에는 러시아 차르국에 점령되었고, 1617년에는 폴란드 왕자 블라디슬라프 4세 바사에게 다시 점령되었다.[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의 일부였다. 스몰렌스크 전쟁 동안 1632년에는 러시아에 의해 도로고부시 포위전을 겪으며 점령되었지만, 1634년 폴야노프카 조약에 의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반환되었다.[2] 전쟁의 결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국경을 동쪽으로 밀어냈고, 1611년부터 1668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까지 도로고부시는 폴란드-리투아니아령 스몰렌스크 주의 일부가 되었다. 1667년에는 러시아로 넘어갔다.[2]
나폴레옹 전쟁 동안 1812년 8월에 프랑스 제1 제국 군대에 점령되었고, 1812년 10월에 러시아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2] 19세기 후반에는 곡물, 말, 가축을 위한 연례 시장이 열렸다.[2] 러시아령으로 돌아온 17세기 말 이후, 도로고부시는 재건되어 석재와 벽돌로 된 성당이 늘어선 도시로 발전했다. 1812년의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으로 크게 파괴된 후, 신고전주의 건축을 중심으로 재건되어 농산물 집산지로 번영했지만, 러시아 혁명 후에는 중요성을 상실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시대
1150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스몰렌스크로 가는 동쪽 접근로를 방어하는 요새로 건설되었다.[2] 몽골 제국의 러시아 침략 이전, 스몰렌스크 공국은 스몰렌스크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길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 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다. 이것이 도로고부시의 성립이며, 이후 드네프르강 상류의 교역 거점으로 발전했다. 1508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바실리 3세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부터 스몰렌스크 영토를 빼앗은 후, 리투아니아군의 습격에 대비해 목조 요새를 건설하기 위해 이탈리아인 기술자들을 이곳에 파견했다.대혼란 시대에는 러시아-폴란드 전쟁(1605년~1618년)으로 마을이 완전히 황폐화되어, 1614년의 인구는 불과 10명이었다. 전쟁 결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국경을 동쪽으로 밀어냈고, 1611년부터 1668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까지 도로고부시는 폴란드-리투아니아령 스몰렌스크 주의 일부가 되었다.
17세기 말 러시아령으로 돌아온 후, 도로고부시는 재건되어 석재와 벽돌로 된 성당이 늘어선 도시로 발전했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으로 크게 파괴된 후, 신고전주의 건축을 중심으로 재건되어 농산물 집산지로 번영했지만, 러시아 혁명 후에는 중요성을 상실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1941년 10월 5일부터 1942년 2월 15일까지 처음 점령되었고 (세 개의 유격대와 일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됨), 1942년 6월 7일부터 1943년 9월 1일까지 다시 점령되었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독일군은 마을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하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고,[3] 1942년 4월에서 5월 사이에는 율라크 18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전쟁 포로 수용소도 운영했다.[4] 독일군이 철수한 후에는 성당 등의 건축물은 아무것도 남지 않았고, 8,500명의 인구는 800명 정도로 줄어들었다. 1950년대에는 재건이 이루어졌지만, 역사적인 거리 풍경 등은 재현되지 않았다.
3. 행정 구역 및 지위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도로고부시는 도로고부시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5] 행정 구역으로서 도로고부시는 도로고부시 구에 '도로고부시 읍'으로 통합되어 있다.[5] 지방 자치체로서 이 행정 구역은 또한 읍 지위를 가지며 도로고부시 자치구의 일부이다.[6]
4. 지리
도로고부시는 지리적으로 특별한 특징은 언급되지 않았다. 하위 섹션에서 기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4. 1. 기후
도로고부시는 온난한 여름의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Dfb'')를 보인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4.7°C | -3.9°C | 1.6°C | 10.7°C | 17.2°C | 20.3°C | 23°C | 21.4°C | 15.7°C | 8.4°C | 2.2°C | -1.9°C |
평균 기온 (℃) | -6.8°C | -6.4°C | -1.7°C | 6.3°C | 13°C | 16.5°C | 19.2°C | 17.6°C | 12.2°C | 5.8°C | 0.4°C | -3.7°C |
평균 최저 기온 (℃) | -9.2°C | -9.3°C | -5.4°C | 1.2°C | 7.7°C | 11.7°C | 14.6°C | 13.3°C | 8.4°C | 3.2°C | -1.5°C | -5.8°C |
강수량 (mm) | 51mm | 45mm | 44mm | 45mm | 76mm | 83mm | 91mm | 80mm | 65mm | 69mm | 55mm | 50mm |
5. 명소
도시 외곽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역사적 명소가 있다. 예를 들어 오를로프 가문의 18세기 영지는 알렉세이 그리고리에비치 오를로프가 "오를로프 트로터"라는 품종의 말을 길렀던 종마 농장이다. 15세기 이래의 볼딘 수도원은 16세기 말에 보리스 고두노프의 일족에 의해 개수되었다. 5개의 돔이 있는 성당, 첨탑이 있는 식당, 기둥과 같은 종루 등이 세워져 있었다. 이 땅에서 태어난 20세기의 러시아 건축가 표트르 바라노프스키는 동유럽에서도 가장 잘 보존된 16세기의 수도원 건축물이라고 말했지만, 1943년 철수하는 독일군에 의해 폭파되었다. 1990년대에 재건이 시작되었다.
참조
[1]
기타
OKTMO reference
[2]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II
[3]
웹사이트
Zivilarbeitslager Dorogobuž
https://www.bundesar[...]
2022-10-29
[4]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5]
기타
Resolution #261
[6]
기타
Law #107-z
[7]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