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 의한 전력 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해 일본 동북부 지역에 광범위한 정전이 발생하여 전력 위기가 발생했다.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다수의 발전소가 가동을 멈췄고, 도쿄 전력은 계획 정전을 실시했다. 홋카이도 전력은 도쿄 전력과 도호쿠 전력에 전력을 공급했지만, 시설 고장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되기도 했다. 정부는 절전을 요청하고 화력 발전소 재가동 및 증설을 추진했으며,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을 시도했지만, 안전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2012년 이후에도 전력 부족 사태가 반복되었으며, 2022년에는 혹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연료 조달 불안정으로 절전 요청이 있었다. 이러한 전력 위기는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와 국제적인 감축 목표 달성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호쿠 전력 -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
    미야기현 오나가와정에 위치한 도호쿠 전력의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는 비등수형 원자로 3기를 갖추었으나 1호기는 폐로되었고 2호기는 재가동 후 일시 중단되었다.
  • 일본의 정전 -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은 2018년 9월 6일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동부에서 발생한 규모 6.6의 내륙 직하형 지진으로, 최대 진도 7을 기록하고 광범위한 정전과 인프라 마비, 산사태 등으로 43명이 사망하고 782명이 부상하는 등의 피해를 입혔다.
  • 일본의 정전 - 1987년 일본 수도권 대정전
    1987년 일본 수도권 대정전은 폭염으로 인한 냉방 수요 급증으로 1987년 7월 23일 수도권 일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로, 철도 운행 중단, 신호등 정지, 국회의사당 정전 등 사회 전반에 큰 혼란을 야기했으며, 수 시간 내에 전력 복구 후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되었다.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 오쿠마정
    오쿠마정은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지방 중앙에 위치하며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온화한 기후의 도시였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원전 사고로 큰 피해를 입어 재생 가능 에너지 마을로 전환을 추진하며 복구 및 재건 노력을 하고 있고, 조반선 철도와 국도 등의 교통망, 특산품, 지역 행사 등이 있었으나 원전 사고 이후 인구 감소와 교육 시설 재편을 겪고 있다.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 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
    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는 후쿠시마현에 위치한 도쿄전력의 원자력 발전소로, 4기의 비등수형 원자로를 갖추고 있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냉각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2019년 폐지가 결정되어 현재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이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 의한 전력 위기

2. 지진 및 쓰나미로 인한 피해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발생 당시, 도호쿠 전력 관내에서는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전역 및 야마가타현, 미야기현 거의 전역, 후쿠시마현 일부 지역(후쿠시마시, 다테 시, 다테 군 등)에서 정전되어 약 440만 가구가 정전되었다.[221][222] 도쿄 전력 관동 지방에서도 전체 405만 가구가 정전되는 등[221][222] 광범위한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다.

도쿄 전력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 외에도 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 1호기, 가시마 화력 발전소 2·3·5·6호기, 오이 화력 발전소 2·3호기, 고이 화력 발전소 4호기, 도센시마 화력 발전소 1호기 등 다수의 화력 발전소가 정지하였다.[223] 고이 화력 발전소는 3월 12일 오전 1시에 운행을 재개했지만,[224] 수력 발전소 역시 후쿠시마현 내 14개소, 도치기현 4개소, 야마나시현 4개소가 정지되었다. 9개 변전소도 정지되었으나, 3월 13일 10시에는 수력 발전소가 모두 복구되고 변전소는 4개소만 정지 상태로 남아 있었다.[225] 니가타현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 운전을 계속했다.

도쿄 전력은 지진 피해로 인해 주부 전력,[228] 간사이 전력,[229] 규슈 전력,[230] JR 동일본[231]으로부터 전력을 융통받았으나 역부족이었고, 결국 3월 14일부터 계획 정전을 실시했다.[232] 4월 들어 정지되었던 화력 발전소들이 가동을 시작하고 기온 상승으로 전력 수요가 감소하면서, 6월 3일까지는 계획 정전을 실시하지 않기로 발표했다.[235][236]

홋카이도 전력은 3월 13일부터 쓰가루 해협 해저 송전선(홋카이도·혼슈 간 연계 설비)을 통해 최대 능력에 가까운 60만kW의 전력을 도쿄 전력과 도호쿠 전력에 거의 매일 공급했다. 그러나 4월 7일 밤 지진으로 인해 송전 시설이 자동 정지되어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다.[238] 이후 4월 8일 밤에 30만kW, 4월 9일에 나머지 30만kW의 운전을 재개하여 60만kW 완전 송전을 재개했다. 홋카이도는 겨울에 전력 수요가 최대가 되므로[32] 여름철 전력 위기 가능성은 낮아 절전 요청은 없었다. 그러나 겨울철 추위와 전기 요금 인상으로 인해 삿포로시 교통국은 2014년 겨울부터 삿포로 시영 지하철 전 노선에서 새벽 시간을 제외한 종일, 삿포로 시영 전차에서는 아침저녁 러시아워에 난방을 전면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다.[33][34]

이 외에도, 일본원자력발전의 도카이 제2원자력 발전소 1호기(110만kW)가 정지되었고(복구일 미정), 사카타 공동화력발전소 1, 2호기(각 35만kW)는 3월 14일까지 복구되었다.[63] 소마 공동화력발전소 신치 발전소 1, 2호기(각 100만kW)는 각각 12월 27일과 12월 19일에 복구되었다.[64][65] 조반 공동화력 나쿠라 발전소 7, 8, 9, 실증기(각 25만, 60만, 60만, 25만kW)는 각각 12월 21일, 7월 17일, 6월 30일, 7월 28일에 복구되었다.[66][68][69][70] 가시마 공동화력 가시마 공동발전소 1, 3, 4호기(각 35만kW)는 각각 4월 16일, 6월 7일, 7월 20일에 복구되었다.[71][73][74] 신닛테츠 스미킨 가시마 화력발전소 1호기(50.7만kW)는 3월 25일에 복구되었다.[75]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전력 시설 피해와 더불어, 교통 사정 등으로 인해 3월 14일부터 16일(일부 지역은 3월 23일까지) 검침 업무가 중단되었다.[237] 검침이 중단된 고객에 대해서는 3월분 요금을 2월분과 동일하게 청구하고, 차액은 추후 정산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237]

2. 1. 도쿄전력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를 포함한 다수의 발전소가 정지되면서,도쿄전력은 전력 공급에 큰 차질을 겪었다.[223] 지진 발생 당일인 3월 11일 오후 5시, 도쿄전력 관동 지방에서만 약 405만 가구가 정전되었다.[221][222]

히로노 화력 발전소 2·4호기, 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 1호기, 가시마 화력 발전소 2·3·5·6호기, 오이 화력 발전소 2·3호기, 고이 화력 발전소 4호기, 도센시마 화력 발전소 1호기 등 다수의 화력 발전소와 후쿠시마현 내 14곳, 도치기현 내 4곳, 야마나시현 내 4곳의 수력 발전소, 그리고 9곳의 변전소가 정지되었다.[8] 다만, 니가타현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 운전을 계속했다.

이후, 고이 화력 발전소는 3월 12일 오전 1시에 운전을 재개했고,[9] 3월 13일 10시에는 수력 발전소가 모두 복구되었으며, 정지된 변전소도 4곳으로 감소했다.[10] 그러나 1개월 이상 복구에 시간이 걸린 화력 발전소도 있었는데, 가시마 화력 발전소는 4월 6일부터 20일에 걸쳐,[15][16] 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는 5월 15일에 복구되었다.[17] 히로노 화력 발전소는 2011년 4월 22일까지 후쿠시마 제2 원전의 실내 대피 지시 구역 내에 있어 복구가 늦어졌으나, 5월에 구역에서 벗어나 복구 작업이 재개되어 7월 중순에 복구될 전망이 되었고,[18] 2·4호기가 예정대로 7월 중순에 복구되었다.

도쿄 전력은 주부 전력,[19] 간사이 전력,[20] 규슈 전력,[21] JR동일본[22]으로부터 전력을 융통받았지만, 전력 수급이 부족하여 3월 14일부터 계획 정전을 실시했다.[23] 계획 정전은 4월 말까지 수급 상황에 따라 실시될 예정이었으나,[233][234] 4월 들어 정지 중이던 화력 발전소의 가동과 기온 상승 등으로 공급 불안이 줄어들어 6월 3일까지는 원칙적으로 실시하지 않기로 발표했다.[235][236]

계획 정전 실시는 도쿄 전력의 성급한 발표로 인해 여러 문제점을 야기했다.[170] 발표가 급작스럽게 이루어져 각 기업과 자치단체는 갑작스러운 대응을 강요받았고, 정보 혼란이 사회 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피해 지역에 대한 고려 부족으로 쓰나미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도 정전이 실시되는 사태가 발생하여, 해당 지역 지사들의 요청으로 이후 피해 지역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74][176]

2. 2. 도호쿠전력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도호쿠 전력 관내에서는 2011년 3월 11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전역과 야마가타현, 미야기현 거의 전역, 후쿠시마현 일부 지역(후쿠시마시, 다테 시, 다테 군 등)에서 정전이 발생하여 약 440만 가구가 정전되었다.[221][222]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는 가동 중이던 1, 3호기가 자동 정지되었고, 정기 검사 중으로 기동 작업 중이던 2호기도 자동 정지되었다. 1호기 터빈 건물 지하 1층에서 연기가 발생했으나 진화되었다.[12] 히가시도리 원자력 발전소는 정기 검사 중으로 원자로가 정지된 상태였다.[24] 롯카쇼 재처리 공장에서는 사용 후 핵연료 저장 풀에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물이 넘쳐 흘렀다.[13][14]

하치노헤 화력 발전소 3호기, 노시로 화력 발전소 1, 2호기, 아키타 화력 발전소 2~4호기, 센다이 화력 발전소 4호기,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 1, 2호기, 하라마치 화력 발전소 1, 2호기, 캇콘다 지열 발전소 1, 2호기, 카미노다이 지열 발전소 1호기, 스미카와 지열 발전소 1호기가 정지했다.[25] 이후, 아키타 화력 발전소 2호기는 3월 12일 9시에 운전을 재개했으며,[25] 하치노헤, 노시로, 아키타, 센다이, 신센다이, 하라마치 화력 발전소는 운전을 재개했다. 그러나 신센다이 2호기는 2011년 10월 말에 폐로되었다.

