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태평양의 바람에 의해 생성되는 표층 해류로, 호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며 따뜻하고 영양 염류가 부족한 열대 해수를 운반한다. 이 해류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의 환경을 조성하고, 태즈먼 해의 생물 다양성에 기여하며, 계절에 따라 유량이 변동한다. EAC는 열을 중위도 해역과 대기로 전달하고, 와류와 용승을 통해 영양 염류를 표면으로 끌어올리며, 대륙붕과 해안의 순환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50~60년 동안 해류는 남쪽으로 확장되고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기후 변화로 인해 향후 100년 동안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 - UTC+08:45
UTC+08:45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시간대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서부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중서부 표준시(AWCST)로도 불린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 - 케이프요크반도
케이프요크반도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최북단에 위치하며, 카펜타리아 만과 산호해에 접하고,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최북단인 케이프 요크가 있으며, 1606년 유럽인에 의해 발견된 후 어업, 목축, 광산 개발을 통해 유럽인들이 정착했고, 열대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 30개 이상의 원주민 언어 등 풍부한 문화적 다양성을 지니며 약 18,000명이 거주한다. - 태평양의 해류 - 쿠로시오 해류
쿠로시오 해류는 적도 부근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흑색 난류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며 해저 지형, 탄소 순환, 기후 변화, 해상 운송, 어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이다. - 태평양의 해류 - 쓰시마 해류
쓰시마 해류는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져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난류로, 동해의 수온을 높이고 한반도와 일본의 기후, 특히 일본해 쪽의 폭설과 고온 다습한 기후에 영향을 주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한다.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 |
---|---|
해류 정보 | |
해류 종류 | 난류 |
해양 | 태평양 |
대륙 | 오스트레일리아 |
원천 | 열대 환류의 동쪽 흐름 |
방향 | 남쪽 |
합류 해류 | 남극 환류 |
해역 | 코럴해 태즈먼해 |
관련 해류 | 태즈먼 프론트 동풍 표류 |
지리적 범위 | |
시작 지점 |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 |
종료 지점 | 태즈먼해 |
특징 | |
수송량 | 약 30 스베르드 (Sv) |
염분 | 높은 편 |
해수면 높이 | 주변 해역보다 높음 (최대 40cm) |
와류 형성 | 해류에서 떨어져 나온 와류가 태즈먼해로 이동 |
생태계 영향 | |
먹이 사슬 | 영양염류가 적어 해양 생물의 먹이 사슬에 영향 |
종 분포 | 열대 및 아열대 종의 남쪽 이동 해양 생물의 서식지 변화 |
2. 물리 해양학적 특징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태평양 상공의 바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표층 해류로, 남태평양 환류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된다. 이 해류는 따뜻하지만 영양 염류가 부족한 물을 모아 호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적도로부터 남쪽으로 많은 양의 따뜻한 열대 해수를 운반하는데, 이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하며, 호주 동해안의 수온을 연중 약 18°C로 유지하여 겨울철에 12°C까지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4]
EAC는 영양 염류는 매우 적지만, 열대 지방의 열을 중위도 해역과 대기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5] 또한, 해류가 불안정해지면서 온핵 고리와 같은 와류를 만들어 태즈먼 해의 높은 생물 다양성에 기여하기도 한다.[6][7] 와류 생성 및 이동 과정은 표층 아래의 영양 염류를 표면으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용승 현상이 발생하여 영양 염류를 공급하기도 한다.[8]
