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비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비코는 일본의 요괴로, 메아리를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진다. 돗토리현에서는 요부코 또는 요부코도리라는 존재가 야마비코의 목소리를 낸다고 전해지며, 고치현에서는 산에서 나는 무서운 소리를 야마히코라고 불렀다. 서일본에서는 야마와로, 《화한삼재도회》의 야마코, 나무의 영인 팽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야마비코는 개의 모습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나가노현에는 사람의 말을 따라하는 야마히코바위가 있다. 야마비코는 메아리 현상 자체를 지칭하기도 하며, 나무 정령인 코다마의 목소리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신 - 독각귀
독각귀는 외다리를 가진 정령이나 요괴로, 한국에서는 삿갓과 도롱이를 입고 비 오는 날 뛰어다니며 병을 옮기거나 악취를 풍기는 존재로, 중국에서는 산신이나 재신, 호색적인 괴물로 여겨졌으며, 도깨비의 가차자로도 사용되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고치현의 요괴 - 우시오니
우시오니는 일본 각지에서 목격담이 전해지는 소의 머리를 가진 요괴로, 지역에 따라 외형과 습성이 다르지만 잔혹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묘사된다. - 고치현의 요괴 - 낫족제비
낫족제비는 일본의 요괴로, 낫 모양의 발톱을 가졌거나 낫을 든 족제비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람과 관련된 현상과 함께 등장하며, 지역에 따라 악신이나 여우 신앙과 연관되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서브컬처 매체를 통해 소개되어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야마비코 | |
---|---|
요괴 정보 | |
이름 | 야마비코 |
이명 | 야마히코 (山彦) |
유형 | 산신 |
서식지 | 산, 계곡, 숲 |
능력 | 메아리, 의성어 반복 |
어원 및 유래 | |
어원 | 산울림 |
유래 | 산에서 나무를 베는 사람들의 안전을 지켜주는 존재 신토의 산신 숭배와 관련 |
특징 | |
외모 | 작은 아이의 모습 원숭이와 비슷한 모습 개의 모습 도깨비의 모습 |
성격 | 장난기가 많고 사람을 잘 따름 |
능력 |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메아리 현상을 일으킴 의성어를 반복하여 숲 속에서 소리를 냄 |
기타 | 산 속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을 도와준다고 함 야마비코가 나타나면 재앙이 일어난다는 전승도 있음 |
전승 | |
지역별 전승 | 기후현에서는 야마비코가 나무를 베는 소리를 흉내내어 나무꾼들을 놀라게 했다고 함 도쿄도에서는 야마비코가 아이들의 이름을 부르며 숲 속으로 유인했다고 함 |
대중문화 속의 야마비코 | |
등장 작품 | 게게게의 키타로 도호쿠 지방의 갓파 전승 요괴워치 |
관련 용어 | |
관련 요괴 | 고다마 |
관련 신화 | 신토 |
2. 전승
야마비코는 개와 원숭이를 섞어 놓은 듯한 작은 생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야마비코"라는 용어는 산과 계곡에서 늦게 울려 퍼지는 메아리 현상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는 영혼의 응답으로 여겨진다.[4] 이 경우, 幽谷響(유곡향)이라고 표기한다. 이 현상은 나무 정령의 응답하는 목소리로 여겨질 때 "코다마"라고도 불린다.
서일본에서는 야마비코를 야마와로나 『화한삼재도회』에 실린 야마코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또한 나무 정령인 고다마가 메아리를 일으킨다는 전승과 결합해, 나무 속에 산다는 중국 요괴 팽후(인면견)와 야마비코를 동일시하기도 했다.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의 요괴화집에 멍청한 표정의 개처럼 그려진 야마비코는 팽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15]
이처럼 여러 지역에서 메아리 자체를 요괴라고 상상하고 그 이름을 “야마비코(메아리)”라고 불렀다고 볼 수 있다.[15]
2. 1. 돗토리현
돗토리현 돗토리시에는 산중에 사는 요부코(呼子|よぶこ일본어) 혹은 요부코도리(呼子鳥|よぶこどり일본어)라는 존재가 메아리 소리를 낸다는 전승이 있다.[13],[5],[10]2. 2. 고치현
고치현 하타군 하시카미촌(현재의 스쿠모시)에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깊은 산속에서 갑자기 무시무시한 소리가 들려오는 괴이 현상이 있었는데, 이것을 야마히코(ヤマヒコ)라고 불렀다.[14]2. 3. 나가노현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코이와다케에는 사람의 말을 되돌려주는 "야마비코 바위(山彦岩|야마히코이와일본어)"라는 바위가 있다는 전승이 있다.[15] 이처럼 요괴로서 야마비코의 기원이나 종류는 일정하지 않다.[12]3. 형태 및 특징
야마비코는 개와 원숭이를 섞어 놓은 듯한 작은 생물로 묘사된다.
