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는 1978년부터 시작된 유도 대회로, 2009년 대회 명칭이 그랜드슬램으로 변경되었다.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로 시작하여, IJF 월드 유도 투어에 포함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으며, 도쿄와 오사카에서 번갈아 개최되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못했다. 역대 우승자로는 한국 선수들이 2009년과 2010년에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TV 중계를 통해 유도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도 대회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유도 연맹 주관으로 시작되어 남자 개인전 위주로 진행되다가 여자부 경기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 대회를 통해 유럽 유도 발전에 기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유도 대회이다.
  • 유도 대회 - 올림픽 유도
    올림픽 유도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시작하여,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 혼성 단체전으로 진행되며, 대한민국은 유도 강국으로서 올림픽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197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바이애슬론 월드컵
    바이애슬론 월드컵은 매년 11월/12월부터 3월까지 스프린트, 개인, 추격, 매스스타트, 계주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 국제 바이애슬론 경기 대회 시리즈이며, 시즌 종합 성적에 따라 크리스털 글로브가 수여된다.
  • 197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축구연맹이 주관하는 21세 이하 유럽 국가대표팀 간의 축구 대회로, U-23 챌린지 컵과 유럽 청소년 선수권 대회를 거쳐 1978년부터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유도 - 성동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는 1906년 황성기독교청년회학관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경성영창학교를 거쳐 1949년 성동공립중학교로 개교한 후 1951년 성동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교과교실제, 고교학점제 운영 및 서울시교육청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로 선정되는 등 꾸준히 발전하며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 유도 - 한성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는 1928년 경성실업전수학교로 설립되어 한성상업학교, 한성중학교를 거쳐 195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41년 준공된 본관 건물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대회 정보
대회 명칭가노 지고로컵 도쿄 국제 유도 대회
다른 명칭도쿄 그랜드 슬램
로마자 표기Kanō Jigorō Hai Tōkyō Kokusai Jūdō Taikai
영어 명칭Jigoro Kano Cup Tokyo International Judo Tournament
상세 정보
종목유도
장소일본, 도쿄
역사
첫 대회2009년
기타
주최국제 유도 연맹(IJF)

2. 역사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는 1978년 유도의 창시자 가노 지고로를 기리기 위해 남자 대회인 '''가노 지고로배 국제 유도 선수권 대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유도의 올림픽'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 있는 대회였으나[4], 개최 주기는 일정하지 않았다.

2007년에는 후쿠오카 국제 여자 유도 선수권 대회를 흡수 통합하여 남녀 모두 참가하는 대회로 확대되었고, 대회 명칭도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 월드 그랑프리'''로 변경되었다[5]

2009년부터는 국제 유도 연맹(IJF)이 주관하는 IJF 월드 유도 투어의 그랜드슬램 대회 중 하나로 승격되면서 명칭이 '''그랜드슬램 도쿄'''로 바뀌었다[6]。 이 변화와 함께 주최가 IJF 또는 전일본 유도 연맹(전유련)[3]으로 변경되었고, 청색과 흰색 유도복 착용 규정이 도입되었다.

이후 2018년2019년에는 도쿄 체육관의 2020년 도쿄 올림픽 준비 공사로 인해 오사카에서 '''그랜드슬램 오사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기도 했다[8][9][10]。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2020년2021년 대회는 중단되었으나[11][12][13], 2022년에 다시 도쿄에서 대회가 재개되었다[14]

2. 1.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

1978년부터 2008년까지는 전일본 유도 연맹(전유련)의 주최[3] 아래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KANO CUP Judo World Grand Prix'')라는 이름으로 열렸으며, 흔히 '''가노배'''로 줄여 불렸다.

이 대회는 유도의 기초를 다지고 고도칸을 설립한 가노 지고로의 공적을 기리며 유도의 국제화를 추진할 목적으로, 1978년 11월 '''가노 지고로배 국제 유도 선수권 대회'''라는 명칭 하에 남자 선수들만 참가하는 대회로 처음 시작되었다. 초창기에는 그 위상 덕분에 '''유도의 올림픽'''이라고 불리기도 했다[4]。 그러나 개최 주기는 일정하지 않아서 2008년까지 총 14회 개최되는 데 그쳤다.