해류의 세기는 계절에 따라 변동하는데, 여름철에 가장 강하고 겨울철에 가장 약하다.[7] 지난 수십 년간 EAC는 남쪽으로 이동하며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1944년부터 2002년 사이 남태즈먼 해의 수온 상승과 염도 증가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다.[7][8] 이러한 변화는 남반구 아열대 해양 순환과 관련이 있으며, 호주 상공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바람 패턴 변화가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기후 모델 연구들은 이러한 남하 및 강화 추세가 앞으로 100년간 지속되고 가속화될 것이며, 남태평양 바람의 증가로 인해 해류의 유량이 20% 이상 증가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8]
2. 1. 수온 및 염분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태평양 상공의 바람에 의해 생성되는 표층 해류로, 남태평양 환류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된다. 이곳에서 따뜻하지만 영양 염류가 부족한 물을 모아 호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운반한다. EAC는 적도에서 남쪽으로 많은 양의 따뜻한 열대 해수를 이동시키며, 이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가 번성할 수 있는 환경에 기여한다. 또한, 호주 동해안의 수온을 연중 약 18°C로 유지시켜 겨울철에 12°C까지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4]이 해류는 열대 지방에서 중위도 해역 및 대기로 열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5], 운반하는 물의 영양 염류 함량은 매우 낮다.[5]
EAC는 계절에 따라 강도가 변동한다. 여름철에 가장 강하며, 겨울철에는 상대적으로 약해진다.[7]
지난 50~60년 동안 EAC는 남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1944년부터 2002년까지 남태즈먼 해는 수온이 상승하고 염도가 높아졌는데, 이는 EAC의 흐름이 강화되고 남쪽으로 확장된 결과이다.[7][8] 이러한 변화는 남반구 아열대 해양 순환과 연관되며, 호주 상공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바람 패턴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후 모델들은 이러한 남하 경향이 향후 100년 동안 지속되고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8]
2. 2. 유속 및 유량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위 30°에서 최대 유속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유속은 최대 90cm/s에 달할 수 있다. 남쪽으로 흐르면서 약 남위 31°에서 32° 지점에서 해안에서 갈라진다. 남위 33°에 도달하면 남쪽으로 굽이치기 시작하는 한편, 수송량의 또 다른 부분은 좁은 재순환을 거쳐 북쪽으로 되돌아간다. 이 지점에서 EAC는 약 35 Sv (초당 350억 리터)에 달하는 최대 수송량을 기록한다.[1]재순환하지 않는 EAC 흐름의 대부분은 태즈먼 전선으로 이동하여 태즈먼 해를 뉴질랜드 곶 바로 북쪽에서 가로지른다. 나머지는 남극 순환 해류에 도달할 때까지 EAC 연장부를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태즈먼 전선의 수송량은 13 Sv로 추정된다.[1][2]
EAC는 계절에 따라 변동한다. 여름철에 가장 강하며, 이때 총 유량은 약 36.3 Sv에 달한다. 반면 겨울철에는 가장 약해져 약 27.4 Sv로 흐른다.[7]
지난 50~60년 동안 EAC는 변화를 겪었다. 1944년부터 2002년까지 남태즈먼 해가 더 따뜻해지고 염도가 높아지면서, 해류의 유량이 강화되고 남쪽으로 확장되었다. 태즈메이니아를 지나는 EAC 흐름의 이러한 변화는 남반구 아열대 해양 순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세는 호주 상공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바람 패턴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후 모델 연구들은 이러한 경향이 향후 100년 동안 계속 강화되고 가속화될 것이라는 데 강한 일치를 보이고 있다. 남태평양 바람의 증가로 인해 해류는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8]
2. 3. 와류(Eddy)
EAC의 최남단 지류는 바람 해류의 영향으로 와류를 만들 수 있다. 해류 자체의 불안정성이 서쪽 태즈먼 전선을 따라 커지면, 해류의 흐름이 크게 휘어지면서 1년에 한두 번 정도 와류가 형성된다.[7] 이렇게 생성된 와류는 온핵 고리를 만들어 태즈먼 해의 높은 생물 다양성에 기여하며,[6] 태즈먼 해 내부의 원양 대류를 활발하게 만든다.와류가 만들어지고 이동하며 사라지는 과정에서 수온약층의 물이 표층수와 섞이게 되는데, 이를 통해 일부 영양 염류가 표면으로 올라온다. EAC와 그 와류는 종종 대륙붕이나 해안 쪽으로 흘러 들어가 주변 해수 순환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물의 혼합을 더욱 증가시킨다.
