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1997년 동아방송전문대학으로 개교하여, 2007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방송, 영상, 예술 분야의 특성화를 목표로, 2000년대 이후 교육부의 재정 지원 사업에 여러 차례 선정되었으며, 학과 개편과 학사 학위 과정 신설을 통해 발전을 거듭했다. 2010년대에는 산학협력 및 국제 교류를 확대했고, 2020년대에도 다양한 협약을 통해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창의융합교양학부, 방송예술융합학부, 콘텐츠학부, 예술학부, 실용음악학부, 방송연예학부 등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DBS 교내방송국 운영, 아시안 게임 방송 중계 참여 등 학생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의 학교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는 1916년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성장, 발전해 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안성시의 학교 - 한경국립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는 1939년 안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한국복지대학교와 통합, 202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국립대학교이며, 안성 및 평택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고, 배우 송승헌을 포함한 주요 동문을 배출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했다.
  • 경기도의 전문대학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 경기도의 전문대학 - 서울예술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는 유치진이 1962년 설립한 한국연극아카데미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예술대학으로, 다양한 예술 분야의 학부 및 전공을 운영하며 한국 전통 예술의 현대화와 세계화에 기여하고 수많은 예술인을 배출했다.
  • 1997년 설립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1997년 설립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동아방송예술대학교 (東亞放送藝術大學校)
로마자 표기Donga Bangsong yesool Daehak
영문명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종류전문대학
설립1997년
폐교해당 없음
학교법인공산학원
총장이상길
위치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학생 수4,216명
상징느티나무, 철쭉, 말, 알바트로스
표어지성(知性), 덕성(德性), 기예(技藝)
모토 (영문)Be the Shining Star in the Field of Media and Arts
웹사이트동아방송예술대학교 홈페이지
연혁
이전 명칭동아방송대학
기타
좌표37.0585643

2. 연혁

1997년 동아방송전문대학으로 개교하였으며, 2007년 1월 15일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와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풀러턴과 DIMA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특히 커뮤니케이션 관련 전공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1]

2. 1. 학교 설립 초기 (1977년 ~ 1999년)

DIMA영어는 1997년 학교법인 공산학원의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1] 초대 이사장은 최준문 이사장이었다.[1] 1985년 7월 8일에는 제2대 이사장으로 최원석 이사장이 취임하였다.[1]

1994년 8월 1일 동아방송전문대학 설립 계획이 승인되었고,[1] 1996년 12월 26일 9개 학과, 정원 720명으로 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1] 1997년 3월 10일 초대 학장으로 이충세 학장이 취임하였으며,[1] 같은 날 810명의 신입생이 입학한 제1회 입학식이 열렸다.[1]

개교 직후인 1997년 3월 11일, 미국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ISU)와 학위 협정을 체결하였다.[1] 이를 통해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학생들은 미국 대학교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고,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학생들은 한국 문화를 경험하며 한 학기 이상을 보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1997년 5월 28일에는 개교식을 가졌으며,[1] 11월 25일에는 영상음악과가 신설 인가되었다.[1]

1998년 3월 5일 제2회 입학식에서는 865명이 입학하였고,[1] 5월 1일에는 동아방송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9월 9일에는 교육부 지원 방송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1] 11월 19일에는 인터넷방송과, 방송극작과가 신설 인가되어 총 12개 학과, 1160명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1]

1999년 2월 23일에는 제1회 학위수여식을 통해 9개 학과 400명이 졸업하였고,[1] 3월 5일 제3회 입학식에서는 1,240명이 입학하였다.[1] 5월 1일에는 교육부 지원 방송·영상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1] 7월 22일에는 제2대 학장으로 김병호 학장이 취임하였다.[1] 11월 15일에는 게임공학과가 신설되었다.[1]

학교 설립 초기 연혁
연도내용
1977년학교법인 공산학원 인가, 초대 최준문 이사장 취임
1985년제2대 최원석 이사장 취임
1994년동아방송전문대학 설립계획 승인
1996년학교 설립 인가 (9개 학과 720명)
1997년초대 이충세 학장 취임, 제1회 입학식 (810명), 미국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와 학위 협정 체결, 개교식, 영상음악과 신설 인가
1998년제2회 입학식 (865명), 동아방송대학으로 교명 변경, 교육부 지원 방송 특성화 우수대학 선정, 인터넷방송과/방송극작과 신설 인가
1999년제1회 학위수여식 (400명), 제3회 입학식 (1,240명), 교육부 지원 방송·영상 특성화 대학 선정, 제2대 김병호 학장 취임, 게임공학과 신설


2. 2. 2000년대: 성장과 발전

2000년대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교육부 지원 사업에 지속적으로 선정되고, 국내외 여러 대학 및 기관과 학사 교류 협정을 체결하며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다.