쓰나미 피해를 입은 센다이 화력 발전소와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는 2011년 여름까지 복구되지 못했으나,[26] 12월 11일에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가, 12월 20일에 센다이 화력 발전소가 복구되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옥내 대피 지시 구역 내에 있던[27] 하라마치 화력 발전소는 2011년 가을 긴급시 피난 준비 구역 해제 후 복구 작업이 시작되어 2013년 3월 29일에 복구되었다.[28]

다음 표는 도호쿠 전력의 주요 발전소별 피해 및 복구 현황을 나타낸다.

발전소명호기정격 출력복구일비고
스미카와 지열 발전소1호기5만kW3월 12일[47]
갓코다 지열 발전소1호기5만kW3월 14일[48]
2호기3만kW3월 13일[49]
가미노다이 지열 발전소1호기2.88만kW불명정지 중이었다.
아키타 화력 발전소2호기35만kW3월 12일[50]
3호기35만kW3월 12일[51]
4호기60만kW3월 13일[49]
노시로 화력 발전소1호기60만kW3월 13일[52]
2호기60만kW3월 14일[53]
하치노헤 화력 발전소3호기25만kW3월 16일[54]
센다이 화력 발전소4호기44.6만kW12월 20일[55]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1호기35만kW12월 11일
2015년 9월 16일 폐지[56]
1호기는 장기 계획 정지 중이었다.
2호기60만kW10월 31일 폐지[57]
하라마치 화력 발전소1호기100만kW2013년 4월 26일[58]2011년 가을까지 후쿠시마 원전의 옥내 대피 지시 구역 내였다[27]
2호기는 정지 중이었다.
2호기100만kW2013년 3월 29일[59]
미요시자와 발전소(수력))-0.1만kW3월 14일[60]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1호기52.4만kW2018년 12월 21일 폐지[61]
2호기82.5만kW2024년 9월(예정)[62]원자로 기동 작업 중이었다.
3호기82.5만kW미복구



도호쿠 전력은 3월 15일,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니가타현 3현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 계획 정전을 실시할 것을 발표했으나,[187][188] 수급 균형 완화로 중단되었다.[189] 이후 전력 공급에 불안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계획 정전 실시는 보류되었다.[190][191][192]

절전 및 정전 문제 외에도, 교통 사정 등으로 인해 3월 14일부터 16일까지(일부 지역은 3월 23일까지) 검침 업무가 중단되었다.[29] 검침 중단 대상 고객에 대해서는 3월분 요금을 2월분과 동일하게 청구하고, 차액은 추후 정산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29]

2. 3. 기타 발전소

도호쿠 전력에 따르면 2011년 3월 11일 오후 5시 시점에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전역 및 야마가타현, 미야기현의 거의 전역, 후쿠시마현 일부 지역(후쿠시마시, 다테시, 다테군 등)에서 정전되어, 도호쿠 지방에서만 약 440만 가구가 정전되었다.[221][222] 도쿄 전력 관동 지방의 정전은 전체 405만 가구에 달했다.[221][222]

도쿄 전력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와 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 히타치 나카 화력 발전소 1호기, 가시마 화력 발전소 2·3·5·6호기, 오이 화력 발전소 2·3호기, 고이 화력 발전소 4호기, 히가시오기지마 화력 발전소 1호기가 정지하였다.[223] 고이 화력 발전소는 3월 12일 오전 1시에 운행을 재개했다.[224] 수력 발전소도 후쿠시마 현내 14개소, 도치기현 4개소, 야마나시현에서 4개소가 정지되었다. 변전소도 9개소가 정지하고 있었지만, 3월 13일 10시 시점에서는 수력 발전소는 모두 복구되어 복구가 완료되지 않은 변전소가 4개소로 감소하고 있다.[225] 니가타현 가시와자키刈羽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 운전을 계속했다. 도쿄 전력 관내에서는 3월 12일 1시 시점에서는 240만 가구의 정전이 있었지만,[226] 10시 시점에서는 100만 가구가 정전되고 있다.[227]

도쿄 전력은 지진으로 발전소 및 유통 시설에 큰 피해를 입어, 중부 전력,[228] 관서 전력,[229] 규슈 전력,[230] JR 동일본[231]에서 전력 융통성을 받고 있지만 전력 수급이 부족하여 절전을 호소하였고, 3월 14일부터 계획정전(정전 계획)을 실시했다.[232] 4월 들어 정지 중이던 화력 발전소 가동과 기온 상승 등으로 공급 불안이 줄어 6월 3일까지 계획 정전을 원칙적으로 실시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235][236]

절전, 정전 문제 외에 통상 업무인 검침도 교통 사정 등을 이유로 3월 14일부터 16일(일부 지역은 3월 23일까지)동안 중단되었다.[237] 검침이 중단됐던 고객에 대한 요금 청구는 3월분과 2월분을 동일하게 청구하고 청구 차액에 대해서는 이후의 청구 금액에 따라 정산하는 대응이 발표되었다.[237]

홋카이도 전력은 3월 13일부터 쓰가루 해협 해저를 통과하는 송전선(홋카이도·혼슈 간 연계 설비)을 사용하여 전선의 최대 능력인 60만㎾와 가까운 전력을 거의 매일 도쿄 전력과 도호쿠 전력에 공급하여 왔으나, 4월 7일 밤 지진 직후부터 동북 지방이 중단되어 그 영향으로 송전 시설이 자동 정지하여 전력 공급이 멈추게 된다.[238] 이후 2011년 4월 8일 밤에 최대 송전 능력 60만 킬로와트 중 30만 킬로와트 분의 운전을 재개했고,[31] 나머지 30만 킬로와트 분도 4월 9일에 재개했다. 그 이후 60만 킬로와트를 도호쿠 전력·도쿄 전력에 완전 송전했다.

홋카이도의 전력 수요의 피크는 여름이 아니라 겨울이기 때문에[32] 홋카이도에서 여름에 전력 위기가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고, 절전 요청은 하지 않았다. 다만 홋카이도의 겨울 추위는 본토에 비해 매우 심각한 상황을 안고 있으며, 또한 전기 요금의 거듭된 인상으로 인해, 예를 들어 삿포로시 교통국에서는 2014년 겨울부터 삿포로 시영 지하철 전 노선에서 새벽 시간을 제외한 종일, 삿포로 시영 전차에서는 아침저녁 러시 아워에 난방을 전면 중단[33]하는 조치를 취했다.[34]

다음은 피해 직후 정보는 일본원자력발전의 2011년 3월 14일 보도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다.

발전소명호기정격 출력복구일비고
도카이 제2원자력 발전소1호기110만kW미복구



발전소명호기정격출력복구일비고
사카타 공동화력발전
사카타 공동화력발전소
1호기35만kW3월 14일까지[63]
2호기35만kW
소마 공동화력발전
신치 발전소
1호기100만kW12월 27일[64]
2호기100만kW12월 19일[65]
조반 공동화력
나쿠라 발전소
7호기25만kW12월 21일[66]장기 계획 정지 중이었던 6호기(17.5만kW)는
2012년 4월 21일에 운전을 재개[67]
실증기는 2013년 4월 1일부터 10호기로서 영업 운전 개시.
8호기60만kW7월 17일[68]
9호기60만kW6월 30일[69]
실증기25만kW7월 28일[70]
가시마 공동화력
가시마 공동발전소
1호기35만kW4월 16일[71]장기 계획 정지 중이었던 2호기(35만kW)는
2012년 9월 30일 폐지[72]
3호기35만kW6월 7일[73]
4호기35만kW7월 20일[74]
신닛테츠 스미킨
가시마 화력발전소
1호기50.7만kW3월 25일[75]


3. 계획 정전

도쿄 전력3월 12일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제1, 제2원자력 발전소를 비롯한 발전소, 변전소, 송전 설비 등의 피해로 예상되는 전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관할 지역 내에서 계획 정전을 실시할 방침을 밝혔다.[153][154] 3월 13일 일본국 정부로부터 계획 정전 실시에 대한 승인을 받아 구체적인 계획 내용을 발표했다.[155][156][157] 같은 날 우미에다 만리경제산업상은 일본 경제 단체 연합회 등에 대규모 절전 등 전력 수요 억제를 요청했으며,[158] 에다노 유키오내각 관방 장관은 절전 계몽 담당 국무대신으로 무라타 렌호 행정 쇄신 담당 대신을 임명하고 전력 공급 부족 대책 본부를 설치했다고 발표했다.[159] 간 나오토내각총리대신은 13일 밤 기자 회견에서 계획 정전 실시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160]

계획 정전은 3월 14일 오후 5시부터 이바라키현,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 지바현의 각 일부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행되었다.[165] 3월 15일 이후에도 계획 정전이 실시되었지만, 3월 28일 이후에는 실시되지 않았다.[166] 4월 8일 도쿄 전력은 정기 검사로 정지 중이던 화력 발전소 가동 및 기온 상승에 따른 난방 수요 감소로 6월 3일까지 계획 정전을 원칙적으로 실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167]

도쿄 전력의 계획 정전 발표는 성급하게 이루어져 정보 혼란이 발생했다.[170] 계획 정전 그룹 분류는 3월 13일 20시경 발표되었고, 첫 정전 실시는 3월 14일 6시 40분부터로 매우 급작스러웠다. 이로 인해 기업 및 자치체는 갑작스러운 대응을 해야 했고, 수도권 철도 운행 중단 및 변경으로 월요일 통근·통학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171][172][173]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이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도쿄 전력의 오인으로 인해 쓰나미 피해 지역인 가시마 지역과 아사히시 등에서 실제로 정전이 실행되었다.[174] 이바라키현 하시모토 마사시·지바현 모리타 겐사쿠 지사의 요청으로 3월 15일 이후 피해 지역은 당분간 계획 정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76] 3월 16일 이후 시즈오카현 동부도 제외될 예정이었지만,[177] 3월 18일부터 다시 대상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78] 수력 발전소가 있는 지역 (군마현 북부 등)[179]과 철도 사업자의 변전소가 있는 지역 (도쿄도무사시노시 전역 등)[180]은 계획 정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도쿄 전력은 3월 15일 이후에도 수시로 계획 정전 예정을 발표했으며,[181][182] 수급 상황에 따라 필요한 일시에 실시했다.[183][184] 도호쿠 전력도 3월 15일 계획 정전 실시를 발표했으나,[187][188] 수급 균형 완화로 중단되었다.[189]

4. 2011년 하계 및 동계 전력 위기

청: 2010년, 적: 2011년]]

도쿄 전력 관내의 일 최대 전력 추이
청: 2010년, 적: 2011년


예년 여름철에는 냉방 수요 급증에 따라 수요가 연간 피크를 맞이한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영향으로, 도호쿠 전력에서는 8월 최대 공급 1,230만kW(도쿄 전력으로부터의 융통 전망을 포함하면 1,370만kW)에 대해 8월 최대 수요 1,300 - 1,380만kW (5월 13일 발표치[193]), 도쿄 전력에서는 7월 말 최대 공급 5,520만kW(도호쿠 전력으로의 융통 전망을 포함하면 5,380만kW)에 대해 7월 말 최대 수요 5,500만kW, 8월 말 최대 공급 5,620만kW(동 5,480만kW)에 대해 5,500만kW[194]으로, 각각 다시 공급 부족에 빠질 것이 예상되었다.