와류 외에도 EAC가 표면으로 영양 염류를 운반하는 다른 방식이 있다. 해안선을 따라 용승이 일어나기도 하며,[8] 해안 지형에 의해 해류가 먼 바다 쪽으로 밀려날 수도 있다. 특히 강한 북풍이 불 때는 해류가 더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깊은 곳의 영양 염류가 풍부한 물이 해안을 따라 표층으로 올라오게 된다.
3. 해류의 경로 및 변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태평양 상공의 바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표층 해류로, 이 바람은 계절에 따라 해류의 흐름을 조절한다. EAC는 따뜻하지만 영양 염류가 부족한 물이 모이는 남태평양 환류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된다. 호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면서 적도로부터 많은 양의 따뜻한 열대 해수를 운반하는데, 이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또한, EAC 덕분에 호주 동해안의 수온은 겨울철에도 12°C까지 떨어지지 않고 연중 약 18°C를 유지한다.[4]
이 해류는 영양 염류 함량이 매우 낮지만, 해양 생태계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EAC는 열대 지역의 열을 중위도 해역과 대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5] 또한, 온핵 고리(warm-core ring)라는 소용돌이를 만들어 태즈먼 해의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6] 해류 자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흐름이 꺾이면서 1년에 한두 번 정도 이러한 와류가 형성되기도 한다.[7]
EAC는 호주 동해안을 따라 용승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8] 해류가 만든 와류는 태즈먼 해 내부에서 원양 대류를 활발하게 만들고, 와류가 생기고 이동하며 사라지는 과정에서 깊은 곳의 수온약층 물과 표층수가 섞이면서 일부 영양 염류가 표면으로 올라온다. EAC와 그 와류는 종종 대륙붕이나 해안 가까이로 흘러 들어와 해수의 순환 패턴에 영향을 주고 혼합 작용을 강화한다. 와류 외에도 해안 지형이나 강한 북풍이 해류를 바깥 바다로 밀어낼 때, 깊은 곳의 차가운 해수가 해안을 따라 솟아올라 표층에 영양 염류를 공급하기도 한다.
EAC의 세기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여름철에 가장 강해져 총 유량이 약 36.3 Sv에 이르지만, 겨울철에는 약 27.4 Sv로 약해진다.[7]
3. 1. 태즈먼 전선
재순환하지 않는 EAC 흐름의 대부분은 태즈먼 전선으로 이동하여[1] 태즈먼 해를 뉴질랜드 곶 바로 북쪽에서 가로지른다. 나머지는 남극 순환 해류에 도달할 때까지 EAC 연장부를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태즈먼 전선의 수송량은 13 Sv로 추정된다. 태즈먼 전선을 통과하는 EAC의 동쪽 이동과 뉴질랜드 해안선으로의 재부착은 동 오클랜드 해류를 형성한다.[1][2]3. 2. 동오클랜드 해류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의 흐름 중 재순환하지 않는 대부분은 태즈먼 전선으로 이동하여 태즈먼 해를 뉴질랜드 곶 바로 북쪽에서 가로지른다.[1] 태즈먼 전선을 통과하는 EAC의 동쪽 이동과 뉴질랜드 해안선으로의 재부착은 동오클랜드 해류를 형성한다.[1][2] 태즈먼 전선의 수송량은 약 13 Sv로 추정된다.[1]3. 3. 남극 순환 해류
재순환하지 않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 흐름의 대부분은 태즈먼 전선으로 이동하여 태즈먼 해를 뉴질랜드 곶 바로 북쪽에서 가로지른다.[1][2] 나머지 흐름은 EAC 연장부를 따라 남쪽으로 계속 흘러 남극 순환 해류에 도달한다.[1][2]3. 4. 기후 변화의 영향
지난 50~60년 동안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변화를 겪어왔다. 1944년부터 2002년까지 남태즈먼 해는 더 따뜻해지고 염도가 높아졌으며, 이는 EAC의 유량이 강해지고 남쪽으로 확장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태즈메이니아를 지나는 EAC 흐름의 이러한 변화는 남반구 아열대 해양 순환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호주 상공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바람 패턴의 변화가 지목된다. 