2006년 3월, 전일본 유도 연맹은 연맹이 주최하는 대회를 정리하고 통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그 해까지 후쿠오카에서 개최되던 후쿠오카 국제 여자 유도 선수권 대회를 흡수 통합하였고, 2007년부터는 남녀 선수가 모두 참가하는 통합 대회로 전환되었다. 이와 함께 대회 명칭도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 ○○○○ 월드 그랑프리'''(애칭: '''가노배 유도 월드 그랑프리 ○○○○''')로 변경되었으며(여기서 ○○○○는 개최 연도를 의미함), 개최 시기 역시 기존 11월에서 12월로 조정되었다[5]

대회 개최 장소는 1978년부터 2006년까지는 일본 무도관이었으며, 2007년에는 도쿄 체육관에서 열렸다.

한편, 이 대회와는 별개로 '일본 국제 유도 대회'라는 이름의 국제 대회가 1981년 11월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2002년 1월 일본 무도관에서 각각 개최된 적이 있는데, 해외에서는 이 대회를 가노배로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4][7]

2. 2. 그랜드 슬램 도쿄/오사카

2009년 대회부터 IJF 월드 유도 투어의 일환으로 국제 유도 연맹(IJF)이 주최하는[3] 국제 유도 대회가 되었다. 이전까지 전일본 유도 연맹(전유련) 주최로 열리던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는 이 대회를 계기로 '''그랜드슬램 도쿄'''(Grand Slam Tokyo)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6], 그랜드슬램 대회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며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졌다. 주최가 IJF로 변경되면서 기존의 흰색 유도복만 착용하던 방식에서 청색과 흰색 유도복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으로 시합 규정이 바뀌었다.

기간대회 명칭주요 개최지
2009년 ~ 2017년그랜드슬램 도쿄도쿄 체육관
2018년 ~ 2019년그랜드슬램 오사카오사카시 중앙 체육관 (마루젠 인텍 아레나)



2018년 대회는 본래 개최지였던 도쿄 체육관이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한 개수 공사에 들어가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오사카의 오사카시 중앙 체육관(마루젠 인텍 아레나 오사카)에서 대회가 열리게 되었고, 대회 명칭도 개최지를 반영하여 '''그랜드슬램 오사카'''(Grand Slam Osaka)로 변경되었다[8][9]。2019년 대회 역시 도쿄 체육관의 공사가 계속됨에 따라 오사카에서 개최되었다[10]

2. 3.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집단 감염 우려 때문에 당초 연기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 중지되었다.[11][12] 2021년 대회 역시 같은 이유로 열리지 못했다.[13] 이후 2022년에 3년 만에 다시 도쿄에서 대회가 재개되었다.[14]

3. 역대 우승자

이 대회는 초기에 '가노 지고로배 국제 유도 대회'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으며, 2009년부터 국제 유도 연맹(IJF) 월드 투어 시리즈인 '유도 그랜드 슬램' 대회로 개편되었다. 아래 하위 섹션에서 각 시기별, 성별 및 체급별 역대 우승자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3. 1. 남자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남자부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 유도 대회이다. 초기에는 '가노 지고로 컵'이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으며, 1978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세계적인 유도 선수들이 기량을 겨루는 장이 되었다. 2009년부터는 국제 유도 연맹(IJF)의 월드 투어 시리즈인 '유도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하나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회 초기에는 최경량급부터 헤비급까지 7개 체급과 무제한급 경기가 함께 열렸으나, 시대에 따라 체급 구분 방식과 명칭에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1999년 대회부터는 국제 기준에 맞춰 체급 명칭과 몸무게 기준이 일부 조정되었고, 무제한급 경기는 점차 축소되어 현재는 정규 체급 경기만 진행된다.