경제산업성은 5월 13일, 도호쿠 전력・도쿄 전력 관내에서 수요의 일률 15% 삭감(피크 컷)을 목표로 하는 것을 발표했다[195]。 계약 전력 500kW 이상의 대량 수요가에 대해서는, 수요가 피크에 달하는 시간대에 전년 동기의 최대 전력량에서 15% 삭감한 전력량을 상한으로 하여, (1시간마다의 전력량 값이) 이를 초과한 경우에는 벌칙을 수반하는 「전력 사용 제한령」(전기 사업법 제27조에 근거)을 7월 1일부터 발동했다[196]。전력 사용 제한령의 발동은 1973년의 오일 쇼크 이후, 38년 만이다.

이 제한령에서는, 이번 지진에 의한 피해 지역・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피해 지역의 수요가는 대상 외가 되어 있으며, 의료, 개호복지, 교통, 물류, 인프라 공급 외에, 사용량 변동이 적고 삭감이 어려운 반도체 공장, 가동 시간이 한정되는 신문인쇄 공장 등에서, 삭감폭을 완화하거나, 삭감 시간대를 조정하거나 하는 완화 조치가 취해졌다[196]

간사이 전력에서도 6월 10일에 법적 강제력이 없는 15%의 절전 요청을 하고 있다[113]。6월 15일에 호쿠리쿠 전력도 절전 요청을 했다[197]

절전 조치로서는, 단순하게 삭감 가능한 전력을 삭감한 다음, 필요한 전력에 대해서는 사용 시간을 규제 시간대 이외의 야간・이른 아침 또는 토요일・일요일・공휴일에 미루는 방법이 있다. 복수의 공장・사업소를 가진 기업 내에서, 전력량의 합산치로 삭감하는 것을 인정하는 「공동 사용 제한 스킴」이 도입되었다.

전력 회사요청일실시 기간실시 시간삭감 목표치법적 강제력비고
도호쿠 전력5월 13일7월 1일 - 9월 9일(토・일・공휴일 제외)9:00 - 20:0015%
도쿄 전력5월 13일7월 1일 - 9월 22일(토・일・공휴일 제외)
※9월 9일에 앞당겨 종료. 이 이후는 강제력 없음
9:00 - 20:0015%
간사이 전력6월 10일7월 1일 - 9월 22일(토・일・공휴일 제외)9:00 - 20:0015%
호쿠리쿠 전력6월 15일설정 없음설정 없음설정 없음



주부 전력・주고쿠 전력・규슈 전력에서도 원자력의 점검 등 정지나 화력의 트러블 정지 등에 의해 공급이 저하된 것으로, 융통 범위에 들어가는 시코쿠 전력을 포함하여 서일본에서도 「국민 생활 및 경제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절전」을 호소했다[198]

이러한 절전 조치 등으로, 2011년 7월・8월 중에 전력이 위기를 맞이하는 사태는 회피되었다. 도쿄 전력에서는 8월 18일 15:00대의 4,922만kW가 최대로 피크시 작년 대비 1,077만kW(-18%) 저감되어, 사용 전력량도 7〜8월 통기 작년 대비 -14% 저감되었다[199]。도호쿠 전력 관내에서는 8월 9일 14:00대의 1,246만kW가 최대로 피크시 작년 대비 311만kW(-20%) 저감되어, 사용 전력량도 7월 통기 작년 대비 -11%, 8월 통기 작년 대비 -17% 저감되었다[200][201][202]。경제산업성은 8월 30일에, 도호쿠・도쿄 전력 관내의 지진과 호우(2011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호우)의 피해 지역에서는 9월 2일, 그 외의 도쿄 전력 관내에서는 9월 9일에 전력 사용 제한령을 해제[203]하고 「노력 목표」로서의 삭감 요청으로 전환하는 것을 발표하여[204], 조기 해제를 실시했다.

동절기에는 난방 수요 증가로 인해 전력 수요가 증가한다. 도호쿠 전력에서는 여름보다 10% 정도 적지만, 전년 동절기 최대 수요 1,470만kW는 복구 및 타사 융통을 포함한 공급 전망인 "1,300만kW 정도"를 크게 웃돌고 있다. 지진 재해로 인한 수요 감소 및 절전에 의한 삭감도 예상되지만 불투명하며, 9월 말 시점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전망을 밝히고 있다[202]

원자력 발전 의존도가 높은 간사이 전력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점검 중단 등으로 인해, 올겨울에는 최대 수요가 공급 능력을 8.4% 초과하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 7월 27일 추정)[132]

경제산업성은 11월 1일에 동절기 절전 목표를 발표했다[205]

전력 회사요청일실시 기간실시 시간삭감 목표치법적 강제력비고
간사이 전력11월 1일12월 19일 - 3월 23일 (토·일·공휴일·연말연시[206] 제외)9:00 - 21:0010%
규슈 전력11월 1일12월 19일 - 2월 3일 (토·일·공휴일·연말연시[206] 제외)8:00 - 21:005%



위의 2개 전력 회사 관내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정지로 인해 대폭적인 공급 감소가 발생함에 따라, 수치 목표를 설정한 후 절전을 요청한다. 도호쿠 전력에서도 수요 초과가 예측되지만, 하계와 마찬가지로 홋카이도 전력·도쿄 전력 양사로부터의 융통으로 보충할 예정이다. 수치 목표를 설정하지 않은 나머지 전력 회사에서도, 또한 2개 회사에서도 동절기 다른 기간에, 12월 1일 - 3월 30일 평일 (연말연시 제외) 9:00 (규슈 전력은 8:00) - 21:00에, "일상생활 및 경제 활동 등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절전을 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동절기 전력 수요는 일부하 곡선이 완만하며, 아침 기상 후인 6:00 전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00 전후에 피크가 되고, 점심 시간인 12:00경부터 따뜻한 15:00경까지 일시적으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여 18:00경에 다시 피크가 되고, 이윽고 심야에 걸쳐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과를 거친다. 따라서 수요의 피크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지며, 하계에 비해 삭감 시간대가 길어진다. 또한, 야간 수요가 주간에 비해 그다지 감소하지 않아 야간 전력이 적기 때문에 양수 발전에 의한 피크 시 공급 시프트량이 하계보다 작다. 간사이 전력에서는, 가정에 대해서는 18:00 - 21:00에 중점적으로 절전을 하도록 요청했다[207]。규슈 전력에서는, 피크가 되는 8:00 - 11:00과 17:00 - 20:00에 중점적으로 절전을 하도록 요청했다[208]

5. 발전소 복구 및 전력 확보 노력

다음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해 정지된 발전소들이다.[97]


  • 수력, 지열 등 화력 발전 이외의 발전소도 최대한 활용되었다. 도호쿠 전력의 경우, 2011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폭우로 수력 발전소가 피해를 입어 발전량이 감소하기도 했다.
  • 양수 발전이 활용되었으나, 양수에 따른 발전량 손실(약 40%)로 효율이 낮고, 소우(小雨)로 인한 물 부족, 풀가동에 따른 설비 고장 가능성 등의 위험이 있었다.
  • 일반 전기 사업자(각 전력 회사) 외 도매 전기 사업자, 도매 공급 사업자, 특정 전기 사업자, 특정 규모 전기 사업자, 자가 발전 설비를 가진 사업자에게도 전력 회사나 정부가 설비 최대한 활용을 요구하여 공급량 증대를 꾀했다.