기후 모델들은 이러한 경향이 앞으로 100년 동안 계속 강화되고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남태평양 지역의 바람이 강해지면서 해류의 세기가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8]4. 생태학적 중요성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남태평양 상공의 바람에 의해 형성되어 호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중요한 표층 해류이다.[4][5] 이 해류는 적도 부근의 따뜻한 해수를 남쪽으로 운반하며 열을 전달하고,[5]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와 같은 해양 생태계가 번성하는 데 필요한 따뜻한 환경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4] 비록 영양 염류는 부족하지만, 온핵 고리 형성이나 용승 유발 등을 통해 태즈먼 해의 생물 다양성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5][6][8]
EAC의 세기는 계절에 따라 변동하여 여름철에 약 36.3 Sv로 가장 강하고 겨울철에 약 27.4 Sv로 약해진다.[7] 지난 수십 년간 EAC는 남쪽으로 이동하며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남태즈먼 해의 수온 및 염분 상승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남극 오존층 파괴로 인한 바람 패턴 변화의 영향으로 추정된다.[8] 기후 모델들은 이러한 남하 및 강화 추세가 미래에도 지속 및 가속화될 것이며, 남태평양 바람의 영향으로 EAC 유량이 20% 이상 증가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8]
4. 1. 생물 이동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열대 해양 동물군을 호주 남동부 해안을 따라 아열대 지역의 서식지로 이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또한, 이 해류는 따뜻한 해수를 남쪽으로 운반하여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와 같은 해양 생태계가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4]EAC 자체는 영양 염류가 부족한 편이지만, 해양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5] 해류는 해안선을 따라 용승 현상을 유발하며,[8] 온핵 고리(warm-core ring)를 형성하여 태즈먼 해의 높은 생물 다양성에 기여한다.[6] EAC에 의해 생성된 와류는 태즈먼 해 내에서 원양 대류를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수온약층의 물이 표층수와 섞이면서 일부 영양 염류가 표면으로 공급된다. EAC와 그 와류는 대륙붕이나 해안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 해수 순환 패턴에 영향을 주고 혼합 작용을 강화하기도 한다. 와류 외에도, 해안 지형의 영향이나 강한 북풍과 같은 특정 조건은 깊은 곳의 영양 염류가 풍부한 해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용승을 유발할 수 있다.
4. 2. 생물 다양성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EAC)는 호주 동부 해안의 해양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해류는 따뜻하고 영양 염류가 부족한 열대 해수를 남쪽으로 운반하여[4][5]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와 같은 산호초 군락이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EAC는 연중 동해안의 수온을 약 18°C로 유지시켜, 겨울철에 수온이 12°C까지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4]
또한 EAC는 열대 해양 동물군을 호주 남동부 해안을 따라 아열대 지역의 서식지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3] 이는 종의 분포 범위를 확장하고 지역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EAC는 온핵 고리(warm-core eddies)라고 불리는 따뜻한 소용돌이를 생성하는데, 이는 태즈먼 해의 높은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 이 소용돌이는 해류 자체의 불안정성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형성되며,[7] 소용돌이 내부와 주변에서 독특한 해양 환경이 만들어진다.