대한민국 남자 유도 선수들은 이 대회에서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한국 유도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왕기춘 선수는 -73kg급에서 세 차례나 우승했으며, 김재범 선수는 -81kg급에서, 김성민 선수는 +100kg급에서 여러 차례 정상에 올랐다. 이 외에도 황희태, 송대남, 김원진, 곽동한, 조구함, 전승범, 이준환 등 많은 한국 선수들이 각 체급에서 우승하며 세계 무대에서 활약했다.

각 연도별, 체급별 상세한 우승자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가노 지고로배 (1978년-2008년)

(-66kg '99–)-71kg
(-73kg '99–)-78kg
(-81kg '99–)-86kg
(-90kg '99–)-95kg
(-100kg '99–)+95kg
(+100kg '99–)무제한급1978 스즈키 가츠미 아키모토 가츠노리 요시무라 가즈오 후지이 쇼조 소노다 이사무 디트마어 로렌츠 야마시타 야스히로 야마시타 야스히로1982 호소카와 신지 가시와자키 가츠히코 나카니시 히데토시 히카게 노부토시 다비트 보다벨리 스와 다케시 야마시타 야스히로1986 세르지우 페소아 야마모토 요스케 고가 도시히코 오카다 히로타카 알렉산더 시프체프 스가이 히토시 사이토 히토시1990 이타쿠스 타다시 세르게이 코스미닌 고가 도시히코 요시다 히데히코 장 뤽 게이몽 스테판 트라이노 오가와 나오야1992 이타쿠스 타다시 마루야마 겐지 히데시마 다이스케 모치다 다쓰토 나카마시 마사히코 파벨 나스툴라 해리 반 바르네벨트1994 소노다 류지 나카무라 유키마사 마틴 슈미트 나카무라 요이치 요시다 히데히코 오카이즈미 시게루 프랭크 뫼러 마키시 요시하루1996 노무라 타다히로 나카무라 유키마사 김대욱 구보타 가즈노리 빈센조 카라베타 나카무라 요시오 마키시 요시하루 시노하라 신이치1999 우치시바 마사토 라르비 벤부다우드 안드레이 슈투르바빈 도모우치 마사히코 마크 후이징가 이노우에 도모카즈 무네타 야스유키2001개최되지 않음 시모데 요시노리2003 오가와 다케시 토리 토모오 카나마루 유스케 나카무라 겐조 야자키 유타 스즈키 게이지 무네타 야스유키2005개최되지 않음 이노우에 코세이2006 루드비히 파이셔 아키모토 히로유키 프란체스코 브루이에르 가토 히로타카 황희태 아나이 다카마사 타카이 요헤이2007 히라오카 히로아키 토마스 코발스키 왕기춘 송대남 일리야스 일리아디스 고바야시 다이스케 이시이 사토시2008 아키모토 기세이 에구사 다쓰아키 왕기춘 도모우치 마사히코 오노 다카시 아나이 다카마사 타카이 요헤이


3. 1. 2. 그랜드 슬램 (2009년-)

