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하 선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하 선언은 세계 무역 기구(WTO)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권리를 강화하기 위해 2001년 채택된 선언이다. 이 선언은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협정(TRIPS 협정)이 공중 보건을 해치지 않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각 회원국이 의약품 접근성을 위해 TRIPS 협정의 유연성을 최대한 활용할 권리를 재확인했다. 특히, 강제 실시권 부여와 국가 비상사태 시 의약품 접근에 대한 유연성을 강조하며, 제약 제조 능력이 부족한 국가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2005년에는 TRIPS 협정의 수정안이 채택되어, 제약 능력이 부족한 국가가 특허 의약품의 제네릭 버전을 수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했다. 이 수정안은 2017년에 발효되었다. 도하 선언은 지적 재산권보다 공중 보건을 우선시하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았지만, 의약품 접근에는 자원 및 인프라 부족과 같은 다른 문제도 존재한다.
세계무역기구가 설립된 후, 선진국, 개발도상국, 저개발국 간 무역 협상이 이루어졌다. 이 중 도하 개발 라운드는 WTO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라운드였다. 도하 라운드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도하 선언이 이루어졌다.
세계무역기구가 설립된 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그리고 저개발국 간 무역 관련 협상이 이루어졌다. 이들 중 도하 개발 라운드는 WTO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라운드이다. 도하 라운드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도하 선언이 이루어졌다.
2. 주요 내용
도하 선언의 4~6항은 각국 정부가 의약품 특허에 대해 강제 실시권을 발급하거나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1]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 1. TRIPS 협정의 유연성
TRIPS 협정은 회원국이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방해해서도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도하 선언은 이러한 원칙을 재확인하고,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TRIPS 협정의 유연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도하 선언 4~6항에서는 TRIPS 협정의 유연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2. 1. 1. 강제실시권
선언 4~6항에서 각국 정부는 TRIPS 협정이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조치를 방해하지 않으며, 방해해서도 안 된다고 합의했다. 특히 모든 사람의 의약품 접근성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협정이 해석되고 시행되어야 함을 확인했다.[1]
이와 관련하여, 세계 무역 기구(WTO) 회원국이 유연성을 제공하는 TRIPS 협정 조항을 최대한 활용할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했다.[1]
5항에서는 이러한 유연성에 다음 사항이 포함됨을 인정했다.[1]
6항에서는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불충분하거나 전무한 WTO 회원국이 TRIPS 협정에 따른 강제 실시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TRIPS 협정 이사회가 이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을 찾고 2002년 말까지 일반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지시했다.[1]
이러한 조항들은 각국 정부가 의약품 특허에 대해 강제 실시권을 발급하거나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1]
2. 1. 2. 국가 비상사태
선언 4~6항에서 각국 정부는 TRIPS 협정이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조치를 방해하지 않으며, 방해해서도 안 된다고 합의했다. 또한, TRIPS 협정이 세계 무역 기구(WTO)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권리, 특히 모든 사람의 의약품 접근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해석되고 시행될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확인했다.[1]
이와 관련하여, WTO 회원국이 유연성을 제공하는 TRIPS 협정의 조항을 최대한 활용할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했다.[1]
5항에서는 이러한 유연성에 포함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1]
6항에서는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불충분하거나 전무한 WTO 회원국이 TRIPS 협정에 따른 강제 실시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TRIPS 협정 이사회가 이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을 찾고 2002년 말까지 일반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지시했다.[1]
선언의 이러한 조항은 각국 정부가 의약품에 대한 특허에 대해 강제 실시권을 발급하거나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1]
2. 1. 3. 지식재산권 소진
TRIPS 협정은 회원국이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방해해서도 안 된다. 따라서, TRIPS 협정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면서, 협정이 세계 무역 기구(WTO)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권리, 특히 모든 사람의 의약품 접근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해석되고 시행될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확인한다.[1]
이와 관련하여, WTO 회원국이 이를 위해 유연성을 제공하는 TRIPS 협정의 조항을 최대한 활용할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한다.[1]
TRIPS 협정에 대한 약속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유연성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됨을 인정한다.[1]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불충분하거나 전무한 WTO 회원국이 TRIPS 협정에 따른 강제 실시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인식한다. TRIPS 협정 이사회가 이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을 찾고 2002년 말까지 일반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지시한다.[1]
선언의 이러한 조항은 각국 정부가 의약품에 대한 특허에 대해 강제 실시권을 발급하거나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1]
2. 2. 제약 역량 부족 국가 지원
선언 4~6항에서 각국 정부는 다음과 같이 합의했다.[1]
:4. TRIPS 협정은 회원국이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방해해서도 안 된다. 따라서, TRIPS 협정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면서, 협정이 세계 무역 기구(WTO) 회원국의 공중 보건 보호 권리, 특히 모든 사람의 의약품 접근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해석되고 시행될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확인한다. 이와 관련하여, 세계 무역 기구 회원국이 이를 위해 유연성을 제공하는 TRIPS 협정의 조항을 최대한 활용할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한다.
