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키콩 (캐릭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키콩은 닌텐도에서 제작한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1981년, 닌텐도는 뽀빠이 만화를 기반으로 한 게임을 만들려다 실패 후, 새로운 캐릭터를 제작했다. 미야모토 시게루는 뽀빠이 만화의 삼각관계에서 영감을 받아 고릴라, 목수, 여자친구 간의 삼각관계 설정을 구상했으며, 미녀와 야수, 킹콩 등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동키콩은 여러 성우에 의해 목소리 연기되었으며, 일본판 성우는 야마데라 코이치, 나가사코 타카시, 한국판 성우는 박조호, 최석필, 김현수, 북미판 성우는 리처드 이어우드, 세스 로건이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키콩 - 디디콩
    붉은 조끼와 모자를 착용한 침팬지 디디콩은 2대 동키콩의 의동생으로, 꼼꼼하고 민첩하며 긴 꼬리, 피넛 팝 건, 배럴 제트 등의 능력으로 동키콩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에서 활약하는 인기 캐릭터이다.
  • 가공의 고릴라 - 조지 오브 정글
    1997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코미디 영화 조지 오브 정글은 브렌던 프레이저 주연으로, 정글에서 자란 야생 소년 조지가 문명 사회에 적응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 가공의 고릴라 - 마이티 조 영 (1949년 영화)
    소녀 질 영이 탄자니아에서 키운 거대한 고릴라 조 영이 할리우드 나이트클럽에서 공연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1949년 미국의 모험 영화 마이티 조 영은 윌리스 오브라이언의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특수 효과와 레이 해리하우젠의 참여, 아카데미 시각효과상 수상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실패했으며, 이후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 마리오 등장인물 - 키노피오
    키노피오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 처음 등장한 버섯 왕국의 주민으로, 붉은색 버섯 갓을 쓰고 피치 공주의 시종이나 다양한 직업으로 등장하며,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거의 모든 게임에 출연한다.
  • 마리오 등장인물 - 데이지 공주
    데이지 공주는 1989년 《슈퍼 마리오 랜드》에 처음 등장한 사라사 랜드의 공주로, 밝고 활발한 성격을 지닌 마리오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동키콩 (캐릭터)
기본 정보
동키콩 아케이드 게임의 모습
동키콩 아케이드 게임의 모습
첫 등장1981년 동키콩 (아케이드 게임)
제작사닌텐도
디자이너미야모토 시게루
성우크리스 서바인 (1999-2006)
그랜트 커클랜드 (2007-2011)
다카하시 레이코 (2013-현재)
모션 캡처세스 로건 (2023)
캐릭터 정보
종족
성별수컷
가족크랭키콩 (할아버지)
동키콩 주니어 (아버지)
디디콩 (파트너)
캔디콩 (여자친구)
펑키콩 (친구)
링크리콩 (사촌)
타이니콩 (사촌)
청키콩 (사촌)
킹 K. 롤
크레믈링 군단
티키 통 부족
스노매드 군단
크레이지 크리터
기술 및 능력
점프
구르기
땅울림
악기 연주
무기코코넛 총
붐박스
콩가 드럼
등장 작품동키콩 (1981)
동키콩 주니어 (1982)
동키콩 3 (1983)
동키콩 컨트리 (1994)
동키콩 랜드 (1995)
동키콩 컨트리 2: 디디의 콩 퀘스트 (1995)
동키콩 랜드 2 (1996)
동키콩 컨트리 3: 딕시의 콩 더블 트러블 (1996)
동키콩 랜드 3 (1997)
동키콩 64 (1999)
동키콩 컨트리 리턴즈 (2010)
동키콩 컨트리: 트로피컬 프리즈 (2014)
마리오 카트 시리즈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관련 인물마리오

2. 개념 및 제작

닌텐도미야모토 시게루뽀빠이 라이선스 획득에 실패하자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올리브 오일을 두고 블루토와 뽀빠이가 경쟁하는 구도에서 영감을 얻어, 고릴라, 목수, 여자친구 간의 삼각관계를 설정하였다.[1][2][3]

미야모토는 미녀와 야수, 1933년 영화 킹콩에서 영향을 받아 동키콩을 너무 악의적이지 않고 혐오스럽지 않은 주인공의 애완동물로 설정하였다.[4][5]

2. 1. 캐릭터 설정

미야모토 시게루는 뽀빠이, 블루토, 올리브 오일 간의 삼각관계를 모티브로 하여 고릴라/목수/여자친구 간의 삼각관계 설정을 구상하였다.[3] 미야모토는 미녀와 야수, 1933년 영화 킹콩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동키콩은 너무 악의적이거나 혐오스럽지 않은 주인공의 애완동물로 설정되었다.[4][5]

3. 성우

동키콩의 목소리 연기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성우들이 담당해왔다. 일본, 한국, 북미판 성우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일본: 애니메이션 및 광고는 야마데라 코이치, 게임 및 마리오 시리즈에서는 나가사코 타카시가 담당했다.
  • 한국: 애니메이션은 박조호, 닌텐도 3DS CF는 최석필,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영화에서는 김현수가 담당했다.
  • 북미: 애니메이션은 리처드 이어우드,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영화에서는 세스 로건이 담당했다.

3. 1. 일본판 성우

애니메이션 및 당시 광고는 야마데라 코이치가 담당했고, 게임판과 마리오 시리즈에서는 나가사코 타카시가 담당했다.[1]

3. 2. 한국판 성우

애니메이션판은 박조호가 맡았고, 닌텐도 3DS CF에서는 최석필이 담당했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영화에서는 김현수가 동키콩의 목소리를 연기했다.[2]

3. 3. 북미판 성우

애니메이션에서는 리처드 이어우드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영화에서는 세스 로건이 성우를 맡았다.

참조

[1] 서적 High Score!: The Illustrated History of Electronic Games New York: McGraw-Hill/Osborne
[2] 웹인용 Donkey Kong Was Originally A Popeye Game http://www.officialn[...] Official Nintendo Magazine 2009-11-25
[3] 서적 Power-up: How Japanese Video Games Gave the World an Extra Life https://archive.org/[...] BradyGAMES
[4] 서적 Game Over: Press Start to Continue: The Maturing of Mario GamePress
[5] 서적 Power-up: How Japanese Video Games Gave the World an Extra Life https://archive.org/[...] BradyGA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