wikitext

연도-60kg-66kg-73kg-81kg-90kg-100kg+100kg
2009 후쿠오카 마사아키 에비누마 마사시 왕기춘 유안 버튼 오노 다카시 황희태 타카하시 가즈히코
2010 야마모토 히로후미 후쿠오카 마사아키 나카야 리키 나카이 타카히로 니시야마 마사시 아나이 다카마사 김성민
2011 야마모토 히로후미 타카조 토모후미 아키모토 히로유키 가와카미 토모히로 니시야마 마사시 세르게이 사모일로비치 알렉산드르 미하일린
2012 다카토 나오히사 모리시타 준페이 오노 쇼헤이 김재범 이규원 고바야시 다이스케 김성민
2013 다카토 나오히사 타카조 토모후미 나카야 리키 나가세 타카노리 바커 마슈 루카스 크르팔레크 김성민
2014 김원진 아베 히후미 아키모토 히로유키 나가세 타카노리 곽동한 조구함 레나트 사이도프
2015 다카토 나오히사 타카조 토모후미 아키모토 히로유키 아브탄딜 체리키쉬빌리 바커 마슈 하가 류노스케 하라사와 히사요시
2016 나가야마 류주 아베 히후미 하시모토 소이치 나가세 타카노리 알렉산다르 쿠콜 키릴 데니소프 오지타니 다케시
2017 다카토 나오히사 아베 히후미 타쓰카와 아라타 어트곤바타르 어건바타르 나가사와 켄타 조구함 오가와 유세이
2018 나가야마 류주 마루야마 조시로 오노 쇼헤이 사사키 다케시 무카이 쇼이치로 아론 울프 헹크 그롤
2019 다카토 나오히사 아베 히후미 에비누마 마사시 나가세 타카노리 베카 그비니아시빌리 하가 류노스케 이나르 타소예프
2022 전승범 마루야마 조시로 하시모토 소이치 코하라 겐야 마시야마 코스케 제나로 피렐리 오타 효가
2023 나가야마 류주 아베 히후미 히다야트 헤이다로프 이준환 무라오 산시로중립 선수(AIN) 마트베이 카니코프스키중립 선수(AIN) 타멜란 바샤예프
2024 나카무라 타이키 다케오카 쓰요시 다나카 류가 후지와라 솟타로 무라오 산시로IJF 마트베이 카니코프스키 나카노 칸타


3. 2. 여자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여자부는 가노 지고로 컵으로 시작하여 2009년부터 유도 그랜드 슬램의 일부로 개최되고 있다. 경기는 최경량급 (-48kg), 반경량급 (-52kg), 경량급 (-57kg), 반미들급 (-63kg), 미들급 (-70kg), 반헤비급 (-78kg), 헤비급 (+78kg)까지 총 7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대회 역사 전반에 걸쳐 일본 선수들이 강세를 보여왔으며, 많은 일본 선수들이 여러 차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상세한 연도별, 체급별 우승자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2. 1. 가노 지고로배 (2007년-2008년)

wikitext

연도최경량급 (-48kg)반경량급 (-52kg)경량급 (-57kg)반미들급 (-63kg)미들급 (-70kg)반헤비급 (-78kg)헤비급 (+78kg)
2007 야네트 베르모이 나카무라 미사토 사토 아이코 우에노 요시에 우에노 마사에 셀린 르브룅 타테야마 마이
2008 후쿠미 도모코 니시다 유카 마쓰모토 가오리 우르스카 졸니르 루시 데코스 양 슈리 엘레나 이바셴코


3. 2. 2. 그랜드 슬램 (2009년-)

wikitext

'''여자부 역대 우승자 (2009년-)'''
연도48kg 이하급 (-48kg)52kg 이하급 (-52kg)57kg 이하급 (-57kg)63kg 이하급 (-63kg)70kg 이하급 (-70kg)78kg 이하급 (-78kg)78kg 초과급 (+78kg)
2009 후쿠미 도모코 나카무라 미사토 도쿠히사 히토미 우에노 요시에 와타나베 미나 오가타 아카리 쓰카다 마키
2010 후쿠미 도모코 니시다 유카 마쓰모토 가오리 클라리스 아그베녠우 타치모토 하루카 오드리 체우메오 타치모토 메구미
2011 아사미 하루나 미야카와 타쿠미 마쓰모토 가오리 우르스카 졸니르 우에노 토모에 오가타 아카리 스기모토 미카
2012 아사미 하루나 하시모토 유키 야마모토 안즈 호리카와 메구미 린다 볼더 사토 루이카 타치모토 메구미
2013 곤도 아미 하시모토 유키 우다카 나에 아베 카나 아라이 치즈루 마린데 베르케르크 타치모토 메구미
2014 곤도 아미 하시모토 유키 마쓰모토 가오리 티나 트르스테냐크 제브리즈 에마네 케일라 해리슨 이나모리 나미
2015 곤도 아미 나카무라 미사토 요시다 쓰카사 마르티나 트라이도스 아라이 치즈루 케일라 해리슨 이나모리 나미
2016 몽흐바틴 우란체체그 쓰노다 나쓰미 요시다 쓰카사 카트린 운터부르차허 니이조 사키 사토 루이카 아사히나 사라
2017 곤도 아미 아베 우타 요시다 쓰카사 타시로 미쿠 오노 요코 하마다 쇼리 아사히나 사라
2018 토나키 후나 아베 우타 제시카 클림카이트 도이 마사코 아라이 치즈루 사토 루이카 이달리스 오르티스
2019 토나키 후나 아망딘 부샤르 타마오키 모모 도이 마사코 오노 요코 우메키 마미 소네 아키라
2022 미야키 카노 아베 우타 후나쿠보 하루카 타시로 미쿠 니이조 사키 타카야마 리카 소네 아키라
2023 쓰노다 나쓰미 아베 우타 크리스타 데구치 타시로 미쿠 산네 판 데이크 마이라 아기아르 아라이 마오
2024 고가 와카나 오모리 이부키 아시다치 미카 카가에 하루카 혼다 마유 이케다 아카리 아라이 마오