5. 1. 화력 발전소 복구 및 증설

각 전력 회사들은 전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노후화 등으로 휴지 중이던 발전 설비를 재정비하여 재가동하고, 기존 발전소 부지에 가스터빈 및 디젤 발전 설비를 증설했다. 일부 설비는 2012년 여름 가동을 목표로 정비가 진행되었다.[76][77][78][79]

도쿄전력은 요코스카 화력 발전소 3호기(35만kW)와 4호기(35만kW)를 각각 2011년 6월 19일과 7월 6일에 재가동시켰다.[76] 또한, 요코스카 화력 발전소에 가스터빈 2기(총 17.4만kW)를, 지바 화력 발전소에 가스터빈 3기(총 33.4만kW)를 증설했다.[76][77] 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 부지 내에는 가스터빈 발전기 2기와 디젤 발전기 185기(총 25만kW)를 긴급 증설하여 2011년 7월 29일까지 모두 가동했다.[78][79]

설비 재가동 및 증설이 진행된 요코스카 화력 발전소 (2010년 3월 촬영)


2011년 7월 말까지 요코스카 화력 발전소에 이동 가스터빈 발전기 13대(총 32.96만kW)를 긴급 설치했다.[80][81] 오이 화력 발전소와 가와사키 화력 발전소에도 가스터빈을 증설했는데, 특히 오이 화력 발전소에 설치된 가스터빈 2기(총 12.8만kW)는 태국 발전 공사(EGAT)로부터 무상 대여받은 것이다.[82][83][84]

도호쿠전력은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 항 1호기(35만kW)를 2011년 6월 1일에 재가동시키고,[85] 조반 공동 화력의 나코 발전소 6호기(17.5만kW)를 2012년 4월 21일에 재가동시켰다.[67] 니가타 화력 발전소와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에 가스터빈을 증설하고, 아키타 화력 발전소와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에 추가 증설을 계획하여 2012년 7월까지 운전을 목표했다.[86][87][88]

하지만, 재가동된 발전소 중에는 노후 설비가 많아 2011년 7~8월에 국내 화력 발전소에서 17건의 고장 정지가 발생했다. 2012년 2월 3일에는 규슈전력 관내의 신오이타 화력 발전소가 전부 정지하는 등 전력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89]

2012년 여름에는 장기 계획 정지 설비 재가동에 필요한 부품 수급 및 수리에 2~3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90]

장기 계획 정지 호기와 운전 재개 호기 일람
운영 회사발전소명호기출력연료운전 개시 연도상태
도호쿠 전력신센다이 화력 발전소1호기35만kW중유1971년2011년 12월 11일 재개, 2015년 9월 16일 폐지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항 1호기35만kW중유, LNG1972년2011년 5월 31일 재개
도쿄 전력요코스카 화력 발전소3호기35만kW중유, 원유1964년2011년 6월 19일 재개, 2014년 4월 1일부터 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 3월 31일 폐지
4호기35만kW1964년2011년 7월 6일 재개, 2014년 4월 1일부터 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 3월 31일 폐지
5~8호기각 35만kW1966년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 3월 31일 폐지
1호 GT3만kW경유1971년비상용. 2011년 6월 2일 재개, 2014년 4월 1일부터 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 3월 31일 폐지
2호 GT14.4만kW도시 가스, 경유1992년2011년 4월 28일 재개, 2014년 4월 1일부터 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 3월 31일 폐지
주부 전력아쓰미 화력 발전소1호기50만kW중유, 원유1971년장기 계획 정지 중, 2017년도 폐지
니시나고야 화력 발전소1, 2호기각 22만kW중유, 원유1970년2013년 11월 30일 폐지
지타 제2 화력 발전소2호기 GT15.4만kWLNG1983년2011년 8월 2일 재개
다케토요 화력 발전소2호기37.5만kW중유, 원유1972년2011년 8월 9일 재개, 2016년 3월 31일 폐지
오와세 미타 화력 발전소1호기37.5만kW중유1964년장기 계획 정지 중, 2018년 12월 20일 폐지
간사이 전력미야즈 에너지 연구소1, 2호기각 37.5만kW중유, 원유1989년장기 계획 정지 중
다나가와 제2 발전소1, 2호기각 60만kW1977년장기 계획 정지 중
가이난 발전소2호기45만kW1970년2012년 7월 6일 재개 2017년 4월 1일 휴지
주고쿠 전력오사키 발전소1-1호기25.9만kW석탄2000년장기 계획 정지 중 (설비 불량으로 휴지)
시코쿠 전력아난 발전소1호기12.5만kW중유1963년장기 계획 정지 중
2호기22만kW중유, 원유1969년2011년 12월 9일 재개, 2016년 8월부터 장기 계획 정지 중
규슈 전력가리타 발전소신 2호기37.5만kW중유, 원유1972년2012년 6월 8일 재개, 2017년 5월 폐지.
가라쓰 발전소2호기37.5만kW중유, 원유1971년2015년 6월 30일 폐지
3호기50만kW1973년
오이타 발전소1, 2호기각 25만kW중유1969년2013년 3월 31일 폐지
조반 공동 화력나코소 발전소6호기17.5만kW중유1966년2012년 4월 21일 재개, 2015년 11월 20일 폐지
가시마 공동 화력가시마 공동 발전소2호기35만kW부생 가스, 중유1973년2012년 9월 30일 폐지



도호쿠 전력도쿄 전력의 긴급 설치 전원은 환경 영향 평가법 적용을 면제받았다.[90]

긴급 설치 전원 일람
운영 회사발전소명호기출력연료운전 개시 연월일비고
홋카이도 전력도마코마이 발전소2~83호기(DE)7.438만kW경유2012년 7월 16일복수 기종 구성. 2017년 10월 폐지[91]
미나미하야쿠리 발전소7.416만kW경유미나미하야쿠리 변전소 구내에 설치. 2018년 3월 폐지.
도호쿠 전력하치노헤 화력 발전소5호기(GT)27.4만kW경유2012년 7월 2일2014년 8월 6일 CC 방식으로 이행, 통상 전원화 (+12만kW).
노시로 화력 발전소(총 40대)8만kWNAS 전지style="background-color:#CCC" |불량으로 인해 2012년 3월 30일 계획 중단
아키타 화력 발전소5호기(GT)33.3만kW경유2012년 6월 22일
니가타 화력 발전소6호기(GT)3.4만kW천연 가스2012년 1월 31일2015년 3월 21일 폐지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항 3-1, 2호(GT)5.38만kW경유2011년 8월 26일2015년 3월 21일 폐지
5호기(GT)33.9만kWLNG2012년 6월 21일
도쿄 전력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1, 2호 GT5.14만kW경유2011년 7월 19일2012년 3월 31일 폐지[92]
1〜183호 DE20.183만kW1〜64호:2011년 7월 29일
65〜183호:2011년 7월 28일
복수 기종 구성. 2012년 3월 31일 폐지
가시마 화력 발전소7-1〜3호(GT)80.4만kW도시 가스7-1호:2012년 7월 12일
7-2호:2012년 6월 29일
7-3호:2012년 7월 19일
2014년 6월 18일 CC 방식으로 이행,
통상 전원화 (+45.6만kW).
지바 화력 발전소3-1〜3호(GT)100.2만kWLNG3-1호:2011년 8월 28일
3-2호:2011년 9월 9일
3-3호:2012년 7월 10일
2014년 7월 31일 CC 방식으로 이행,
통상 전원화 (+49.8만kW).
아네자키 화력 발전소1〜4호 DE0.56만kW경유2011년 4월 27일대한민국 현대중공업으로부터 무상 제공. 2015년 3월 폐지
소데가우라 화력 발전소1-1〜102호 GE11.22만kWLNG2011년 7월 12일GE = 가스 엔진. 2013년 3월 31일 폐지
오이 화력 발전소1호 GT12.8만kW도시 가스2011년 8월 15일태국 발전 공사(EGAT)로부터 무상 대여. 2014년 4월 1일 폐지
2호 GT8.1만kW2011년 9월 22일2015년 3월 폐지
가와사키 화력 발전소1호 GT12.8만kWLNG2011년 8월 10일태국 발전 공사(EGAT)로부터 무상 대여. 2014년 4월 1일 폐지
요코스카 화력 발전소3-1〜3호 GT7.59만kW경유2011년 8월 2일2013년 3월 31일 폐지
5-1〜4호 GT10.21만kW2011년 8월 2일복수 기종 구성. 2013년 5월 10일 폐지
6-1〜6호 GT15.16만kW6-1〜5호:2011년 8월 2일
6-6호:2011년 6월 30일
복수 기종 구성. 2013년 5월 10일 폐지
간사이 전력히메지 제1 발전소1호 GT3.27만kWLNG2012년 8월 8일
2호 GT3.27만kW2012년 8월 13일
규슈 전력부젠 발전소1〜3호 DE0.36만kW경유2012년 7월 18일2017년도 폐지



과부하 운전, 연료 종류 변경, 중유 전소 등을 통한 화력 발전 증출력은 계획적 또는 긴급 상황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이루어졌다.[90]


  • 도호쿠 전력 히가시니가타 화력 발전소 3호기, 4호기, 센다이 화력 발전소 4호기,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 3호기 계열은 증출력 운용 검토를 거쳐 2011년 3월 17일부터 정식 증출력했다.[93]
  • 규슈 전력 신오이타 발전소 2호기 계열은 2016년 10월 3일에 정식 증출력했다.[94]
  • 도쿄 전력 요코하마 화력 발전소 7호기, 8호기, 후츠 화력 발전소 2호기 계열은 가스터빈 등을 교체한 후 2015년부터 증출력했다.[95][96]


증출력 운전 상황(2018년 하계)
홋카이도 전력도호쿠 전력도쿄 전력주부 전력호쿠리쿠 전력간사이 전력주고쿠 전력시코쿠 전력규슈 전력
2만kW9만kW40만kW9만kW1만kW4만kW4만kW4만kW4만kW



지진 이전부터 계획되었던 화력 발전소 건설 및 갱신 계획과 지진 이후 운전을 시작한 설비는 아래 표와 같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font-size:small"

!colspan=9|화력 발전소 운전 개시·건설 계획 목록

|-

!운영 회사!!발전소명!!호기!!출력!!연료!!착공(예정)!!운전 개시(예정)!!상황!!비고

|-

|홋카이도 전력||이시카리만 신항 발전소||1~3호기||style="text-align:right"|170.82만kW
(각 56.94만kW)||LNG||1호기:2014년 10월
2호기:2018년 4월
3호기:2024년 4월||1호기:2019년 2월
2호기:2021년 12월
3호기:2028년 12월||계획 중||CC 방식

|-

|rowspan=4|도호쿠 전력||노시로 화력 발전소||3호기||style="text-align:right"|60만kW||석탄||2016년도||2020년도||계획 중||

|-

|니가타 화력 발전소||5호 계열||style="text-align:right"|10.9만kW||rowspan=3|LNG||2009년 8월||2011년 7월 30일||'''운전 중'''||CC 방식. 3호기의 대체

|-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3호 계열||style="text-align:right"|104.6만kW||2011년 11월||3-1호:2015년 12월 1일
3-2호:2016년 7월 1일||'''운전 중'''||CC 방식. 1, 2호기의 대체

|-

|조에쓰 화력 발전소||1호기||style="text-align:right"|60만kW급||2019년도||2023년도||계획 중||CC 방식

|-

|rowspan=4|도쿄 전력||히로노 화력 발전소||6호기||style="text-align:right"|60만kW||rowspan=2|석탄||2008년 12월 1일||2013년 12월 3일||'''운전 중'''||

