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가족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적가족화는 아동이 자신과 가족 구성원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심리 검사 기법이다. 그림을 그린 후 검사자는 아이에게 그림에 대한 질문을 하고, 가족 구성원의 배치, 부재, 그림의 특징 등을 분석하여 아동의 심리 상태를 파악한다. 이 기법은 가족 그림 검사의 확장으로, 인물화 검사, 집-나무-사람 검사와 같은 다른 투사 기법과 유사하다. 동적가족화는 아동 학대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 검사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는 해서웨이와 맥킨리가 개발하고 미네소타 대학교가 저작권을 소유한 인성 검사로, 정신 병리와 인성 구조를 측정하며 경험적 준거 채점 방식을 사용해 임상 척도를 도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버전으로 수정 및 개선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 성격 검사 - TCI (심리검사)
TCI는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유도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심리 검사 도구이다.
동적가족화 | |
---|---|
개요 | |
![]() | |
유형 | 투사 검사 |
목적 | 아동의 심리적 상태 평가 |
대상 연령 | 아동 |
상세 정보 | |
개발자 | 에밀리 버크하우스 (Emily Burkehouse) |
개발 연도 | 1970년대 |
특징 | 가족 구성원 간의 역동성을 그림으로 표현 |
해석 방법 | 그림의 내용, 구성, 상징 등을 분석 |
장점 | 간편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아동의 심리 상태 파악 가능 |
단점 | 주관적인 해석 가능성, 문화적 배경 고려 필요 |
관련 용어 | |
관련 검사 | HTP 검사 인물화 검사 집-나무-사람 검사 |
심리학 분야 | 발달 심리학 임상 심리학 아동 심리학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Burns, R. C., & Kaufman, S. H. (1972). Actions, styles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s (K-F-D). New York: Brunner/Mazel. Handler, L., & Habenicht, C. (1994). The Kinetic Family Drawing: A review and updat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2(3), 440-464. |
외부 링크 | 영어 위키백과: Kinetic Family Drawing |
2. 검사 방법
동적가족화(KFD) 검사는 그림을 통해 가족 관계나 내면을 파악하는 투사 기법 중 하나이다. 그림 해석에 유연성이 있지만, 검사의 이론과 구조에 익숙한 숙련된 전문가가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검사는 가족 그림 검사를 확장한 형태로 볼 수 있다.
2. 1. 지시 사항
검사자는 아동에게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무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라고 지시한다. 이는 가족 그림 검사를 확장한 것으로, 가족 구성원이 무언가를 '하는' 모습을 그리도록 하여 가족 내의 상호작용이나 역동성을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2. 2. 질문
그림이 완성되면 검사자는 아동에게 그림 속 상황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림에 있는 사람은 누구인지 등을 물어볼 수 있다.2. 3. 분석
동적가족화(KFD) 검사는 그림 해석에 유연성이 있지만, 검사 이론과 구조에 익숙한 숙련된 전문가가 진행해야 한다. KFD는 가족 그림 검사의 확장으로 만들어졌으며, 아이에게 가족 구성원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운동적(Kinetic)' 측면이 특징이다. 검사자는 아이에게 그림을 그리게 한 후, 그림 내용(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누가 있는지 등)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분석 시에는 다음과 같은 그림의 특징들을 주의 깊게 살핀다.
- 가족 구성원의 배치
- 특정 구성원의 부재
- 그림과 실제 모습의 일치 여부 (또는 아이에 의한 변형 정도)
- 특정 신체 부위의 생략
- 지운 흔적
- 그림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 (예: 높게 그려진 그림)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아동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며, 아동 학대 가능성을 조사하는 평가의 일부로 활용되기도 한다. KFD는 인물화 검사나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HTP)와 같은 다른 투사 기법들과 유사점을 가진다.
