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고천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고천하는 남북조 시대를 배경으로, 독고신의 세 딸이 "독고천하"의 예언에 따라 각기 다른 운명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다. 장녀 독고반야는 권력을 위해 정략결혼을 하고, 차녀 독고만타는 신분 상승을 갈망하며, 막내딸 독고가라는 수 문제와 결혼하여 수나라를 건국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 드라마는 여성의 주체적인 삶과 정치 참여를 조명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연개소문 (드라마)
    2006년 S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연개소문은 유동근, 이태곤 등이 연개소문 역을 맡아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를 펼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역사 왜곡 및 잔혹성 묘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6년 S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수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수당연의
    수당연의는 수나라 말 당나라 초를 배경으로 수나라 황제들의 흥망성쇠와 당나라 건국 영웅들의 활약상을 담은 역사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민간 설화와 전설이 가미되어 영상화되기도 했다.
  • 남북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봉수황
    봉수황은 무림 조직 천기루가 황제를 몰아내기 위해 공주로 위장한 주작이 용지와 갈등과 사랑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 남북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랑야방
    2015년 방영된 중국 드라마 랑야방은 모함으로 괴멸된 적염군 생존자 임수가 매장소로 신분을 바꿔 복수를 계획하는 이야기로, 후거, 류타오, 왕카이 등이 출연하고 콩셩과 리쉐가 감독을 맡아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웹드라마 - 연희공략
    《연희공략》은 언니의 죽음의 진실을 밝히려 입궁한 위영락이 궁중 암투 속에서 영황귀비로 성장하며 권력 다툼과 음모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중국 드라마로, 전통 공예 재현과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사회주의 가치관 논란도 있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웹드라마 - 고품격 짝사랑
    톱스타 제조기 엔터테인먼트 사장이 순수한 산골 처녀를 캐스팅하려다 사랑에 빠지는 좌충우돌 로맨스를 그린 웹드라마로, 성공에 익숙한 남자가 사랑으로 변화하고 연예계에 무관심한 여자가 마음을 열어가는 과정을 코믹하게 그렸다.
독고천하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이미지
홍보 이미지
장르역사 소설
각본장웨이
연출허수페이
란즈웨이
출연후빙칭
장단펑
안이쉬안
제레미 추이
리이샤오
언어표준 중국어
제작 국가중국
방송 채널텐센트
첫 방송2018년 2월 15일
마지막 방송2018년 6월 27일
방송 분량45분
제작
프로듀서가오시시
뤼지훙
제작사오리엔트 스타
베이징 희망 세기 영화 유한공사
레드 엔터테인먼트
영거 문화

2. 줄거리

남북조 시대 북주 독고신의 세 딸이 "독고천하" 예언을 받으면서 겪는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다룬다. 이 드라마는 수나라 문제·양견의 정실 부인 독고가라와 그녀의 두 언니의 생애를 그린 역사 드라마이다.

서기 534년, 북위 효무제는 권신 고환을 치려 했으나, 낙양 근교에서 제압당하고 많은 부하들이 배신했다. 효무제는 병사 5천 명과 함께 도망쳐 대장군 우문태에게 의지하기 위해 장안으로 향했다. 효무제가 장안으로 도읍을 옮기자 우문가가 권력을 잡게 되었고, 서기 557년, 사촌 형 우문호에게 옹립된 우문제가 북주를 건국했다.

일본에서는 채널 은하에서 2019년 3월 6일부터 첫 방송되었다.[2] 그 외에 BS12, BS11, 닛테레플러스, 군마 TV, TOKYO MX에서 방송되었다.[3]

2. 1. 독고천하의 예언

남북조 시대 북주독고신의 세 딸이 "독고천하"의 예언을 받으며 일어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이다.[1] 남북조 시대 동안, 독고씨는 "독고 예언"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 예언은 진정한 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독고씨가 세상을 다스리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2] 독고씨 가문의 수장 독고신은 이 점을 염려했다. 두 명의 독고 자매는 자신들이 예언을 실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2]

장녀 독고반약은 현명하고 야심적이었다.[2] 그녀는 용맹한 장군 우문호를 사랑했지만, 예언을 실현하기 위해 무능한 황제 우문육과 결혼한다.[2] 반약은 우문육과의 아들을 낳다가 사망한다.[2] 그녀는 이전에 딸을 낳았고, 그 딸을 여동생 독고가라에게 맡긴다.[2] 그녀의 딸은 양려화로 자라 선제와 결혼한다.[2] 그녀와 그녀의 딸 려화는 모두 북주의 황후였다.[2]