|-

|히타치나카 화력 발전소||2호기||style="text-align:right"|100만kW||2009년 10월 1일||2013년 12월 18일||'''운전 중'''||

|-

|고이 화력 발전소||1호 계열||style="text-align:right"|234만kW|| rowspan="2" |LNG||미정||2022~2023년도||계획 중||CC 방식. 1~6호기의 대체

|-

|가와사키 화력 발전소||2호 계열||style="text-align:right"|2-1호:50만kW
2-2호:71만kW
2-3호:71만kW||2009년 7월||2-1호:2013년 2월 1일
2-2호:2016년 1월 29일
2-3호:2016년 6월 29일||'''운전 중'''||CC 방식

|-

|rowspan=3|주고쿠 전력||니시나고야 화력 발전소||7호 계열||style="text-align:right"|237.64만kW|| rowspan="3" |LNG||2014년 1월 30일||7-1호:2017년 9월
7-2호:2018년 3월||'''운전 중'''||CC 방식. 1~4호기의 대체

|-

|rowspan=2|조에쓰 화력 발전소||1호 계열||style="text-align:right"|119만kW||2007년 3월||1-1호:2012년 7월 1일
1-2호:2013년 1월 9일||rowspan=2|'''운전 중'''||rowspan=2|CC 방식

|-

|2호 계열||style="text-align:right"|119만kW||2-1호:2008년 4월
2-2호:2010년 2월||2-1호:2013년 7월 3일
2-2호:2014년 5월 15일

|-

|호쿠리쿠 전력||도야마 신코 화력 발전소||LNG1호기||style="text-align:right"|42.47만kW||LNG||2015년 3월 13일||2018년 11월 21일||'''운전 중'''||CC 방식. 석탄 1호기의 대체

|-

|rowspan=2|간사이 전력||히메지 제2 발전소||신 1~신 6호기||style="text-align:right"|291.9만kW
(각 48.65만kW)||rowspan=2|LNG||2010년 7월||신 1호기:2013년 8월 27일
신 2호기:2013년 11월 19일
신 3호기:2014년 3월 19일
신 4호기:2014년 7월 22일
신 5호기:2014년 9월 5일
신 6호기:2015년 3월 25일||'''운전 중'''||CC 방식. 1~6호기의 대체

|-

|와카야마 발전소||1, 2호 계열||style="text-align:right"|계 370만kW||미정||2023년도 이후||계획 중||CC 방식

|-

|주고쿠 전력||미스미 발전소||2호기||style="text-align:right"|100만kW||석탄|| ||2022년 11월||계획 중||

|-

|시코쿠 전력||사카이데 발전소||신 2호기||style="text-align:right"|28.9만kW||LNG||2013년 9월||2016년 8월 1일||'''운전 중'''||CC 방식. 2호기의 대체

|-

|rowspan=2|규슈 전력||마쓰우라 발전소||2호기||style="text-align:right"|100만kW||석탄||2001년 4월 20일||2019년 12월||건설 중||

|-

|신오이타 발전소||3-2호||style="text-align:right"|48만kW||LNG||2013년 10월 2일||2016년 6월 1일||'''운전 중'''||CC 방식

|-

|오키나와 전력||요시노우라 화력 발전소||1~4호기||style="text-align:right"|각 25.1만kW||LNG||2007년 2월||1호기:2012년 11월 27일
2호기:2013년 5월 23일
3호기:2022년도 이후
4호기:2022년도 이후||1호기:'''운전 중'''
2호기:'''운전 중'''
3호기:계획 중
4호기:계획 중||CC 방식

|-

|전원 개발||다케하라 화력 발전소||신

5. 2.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문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확산에 대한 우려와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탈핵 운동이 활발해지고, 정기 점검에 들어간 원자력 발전소의 재가동에 대한 지역 자치단체의 동의를 얻기 어려워졌다.[119] 2011년 여름 이후, 피해 지역 외에서도 전력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절전 요청이 이루어졌다.[112][113]

2010년 1월 - 2012년 9월 일본 국내 발전 방법별 발전량 추이. 2011년 3월 이후 원자력 발전량이 감소하고 화력 발전량이 증가했다.


2011년 당시 일본 내 원자력 발전소는 전체 발전량의 약 20%를 차지했다.[120] 각 전력 회사별 원자력 발전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각 전력 회사의 전력과 원자력의 비율
전력 회사연간 발전량*1원자력 발전 비율(2009년경)*2원자력 발전 비율(2010년도)*3과거 최대 전력*4
50
Hz
홋카이도 전력35TWh약 40 %[98]44.8 %546만kW
도호쿠 전력87TWh약 16 %[99]22.9 %1,520만kW
도쿄 전력306TWh약 23 %[100]26.5 %6,430만kW
60
Hz
주부 전력137TWh약 15 %[101]10.8 %2,797만kW
호쿠리쿠 전력31TWh약 33 %[102]38.0 %558만kW
간사이 전력160TWh약 48 %[103]40.7 %3,306만kW
주고쿠 전력66TWh약 8 %[104]3.3 %1,229만kW
시코쿠 전력31TWh약 38 %[105]49.6 %593만kW
규슈 전력92TWh약 41 %[106]39.2 %1,762만kW
오키나와 전력8TWh0 %[107]0 %153만kW
colspan="6" style="text-align:left"|



간사이 전력 관내에서는 지진 피해가 없었으나, 후쿠이현에 있는 원전들의 재가동 전망이 불투명해져 15% 절전 요청이 실시되었다.[112][113] 주부 전력은 하마오카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정지 요청을 받아들여 정지시켰다.[115] 규슈 전력에서도 원전 정기 점검이 이어졌다.

2012년 5월 5일, 홋카이도 도마리 원자력 발전소 3호기가 정지되어 국내 모든 원전이 정지되었다.[122]

가이에다 반리 경제산업대신은 2011년 6월 18일, 원전 안전 대책이 적절하게 실시되고 있다고 발표하며 재가동 의향을 보였다.[125][126] 그러나 간 나오토 총리는 스트레스 테스트 필요성을 언급했고, 정부는 유럽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참고한 안전 평가 후 재가동을 결정했다.[127]

모든 원자력 발전소가 정지될 경우, 화력 발전 대체로 인한 연료비 증가와 전기 요금 상승이 예상되었다.[131][132] 정부는 계획 정전, 전력 사용 제한령 발동, 전기 요금 전가를 최대한 회피하고,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이행을 추진하는 방침을 발표했다.[131][132]

2012년 6월, 원자력규제위원회 설치 법률이 성립되어, 9월 19일에 위원회가 발족했다.[143] 이후 원자력 발전소는 신규제 기준에 따른 안전성 심사를 거쳐 재가동 허가를 받아야 했다.[144]

2015년 8월 11일, 규슈 전력 센다이 원자력 발전소 1호기가 재가동되어 약 2년 만에 "원자력 발전소 제로" 상태가 해소되었다.[146] 2016년에는 간사이 전력의 다카하마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가 재가동되었으나, 법원의 결정으로 운전이 중지되기도 했다.[148][149] 이후 항고심에서 결정이 취소되어 2017년 5월과 6월에 각각 재가동되었다.[150][151][152]

6. 2012년 이후의 전력 위기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일본 각지의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이 보류되었고, 안전 확인 중이지만 재개 전망은 불투명하다. 2012년 5월 5일, 도마리 원자력 발전소 3호기의 정지로 1970년 이후 42년 만에 일본 내 모든 원자력 발전소가 정지되었다.[209][122]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2012년 하계 전력 공급은 2011년 하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원자력 발전 의존도가 높은 간사이 전력은 2할 정도 공급 능력이 저하될 것으로 전망되었다.[210] 각 전력 회사는 화력 발전 등을 통해 공급 부족분을 보충하려 노력했다. 도호쿠 전력은 화력 발전 복구 및 긴급 증설을 통해 2011년 여름 대비 310만kW 증강을 계획했다.[202]

2012년 하계에는 간사이 전력, 홋카이도 전력, 규슈 전력 관내에서 공급 부족이 예상되어 절전 요청 가능성이 보도되었다.[209] 5월 18일, 경제산업성은 오키나와 전력을 제외한 각 회사 관내에 절전 요청 내용을 발표했다. 7월 2일부터 9월 28일까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오봉 연휴[211] 제외) 9시부터 20시까지 절전을 요청하고, 각 전력 회사별 삭감 목표치를 설정했다.[212][213]

전력 회사요청일실시 기간실시 시간삭감 목표치법적 강제력비고
간사이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211] 제외)9:00 - 20:0015%없음오이 원자력 발전소의 재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규슈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10%없음
홋카이도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7%없음
시코쿠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7%없음
주부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7%없음
호쿠리쿠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7%없음
주고쿠 전력5월 18일7월 2일 - 9월 7일 (토·일·공휴일·오봉 연휴 제외)9:00 - 20:007%없음
도쿄 전력5월 18일설정 없음설정 없음설정 없음없음
도호쿠 전력5월 18일설정 없음설정 없음설정 없음없음
오키나와 전력절전 요청 없음



오이 발전소 재가동으로 간사이와 시코쿠의 목표가 완화되고, 주부·호쿠리쿠·주고쿠는 목표 설정이 없어질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정식으로는 출력이 회복된 후 재검토될 예정이었다.[214] 2012~2013년 동계 이후에도 오키나와 전력을 제외하고 전력 부족 상태가 지속되어 매년 하계와 동계에 정부의 절전 요청이 있었다. 2013년 여름부터는 수치 목표를 설정하지 않는 절전 요청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하계에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절전 요청이 없었다. 전국 원자력 발전소 중 규슈 전력의 센다이 원자력 발전소만 가동되었고(8월부터는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도 가동), 기업과 일반 시민의 절전 노력이 정착, 전력 소매 자유화에 따른 새로운 전력 사업자 참여, 재생 가능 에너지 증가, 전력 회사 간 전력 융통 등으로 수급에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2016년도 동계 이후 2021년도까지 하계, 동계 모두 절전 요청은 보류되었다. 2022년 3월 16일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화력 발전소가 손상되어 전력 수급이 다시 불안정해졌다. 3월 22일, 정부는 도쿄 전력·도호쿠 전력에 대해 전력 수급 경보를 발령하고 목표를 둔 절전 요청을 했지만, 각처의 협력으로 블랙아웃이나 계획 정전은 면했다. 6월 하순, 재해급 혹서 영향으로 수급이 타이트해져 전력 수급 경보가 발령되었다. 2022년 하계에도 전력 수급 타이트 우려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수치 목표 없는 절전 요청을 실시했다. 같은 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연료 조달이 불안정해졌다.