"야마비코"라는 용어는 산과 계곡에서 늦게 울려 퍼지는 메아리 현상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는 영혼의 응답으로 여겨지기도 한다.[4] 이 경우, 幽谷響(유곡향)이라고 표기한다. 이 현상은 나무 정령의 응답하는 목소리로 여겨질 때 "코다마"라고도 불린다.
3. 1. 다양한 모습
돗토리현 돗토리시에는 산중에 사는 呼子|요부코일본어 혹은 呼子鳥|요부코도리일본어라는 것이 있어서 메아리 소리를 낸다는 전승이 있다.[13] 고치현 하타군 하시카미촌(현재의 스쿠모시)에서는 밤낮을 불문하고 깊은 산속에서 돌연 무시무시한 소리가 들려오는 괴이현상이 있어서 그것을 야마히코(ヤマヒコ)라고 했다.[14]서일본에서 전해지는 요괴 야마와로, 『화한삼재도회』에 실린 요괴 야마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또한 나무의 정령인 고다마가 메아리를 일으킨다는 전승과 결합되어서, 나무 속에 산다는 중국 요괴 팽후(인면견)와 야마비코를 동일시되기도 했다.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의 요괴화집에 멍청한 표정의 개처럼 그려진 야마비코는 사실 팽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15]
상술한 바 돗토리 지방의 요부코도리는 이름부터 새(鳥)라고 하고, 그 밖에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의 코이와다케(小岩岳)에는 사람의 말을 돌려보내는 “메아리바위(山彦岩|야마히코이와일본어)”라는 바위가 있는 등, 메아리를 유발하는 요괴로서 야마비코의 기원과 종류는 일정하지 않다. 여러 지역에서 제각기 메아리 그 자체를 요괴라고 상상하고 그 이름을 “야마비코(메아리)”라고 부른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15]
3. 2. 다른 요괴와의 관련성
돗토리현 돗토리시에는 산중에 사는 呼子|요부코일본어 또는 呼子鳥|요부코도리일본어라는 존재가 메아리 소리를 낸다는 전승이 있다.[13] 고치현 하타군 하시카미촌(현재의 스쿠모시)에서는 밤낮을 불문하고 깊은 산속에서 돌연 무시무시한 소리가 들려오는 괴이현상이 있어서 그것을 야마히코(ヤマヒコ)라고 했다.[14]야마비코는 서일본에서 전해지는 야마와로, 『화한삼재도회』에 실린 야마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또한 나무의 정령인 고다마가 메아리를 일으킨다는 전승과 결합되어서, 나무 속에 산다는 중국 요괴 팽후(인면견)와 야마비코를 동일시하기도 했다.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의 요괴화집에 멍청한 표정의 개처럼 그려진 야마비코는 사실 팽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15]
돗토리 지방의 요부코도리는 이름부터 새(鳥)라고 하고,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의 코이와다케(小岩岳)에는 사람의 말을 돌려보내는 “메아리바위(山彦岩|야마히코이와일본어)”라는 바위가 있는 등, 메아리를 유발하는 요괴로서 야마비코의 기원과 종류는 일정하지 않다. 여러 지역에서 제각기 메아리 그 자체를 요괴라고 상상하고 그 이름을 “야마비코(메아리)”라고 부른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15]
4. 어원 및 해석
야마비코는 개와 원숭이를 섞어 놓은 듯한 작은 생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야마비코"라는 용어는 산과 계곡에서 늦게 울려 퍼지는 메아리 현상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는 영혼의 응답으로 여겨진다.[4] 이 경우, 幽谷響(유곡향)이라고 표기한다. 이 현상은 나무 정령의 응답하는 목소리로 여겨질 때 "코다마"라고도 불린다.