차녀 독고만타는 탐욕스럽고 야심적이었다.[2] 그녀는 낮은 신분 때문에 언니처럼 황후가 되기를 갈망한다.[2] 만타는 양견의 구애를 거절하고 대신 여동생의 약혼자와 결혼하려 했다.[2] 예상치 못하게 그녀는 여동생의 약혼자의 아버지인 이빈과 결혼하게 된다.[2] 이빈과의 아들은 나중에 이연, 당나라의 창건자가 된다.[2] 만타는 사후에 원정황후로 추존된다.[2]

막내딸 독고가라는 온화하고 현숙하다.[2] 그녀는 원래 우문옹에게 호감이 있었지만, 그들의 관계는 오래가지 못한다.[2] 그녀는 이성의 약혼자가 되지만, 만타가 이성의 아버지와 결혼한 후 그 약속은 깨진다.[2] 가라는 양견과 결혼하여 결국 그와 사랑에 빠진다.[2] 그는 그녀만을 사랑하겠다고 맹세했고, 그들은 여러 자녀를 낳았다.[2] 가라는 정치에 대한 혐오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함께 수나라를 건국했다.[2] 그녀는 수나라의 독고황후가 된다.[2]

세 자매 모두 왕족과 결혼했지만, 각기 다른 운명과 결말을 맞이한다.[2] 그들 모두 세 개의 다른 왕조의 황후 또는 태후가 된다.[2] 결국, 독고 예언은 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독고 혈통이 세상을 지배할 것을 의미했다.[2]

2. 2. 세 자매의 운명

남북조 시대 북주독고신의 세 딸은 "독고천하"의 예언을 받으며 각기 다른 운명을 맞이한다.[1]

장녀 독고반야는 현명하고 야심적이었다.[1] 예언을 실현하기 위해 권력을 좇아 우문육과 정략결혼하지만, 아들을 낳다가 사망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1] 그녀는 딸 양려화를 여동생 독고가라에게 맡기고, 양려화는 훗날 선제와 결혼하여 황후가 된다.[1]

차녀 독고만타는 탐욕스럽고 야심적이었다.[1] 신분 상승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으며, 양견과의 혼약을 거절하고 이병과 결혼한다.[1] 이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이연은 훗날 당나라를 건국하고, 독고만타는 사후에 황후로 추존된다.[1]

막내딸 독고가라는 온화하고 현숙했다.[1] 우문옹과의 사랑을 뒤로하고 양견과 결혼하여 수나라를 건국하고, 어진 황후로 백성을 보살핀다.[1] 양견독고가라에게만 사랑을 맹세했고, 그들은 여러 자녀를 낳았다.[1]

세 자매는 모두 왕족과 결혼하여 각기 다른 왕조의 황후 또는 태후가 되었지만, 서로 다른 운명과 결말을 맞이했다.[1] 결국, "독고천하" 예언은 한 사람이 아닌 독고 가문의 혈통이 세상을 지배할 것을 의미했다.[1]

3. 등장 인물


: 독고신의 막내딸. 용감하고 온화하며 지혜로운 여인으로, 양견과 결혼하여 수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 수나라의 초대 황제. 본래 독고만타의 약혼자였으나 독고가라와 결혼한다. "독고천하" 예언으로 인해 권력욕을 갖게 된다.
: 독고신의 장녀. 권력을 위해 우문육과 결혼했지만, 우문호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 북주의 태사. 권력을 쥔 인물로, 독고반야와 연인 관계였다.
: 북주의 3대 황제. 독고가라와는 어릴 적 친구 사이.
: 북주의 2대 황제. 독고반야의 남편.
: 독고신의 둘째 딸. 권력을 탐해 이병과 결혼한다.
: 북주의 대신이자 독고 가문의 수장.
: 북주의 초대 황제.

  • 장쯔쉬안 - 이아자 역

: 우문옹의 후궁이자 우문윤의 어머니.

  • 양차이잉 - 원황후 역

: 우문각의 아내.

  • 황쯔시 - 아사나송 역

: 우문옹의 아내.

  • 가오쓰원 - 양여화 역

: 독고반야와 우문호의 딸. 우문윤의 아내.
: 독고만타의 남편.
: 양견의 아버지.