연도주요 내용
2000제2회 학위수여식 (10개 학과 417명 졸업)
제4회 입학식 (10개 학과 1,324명 입학)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정
2001제3회 학위수여식 (12개 학과 532명 졸업)
제5회 입학식 (12개 학과 1,302명 입학)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정
수업연한 연장 승인 (3년제-방송기술계열, 영상제작계열, 정보통신계열, 인터넷방송계열)
중국 북경광파학원(BBI)과 학사교류협약 체결
2002제4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770명 졸업)
제6회 입학식 (1,304명 입학)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정
제3대 이충구 학장 취임
2003제5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818명 졸업)
제7회 입학식 (1,219명 입학)
러시아 부기끄영화대학, 게르첸교육대학교, 쉐프킨연극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정
미국 시카고예술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평생교육원 개원
동아프로덕션 설립
2004제6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809명 졸업)
제8회 입학식 (13개 학과 1,236명 입학)
산학협력단 설립
교육인적자원부 재정지원사업 선정
피트니스센터 개관
2005제7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935명 졸업)
제9회 입학식 (13개 학과 1,218명 입학)
2005년 성장동력특성화대학 선정 (3년간 지원)
학교기업 EASTA픽처스 설립
2006제8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878명 졸업)
제4대 하영석 학장 취임
제10회 입학식 (13개 학과 1,237명 입학)
야외공연장 개관
2007 특성화사업지원사업단 선정 (평가 최우수대학)
패션스타일리스트과 신설 / 수업연한 연장 (3년제-방송보도제작과)
성장동력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우수대학 선정
운동장 잔디구장 준공
공통기초학부 신설
2007동아방송예술대학으로 교명 변경
제9회 학위수여식 (14개 학과 850명 졸업)
교명 현판식, 제11회 입학식 (1,242명 입학)
영국 레이븐스디자인 커뮤니케이션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학부제 변경 (공통기초, 미디어기술, 방송콘텐츠, 디자인, 예술, 미디어경영)
2007 문화콘텐츠 특성화 교육기관 선정 (게임애니메이션계열)
개교 10주년 기념식
학교기업 DIMA Entainment 설립
예술학부 3년제 전환 (방송연예, 공연예술, 영화예술, 영상음악)
태국 라자바트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성장동력특성화대학 지원사업 2년 연속 우수대학 선정
DIMA IPTV 송출시스템 자체시험 서비스 운영
총동문회 창립
학사학위 수여 전공심화과정 개설 (방송미디어학과 30명/영화예술학과 20명)
2008Full HD 스튜디오 준공
제5대 이세진 학장 취임
제10회 학위수여식 (15개 학과 947명 졸업)
제12회 입학식 (16개 학과 1,125명 입학)
제1회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입학식 (2개 학과 27명 입학)
2008 학교기업 지원사업 주관기관 선정 (디마엔터테인먼트)
미국 벨 헤이븐 대학과 학사교류협정 체결
DIMA 영화 촬영 스튜디오 착공식
우수 인력 양성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선정 (교육과학기술부)
성장동력특성화대학 지원사업 3년 연속 우수대학 선정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와 학사교류협정 체결[1]
2009국내 대학 최초 HDTV 중계차 개통식
제11회 학위수여식 (16개 학과 935명 / 전공심화 학사학위 1개 학과 13명)
노동부 주관 2009년 대학취업기능 확충사업기관 선정
학교기업 (DIMA 웹스) 설립
뉴욕한인방송국(TKC)과 해외인턴십 교류협정 체결
(사)독립제작사협회와 산학협력 협약 체결
태국 라자망갈라공업대학과 학사교류협정 체결
공공부문 인재개발 우수기관 인증대상기관 선정
DIMA 종합촬영소/ 이경순 소리박물관 개관
미국한인방송국(MKTV)과 해외인턴십 교류협정 체결
베트남 하노이 연극영화대학과 학사교류협정 체결



특히, 2007년에는 동아방송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학부제 변경, 개교 10주년 기념식, 학교기업 설립 등 굵직한 변화와 성장이 있었다. 또한,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풀러턴 등 해외 대학과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국제적인 교류를 확대하였다.[1]

2. 3. 2010년대: 도약과 혁신

2010년대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다양한 산학협력 체결, 학위 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도약과 혁신을 이루었다.