4. 1. 유곡향(幽谷響)
돗토리현 돗토리시에는 산중에 사는 요부코(呼子|요부코일본어) 혹은 요부코도리(呼子鳥|요부코도리일본어)라는 것이 있어서 메아리 소리를 낸다는 전승이 있다.[13]고치현 하타군 하시카미촌(현재의 주쿠모시)에는 밤낮을 불문하고 깊은 산속에서 돌연 무시무시한 소리가 들려오는 괴이현상이 있어서 그것을 야마히코(ヤマヒコ)라고 했다.[14]
서일본에서 전해지는 요괴 야마와로, 『화한삼재도회』에 실린 요괴 야마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또한 나무의 정령인 고다마가 메아리를 일으킨다는 전승과 결합되어서, 나무 속에 산다는 중국 요괴 팽후(인면견)와 야마비코를 동일시하기도 했다.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의 요괴화집에 멍청한 표정의 개처럼 그려진 야마비코는 사실 팽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15]
상술한 바 돗토리 지방의 요부코도리는 이름부터 새(鳥)라고 하고, 그 밖에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의 코이와다케(小岩岳)에는 사람의 말을 돌려보내는 “메아리바위(山彦岩|야마히코이와일본어)”라는 바위가 있는 등, 메아리를 유발하는 요괴로서 야마비코의 기원과 종류는 일정하지 않다. 여러 지역에서 제각기 메아리 그 자체를 요괴라고 상상하고 그 이름을 “야마비코(메아리)”라고 부른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15]
"야마비코"라는 용어는 산과 계곡에서 늦게 울려 퍼지는 메아리 현상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는 영혼의 응답으로 여겨진다.[4] 이 경우, 幽谷響(유곡향)이라고 표기한다. 이 현상은 또한 나무 정령(木霊 또는 木魂)의 응답하는 목소리로 여겨질 때 "코다마"라고도 불린다.
4. 2. 고다마(木霊)
돗토리현돗토리시에서는 산중에 사는 '''요부코'''(呼子|요부코일본어) 또는 '''요부코도리'''(呼子鳥|요부코도리일본어)라는 존재가 메아리의 소리를 낸다고 여겨졌다.[13][10] 고치현하타군 하시카미촌(현 스쿠모시)에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심산에서 갑자기 무서운 소리가 들리는 괴이 현상을 야마히코라고 불렀다.[14][11]서일본에 전해지는 요괴 산동이나, 『화한삼재도회』에 나오는 요괴 격원(야마코)과 동일시되기도 하며, 나무의 영이 메아리를 일으킨다고 생각하여 나무 속에 산다는 요괴 팽후와도 동일시되었다.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의 요괴 화집에 있는 개와 같은 모습의 야마비코는 격원 또는 팽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여겨진다.[15][12]
돗토리의 요부코도리는 새의 모습이라고도 하며, 나가노현기타아즈미군의 코이와다케에는 사람의 말을 되돌려주는 "야마비코 바위"라는 바위가 있는 등, 요괴로서의 야마비코의 기원이나 종류는 일률적이지 않다.[15][12]
참조
[1]
서적
The book of yōkai : mysterious creatures of Japanese folklore
2015-01-14
[2]
서적
Japandemonium illustrated : the yokai encyclopedias of Toriyama Sekien
2017-01-18
[3]
서적
An introduction to Yōkai culture : monsters, ghosts, and outsiders in Japanese history
2017-03-27
[4]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5]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6]
저널
土佐の山村の「妖物と怪異」
1942-06
[7]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8]
서적
日本怪異妖怪大事典
東京堂出版
[9]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10]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11]
저널
土佐の山村の「妖物と怪異」
三元社
[12]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13]
서적
妖怪談義
https://archive.org/[...]
講談社
[14]
저널
土佐の山村の「妖物と怪異」
三元社
[15]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