비록 EAC 자체는 영양 염류가 풍부하지 않지만,[5] 해안선을 따라 용승 현상을 유발하고, 생성된 소용돌이는 태즈먼 해 내에서 원양 대류를 증가시킨다.[8] 소용돌이가 생성되고 이동하며 소멸하는 과정에서 수온약층의 비교적 영양 염류가 풍부한 물이 표층과 섞이게 된다. EAC와 그 소용돌이가 대륙붕이나 해안 가까이 접근하면, 해수의 혼합을 촉진하여 영양 염류를 표층으로 공급하고 이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하여 해양 먹이 사슬의 기초를 지지한다. 해안 지형이나 특정 방향의 바람(강한 북풍 등) 역시 해류의 흐름을 변화시켜 깊은 곳의 영양 염류를 표층으로 끌어올리는 용승을 유발하기도 한다.
지난 수십 년간 관측된 EAC의 남쪽 확장 및 강화 추세는[8] 기후 변화와 관련된 현상으로 여겨지며, 이는 태즈먼 해 남부 해역의 온도와 염분 변화를 가져와 해양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분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8]
5. 대중 문화
월트 디즈니 픽처스와 픽사가 2003년에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를 주요 배경 중 하나로 등장시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영화에서는 이 해류가 물고기와 바다거북이 이용하는 일종의 고속도로처럼 묘사되는데, 이는 매년 여름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실제 물고기들의 이동 경로와 관련이 있다.[9]
5. 1. 영화 속 묘사
2003년 월트 디즈니 픽처스와 픽사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서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가 물고기와 바다거북이 호주 동쪽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일종의 고속도로처럼 그려진다. 주인공 말린과 도리는 바다거북 크러쉬, 스쿼트 등 여러 바다거북 및 물고기 무리와 함께 이 해류를 타고 아들 니모를 찾기 위해 시드니 항구로 향한다. 이러한 설정은 실제 현상에 기반한다. 매년 여름, 수많은 물고기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시드니 항구나 더 남쪽 지역까지 해류에 휩쓸려 이동하기 때문이다.[9] 하지만 영화에서 묘사된 것처럼 해류의 속도가 매우 빠르지는 않다.5. 2. 실제와의 비교
2003년 월트 디즈니 픽처스와 픽사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서는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가 물고기와 바다거북이 호주 동쪽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일종의 고속도로처럼 그려진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 말린(앨버트 브룩스 목소리 연기)과 도리(엘렌 드제너러스 목소리 연기)는 바다거북 크러쉬(앤드루 스탠턴 목소리 연기), 스쿼트(니콜라스 버드 목소리 연기)를 비롯한 여러 바다 생물들과 함께 이 해류를 이용하여 아들 니모(알렉산더 굴드 목소리 연기)를 찾기 위해 시드니 항구로 이동한다.이러한 영화 설정의 기본적인 내용은 실제 현상과 부합하는 면이 있다. 실제로 매년 여름이면 수천 마리의 물고기들이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시드니 항구나 그보다 더 남쪽 지역까지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에 휩쓸려 내려온다.[9] 하지만 영화에서 묘사된 것처럼 해류의 속도가 아주 빠르지는 않다.
참조
[1]
서적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Elsevier Inc
[2]
논문
The mean and variability of ocean circulation past northern New Zealand: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hydrographic climatologies.
1998
[3]
뉴스
Going with the flow: scientists probe changes in the East Australian Current
https://www.smh.com.[...]
Sydney Morning Herald
2015-05-15
[4]
뉴스
Ocean currents
http://www.abc.net.a[...]
2017-04-20
[5]
논문
Decadal Spinup of the South Pacific Subtropical Gyre
2007-02-01
[6]
웹사이트
The East Australian Current
https://www.griffith[...]
Gold Coast City Council
2021-06-25
[7]
논문
Seasonal cycle of the East Australian Current
1997-10-15
[8]
논문
Marine Climate Change in Australia. The East Australian Current
https://www.scienced[...]
2017-04-18
[9]
간행물
Looking For Nemo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4-06-03
[10]
뉴스
海流調査用のロボット版「ニモ」、漂流の末回収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