2022년 동계는 당초 마이너스 예측이었지만, 화력 발전소 복구 등으로 간신히 확보했다.[217][218] 다만, 수급이 어려운 것은 변함없어 수치 목표 없는 절전을 요청했다. 2023년 하계에는 특히 수급이 어려운 도쿄 전력만 7, 8월에 절전을 요청했다. 동계는 화력 발전소 운전 재개로 공급력이 향상되어 수급이 안정되어, 2년 만에 겨울철 절전은 실시하지 않았다.

2024년 6월, 하계 수급은 수급 타이트 경보 수준, 동일본 지역에서 예비율 4%대로 어려웠지만, 사이토 켄 경제산업성 대신은 "올여름은 전국 지역에서 사전 절전 요청은 하지 않겠다"고 표명했다. 그러나 7월 상순, 시즈오카시에서 40.0℃, 도쿄도후추시에서 39.2℃, 네리마구에서 38.1℃가 되는 등 예상 밖의 혹서에 시달려, 호쿠리쿠 전력 관내에서 전력 사용률 100% 등 각 전력 지역에서 수급이 타이트해졌다. 올여름도 방심할 수 없지만 7월 8일 시점에서는 절전 요청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발표했다.

7. 기타 문제

7. 1.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일본은 교토 의정서에 의해 이산화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온실 기체의 배출 감축 의무를 지고 있었으나, 각지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정지로 인해 대체 전원을 화력 발전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온실 기체 배출량이 증가하여, 교토 의정서의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219]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원자력 발전소의 신설에도 높은 장벽이 생기면서, 일본의 태도 변화가 포스트 교토 의정서의 틀 자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지적되었다.[219]

2011년 12월, 호소노 환경대신은 COP17에서 "일본은 포스트 교토 의정서의 온실 기체를 감축하는 국제법상의 의무가 있는 멤버에서 탈퇴한다"는 것을 선언했다. 이로 인해 일본은 국제법상의 감축 의무는 지지 않게 되었지만, 2013년 이후에도 감축 노력을 계속할 것을 언명했다.

교토 의정서는 타국으로부터 배출 감축량을 구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달성되었다.[220]

