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드코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드코시강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에베레스트산 산괴의 물을 빼는 강으로, 네팔 동부를 배수하는 코시강 수계에 속한다. 고쿄 호수 동쪽에서 발원하여 남체 바자르, 루클라를 지나 람딩 콜라와 합류하며, 이후 순코시강과 합류한다. 두드코시강은 급류와 높은 경사로 인해 카약 등 수상 스포츠가 어렵지만, 1970년대부터 여러 탐험대가 이 강에서 고도 기록을 세우는 등 도전을 이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강 - 바그마티강
    바그마티강은 네팔의 카트만두 계곡을 흐르며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힌두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카트만두 지역의 오염으로 환경 문제를 겪고 있다.
  • 네팔의 강 - 코시강
    코시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네팔과 인도를 거쳐 갠지스 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매년 홍수로 피해를 주고 수력 발전 잠재력이 풍부하며 힌두교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두드코시강
개요
두드 코시 계곡, 두드 코시 강 3, 네팔
위치네팔
발원지고쿄 호수 동쪽
발원지 좌표27.9347, 86.7094
합류 지점하르카푸르 근처 순 코시 강
합류 지점 좌표27.1494, 86.4333
하천 계코시 강
수문학
왼쪽 지류임자 콜라

2. 지리

네팔의 고쿄 호수 동쪽에서 발원하며,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 산괴에서 흘러나온 물이 주된 수원이다.[6] 이 강은 남쪽으로 흘러 남체 바자르 방향으로 향한다. 남쪽으로 계속 흐르면서 사가르마타 국립공원을 벗어나 루클라 서쪽을 지나간다. 수르캬(Surkya) 남서쪽에서는 람딩 콜라(Ramding Khola)가 합류하며, 강은 계속 남쪽으로 흘러 하르카푸르(Harkapur)에 이르러 순코시강과 만나 코시강을 형성한다.[8][9]

강물의 색은 빙하에서 녹아내린 물의 영향으로 우윳빛처럼 하얗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카약과 같은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다. 1976년, 마이크 존스(Mike Jones)가 이끄는 카누 탐험대가 처음으로 두드코시강에서 카약을 시도한 기록이 있다.

2. 1. 코시강 수계

코시강 또는 샙타 코시(Sapta Koshi)는 네팔 동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7개의 강이 합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샙타 코시라고도 불린다. 코시강 수계를 이루는 주요 7개의 강은 순코시강, 인다라바티강, 타마코시강, 두드 코시(Dudh Koshi), 아룬강, 타무르강, 그리고 리쿠강(Likhu Khola)이다.

두드코시강은 이 코시강 수계의 중요한 일부이다.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해발 8848m)의 고지대에서 발원하며, 높은 산의 눈과 빙하가 녹은 물이 강물의 주요 원천이 된다. 특히 건기에는 이 녹은 물이 두드코시강 유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3][4][5]

두드코시강은 남쪽으로 흘러 순코시강과 만나 코시강 본류를 이룬다. 이렇게 여러 강이 합쳐진 코시강은 남쪽으로 계속 흘러 차트라 협곡을 통과하며 산지에서 평야 지대로 나아간다.[6][7]

3. 카약 및 탐험

두드코시강은 에베레스트 산 지역에서 발원하는 강으로, 빙하가 녹아 흘러들어 우윳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강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급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빠르고 거센 물살과 험난한 지형 때문에 일반적인 수상 스포츠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극한의 도전을 추구하는 카약 탐험가들에게는 중요한 탐험 대상이 되어왔다. 과거부터 여러 탐험대가 높은 고도와 예측 불가능한 급류, 변화무쌍한 강의 환경 속에서 탐험을 시도했으며, 때로는 포티지(배를 들고 육지로 옮기는 것)를 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초기 탐험은 주로 강의 본류보다는 주변 지류에서 시작되었고, 완전한 종주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더 많은 구간 탐험이 가능해졌으나, 사가르마타 국립공원의 규제로 상류 접근은 제한되고 있다.