3. 3. 일본 국제 유도 대회

일본 국제 유도 대회는 1981년2002년에 개최되었다.

3. 3. 1. 남자

wikitext

''' 역대 우승자 '''
연도60kg 이하급65kg 이하급71kg 이하급78kg 이하급86kg 이하급95kg 이하급95kg 초과급무차별
11981년하라구치 켄이치사이토 토시로나카니시 히데토시히카게 노부토시노세 키요키알렉산드르 슈로프야마시타 야스히로사이토 히토시
연도60kg 이하급66kg 이하급73kg 이하급81kg 이하급90kg 이하급100kg 이하급100kg 초과급
22002년우치시바 마사토오미가와 미치오다카마츠 마사히로아키야마 요시히로야자키 유다이스즈키 케이지무라모토 타츠히로


4. 메달 획득 현황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및 그 전신인 가노 지고로배 국제유도대회의 역대 메달 집계 현황을 살펴보면, 개최국인 일본이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유도 종주국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은 금메달을 포함한 총 메달 수에서 다른 국가들과 큰 격차를 보이며 최다 메달 획득 국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대한민국일본 다음으로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유도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09년 이후 그랜드 슬램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의 대회에서는 일본에 이어 종합 2위의 메달 순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15] 그 외 프랑스, 러시아, 몽골, 네덜란드 등 전통적인 유도 강국들도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자세한 시기별 메달 집계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2009년 이후 그랜드 슬램 도쿄

아래는 2009년 이후 그랜드 슬램 도쿄 대회에서의 국가별 메달 집계 현황이다.[15]

순위국가/지역합계
1일본148103166407
2대한민국13163059
3러시아561526
4프랑스4102034
5몽골471021
6네덜란드251724
7캐나다23813
8독일22812
9미국2204
10조지아23914
-중립 선수(AIN)2046
11브라질171927
12쿠바17513
13슬로베니아12811
14체코1236
-IJF1236
15이탈리아1225
16아제르바이잔1146
17영국1023
18오스트리아1001
세르비아1001
20스페인0347
21이스라엘0336
22벨기에0257
23우즈베키스탄0178
24중화 타이베이0145
25헝가리0134
포르투갈0134
27키르기스스탄0112
스웨덴0112
스위스0112
30오스트레일리아0101
31카자흐스탄0055
32중국0033
우크라이나0033
34폴란드0022
루마니아0022
타지키스탄0022
37아르헨티나001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011
콜롬비아0011
이집트0011
몰도바0011
에스토니아0011
코소보0011
투르크메니스탄0011
튀르키예0011
베네수엘라0011


