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각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각귀는 중국과 한국에서 나타나는 요괴 또는 정령의 일종이다. 중국의 독각귀는 산신으로, 산소에서 유래되었으며 산을 해치는 자에게 재앙을 내리고 농작물에 은혜를 베푼다고 전해진다. 육조 시대 이후에는 재물을 가져다주는 재신이나 여성을 습격하는 호색적인 괴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외다리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 신화의 기, 오통신 등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독각귀는 삿갓과 도롱이를 착용하고 외다리로 다니며, 특정 체질의 사람에게 병을 옮기는 존재로 묘사된다. 한국 문헌에서는 도깨비의 가차자로 사용되기도 하며, 중국의 산소와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독각귀 | |
---|---|
개요 | |
이름 | 독각귀 |
한자 표기 | 獨脚鬼 |
어원 | 외다리 도깨비 |
특징 | 다리가 하나인 도깨비 |
상세 정보 | |
외형 | 다리가 하나인 인간 또는 짐승의 모습 |
출현 장소 | 산, 들, 무덤 등 |
습성 | 사람을 홀리는 장난을 좋아함 때로는 해를 끼치기도 함 |
기타 |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전승되는 요괴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과 특징을 가짐 우산, 짚신 등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음 |
2. 중국의 독각귀
중국의 독각귀는 산신의 일종으로, 중국 남부 소수민족 사이에 전승되는 정괴인 산소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 육조 시대 이전의 원초적인 독각귀와 육조 시대 이후의 다양화된 독각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자는 더욱 "산민 신앙에 의한 산의 신"과 "농민 신앙에 의한 밭의 신"으로 분류된다.[2]
일본의 외다리 요괴와 공통점이 많아 그 기원이라는 주장도 있지만,[1] 닮은 점만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학술적인 입론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4]
2. 1. 산신으로서의 독각귀
중국의 독각귀는 산신의 일종으로, 중국 남부 소수민족 사이에 전승되는 정괴인 산소에서 유래하였다.[8] 산에 자리잡고 살면서 산을 망치는 것들에게 재앙을 내리고, 가끔 농촌에 내려와 농작물에 은혜를 내려준다.육조시대 이후로는 단순한 산신뿐만 아니라, 부를 가져다주는 재신 또는 여성을 습격하는 호색적인 괴물의 성격이 추가되었다. 이는 한족의 남하로 인해 소수민족의 신앙에 영향이 미치고, 또한 산민 생활권이 이동하여 생업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 이유라고 할 수 있다.[9]
외다리라는 최대 특징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 신화의 기나, 독각오통(独脚五通)이라는 별명을 가진 중국 남부의 오통신(五通神) 등 다른 외다리 신 또는 요괴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0] 그 밖에도 수목이나 절름발이를 모방했다는 설,[8] 남근숭배설 등이 있다.[8]
2. 2. 다양한 성격의 추가
육조시대 이후 독각귀는 단순한 산신에서 더 나아가, 부를 가져다주는 재신이나 여성을 습격하는 호색적인 괴물이라는 성격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족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소수민족의 신앙에 영향을 미쳤고, 산에 살던 사람들의 생활권이 이동하고 생업이 변화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9]2. 3. 외다리의 유래