3. 1. 초기 탐험

강의 빛깔은 우윳빛처럼 하얗고 극심한 급류가 특징이어서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강하 경사는 5% 이상이며, 국제 하천 난이도 척도에 따라 WW VI 난이도에 도달하는 급류도 있어 아직 평가되지 않은 구간도 존재한다. 최고의 장비를 갖추고도 포티지(배를 들고 육지로 옮기는 것)를 해야 하는 곳도 있다. 또한 강은 종종 경로가 바뀌고, 큰 돌들이 자연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등 변화가 많다.

에베레스트 산에서 흘러내리는 이 강은 항해 가능한 급류 중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오스트리아 패들러들이 프랑스에서 해발 3200m 지점에서 세계 기록을 세운 이후, 월드컵에 참가하는 팀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선수들이 이 도전에 응하기로 결정했다. 14명의 체코인과 2명의 슬로바키아인으로 구성된 16명의 팀이 꾸려졌고, 1973년 1월 4일 체코의 Děhylov|데힐로프ces에서 차량(특히 30000km 이상 왕복해야 하는 맞춤형 Tatra 138 트럭)을 이용해 여정을 시작했다. 루클라에서 페리체까지 마지막 구간에서는 보트와 기타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110명의 현지 짐꾼이 고용되었다. 실제 강 탐험은 1973년 4월 1일, 페리체 근처 해발 4243m 지점에서 시작되어 순코시강(Sun Kosi) 합류점까지 126km를 내려갔다. 탐험대는 Vertex 브랜드의 덮개가 있는 탠덤 카누(C2)와 카약(K1)을 사용했으며, 모두 유리 섬유로 제작되었다. 탐험대는 같은 해 8월에 무사히 귀국했다.[10]

최초로 카약을 시도한 사람은 1976년 마이크 존스가 이끄는 영국 카누 탐험대였다. 7명의 카약커로 구성된 이 영국 원정대는 Pyranha Canoes가 특별히 설계한, 부력과 내구성을 강화한 길이 4m의 유리 섬유 슬라롬 스타일 카약을 사용했다. 이 탐험은 얼음을 피하고 수량이 많은 9월에 진행되었으며, 쿰부 빙하의 호수 중 한 곳에서 약 해발 5300m 지점에서 패들링을 시작하여 새로운 고도 기록을 세웠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11] 그러나 높은 수위는 단점이기도 했다. 많은 구간이 너무 위험하여 생략해야 했고, 그 결과 11척의 보트 중 단 두 척만이 순코시강 합류 지점까지 도달했다. 강의 어느 부분을 건너뛰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 강하는 일반적으로 불완전한 것으로 간주된다.[12] 다음 해, HTV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Dudh Kosi: Relentless River of Everest"가 공개되었는데, 이 영화로 인해 영국 탐험이 이 강에서의 첫 번째 탐험이었다는 오해가 퍼지기도 했다.

두 탐험 모두 실제로는 두드코시강 본류가 아닌, 쿰부 빙하에서 발원하여 페리체 주변을 흐르는 로부체(Lobuche) 강에서 시작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로부체 강은 페리체 바로 아래에서 임자콜라강과 합류하며, 이 합류된 강은 텡보체 아래에서 두드코시강과 만나기 전까지 약 10km를 더 흐른다.

그 이후, 다양한 종류의 보트 구조를 사용하여 이전에는 포티지해야 했던 일부 급류 구간을 운행하는 많은 탐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재는 사가르마타 국립공원 안팎의 규제가 강화되어 루클라 위의 상류 지역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

네팔의 두드코시강

3. 2. 현대의 탐험

강은 극심한 급류를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수상 스포츠에는 적합하지 않다. 강하 경사는 5% 이상이며, AWA에 의해 아직 평가되지 않았지만 WW VI 난이도에 달하는 급류가 있어 최고의 장비를 갖추고도 포티지(배를 들고 육지로 이동하는 것)가 필요한 구간이 있다. 또한 강은 종종 경로가 바뀌고 큰 돌들이 자연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등 변화가 심하다. 우윳빛 강물 색깔 때문에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도 좋은 환경은 아니다.