4. 2. 2008년까지 가노 지고로배

2008년까지 '가노 지고로배'라는 명칭으로 열렸던 대회의 국가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개최국 일본이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으며, 대한민국프랑스에 이어 종합 3위를 기록했다.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일본223170262645
2 프랑스10133659
3 대한민국18254790
4 네덜란드8121636
5 러시아672033
6 독일462434
7 브라질272736
8 쿠바271019
9 폴란드25613
10 캐나다261018
11 조지아231015
12 미국23510
13중립 선수(AIN)2046
14 오스트리아2147
15 벨기에13913
16 중국1179
17 이탈리아2439
18 우즈베키스탄111012
19 아제르바이잔1258
20 체코1236
21IJF1236
22 영국1056
23 세르비아1001
- 헝가리0156
- 스페인04610
- 이스라엘0336
- 중화 타이베이0145
- 스웨덴0112
- 벨라루스0112
- 오스트레일리아0101
- 카자흐스탄0055
- 우크라이나0044
- 루마니아0022
- 타지키스탄0022
- 독립 국가 연합0022
- 아르헨티나0011
- 콜롬비아0011
- 에스토니아0011
- 서독0011
- 몰도바0011
- 투르크메니스탄0011
- 튀르키예0011
- 베네수엘라0011


4. 3. 일본 국제 유도 대회

순위국가・지역금메달 수은메달 수동메달 수총 메달 수
1일본148103166407
2대한민국13163059
3러시아561526
4프랑스4102034
5471021
6251724
7캐나다23813
822812
9미국2204
10조지아23914
-중립 선수(AIN)2046
11브라질171927
12쿠바17513
1312811
14체코1236
-IJF1236
15이탈리아1225
16아제르바이잔1146
17영국1023
18오스트리아1001
세르비아1001
20스페인0347
21이스라엘0336
22벨기에0257
23우즈베키스탄0178
24중화 타이베이0145
25헝가리0134
0134
270112
스웨덴0112
0112
30오스트레일리아0101
31카자흐스탄0055
32중국0033
우크라이나0033
34폴란드0022
루마니아0022
타지키스탄0022
37아르헨티나0011
0011
콜롬비아0011
0011
몰도바0011
에스토니아0011
0011
투르크메니스탄0011
튀르키예0011
베네수엘라0011



(출처[15], JudoInside.com)

5. TV 중계

(내용 없음)

5. 1. 중계 방송사 변천

참조

[1] 서적 Great Judo Championships of the World
[2] 웹사이트 OSAKA GRAND SLAM 2018 JAPAN https://78884ca60822[...]
[3] 웹사이트 柔道グランドスラム大阪2019 https://www.judo-ch.[...]
[4] 서적 激動の昭和スポーツ史⑯ 柔道 青葉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89
[5] 간행물 嘉納治五郎杯東京国際2007ワールドグランプリ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
[6] 간행물 グランドスラム東京2009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0-02
[7] 간행물 2002年日本国際柔道大会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2-02
[8] 보도자료 グランドスラム大阪2018 大会情報掲載(18.11.23-25) http://www.judo.or.j[...] 公益財団法人 全日本柔道連盟 2018-09-15
[9] 뉴스 GS東京、来年は「大阪」 改修で体育館使え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10-28
[10] 뉴스 GS大会は19年も大阪で開催の方針 東京体育館改修で2年連続/柔道 https://web.archive.[...] サンケイスポーツ 2018-11-22
[11] 뉴스 柔道のGS東京、12月開催断念へ 新型コロナ懸念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0-09-19
[12] 뉴스 国際柔道連盟 12月の「グランドスラム東京」 中止を発表 https://www3.nhk.or.[...] NHK 2020-09-23
[13] 뉴스 GS東京の開催断念 コロナ禍で参加者見込めず/柔道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21-08-17
[14] 웹사이트 柔道・グランドスラム東京|パリ2024に向けて、熾烈な国内代表争いが幕開け https://olympics.com[...]
[15] 웹사이트 judobase.org http://www.judobase.[...]
[16] 웹사이트 テレビ中継が行われる柔道大会 2024年/ホームメイト https://www.judo-ch.[...] 2024-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