중국의 독각귀는 산신의 일종으로, 중국 남부 소수민족 사이에 전승되는 정괴인 산소에서 유래한 것이다.[8] 최대 특징인 외다리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 신화의 기나 독각오통(独脚五通)이라는 별명을 가진 중국 남부의 오통신(五通神) 등 다른 외다리 신 또는 요괴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10] 그 밖에도 수목이나 절름발이를 모방했다는 설,[8] 남근 숭배설 등이 있다.[8]3. 한국의 독각귀
한국의 독각귀는 이름만 같을 뿐 전승이 다르다. 신돈복의 『학산한언』에서는 서울 종묘 근처에서 목격되었다고 하며, 『학산한언』과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이 독각귀를 중국의 산소와 비교하고 있다.[11]
이익의 『성호사설』과 1933년 『동아일보』 기사에서는 "도깨비"의 가차자로 "독각귀"가 사용되었다.[6][7]
3. 1. 특징
한국의 독각귀는 삿갓을 쓰고 도롱이를 입었으며, 비가 조금씩 내리는 어두운 날 삿갓 아래 두 눈을 희번덕거리며 외다리로 콩콩 튀어다닌다. 특정 체질의 사람들에게만 병을 옮기는데, 독각귀와 멀어지면 금세 낫는다.[11] 심한 악취가 난다. 명함이나 문패 등 사람 이름이 쓰여진 물건을 무서워한다. 신돈복의 『학산한언』에서는 서울 종묘 근처에서 목격되었다고 한다.[11] 『학산한언』과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모두 이 독각귀를 중국의 산정(山精; 산의 정괴)과 비교하고 있다.[11]이익의 『성호사설』과[11] 1933년자 『동아일보』 기사에서는[12] 도깨비의 가차자로서 "독각귀"가 사용되었다.[13]
3. 2. 기록
한국의 독각귀는 삿갓을 쓰고 도롱이를 입었으며, 비가 조금씩 내리는 어두운 날 삿갓 아래 두 눈을 희번덕거리며 외다리로 콩콩 튀어다닌다. 특정 체질의 사람들에게만 병을 옮기는데, 독각귀와 멀어지면 금세 낫는다. 심한 악취가 나며, 명함이나 문패 등 사람 이름이 쓰여진 물건을 무서워한다. 신돈복의 『학산한언』에 따르면 서울 종묘 근처에서 목격되었다고 한다. 『학산한언』과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모두 이 독각귀를 중국의 산정(山精; 산의 정괴), 상술한 산소(山魈)와 비교하고 있다.[11]이익의 『성호사설』이나[11] 1933년자 『동아일보』 기사[12] 등에서는 도깨비의 가차자로서 "독각귀"가 사용되었다.[13]
3. 3. 도깨비와의 관계
한국의 독각귀는 삿갓을 쓰고 도롱이를 입었으며, 비가 조금씩 내리는 어두운 날 삿갓 아래 두 눈을 희번덕거리며 외다리로 콩콩 튀어다닌다. 특정 체질의 사람들에게만 병을 옮기는데, 독각귀와 멀어지면 금세 낫는다. 심한 악취가 나며, 명함이나 문패 등 사람 이름이 쓰여진 물건을 무서워한다. 신돈복의 『학산한언』에 따르면 서울 종묘 근처에서 목격되었다고 한다. 『학산한언』과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모두 이 독각귀를 중국의 산정(山精; 산의 정괴), 상술한 산소(山魈)와 비교하고 있다.[11]이익의 『성호사설』이나[11] 1933년자 『동아일보』 기사[12] 등에서는 도깨비의 가차자로서 "독각귀"가 사용되었다.[13]
참조
[1]
서적
中国古代の民俗と文化
刀水書房
2004
[2]
간행물
去来する山神 : 南中国における独足鬼の例より
https://koara.lib.ke[...]
三田史学会
[3]
서적
神々の誕生
[4]
논문
<書評> 桐本東太著『中國古代の民俗と文化』
https://doi.org/10.1[...]
東洋史研究会
2005-09
[5]
서적
한국괴물백과
워크룸프레스
2018-12-31
[6]
뉴스
<随筆>◇トケビ(独脚鬼)◇ 広島大学 崔 吉城 名誉教授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16-07-08
[7]
뉴스
東亜日報 1933年5月1日号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33-05-01
[8]
서적
中国古代の民俗と文化
刀水書房
2004
[9]
간행물
二〇〇九年度修士論文要旨 ; 二〇〇九年度卒業論文題目 去来する山神 : 南中国における独足鬼の例より / 三木麻奈美
http://koara.lib.kei[...]
[10]
서적
神々の誕生
[11]
서적
한국괴물백과
워크룸프레스
2018-12-31
[12]
뉴스
東亜日報 1933年5月1日号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33-05-01
[13]
뉴스
<随筆>◇トケビ(独脚鬼)◇ 広島大学 崔 吉城 名誉教授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16-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