  • 스닝 - 조귀 역

: 독고신의 정적.
: 북제의 여성 재상. 독고가라의 조언자.
: 독고만타와 이병의 아들. 당나라의 건국 황제.

  • 마징한 - 원수
  • 왕정 - 고담
  • 위자콴 - 위지경 역
  • 런메이시 - 청하 공주 역
  • 자오이신 - 거서 역
  • 저우빈 - 위치가 역
  • 궈웨이 - 두소위 역
  • 구이량 - 하권 역
  • 마앙 - 정용 역
  • 장신위안 - 경부인 역
  • 이샨샨 - 풍부인 역
  • 장첸 - 왕상궁 역
  • 가오슝 - 존경받는 자 역
  • 야오젠밍 - 독고가의 집사 역
  • 류리리 - 마 부인 역
  • 위안샤오쉬 - 춘시 역
  • 위샤오완 - 추사 역
  • 춘난 - 하가 역
  • 마페이 - 동곡 역
  • 리하오양 - 춘예 역
  • 톈보 - 독고순
  • 강위 - 이징 역
  • 상관동 - 여고도 역
  • 류슈아이 - 우문윤 역

3. 1. 독고 가문

獨孤氏|독고씨중국어 가문은 북주의 유력 가문이자 외척 가문이었다.

  • '''독고신''' (獨孤信|독고신중국어)
  • * 북주의 대신이자 독고 가문의 수장. 팔주국의 으뜸이자 대장군이었으며, 드라마에서는 북주 초대 황제 효민제에 의해 승상에 임명되었고, 사구사도의 자리에 올랐다.
  • '''독고반야''' (獨孤般若|독고반야중국어)
  • * 독고 가문의 장녀이자 명경황후. 현명하고 야심 찬 여인으로 권력을 추구하여 우문육과 결혼하였으나, 남편의 권력이 약했기에 여동생 가라를 구하기 위해 우문호에게 몸을 맡겨 딸 이화를 임신한다.
  • '''독고만타''' (獨孤曼陀|독고만타중국어)
  • * 독고 가문의 둘째 딸이자 원정황후. 어머니가 첩이었기에 낮은 신분에 시달려 재산과 권력을 갈망하여 이병과 결혼한다.
  • '''독고가라''' (獨孤伽羅|독고가라중국어)
  • * 독고 가문의 막내딸이자 문헌황후. 용감하고 온화하며, 덕이 있고 학식이 풍부한 여인으로 평화를 원했다. 정치적인 이유와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양견과 결혼하여 그를 도와 나라를 세우는 데 헌신한다.
  • '''두고순'''
  • * 북주의 국무대신이자 독고 가문의 다섯째 아들.[1] 독고신에게는 두고순 외에 일곱 아들이 더 있으며 북주의 국경을 지킨다.[2]

3. 2. 북주 황실


  • 우문각 : 북주의 초대 황제. 우문태의 셋째 아들. 무능한 황제였으며 우문호를 두려워했다. 우문호를 죽이려던 의도가 드러난 후 우문호에 의해 폐위된다.[1]
  • 우문육 : 우문태의 장남. 독고반야의 남편. 동생 우문각이 폐위된 후 황위에 오른다.[1]
  • 우문옹 : 우문태의 넷째 아들. 북제의 인질로 지낸 과거 때문에 차갑고 냉소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동생 우문육을 보호하기 위해 그의 죽음 이후 황위에 올라 우문호의 명령에 복종한다. 독고가라와 어릴 적부터 친구였으며 그녀를 사랑한다.[1]
  • 우문윤 : 우문옹과 이아자의 아들. 북주 태자였다가 황제가 된다. 양여화의 남편.[1]
  • 우문연/찬 : 우문윤과 주만월의 아들. 양견에게 황위를 넘겨준다.[1]
  • 우문태 : 서위의 최고 장수. 독고신, 양충과 형제처럼 지냈다. 우문육, 우문각, 우문옹의 아버지. 우문호의 숙부.[1]
  • 우문호 : 북주의 태보. 궁정의 정치를 장악하고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사악하고 무자비한 인물. 독고반야와 사랑하지만 음모적인 관계이며, 결국 그녀와 결혼하지 못한다.[1]
  • 원황후 : 우문각의 아내.[1]
  • 아사나송 : 우문옹의 아내. 목간가한의 딸.[1]
  • 이아자 : 우문옹의 후궁. 우문윤의 어머니.[1]
  • 주만월 : 우문윤의 후궁. 우문연/찬의 어머니.[1]
  • 위지치판 : 우문윤의 후궁. 원래 서양공 우문온과 결혼했다.[1]