연도내용
2011프로덕션 이엑스스타, 아뮤즈코리아, 연변대학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1], 제13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810명, 전공심화 학사학위 47명) 및 제15회 입학식(16개 학과 1,005명/전공심화 학사학위 5개 학과 71명) 거행[1], 안성시 관내 5개 대학과 관학 협력 체결[1], 중앙일보 창조경영 선정(지식경제부 후원)[1], 경기도 대학생자원봉사 지원사업 선정[1], 중국 연변예술대학교 교환교수 파견(영상제작과 최영태 교수)[1]
2012고용노동부 창조캠퍼스 지원대학 선정[2], 제14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581명, 전공심화 학사학위 73명) 및 제16회 입학식(16개 학과 전문학사 885명, 전공심화 4개 학과 105명) 거행[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 선정[2],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 변경[2], 영국 Bournville College, 독일 International Film School Koln (IFS), 큐브엔터테인먼트, 태국 방콕대학교, 헝가리 Video and Art Workshop of Mako 등과 학사교류 및 산학협력 체결[2], 부속기관 디마갤러리 신설[2], 교육과학기술부, 안전행정부 공공부문 인재개발우수기관(HRD) 재인증[2]
2013제15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660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15명) 및 제17회 입학식(전문학사 1,020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04명) 거행[3], 교육부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세계적인 전문대학(WCC) 선정[3]
2014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교육품질 인증대학 선정, 제16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672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04명) 및 제18회 입학식(전문학사 1,016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36명) 거행, 한국저작권위원회, 세계한국TV방송연합회, 경기도 안성교육지원청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선정
2015YTN 연합뉴스TV, 채널A 미디어텍,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방송),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TV조선,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등과 교류 협정 및 산학협력 MOU 체결, 제17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737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22명) 및 제19회 입학식(전문학사 1,035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71명) 거행, 캠퍼스 TV 설립 및 개국, 방송예술창작센터 개소, 미국 Five Towns College와 학사교류협정 체결, 학교기업지원사업 우수사례경진대회 대상(교육부장관상) 수상,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3회 연속 선정
2016(사)한국음향예술인협회, 국악방송, 한국전파진흥협회, KBS 기술연구소, 한국문화정보원, 한국산업기술문화재단, KBS 아트비전, 한국여론방송, 강원관광대학교, (재)수원문화재단, (주)디지털오비밴, (사)참여성노동복지터, (주)그린음향, (주)수현컴퍼니, 광주광역시 동구청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 제18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778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7명) 및 제20회 입학식(전문학사 972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8명) 거행, 학과조직 개편(창의융합기초학부, 콘텐츠학부, 예술학부, 방송예술융합학부, 방송연예학부, 방송예술창작학부)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3년 연속 선정,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 사업) 우수대학 선정,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재지정,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와 학사교류협정 체결
2017한글과컴퓨터, ㈜유조이월드, 안성시 사회복지협의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워너브라더스, 차이나닷컴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 제19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830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8명) 및 제21회 입학식(전문학사 959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2명) 거행, 캠퍼스TV를 브릿지TV로 방송채널 명칭 변경, 학교기업지원사업 선정(교육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선정, WCC(World Class College) 계속 지원대학 선정, 제8대 최용혁 총장 취임, 드론실감콘텐츠 교육센터 오픈, 학교기업 디마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TV 론칭,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교육품질 인증대학 연속 선정
2018경기도 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훈공보실, 쇼노트, 한국전자정보통신진흥원, 중국 탕산직업기술학원, 전주영상위원회, 우즈베키스탄 국립예술문화대학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 제20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782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56명) 및 제22회 입학식(전문학사 823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4명) 거행, 교육부 자율개선대학 선정,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한국어교육원(K-WAVE) 오픈, 디마아트센터, 2018 경기도 지역문화 플랫폼 육성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2019경기도립극단, (주)누에보, (주)브랜뉴뮤직, (사)한국프로축구연맹 등과 산학협력 MOU 체결, 제21회 학위수여식(전문학사 755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3명) 및 제23회 입학식(전문학사 1,020명, 학사학위 전공심화 164명) 거행, 전문대학(LINC+) 육성사업(산협력 고도화형) 단계평가 최종 선정, 교육부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선정