에베레스트산에서 흘러내리는 이 강은 항해 가능한 급류 중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오스트리아 패들러들이 프랑스에서 해발고도 3200m에서 세계 기록을 세운 이후, 월드컵에 참가하는 팀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선수들이 이 도전에 응하기로 결정했다. 14명의 체코인과 2명의 슬로바키아인으로 구성된 16명의 팀이 꾸려졌고, 1973년 1월 4일 Děhylov에서 출발하여 특별히 개조된 Tatra 138 트럭을 이용해 30000km 이상의 여정을 시작했다. Lukla에서 Pheriche까지 마지막 구간에서는 보트와 기타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110명의 짐꾼이 동원되었다. 실제 강 탐험은 1973년 4월 1일, Pheriche 근처 해발고도 4243m 지점에서 시작하여 Sun Kosi 강과의 합류점까지 126km를 내려갔다. 탐험대는 Vertex 브랜드의 덮개가 있는 탠덤 C2와 카약(K1)을 사용했으며, 모두 유리 섬유로 제작되었다. 탐험대는 같은 해 8월 무사히 귀국했다.[10]

3년 후인 1976년, 마이크 존스가 이끄는 7명의 카약커로 구성된 영국 원정대가 두드코시강을 찾았다. 이들은 Pyranha Canoes에서 특별히 설계한, 부력과 내구성을 강화한 4m 길이의 유리 섬유 슬라롬 스타일 카약을 사용했다. 이 원정은 얼음을 피하고 수량이 풍부한 9월에 진행되었으며, Khumbu 빙하의 호수 중 한 곳에서 약 해발고도 5300m에서 패들링을 시작하여 새로운 고도 기록을 세웠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11] 그러나 높은 수위는 단점이기도 했는데, 많은 구간이 너무 위험하여 생략해야 했고, 결국 11척의 보트 중 단 두 척만이 Sun Kosi 합류 지점까지 도달했다. 강의 어느 부분을 건너뛰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 탐험은 일반적으로 불완전한 강하로 간주된다.[12] 다음 해에는 HTV에서 "Dudh Kosi: Relentless River of Everest"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개되었는데, 이 영화로 인해 영국 원정이 두드코시강 최초의 탐험이었다는 오해가 퍼지기도 했다. 마이크 존스의 팀이 최초로 카약을 시도한 것은 사실이다.

두 원정 모두 실제로는 두드코시강 본류가 아닌, 쿰부 빙하에서 발원하여 Pheriche 주변을 흐르는 Lobuche 강에서 탐험을 시작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Lobuche 강은 Pheriche 바로 아래에서 Imja Khola와 합류하며, 이 합류된 강은 Tengboche 아래에서 두드코시강 본류와 만나기 전까지 약 10km를 더 흐른다.

그 이후로 다양한 종류의 보트 구조를 활용한 많은 원정대가 있었고, 이전에는 포티지해야 했던 일부 급류 구간을 운행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국립공원 안팎의 규제가 강화되어 Lukla 상류 지역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

4.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Energy officials lean towards Dudh Koshi Hydroelectric Project https://kathmandupos[...] 2019-07-23
[2] 웹사이트 Dudh Koshi https://www.abbeytre[...]
[3] 웹사이트 Commodity prices fall after Dudh Koshi bridge opens https://kathmandupos[...] 2019-07-23
[4] 웹사이트 Dudh Kosi River Expedition: Dudh Koshi River Nepal, Upper Dudh Koshi Expedition, River of Everest, River Expedition on the Himalayas, Kayak the Dudh Kosi, Raft down Dudh Koshi River Nepal http://www.raftnepal[...] 2019-07-23
[5] 간행물 Understanding the hydrological system dynamics of a glaciated alpine catchment in the Himalayan region using the J2000 hydrological model.
[6] 서적 Himalayan rivers, lakes and glaciers https://books.google[...] Indus 2010-05-14
[7] 서적 Himalayan snow and glaciers: associated environmental problems, progres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10-05-14
[8] 웹사이트 Sun Kosi River http://www.tigermoun[...] Tiger Mountain 2010-05-25
[9] 웹사이트 60 Top Dudh Koshi River Pictures, Photos and Images https://www.gettyima[...] 2019-07-23
[10] 웹사이트 Zapomenuté výpravy: Expedice Dudh-Kosi http://www.ceskatele[...]
[11] 웹사이트 Everest kayak http://www.nmmc.co.u[...]
[12] 웹사이트 Return to the Relentless River of Everest http://adventureb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