참조

[1] 뉴스 中部電力が静岡の周波数変換装置の能力増強、50Hz地域の東京電力支援へ http://eco.nikkeibp.[...] 2011-03-28
[2] 뉴스 東京電力 405万世帯で停電 http://www3.nhk.or.j[...] 2011-03-11
[3] 뉴스 東北地方の440万世帯で停電 https://web.archive.[...] 2011-03-23
[4] 뉴스 5月の原発稼働率40.9% 1979年以来の低水準 https://www.asahi.co[...] 竹中和正、朝日新聞 2011-06-14
[5] 뉴스 昨年12月の原発稼働率15%…過去最低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1-17
[6] 웹사이트 給水能力不全、弁開き圧力逃がす 福島第一原発3号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1-03-14
[7] 웹사이트 避難指示 半径20キロに拡大へ http://www3.nhk.or.j[...] NHK 2011-03-12
[8] 웹사이트 東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後11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9]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10]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0時30分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11] 서적 電気事業便覧 平成22年版 日本電気協会 2010
[12] 뉴스 原発停止は11基、大きなトラブル報告なし https://web.archive.[...] 2011-03-17
[13]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東海第二発電所の原子炉自動停止について(3月13日20時00分現在の状況) http://www.japc.co.j[...] 日本原子力発電 2011-03-17
[14] 뉴스 放射能漏れなし http://www.yomiuri.c[...] 2011-03-17
[15] 간행물 東京電力2011年4月7日9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16] 간행물 東京電力2011年4月20日16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17] 간행물 東京電力2011年5月15日9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18] 뉴스 夏の電力需要、供給力確保か 東電、広野発電所再開へ - 東日本大震災 https://www.asahi.co[...] asahi.com(朝日新聞社)
[19] 뉴스 東北沖大地震:インフラ広範囲マヒ 700万超世帯停電、携帯サービス中断 http://mainichi.jp/s[...] 2011-03-13
[20] 뉴스 東日本大震災:道頓堀「グリコのランナー」消灯 節電協力 http://mainichi.jp/s[...] 2011-03-13
[21] 뉴스 東電に人員派遣 電力融通も開始 九電 http://www.nishinipp[...] 2011-03-13
[22] 간행물 JR東日本における自営電力の最大活用と電力使用量の節減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JR東日本) 2011-03-22
[23] 웹사이트 東電が初の計画停電 第5グループの一部、1時間 http://www.nikkei.co[...] 2011-03-15
[24]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原子力発電所の状況について(第2報)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3-12
[25]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2日9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3-12
[26] 뉴스 【東日本大震災】東北電の2火力発電所、津波被害深刻 復旧のめど立たず https://web.archive.[...] SankeiBiz(サンケイビズ)
[27] 뉴스 河北新報ニュース 津波、4火力にも打撃 福島・浜通り復旧めど立たず http://www.kahoku.co[...]
[28] PDF 火力発電所の復旧状況および見通し 2011年9月30日 http://www.tohoku-ep[...]
[29] 뉴스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影響による検針の中止と「電気ご使用量のお知らせ(検針票)」のお届け遅延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23
[30] 뉴스 北電 本州への電力供給止まる http://www3.nhk.or.j[...] NHK 2011-04-08
[31] 뉴스 北海道新聞 北海道新聞 2011-04-09
[32] 간행물 平成18年度北海道電力需給実績(確報) http://www.hkd.meti.[...] 経済産業省 北海道経済産業局
[33] 문서 もっとも出典記事にもあるように、地下鉄の場合は保温効果が高い事や、乗客は外気温に合わせた服装で乗車することから、車内気温環境の悪化にはさほど至らないと判断された事もある。
[34] 뉴스 暖房を止めた札幌市の地下鉄、電気料金の再値上げで節電拡大 https://www.itmedia.[...] スマートジャパン(ITmedia) 2014-12-08
[35] 간행물 東京電力2011年3月12日7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36]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1日16時30分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37]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1日21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38]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1日22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39]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2日1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0]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3日15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1]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7日10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2]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7日20時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3]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24日14時30分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4] 웹사이트 東京電力2011年3月11日18時30分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epco.co.[...]
[45] 웹사이트 電気の供給力確保に向けた取り組み(1) 被災した火力発電所の復旧 http://www.tepco.co.[...] 東京電力
[46] 웹사이트 福島第二原子力発電所の廃止に伴う発電事業変更届出書の提出について|プレスリリース|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https://www.tepco.co[...] 2024-02-27
[47]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2日 19時現在報)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48]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4日 22時現在報)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49]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3日7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0]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2日7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1]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2日10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2]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3日9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3]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4日8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4] 웹사이트 地震発生による停電等の影響について(16日14時現在報 )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55] 웹사이트 仙台火力発電所4号機の発電再開(試運転)について http://www.tohoku-ep[...] 2011-12-20
[56] 웹사이트 新仙台火力発電所1号機の発電再開(試運転)について http://www.tohoku-ep[...] 2011-12-11
[57] 웹사이트 火力発電所の復旧状況および見通し(2011年9月30日付9月定例社長記者会見より) http://www.tohoku-ep[...]
[58] 웹사이트 原町火力発電所1号機の営業運転再開について http://www.tohoku-ep[...] 2013-04-26
[59] 웹사이트 原町火力発電所2号機の営業運転再開について http://www.tohoku-ep[...] 2013-03-29
[60] 웹사이트 東北電力Webサイト『120年以上前からはたらく水力発電所』 https://www.tohoku-e[...]
[61] 웹사이트 女川原子力発電所1号機の廃止に伴う発電事業変更届出書の提出について{{!}} 東北電力 https://www.tohoku-e[...] 2024-02-27
[62] 웹사이트 女川原発2号機 再稼働は9月ごろ|NHK 宮城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4-02-27
[63] 웹사이트 2月定例社長記者会見概要 http://www.tohoku-ep[...] 2012-02-29
[64] 웹사이트 新地発電所第1号機の発電再開について http://www.somakyoka[...] 2011-12-27
[65] 웹사이트 新地発電所第2号機の発電再開について http://www.somakyoka[...] 2011-12-19
[66] PDF 常磐共同火力勿来発電所 7号機の再稼働について http://www.joban-pow[...] 2011-12-21
[67] PDF 常磐共同火力勿来発電所 6号機の再稼働について http://www.joban-pow[...] 2012-04-21
[68] PDF 常磐共同火力勿来発電所 8号機の再稼働について http://www.joban-pow[...] 2011-07-19
[69] PDF 常磐共同火力勿来発電所 9号機の再稼働について http://www.joban-pow[...] 2011-06-30
[70] 웹사이트 IGCC実証機 運転再開にあたって http://www.ccpower.c[...] クリーンコールパワー研究所 2011-07-28
[71] PDF 鹿島共同発電所1号機運転再開のお知らせ http://www.tgn.or.jp[...]
[72] PDF 環境レポート2011の変更事項について http://www.tgn.or.jp[...]
[73] PDF 鹿島共同発電所3号機運転再開のお知らせ http://www.tgn.or.jp[...]
[74] PDF 鹿島共同発電所4号機運転開始のお知らせ http://www.tgn.or.jp[...]
[75] 웹사이트 鹿島製鉄所第1高炉の送風再開と住友金属鹿島火力発電所(IPP)再稼働のお知らせ http://www.sumitomom[...] 住友金属工業 2011-03-26
[76] 웹사이트 電気の供給力確保に向けた取り組み(2) 長期計画停電発電所の運転再開 http://www.tepco.co.[...]
[77] PDF 千葉火力発電所敷地内に設置する緊急設置電源 環境監視結果について 2012年1月6日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2-01-06
[78] 뉴스 ~茨城県の当社常陸那珂火力発電所敷地内に新設~ http://www.tepco.co.[...] 東京電力プレスリリース 2011-05-16
[79] PDF 常陸那珂火力発電所敷地内に設置する緊急設置電源 環境監視結果について 2012年3月13日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2-03-13
[80] 뉴스 横須賀火力発電所、緊急用タービン発電機を初公開-夏の電力供給支えに http://yokosuka.keiz[...] 横須賀経済新聞 2011-07-14
[81] 뉴스 電力不足対策で横須賀火力発電所が再稼働、新設タービンを公開/神奈川 http://news.kanaloco[...] 神奈川新聞 2011-07-14
[82] 웹사이트 東京電力 (お知らせ)タイ発電公社(「EGAT」)より無償貸与いただいたガスタービンの運転開始について 2011年8月11日 http://www.tepco.co.[...] 2011-08-11
[83] PDF 大井火力発電所敷地内に設置する緊急設置電源 環境監視結果について(工事中)2011年12月19日 http://www.tepco.co.[...] 東京電力・中央火力事業所 2011-12-19
[84] 뉴스 タイの巨大発電設備の船積み始まる 下旬に日本へ http://www.tv-asahi.[...] テレビ朝日 2011-05-06
[85] 뉴스 河北新報 東北のニュース/港1号機、運転再開 東新潟火力発電所 http://www.kahoku.co[...]
[86] 웹사이트 新潟火力発電所5号系列の営業運転開始について~今夏の当社管内の電力の安定供給の一翼を担う~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7-30
[87] 웹사이트 新潟火力発電所6号機の発電開始(試運転)について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12-28
[88] PDF 火力発電所の復旧状況および見通し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9-30
[89] 웹사이트 3度あった停電の危機 産業空洞化の破壊力 https://wedge.ismedi[...] 橘川武郎 2012-04-13
[90] PDF 資料4 供給力について(討議事項Ⅱ) http://www.npu.go.jp[...] 国家戦略室
[91] 웹사이트 苫小牧発電所2号機~83号機(緊急設置電源)の廃止について http://www.hepco.co.[...] 北海道電力
[92] PDF 東日本大震災における発電設備に関する復旧計画 http://www.tepco.co.[...]
[93] 웹사이트 平成29年度供給計画における電源開発計画の概要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94] 웹사이트 新大分発電所2号系列の定格出力変更について http://www.kyuden.co[...] 九州電力 2016-10-03
[95] 웹사이트 横浜火力発電所におけるガスタービン等の取替工事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フュエル&パワー
[96] 웹사이트 富津火力発電所におけるガスタービン等の取替工事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フュエル&パワー株式会社 2017-08-10
[97] 문서 分類については日本の電力会社を参照のこと。
[98] 웹사이트 泊原発3号機が営業運転開始 北電の原子力割合40%に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09-12-22
[99] PDF 東北電力 電力供給 http://www.tohoku-ep[...] 2009
[100] 웹사이트 東京電力 電気のどのくらいが原子力発電なの? http://www.tepco.co.[...] 2008
[101] 뉴스 中電: 原発新設へ 原子力比率50%に引き上げ http://main9ichi.jp/[...] 毎日新聞 2010
[102] 웹사이트 北陸電力 原子力発電の推進 http://www.rikuden.c[...] 2009
[103] 웹사이트 関西電力 関西電力の発電電力量比 http://www.kepco.co.[...] 2010
[104] 웹사이트 中国電力 建設計画 http://www.energia.c[...] 2009
[105] 웹사이트 四国電力 四国の発電の割合 http://www.yonden.co[...] 2006
[106] 웹사이트 九州電力 火力発電の運用 http://www.kyuden.co[...] 2010-12-08
[107] 웹사이트 沖縄電力 電力負荷の平準化の推進 http://www.okiden.co[...] 2010-12-08
[108] 웹사이트 平成22年度電力調査統計 2-(5)発受電実績(一般電気事業者) http://www.enecho.me[...] 資源エネルギー庁 2012-05-05
[109] 서적 エネルギー白書2011 【第111-2-7】連系線と運用容量
[110] 뉴스 【放射能漏れ】関西もギリギリの夏 予備電力ゼロ状態…原発4基が検査中+(1-2ページ)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111] 뉴스 【放射能漏れ】定検後の再開、福井の関電3原発めど立たず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112] 뉴스 関西電力、管内に15%の節電を要請 検査中の原発再起動できず需給困難 資源・エネルギー https://www.zaikei.c[...] 財経新聞
[113] 간행물 プレスリリース -今夏の需給見通しと需給対策の状況について http://www.kepco.co.[...] 関西電力
[114] 문서 3月12日の[[長野県北部地震 (2011年)|長野県北部地震]]の被災地である[[栄村]]は中部電力管内でありながら50Hzであるため電力流通上は東京電力や東北電力から電力を供給している。
[115] 뉴스 浜岡原発、全面停止へ 保安院「2年程度」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16] 뉴스 浜岡原発:全炉停止要請 中部電、9日午後にも受諾へ http://mainichi.jp/s[...] 毎日jp(毎日新聞)
[117] 뉴스 中部電、11年度のLNG調達メド 秋冬分150万トン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18] 뉴스 川内原発1号機、10日から定期検査 九電の半数停止へ - ビジネス・経済 http://www.asahi.com[...] asahi.com(朝日新聞社)
[119] 뉴스 全原発、来春停止の可能性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20] 뉴스 全電力の2割喪失も 西日本へ不足広がる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21] 뉴스 再開の泊原発は“例外”扱い 来年5月に全停止の恐れも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8-17
[122] 뉴스 原発稼働ゼロ:国内50基止まる 泊原発3号機運転停止で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2-05-05
[123] 뉴스 再稼働の権限は 法的には電力事業者・知事、事実上の決定権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24] 뉴스 電力各社、試練の夏/西日本は中国電頼み 香川のニュース 四国新聞社 https://www.shikoku-[...]