2. 4. 2020년대: 미래를 향한 도전

연도내용
2020년
2021년
2022년


3. 학과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전문학사 과정(3년제)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4년제)으로 나누어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3. 1. 전문학사 과정 (3년제)

wiki

'''창의융합교양학부'''

'''방송예술융합학부'''

'''콘텐츠학부'''

'''예술학부'''

'''실용음악학부'''

'''방송연예학부'''

'''다전공'''

  • 연계전공
  • 융합전공
  • 자기설계전공

3. 2.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4년제)

https://www.dima.ac.kr/?p=71 방송기술학과

https://www.dima.ac.kr/?p=74 방송보도제작학과

https://www.dima.ac.kr/?p=72 실용음악학과

https://www.dima.ac.kr/?p=75 음향제작학과

https://www.dima.ac.kr/?p=76 K-POP학과

https://www.dima.ac.kr/?p=70 콘텐츠제작학과 (트랙: 영상콘텐츠제작, 응용콘텐츠제작)

https://www.dima.ac.kr/?p=73 연기예술학과

https://www.dima.ac.kr/?p=77 문화예술마케팅학과

4. 국제 교류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Illinois State University)와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학생들은 미국 대학교 학위를 취득할 수 있고,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학생들은 한국 문화를 경험하며 한 학기 이상을 보낼 수 있다. 또한 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풀러턴(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과 DIMA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특히 커뮤니케이션 관련 전공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5. 주요 학생 활동

내레이션 : 장광, 윤승희
촬영감독 : 백승현 / 촬영 : 신현주, 김수정, 김재현
종합편집 : 김호열
타이틀 : 블루컴퍼니
음악 : 스톰 권민석
원화연출 : 박찬선 / 원화 : 오상화, 임미란
CG : 박경신, 장세진, 장성렬
자막디자인 : 김수정
스크립터 : 김수지
자료조사 : 송혜진, 손봉우
행정 : 명지선, 박경신
조연출 : 남혜림
연출 : 오태돈TV방영한국교육방송공사 EBS 2010년 10월 9일 한글날기타한국콘텐츠진흥원 2010년 대학생 방송창작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선정작. 비상교육 "독서와 문법Ⅱ" 교과서에 내용 및 이미지 수록.



DBS에서 제작하는 음악 콘서트 프로그램으로, 기획부터 제작, 방송 송출까지 전 과정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된다. 무대에 참여하는 가수와 세션 역시 모두 본교 학생들로 구성된다. 학내 조명동아리 Light Factory, 음향제작과 SR팀, 메이크업 동아리 MAC 등이 지원한다.

횟수날짜장소출연진중계 및 송출제작스텝
12013년 4월 8일기예관 HD스튜디오변장호밴드, 박희량&이유진, 그럴껄, The Rumors, 별난sTage, 필VD, 7YearsHD중계차 운용, 유스트림 실시간중계, 에브리온 TV 809번 녹화방송M C : 신세원 외
22013년 5월 27일본교 체육관한소영, 그럴껄, 권주희&이가인, The Rumors, 이가인, Overflow, 강소연, 김재웅&박무빈, 정뽀, 김효영, 권진영&이유진, 디마컬처스, 연치미, 어버이날, 김지석, 웨밀리HD중계차 운용, 유스트림 실시간중계, 에브리온 TV 809번 녹화방송, 박현규네 하우스밴드, 변장호네 하우스밴드 연주지원M C : 신세원 외
32013년 10월 17일운동장 특설무대팽쇼, 도쿠스틱, FLAM, 데프콜, 고추밭, 아스더(Asder), 디걸즈(D Girls), 디마컬처스HD중계차 운용, 유스트림 실시간중계, 에브리온 TV 809번 녹화방송기획 : 박경신 외
42014년 5월 14일본교 체육관그루버그루버, 휘 밴드, VIVIFY, MUSIC컬, 캡짱굿HD중계차 운용, 유스트림 실시간중계기획 : 박경신 외



2014년 아시안 게임에 본교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 재학생 등 156명이 대회 주관방송사인 IHB(Incheon Asian Games Host Broadcasting Management), KBS와 업무협력으로 방송중계, (영문)스크립터, LSM(Live Slow-motion) 오퍼레이션 등의 직종에 참여하여 국제신호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였다.[1]

6.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http://www.studyinko[...] 2014-10-02
[2] 웹사이트 QS Asian Universities Ranking http://www.topuniver[...] Quacquarelli Symonds
[3] 웹인용 2014년도 대학개별공시 외국대학교류현황 http://www.academyin[...] 2015-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