3. 역사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키네틱 패밀리 드로잉eng, KFD)는 로버트 번스(Robert C. Burns)와 하버드 카우프만(S. Harvard Kaufman)이 1972년에 발표한 가족 그림 검사(Family Drawing Test)를 발전시킨 심리 검사 기법이다. 기존의 가족 그림 검사에 '동적'(Kinetic)인 요소를 추가하여, 검사 대상 아동에게 자신과 가족 구성원들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을 그리도록 요청하는 것이 특징이다.
3. 1. 인물화 검사와의 관계
동적가족화(KFD)는 다른 심리 측정 투사 기법들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특히 카렌 마코버(Karen Machover)가 개발한 인물화 검사(Draw-a-Person Test, DAP)와 존 벅(John N. Buck)이 개발한 집-나무-사람(House-Tree-Person, HTP) 기법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검사처럼 동적가족화 역시 개인의 내면 심리를 파악하기 위한 투사 기법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3. 2. 집-나무-사람 검사와의 관계
동적가족화(KFD)는 다른 심리 측정 투사 기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대표적으로 카렌 마코버(Karen Machover)가 개발한 인물화 검사나 존 벅(John N. Buck)이 개발한 집-나무-사람(HTP) 검사와 비슷한 점이 있다.KFD는 기본적으로 로버트 번스(Robert C. Burns)와 하버드 카우프만(S. Harvard Kaufman)이 1972년에 제시한 가족 그림 검사(Family Drawing Test)를 확장한 것이다. 여기에 '동적(Kinetic)'인 측면, 즉 검사 대상 아동에게 가족 구성원 각자가 무언가를 '하는' 모습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점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그림을 통해 개인의 심리 상태나 가족 관계 등을 파악하려는 투사 기법의 일종으로 활용된다.
4. 활용
동적가족화(KFD)는 아동의 심리 상태, 특히 가족 관계나 정서적인 문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동 학대 가능성을 조사하는 평가 도구의 일부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 검사는 번스(Burns)와 카우프만(Kaufman)이 1972년에 개발한 가족 그림 검사를 확장한 것으로, 마코버(Machover)가 개발한 인물화 검사나 벅(Buck)이 개발한 집-나무-사람(HTP) 기법과 같은 다른 심리 측정 투사 기법들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다만, 그림 해석에는 유연성이 있지만 검사의 정확한 활용과 해석을 위해서는 관련 이론과 구조에 익숙한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다.
4. 1. 아동 학대 평가
동적가족화(KFD)는 아동 학대 가능성을 조사하는 평가 도구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다. KFD는 번스(Burns)와 카우프만(Kaufman)이 1972년에 개발한 가족 그림 검사의 확장으로 만들어졌으며, '운동적(Kinetic)' 측면은 아이에게 가족 구성원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검사 시에는 검사자가 아이에게 자신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무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한다. 이후 검사자는 아이에게 그림 속 상황이나 인물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 그림 분석 과정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배치, 특정 구성원의 부재, 그림과 실제 모습의 일치 여부, 특정 신체 부위의 생략, 그림을 지운 흔적, 그림을 그린 위치 등 다양한 특징들이 주의 깊게 관찰되고 기록된다. 이러한 그림의 특징들은 아동의 심리 상태나 가족 관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아동 학대 징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KFD 그림의 해석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검사 이론과 구조에 익숙한 숙련된 전문가의 판단이 필수적이다. KFD는 마코버(Machover)가 개발한 인물화 검사나 벅(Buck)이 개발한 집-나무-사람(HTP) 기법과 같은 다른 심리 측정 투사 기법과 유사하다.
4. 2. 기타 활용
동적가족화(KFD)는 아동 학대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평가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다. KFD는 가족 그림 검사(Burns & Kaufman, 1972)를 확장한 것으로, 아이에게 가족 구성원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운동적 측면'이 특징이다.이 검사는 Machover가 개발한 인물화 검사나 Buck이 개발한 집-나무-사람(HTP) 기법과 같은 다른 심리 측정 투사 기법과 유사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