:5. 4항의 취지에 따라, TRIPS 협정에 대한 약속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유연성에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됨을 인정한다.
::(a) 관습적인 공법 해석 규칙을 적용할 때, TRIPS 협정의 각 조항은 특히 그 목표와 원칙에 명시된 협정의 목적과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b) 각 회원국은 강제 실시권을 부여할 권리가 있으며, 그러한 실시권을 부여하는 근거를 결정할 자유가 있다.
::(c) 각 회원국은 국가 비상사태 또는 기타 극히 긴급한 상황이 무엇인지를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HIV/AIDS, 결핵, 말라리아 및 기타 전염병과 관련된 공중 보건 위기는 국가 비상사태 또는 기타 극히 긴급한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d) TRIPS 협정의 지식재산권 소진과 관련된 조항의 효력은 각 회원국이 조약 최혜국 대우 및 내국민 대우 조항(제3조 및 제4조)을 준수하여 이러한 소진에 대한 자체적인 제도를 자유롭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6.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불충분하거나 전무한 WTO 회원국이 TRIPS 협정에 따른 강제 실시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인식한다. TRIPS 협정 이사회가 이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을 찾고 2002년 말까지 일반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선언의 이러한 조항은 각국 정부가 의약품에 대한 특허에 대해 강제 실시권을 발급하거나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1]
3. 경과
3. 1. TRIPS 협정 수정
2005년,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들은 2001년 11월 14일 도하 선언의 6항 요건을 충족하는 8월 30일 WTO 결정에 포함된 임시 면제를 영구화하기 위해 TRIPS 협정 수정안에 합의했다. 이 결정은 WTO 회원국들이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부족하거나 없는 국가에 특허 의약품의 제네릭 버전을 수출하기 위해 강제 라이선스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만들었다.[1] 2005년 각료 선언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 "우리는 TRIPS 협정 및 공중 보건에 관한 도하 선언의 6항의 이행에 대한 2003년 8월 30일 일반 이사회 결정과 그 조항을 대체하는 TRIPS 협정 수정에 부여하는 중요성을 재확인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TRIPS 이사회에서 이루어진 작업과 TRIPS 협정 수정에 관한 2005년 12월 6일 일반 이사회 결정을 환영합니다."[1]
TRIPS 협정 수정안은 공식 채택을 위해 WTO 회원국들에게 회람되었다. 회원국들의 영구적인 수정안 수락 마감일은 2007년 12월 1일이었다. 수정안 발효를 위해서는 회원국의 3분의 2 이상이 공식적으로 채택해야 했다.[1]
2007년 11월 30일, 당시 유럽 연합의 통상 담당 위원인 피터 만델슨은 유럽 연합이 TRIPS 협정을 수정하는 2005년 12월 세계 무역 기구 승인 의정서를 공식적으로 수락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결정이 법적 효력을 갖기 위해서는 WTO의 153개 회원국 중 3분의 2가 협정을 비준해야 했다. 현재 수정안을 수락한 회원국은 총 45개국이다.[1]
2008년, TRIPS 협정 수정안 수락 마감일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마감일은 2009년 12월 31일까지 또는 "각료 회의에서 결정될 수 있는 더 늦은 날짜"까지 연장되었다. 일반 이사회는 2011년에 마감일을 2013년 12월 31일까지 추가로 연장했다.[1]
2017년, 추가 연장 후, 충분한 수의 회원국이 수정안을 비준하여 3분의 2 기준을 충족하여 TRIPS 수정안이 발효되었다.[1]
3. 2. 수정안 채택 및 발효