3. 3. 수나라 황실

배역배우
독고가라(獨孤伽羅)胡冰卿|후빙칭중국어
양견(楊堅)장단펑
독고반야(獨孤般若)안이쉬안
우문호(宇文護)쉬정시
우문옹(宇文邕)잉하오밍
우문육(宇文毓)쩌우팅웨이
독고만타(獨孤曼陀)리이샤오
독고신(獨孤信)황원하오
우문각(宇文覺)리루이차오
이아자(李娥姿)장쯔쉬안
원황후(元皇后)양차이잉
아사나송(阿史那頌)황쯔시
양여화(楊麗華)가오쓰원(아역 치신루이)
이병(李昞)루싱위
양충(楊忠)루칭후이
조귀(趙貴)스닝
울지형(尉遲逈)위쯔콴
육정(陸貞)뤼이
양견장단봉|장단펑중국어
우문호서정계|쉬젠시중국어
우문옹응호명|잉하오밍중국어
우문육추정위|저우팅웨이중국어
독고만타이의효|리이샤오중국어
독고신황문호|황원하오중국어
우문태소무 (배우)|쑤마오중국어
아사나운황자시|황쯔시중국어


  • 양견: 수나라의 창시자이자 독고가라의 남편. 아내만을 사랑하는 충실한 남자. 원래는 독고만타의 약혼자였으나, "제성 이명, 독고천하"라는 예언으로 인해 권력에 대한 갈증을 가지게 되었다.
  • 우문호: 숙부 우문태 사후, 북주의 태사, 진왕이 되어 실질적인 권력을 쥔 인물.
  • 우문옹: 우문제의 이복 동생이자 보성왕. 북주의 제3대 황제.
  • 우문육: 우문제의 이복 형이자 녕도왕. 북주의 제2대 황제.

3. 4. 당나라 황실

3. 5. 기타 인물


  • 마징한: 원수
  • 왕정: 고담 역 (려진의 연인)
  • 여의: 육진 역 (북제의 여성 재상, 독고가라의 절친이자 조언자, 고담의 연인)
  • 위자콴(于子寬): 위지경 역 (우문태의 조카, 서위(西魏)의 장군, 후일 북주(北周)의 장군)
  • 스닝(史寧): 조귀 역 (서위(西魏)의 대신, 조정에서 독고신의 적대자)
  • 런메이시(任媚熙): 청하 공주(清河公主) 역 (우문호의 부인, 죽음을 맞이함)
  • 자오이신(趙奕歡): 거서(哥舒) 역 (북주(北周)의 대장군, 우문호의 측근)
  • 저우빈(周斌): 위치가(尉遲綱) 역 (북주(北周)의 대장군, 우문유의 측근)
  • 궈웨이(郭偉): 두소위(杜孝威) 역 (기자군(積支軍)의 지휘관, 독고신의 부하, 후에 독고가라의 부하)
  • 구이량(顧易亮): 하권(賀權) 역 (우문용의 경호원)
  • 마앙(馬昂): 정용(鄭榮) 역 (양견의 측근, 동곡(東曲)을 마음에 둠, 동곡(東曲)의 최종 남편)
  • 장신위안(蔣欣媛): 경부인(靜夫人) 역 (이빈의 첩, 그의 둘째 아들의 어머니)
  • 이샨샨(伊珊珊): 풍부인(馮夫人) 역 (이빈의 첩, 그의 다섯째 딸의 어머니)
  • 장첸(張茜): 왕상궁(王尚宮) 역 (독고반약이 독고만타를 돕기 위해 보낸 궁녀)
  • 가오슝(高熊): 존경받는 자 역
  • 야오젠밍(姚建明): 독고가의 집사 역
  • 류리리(劉莉莉): 마 부인 (루 냥) 역 (만타의 유모, 만타가 교활한 계략가가 되도록 강요, 만타가 동생 독고가라의 약혼자를 빼앗도록 음모를 꾸밈)
  • 위안샤오쉬(袁曉旭): 춘시(春詩) 역 (독고반약의 시녀)
  • 위샤오완(于小琬): 추사(秋詞) 역 (독고만타의 시녀, 주인과 달리 마음이 착하지만 독고만타에게 충성)
  • 춘난(春楠): 하가(夏歌) 역 (독고가라의 시녀, 독고가라를 배신 후 저택에서 쫓겨남)
  • 마페이(馬菲): 동곡(東曲) 역
  • 리하오양(李浩洋): 춘예(春蕊) 역 (독고반약의 시녀, 한동안 독고가라를 섬김)
  • 톈보: 독고순 역 (독고신의 다섯째 아들, 독고신에게는 독고순 외에 일곱 아들이 더 있으며 북주의 국경을 지킴)
  • 강위: 이징 역 (이병의 장남)
  • 상관동: 여고도 역 (양견의 어머니)
  • 류슈아이: 우문윤 역 (북주의 제4대 황제 선제)

