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이는 고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지칭하는 이름에서 유래한, 꼬리가 없거나 짧은 것이 특징인 한국의 개 품종이다. 동경이는 진돗개와 유사한 외모를 지녔으며, 꼬리 유무는 유전자 변이로 밝혀졌다. 과거에는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꼬리가 없다는 이유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최근 품종 보존 노력을 통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가 동경이 보존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산 개 품종 - 제주개
제주개는 중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한국 토종견으로, 멸종 위기를 극복하고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복원 노력으로 개체 수가 증가했으며, 빗자루 모양의 꼬리와 온순하고 민첩한 성격, 뛰어난 후각 및 시각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 한국산 개 품종 - 삽살개
삽살개는 삼국시대부터 한국인의 삶과 함께 해온 토종견으로,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를 지닌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며 사랑받았으나 일제강점기에 멸종 위기를 겪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현재는 가정견 및 치료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경주시의 문화유산 - 분황사
분황사는 634년 신라 선덕여왕 때 완공된 사찰로, 여왕을 위한 사찰로 해석되며 황룡사와 함께 신라 불교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현재 모전석탑을 비롯한 문화재와 발굴 조사를 통해 그 규모와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 경주시의 문화유산 - 경주 서악서원
경주 서악서원은 1561년 이정이 김유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설총과 최치원을 추가 배향하고 서원 철폐령에도 살아남아 나정을 보호하며 신라 시조 탄생 설화 관련 유적을 보호하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삽살개
삽살개는 삼국시대부터 한국인의 삶과 함께 해온 토종견으로,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를 지닌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며 사랑받았으나 일제강점기에 멸종 위기를 겪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현재는 가정견 및 치료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청도군 대전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 된 은행나무 수나무로, 천연기념물 제30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마을의 정자목이자 풍흉을 점치는 대상이었고, 도사와 여인에 얽힌 전설과 신라 말 행정구역 변경 시 경계목으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노거수이다.
| 동경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댕견 동경개 |
| 국가 | 경상북도 경주시, 대한민국 |
| 한국어 표기 | |
| 한글 | 동경이 |
| 로마자 표기 | Donggyeong-i |
| 한글 (다른 표기) | 동경개 |
|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 | Donggyeonggae |
| 한글 (다른 표기) | 댕견 |
|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 | Daenggyeon |
| 일본어 표기 | |
| 가타카나 | 톤굥이 |
| 히라가나 | - |
| 로마자 표기 | Dong-gyeong |
| 지정 정보 | |
| 유형 | 천연기념물 |
| 지정 번호 | 540 |
| 지정일 | 2012년 11월 6일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일원 |
| 문화재청 | 16,05400000,37 |
2. 어원
동경(동경/東京한국어)은 고대 한국 왕조인 신라의 수도 이름이었다. 오늘날 이 도시는 경주로 알려져 있다.
동경이는 꼬리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것이 특징이다.[10] 이는 한국의 다른 개 품종들과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이며, 얼굴 생김새는 진돗개와 유사하다.[4] 꼬리 유무는 유전자 차이로 밝혀졌는데, 농촌진흥청과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꼬리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10] 일본개와 비슷하지만, 꼬리가 없거나 짧다.
3. 외형
3. 1. 꼬리
동경이는 꼬리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것이 특징이다.[10] 이는 한국의 다른 개 품종들과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이며, 얼굴 생김새는 진돗개와 유사하다.[4] 꼬리 유무는 유전자 차이로 밝혀졌는데, 농촌진흥청과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꼬리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10] 일본개와 비슷하지만, 꼬리가 없거나 짧다.
4. 역사
동경이의 특징은 『동경잡기(1845), 『증보문헌비고(1770)와 같은 옛 기록에 언급되어 있으며, 경주 부근에서 발굴된 6세기 토기 개 모형에서도 확인되었다.[5]
4. 1. 일제강점기
과거 경주에는 많은 동경이가 있었지만, 일제강점기(1910-1945)에 코마이누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도살되었다는 주장이 있다.[6] 이 기간 동안 동경이는 진돗개, 삽살개 등과 함께 겨울 외투의 모피로 사용하기 위해 대량으로 학살되어 개체 수가 감소했다.[6]4. 2. 광복 이후
광복(1945) 이후에도 동경이는 꼬리가 없다는 이유로 불운을 가져온다고 여겨지거나 기형으로 오해받는 등 일반 대중에게 천대받아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6] 다른 품종과의 잡종화 또한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6] DNA 분석 결과 동경이와 진돗개는 약 900년 전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3]4. 3. 최근의 보존 노력
동경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왕궁이나 신사에 있는 개 모양 조각인 '코마이누'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도살되었다는 주장이 있다.[6] 이 기간 동안 동경이, 진돗개, 삽살개 등의 개들은 겨울 외투의 모피로 사용하기 위해 대량으로 도살되어 개체 수가 감소했다.광복(1945) 이후에도 꼬리가 없다는 이유로 불운을 가져온다고 여겨졌고, 기형으로 오해받는 등 일반 대중에게 천대받았다.[6] 그 결과 동경이의 개체 수는 급격히 감소했으며, 다른 품종과의 잡종화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후 꼬리 모양에 대한 오해가 풀리고 품종 보존 노력이 시작되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6]
5. 관련 단체
사단법인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가 동경이 보존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영어을 통해 [http://www.donggyeong.com 사단법인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 홈페이지 아카이브를 볼 수 있다.
참조
[1]
논문
Investigation of hematological analyses and major viral serum antibody titers in DongGyeongi
[2]
논문
Chromosome analysis by GTG banding technique in the DongGyeongi dogs
[3]
논문
The Genetic Origin of Short Tail in Endangered Korean Dog, DongGyeongi
https://www.nature.c[...]
2017-08-30
[4]
웹사이트
Samgugsagi
http://www.donggyeon[...]
www.donggyeong.com
2012-08-13
[5]
웹사이트
동경이
http://www.donggyeon[...]
[6]
웹사이트
경주개 동경이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
http://www.dbpia.co.[...]
Silla Munhwa
2015-08-03
[7]
웹사이트
‘경주개 동경이’ 천연기념물 지정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012-11-06
[8]
뉴스
‘경주개 동경이’ 천연기념물 지정
https://news.naver.c[...]
2012-11-06
[9]
웹사이트
‘경주개 동경이’ 천연기념물 지정
http://www.cha.go.kr[...]
2012-11-06
[10]
뉴스
‘경주개 동경이’의 이유 있는 꼬리 길이
http://www.youngnong[...]
2017-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