[125] 뉴스 原発「安全」!?海江田経産相再稼働の意向 http://www.nikkanspo[...] nikkansports.com 2011-06-19
[126] 뉴스 経産相「自ら出向き、環境づくりしたい」 原発運転再開で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127] 간행물 わが国原子力発電所の安全性の確認について https://www.kantei.g[...]
[128] 뉴스 ストレステスト 原発の早期再稼働に逆効果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7-06
[129] 뉴스 ストレステスト「IAEAにも再検証の機会を」 天野事務局長が経産相に申し入れ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7-28
[130] 간행물 東京電力株式会社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における事故を踏まえた既設の発電用原子炉施設の安全性に関する総合評価の実施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原子力安全・保安院 原子力安全技術基盤課 2011-07-22
[131] 뉴스 原発停止拡大:負担年2兆円増 電力各社、燃料調達に躍起 http://mainichi.jp/s[...] 毎日jp(毎日新聞)
[132] 간행물 革新的エネルギー・環境戦略のこれまでの議論及び今後の進め方について http://www.meti.go.j[...] 総合資源エネルギー調査会基本問題委員会(第1回会合)配付資料、経済産業省 2011-10-03
[133] 뉴스 関電管内、今夏の供給不足14・9%…政府試算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5-07
[134] 뉴스 西日本で計画停電も準備…5%の節電進まぬ場合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5-13
[135] 뉴스 保安院、大飯原発ストレステスト評価を「妥当」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2-01-19
[136] 간행물 関西電力株式会社大飯発電所3号機及び4号機の安全性に関する総合的評価(いわゆるストレステスト)一次評価に係る審査結果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2-02-13
[137] 간행물 関西電力株式会社大飯発電所3号機及び4号機の安全性に関する総合的評価(一次評価)に関する原子力安全・保安院による確認結果について http://www.nsc.go.jp[...] 原子力安全委員会 2012-03-23
[138] 뉴스 大飯原発の耐性評価、安全委も「妥当」 確認文書公表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2-03-23
[139] 뉴스 大飯原発「妥当」判断 「地元」の範囲めぐり見解にずれ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2-03-23
[140] 뉴스 大飯原発再稼働へ協力要請決定 関係3閣僚協議 http://www.saga-s.co[...] 佐賀新聞 2012-04-13
[141] 뉴스 大飯再稼働、政府が決定…7月下旬にもフル稼働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2-06-16
[142] 웹사이트 大飯原発に関するトピックス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6-04
[143] 문서 「原子力規制委員会設置法」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12-06
[144] 문서 新規制基準について http://www.nsr.go.jp[...] 原子力規制委員会 2016-07-03
[145] 뉴스 大飯原発4号機が停止 原発稼働、再びゼロに 1年2カ月ぶり https://www.nikkei.c[...] 2016-06-04
[146] 뉴스 川内原発1号機が再稼働 九州電力、新規制基準下で初 http://www.asahi.com[...] 2016-06-05
[147] 뉴스 川内原発2号機が再稼働 新基準下で全国2番目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6-05
[148] 뉴스 高浜原発4号機が緊急停止 再稼働直後、変圧器で異常か http://www.asahi.com[...] 2016-06-05
[149] 뉴스 高浜原発3・4号機、運転差し止め 大津地裁が仮処分 http://www.asahi.com[...] 2016-06-05
[150] 뉴스 高浜原発、再稼働へ 大阪高裁、停止の仮処分取り消し http://www.asahi.com[...] 2017-06-10
[151] 뉴스 関電高浜原発4号機が再稼働 1年3カ月ぶり https://www.nikkei.c[...] 2017-06-10
[152] 뉴스 高浜原発3号機が再稼働、1年3カ月ぶり 新基準5基目 http://www.asahi.com[...] 2017-06-10
[153] 뉴스 東電、14日から計画停電「少なくとも1週間続く」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1-03-13
[154] 문서 需給逼迫による輪番停電の回避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2
[155] 뉴스 東日本大震災:東電、「輪番停電」実施へ 戦後混乱期以来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1-03-13
[156] 문서 東電が初の輪番停電 9都県で3時間ずつ まず東京都武蔵野市、神奈川県逗子市、さいたま市など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3-13
[157] 문서 東電、計画停電を実施へ-各グループと時間帯(速報)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11-03-13
[158] 뉴스 海江田経産相、大規模停電回避へ節電呼びかけ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11-03-13
[159] 뉴스 蓮舫氏を節電担当相、辻元氏をボランティア担当首相補佐官に http://sankei.jp.msn[...] 2011-03-13
[160] 뉴스 菅総理からの国民の皆様へのメッセージ https://nettv.gov-on[...] 日本国政府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 緊急チャンネル 2011-03-13
[161] 뉴스 東日本大震災:東電、「輪番停電」実施へ 戦後混乱期以来 http://mainichi.jp/s[...] 2011-03-15
[162] 뉴스 用語解説 / 計画停電とは http://plus.yomiuri.[...] 読売新聞社 2011-03-18
[163] 뉴스 14日午前6時20分から輪番停電 23区も含めてグループ編成 https://web.archive.[...] 2011-03-13
[164] 뉴스 東日本大震災:計画停電 職員、手動で電源操作 送電装置でグループ分け / 群馬 http://mainichi.jp/a[...] 2011-03-18
[165] 문서 【計画停電】東電、午後5時から供給停止 茨城と静岡、山梨、千葉の一部 朝昼は見送り https://web.archive.[...] Sankei Biz 2011-03-14
[166] 뉴스 計画停電近く終了宣言、4月中実施なしの公算大 社会 YOMIURI ONLINE(読売新聞)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04-17
[167] 뉴스 計画停電、6月3日まで原則実施せず 東電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04-17
[168] 뉴스 東電、夏の供給力を5200万キロワットに積み増し - ITmedia ニュース https://www.itmedia.[...] ITmedia ニュース 2011-04-17
[169] 뉴스 朝日新聞(大阪) 2011-03-13
[170] 뉴스 福山官房副長官、東電の計画停電混乱を擁護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3-18
[171] 문서 【計画停電】決定的な周知・準備不足 対応遅れで混乱必至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3-14
[172] 문서 【計画停電】地域公表わずか10時間前 関係機関困惑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3-14
[173] 문서 【計画停電】首都圏、鉄道各社が運行取りやめで通勤の足を直撃、各駅で大混乱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1-03-14
[174] 뉴스 東電、4県で計画停電実施=千葉、茨城などで一時間半前後-一部被災地含める失態も http://www.jiji.com/[...] 2011-03-15
[175] 문서 電気の全域復旧 新たに11市町村(地区) http://www.ibarakine[...] 茨城新聞ニュース 2011-03-14
[176] 뉴스 東電、茨城と千葉の被災地を除外 計画停電 https://web.archive.[...] 47NEWS 2011-03-15
[177] 뉴스 東北電力、午前は見送り=東電は静岡東部を除外-計画停電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1-03-16
[178] 뉴스 二転三転、計画停電を継続 静岡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1-03-17
[179] 뉴스 東日本大震災:計画停電 職員、手動で電源操作 送電装置でグループ分け / 群馬 http://mainichi.jp/a[...] 2011-03-18
[180] 웹사이트 【計画停電】武蔵野市全域は停電区域対象外(24日13時35分現在) http://www.city.musa[...] 武蔵野市 2011-03-24
[181] 뉴스 東京電力の計画停電予定(16〜18日分) https://web.archive.[...] 2011-03-15
[182] 뉴스 東京電力・17日からの計画停電の予定 https://web.archive.[...] 2011-03-17
[183] 뉴스 計画停電、1都7県500万世帯で実施 鉄道は優先供給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3-15
[184] 뉴스 計画停電にどう備えるか--記者の停電体験記〜賃貸マンション編 https://kaden.watch.[...] Impress Watch 2011-03-17
[185] 뉴스 東電の計画停電、14日は都心部対象外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3-13
[186] 뉴스 【東日本大地震】15日以降の計画停電 第1グループ時間と場所 http://response.jp/a[...] Response. 2011-03-15
[187] 뉴스 最大限の節電ならびに緊急的な計画停電実施へのご協力のお願いについて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3-15
[188] 뉴스 東北電16日から計画停電 日本海側中心に3時間、8グループで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3-16
[189] 뉴스 東北電力の計画停電、16日は実施せず 17日も見送りの可能性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11-03-16
[190] 뉴스 東北電力 停電2日目も見送り http://www3.nhk.or.j[...] NHKニュース 2011-03-17
[191] 뉴스 東北電力 計画停電の実施、18日も見送りへ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3-18
[192] 뉴스 計画停電、27日まで見送り=供給不安なく-東北電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1-03-18
[193] 문서 今夏における当社供給力の見通しについて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5-13
[194] 문서 今夏の需給見通しと対策について(第3報)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5-13
[195] PDF 電気事業法第27条に基づく使用制限について(説明会資料)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1-06-11
[196] PDF 2011年(平成23年)6月1日経済産業省告示第126号「使用最大電力の制限に係る経済産業大臣が指定する地域、期間等を指定する件」 http://www.meti.go.j[...]
[197] PDF プレスリリース -今夏の電力需給の見通しについて http://www.rikuden.c[...] 北陸電力
[198] 문서 西日本5社の今夏の需給対策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1-07-20
[199] 문서 節電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10-09
[200] 문서 7月分の電力需給実績について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8-26
[201] 문서 8月分の電力需給実績について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9-28
[202] 문서 9月定例社長記者会見概要 http://www.tohoku-ep[...] 東北電力 2011-09-10
[203] 문서 2011年(平成23年)9月5日経済産業省告示第187号「使用最大電力の制限に係る経済産業大臣が指定する地域、期間等の一部を改正する告示」
[204] PDF 電気事業法第27条に基づく電気の使用制限の緩和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1-08-30
[205] 문서 今冬の電力需給対策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1-11-01
[206] 문서 12月29日、12月30日、1月3日、1月4日
[207] 문서 今冬の需給見通しと節電のお願いについて http://www.kepco.co.[...] 関西電力 2011-11-01
[208] 문서 今冬の電力需給見通しと節電へのご協力のお願いについて http://www.kyuden.co[...] 九州電力 2011-11-21
[209] 뉴스 泊原発3号機検査へ 全原発が停止に http://www3.nhk.or.j[...] NHK NEWSWEB 2012-05-04
[210] 문서 今夏・今冬・来夏の供給力内訳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1-10-09
[211] 문서 8月13日 - 15日
[212] 간행물 今夏の電力需給対策について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2-05-18
[213] 뉴스 東電管内は7月2日から…政府、今夏の節電要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5-17
[214] 뉴스 大飯再稼働へ着手…フル出力後、節電目標見直し http://osaka.yomiuri[...] 読売新聞 2012-06-17
[215] 뉴스 政府、今夏は節電要請せず 東日本大震災後初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5-13
[216] 뉴스 「節電なし」初の夏が来る 窮地を救う省・再・新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6-28
[217] 웹사이트 冬の電力は確保も「無理のない節電を」 政府が電力需給見通し - Impress Watch https://www.watch.im[...]
[218] 문서 https://www.meti.go.[...]
[219] 뉴스 日本経済新聞 2011-04-05
[220] 웹사이트 京都議定書第一約束期間(2008~2012年)の目標:林野庁 https://www.rinya.ma[...]
[221] 뉴스 東京電力 405万世帯で停電 http://www3.nhk.or.j[...] 2011-03-11
[222] 뉴스 東北地方の440万世帯で停電 http://www.yomiuri.c[...] 2011-03-23
[223] 웹인용 東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後11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224] 웹인용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225] 웹인용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0時30分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3
[226] 웹인용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2
[227] 웹인용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おける当社設備への影響について【午前10時現在】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12
[228] 뉴스 東北沖大地震:インフラ広範囲マヒ 700万超世帯停電、携帯サービス中断 http://mainichi.jp/s[...] 2011-03-13
[229] 뉴스 東日本大震災:道頓堀「グリコのランナー」消灯 節電協力 http://mainichi.jp/s[...] 2011-03-13
[230] 뉴스 東電に人員派遣 電力融通も開始 九電 http://www.nishinipp[...] 2011-03-13
[231] 뉴스 JR東日本における自営電力の最大活用と電力使用量の節減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JR東日本) 2011-03-22
[232] 웹인용 東電が初の計画停電 第5グループの一部、1時間 http://www.nikkei.co[...] 2011-03-15
[233] 뉴스 14日午前6時20分から輪番停電 23区も含めてグループ編成 http://sankei.jp.msn[...] 2011-03-13
[234] 뉴스 東日本大震災:計画停電 職員、手動で電源操作 送電装置でグループ分け / 群馬 http://mainichi.jp/a[...] 2011-03-18
[235] 뉴스 14日午前6時20分から輪番停電 23区も含めてグループ編成 http://sankei.jp.msn[...] 2011-03-13
[236] 뉴스 東日本大震災:計画停電 職員、手動で電源操作 送電装置でグループ分け / 群馬 http://mainichi.jp/a[...] 2011-03-18
[237] 뉴스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影響による検針の中止と「電気ご使用量のお知らせ(検針票)」のお届け遅延について http://www.tepco.co.[...] 東京電力 2011-03-23
[238] 뉴스 北電 本州への電力供給止まる http://www3.nhk.or.j[...] NHK 2011-04-08
[239] 뉴스 도쿄 전력, 4 현 계획 정전 실시 = 치바, 이바라키 등 한 시간 반 전후 - 일부 피해 지역 포함하는 실수가 http://www.jiji.com/[...] 2011-03-15
[240] 뉴스 도쿄 전력, 이바라키와 치바의 피해 지역을 계획정전 지역에서 제외 http://www.47news.jp[...] 47NEWS 2011-03-16
[241] 뉴스 도쿄 전력 계획 정전 계획 (16 ~ 18 일분) http://www.yomiuri.c[...] 2011-03-17
[242] 뉴스 도쿄 전력 17일부터 계획 정전 일정 http://www.yomiuri.c[...] 2011-03-17
[243] 뉴스 계획 정전, 1도 7현 500만 가구 실시 철도는 우선 공급 http://www.nikkei.co[...] 니혼게이자이 신문 2011-03-17
[244] 뉴스 계획 정전에 어떻게 대비 하나 - 기자 정전 체험기 ~ 임대 아파트 편 http://kaden.watch.i[...] Impress Watch 2011-03-17
[245] 뉴스 計画停電、6月3日まで原則実施せず 東電 http://www.iza.ne.jp[...] 産経新聞 2011-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