2005년, (WTO) 회원국들은 2001년 11월 14일 도하 선언 6항의 요건을 충족하는 8월 30일 WTO 결정에 포함된 임시 면제를 영구화하기 위해 TRIPS 협정에 대한 수정안에 합의했다.[1] 이 결정은 WTO 회원국들이 제약 부문에서 제조 능력이 부족하거나 없는 국가에 특허 의약품의 제네릭 버전을 수출하기 위해 강제 라이선스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만들었다.[1] 2005년 각료 선언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1]
> "우리는 TRIPS 협정 및 공중 보건에 관한 도하 선언의 6항의 이행에 대한 2003년 8월 30일 일반 이사회 결정과 그 조항을 대체하는 TRIPS 협정 수정에 부여하는 중요성을 재확인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TRIPS 이사회에서 이루어진 작업과 TRIPS 협정 수정에 관한 2005년 12월 6일 일반 이사회 결정을 환영합니다."
TRIPS 협정 수정안은 공식 채택을 위해 WTO 회원국들에게 회람되었다.[1] 회원국들의 수정안 수락 마감일은 2007년 12월 1일이었다.[1] 수정안 발효를 위해서는 회원국의 3분의 2 이상이 공식적으로 채택해야 했다.[1]
2007년 11월 30일, 당시 유럽 연합의 통상 담당 위원인 피터 만델슨은 유럽 연합이 TRIPS 협정을 수정하는 2005년 12월 세계 무역 기구 승인 의정서를 공식적으로 수락했다고 발표했다.[2] 그러나 이 결정이 법적 효력을 가지려면 WTO 153개 회원국 중 3분의 2가 협정을 비준해야 했다.[2]
2008년, TRIPS 협정 수정안 수락 마감일 연장이 결정되었다.[3] 마감일은 2009년 12월 31일까지 또는 "각료 회의에서 결정될 수 있는 더 늦은 날짜"까지 연장되었다.[3] 일반 이사회는 2011년에 마감일을 2013년 12월 31일까지 추가로 연장했다.[3]
2017년, 추가 연장 후, 충분한 수의 회원국이 수정안을 비준하여 3분의 2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TRIPS 수정안이 발효되었다.[4]
4. 평가 및 과제
세계무역기구가 설립된 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그리고 저개발국 간 무역 관련 협상이 이루어졌다. 이들 중 도하 개발 라운드는 WTO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라운드이다. 도하 라운드가 협상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도하 선언이 이루어졌다.
도하 선언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많은 공중 보건 관계자들은 지적 재산권보다 공중 보건을 우선시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평가했다. 단, "특정 상황"에 한해서였다.[6] 그러나 자원 및 인프라 부족과 같은 의약품 접근에 대한 다른 문제와 장애물 또한 존재한다.[6]
4. 1. 파스칼 라미의 평가
파스칼 라미는 도하 선언 당시 유럽 연합 통상 담당 집행위원이었으며, 이 협정이 "개발도상국의 의약품 접근 문제의 약 10%를 해결했다"고 평가했다.[6]참조
[1]
웹사이트
WTO | Ministerial conferences - Hong Kong 6th Ministerial - Ministerial declaration
http://www.wto.org/e[...]
[2]
웹사이트
Amendment of the TRIPS Agreement
https://www.wto.org/[...]
2023-12-24
[3]
웹사이트
Amendment of the Trips Agreement – Extension of the Period for the Acceptance by Members of the Protocol Amending the Trips Agreement
http://docsonline.wt[...]
World Trade Organization
2023-12-24
[4]
문서
See supra note 2.
[5]
웹사이트
WTO | 2017 News items - WTO IP rules amended to ease poor countries' access to affordable medicines
https://www.wto.org/[...]
[6]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world poli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