4. 역사적 배경

534년, 북위의 효무제는 권신 고환을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낙양 근교에서 제압당했다. 효무제는 많은 부하들이 배신한 가운데, 5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장안으로 도망쳐 대장군 우문태에게 의지했다.

이후 우문가가 권력을 잡았고, 557년 우문제가 우문호에게 옹립되어 북주를 건국했다.

4. 1. 남북조 시대와 북주, 수나라의 건국

남북조 시대는 혼란스러운 시기였으며, 독고신을 수장으로 둔 독고씨 가문은 "독고 예언"으로 인해 주목받았다. 이 예언은 독고씨가 세상을 다스릴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독고 자매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예언을 실현하려 했다. 장녀 독고반약은 우문호를 사랑했지만, 권력을 위해 우문육과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아들을 낳다 사망했다. 그녀의 딸 양려화는 선제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다. 차녀 독고만타는 양견 대신 이빈과 결혼하여 아들 이연을 낳았고, 그는 훗날 당나라를 건국했다. 막내딸 독고가라는 양견과 결혼하여 수나라를 건국하고 독고황후가 되었다.

534년, 북위의 효무제는 권신 고환에게 패배하고 장안으로 도망쳐 우문태에게 의탁했다. 이후 우문가가 권력을 잡았고, 557년 우문제가 북주를 건국했다.

4. 2. 독고 가문과 수나라 건국의 관계

독고신의 막내딸 독고가라는 양견과 결혼하여 함께 수나라를 건국했다. 양견은 원래 독고가라의 언니인 독고만타와 약혼했으나, 독고만타가 이연의 아버지와 결혼하면서 파혼되었다. 이후 독고가라와 양견은 서로에게 깊이 빠져들었고, 양견은 독고가라만을 사랑하겠다고 맹세했다.

독고가라는 정치에 혐오감을 느꼈음에도 남편 양견을 도와 수나라 건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독고가라는 양광을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북주의 천원황후이자 수나라의 낙평공주 양려화는 양견과 독고가라의 장녀였지만, 친딸은 아니었다. 양려화의 친부모는 독고반약과 우문호였다.

534년, 북위 효무제가 권신 고환에게 패하고 장안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우문태가 권력을 잡았다.[1] 이후 557년, 우문제가 북주를 건국했다.[1]

5. 제작

이 드라마는 2016년 8월부터 12월까지 헝뎬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 감독: 허슈페이
  • 각본: 장웨이
  • 미술 감독: 가오시시

6. OST

제목비고작사작곡노래
독고천하 (独孤天下)오프닝 테마곡장잉뤄쿤리위강
보리게 (菩提偈)엔딩 테마곡장잉뤄쿤刘惜君|류시쥔중국어
독고 (独孤)삽입곡林乔|린차오중국어리취안진샤
홍진전 (红尘辗)삽입곡마핑린루어톈왕샤오민, 웰 리


7. 평가 및 영향

독고천하중국어는 레크리에이션 책임감 영향력 시상식에서 올해의 웹 드라마상을 받았다.[1]

8. 한국 방영

이 드라마는 한국에서 정식으로 방영되거나 더빙된 적이 없다. 따라서 한국 방영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일본에서는 2019년 3월 6일부터 채널 은하에서 첫 방송되었으며[2], BS12, BS11, 닛테레플러스, 군마 TV, TOKYO MX 등 다양한 채널에서 방송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2019文娱责任影响力获奖名单出炉 https://k.sina.com.c[...] 2019-03-28
[2] 웹사이트 【チャンネル銀河】3/6日本初放送・中国史劇「独孤伽羅~皇后の願い~」日本版予告動画で先取り! https://navicon.jp/n[...] 2024-05-30
[3] 웹사이트 「独孤伽羅~皇后の願い~」公式サイト https://www.spoinc.j[...] 2024-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