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마티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그마티강은 네팔 문명과 도시화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강으로, 카트만두 계곡을 포함한 지역을 흐른다. 히말라야 산맥 남쪽에서 발원하여 몬순 시기에 유량이 증가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고대 문헌에 언급되었다. 바그마티강은 순다리잘 근처에서 세 개의 하천이 합류하여 시작되며, 카트만두를 지나면서 여러 지류와 합류한다. 이 강은 파슈파티나트 사원 등 종교적으로 중요한 여러 사원과 성지를 지나며, 힌두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카트만두 지역의 오염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 문제를 겪고 있으며, 정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강 - 코시강
코시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네팔과 인도를 거쳐 갠지스 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매년 홍수로 피해를 주고 수력 발전 잠재력이 풍부하며 힌두교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네팔의 강 - 두드코시강
두드코시강은 에베레스트산에서 발원하여 쿰부 지역을 흐르는 네팔 코시강 수계의 주요 지류로, 우윳빛 강물로 유명하며 사가르마타 국립공원 내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카약 탐험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국립공원 지정으로 상류 지역 접근이 제한되어 환경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 비하르주의 강 - 갠지스강
갠지스강은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흐르는 힌두교의 성스러운 강으로, 히말라야에서 발원하여 벵골만으로 흘러가며 인도 문화와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수질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비하르주의 강 - 마하난다강
마하난다강은 네팔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인도, 방글라데시를 거쳐 갠지스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360km의 강이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한강
한강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강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져 한강 본류를 이루며, 총 514km의 길이를 가지며, 수운 교통로, 시민공원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바그마티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그마티강 |
현지 이름 (네와르어) | बागमती खुसी (바그마티 쿠시) |
다른 이름 | 바그마티 |
어원 | 불명 |
![]() | |
지리 | |
국가 | 네팔, 인도 |
주 | 바그마티 주, 마데시 주 |
도시 | 카트만두, 파탄 |
길이 | 586.3km |
수원 | 바그드와르 폭포, 바그드와르 (बाघद्वार, "호랑이 문") |
수원 위치 | 시바푸리, 순다리잘, 카트만두, 네팔 |
수원 좌표 | 27°46′16″N 85°25′38″E |
수원 고도 | 2740m |
하구 | 카말라강 합류점 |
하구 위치 | 자그모라, 비하르 주, 인도 |
하구 좌표 | 25°43′56.1″N 86°21′53.0″E |
유역 면적 | 불명 |
왼쪽 지류 | 마노하라, 마린 콜라, 라칸데이, 아드와라, 카말라 |
오른쪽 지류 | 랄바카이야, 비슈누마티 |
평균 유량 | 불명 |
최대 유량 | 16000m³/s |
유량 측정 위치 | 판데라 도반, 마카완푸르 구 |
기타 | |
과거 표기 | 바그마티 (Baghmati) |
2. 역사
바그마티강은 네팔 문명과 도시화의 근원으로 여겨진다.[1] 이 강은 Vinaya Pitaka에서 ''Vaggumuda'' (वग्गुमुदा|바그무다ne)와 ''Nandabagga''로 언급되었다.[1] Majjhima Nikaya의 ''Battha Suttanta''에서는 ''Bahumati'' (बाहुमति|바후마티ne)로 언급되었다.[1] 477년 비문에는 ''Bagvati parpradeshe'' (वाग्वति पारप्रदेशे|바그바티 파르프라데셰ne)로 묘사되었으며, 이후 Gopalraj Vanshavali에도 언급되었다.[1]
바그마티강의 유역은 서쪽의 간다키 유역과 동쪽의 코시 유역 사이에 있으며, 카트만두 계곡을 포함한다. 바그마티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약간 떨어진 남쪽에서 발원하며, 빙하의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강수량에 의존한다. 따라서 더운 계절(4월~6월 초)에는 유량이 매우 적고, 몬순 시즌(6월 중순~8월 중순)에 최고조에 달한다. 이러한 점에서 바그마티 강은 간다키 유역과 네팔 서쪽의 카르날리 유역 사이에 있는 (서) 랩티 강과 유사하다.
3. 지리
바그마티 강은 시바푸리 나가르준 국립공원에 있는 바그드와르 폭포(बाघद्वार|바그드와르|lit=호랑이 문ne)에서 세 개의 발원 하천이 합류하면서 시작된다. 이곳은 카트만두에서 북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여기서 바그마티 강은 넓고 급류이며 부유 고형물의 양이 많아 회색을 띤다. 강은 카트만두 계곡의 논밭을 지나 남서쪽으로 약 10km 흐른다.
파슈파티나트 사원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저항성 암석층이 흐름을 방해한다. 사원 너머로 강은 서쪽으로 흐르는 더 큰 모나하라 강과 합류할 때까지 남쪽으로 흐른 다음, 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카트만두 도심 지역에 진입한 후, 비교적 오염되지 않은 도비 콜라와 하수가 가득한 투쿠차 콜라와 같은 더 많은 지류가 유입된다. 그런 다음 강은 남쪽으로 굽어지고 비슈나마티 강이 테쿠 도반에서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비슈나마티 강은 바그마티 강의 수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6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에서 발원한다.
바그마티 강은 남쪽으로 흐르면서 많은 굴곡을 이루다가 카트만두 계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 닥신칼리 사원 단지 근처의 초바르 협곡으로 들어간다. 초바르 협곡은 마하바라트 산맥을 관통한다. 이 산맥은 높이가 2000m에서 3000m에 이르며, 네팔 전역의 "중간 언덕"의 남쪽 경계이자 네팔 문화와 인도 문화 및 언어 사이의 중요한 문화적 경계이자 주요 지질학적 특징이다. 바그마티 강은 테라이에 도달하기 전에 낮은 시발릭 언덕을 가로지른 다음, 바이르가니아에서 인도로 건너간다.
3. 1. 수원 및 상류
바그마티 강의 유역은 서쪽의 간다키 유역과 동쪽의 코시 유역 사이에 있으며, 카트만두 계곡을 포함한다. 바그마티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약간 떨어진 남쪽에서 발원한다. 빙하의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강수량에 의존하며, 더운 계절(4월~6월 초)에는 유량이 매우 적고, 몬순 시즌(6월 중순~8월 중순)에 최고조에 달한다.[2]
바그마티 강은 네팔 순다리잘 근처 시바푸리 나가르준 국립공원에 있는 바그드와르 폭포(बाघद्वार|lit=호랑이 문ne)에서 세 개의 발원 하천이 합류하면서 시작된다. 이곳에서는 호랑이 입 모양의 가고일을 통해 물이 흘러나온다.[2][3] 이곳은 카트만두에서 북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의 남쪽 가장자리에 있다. 이곳의 바그마티 강은 넓고 급류이며 부유 고형물의 양이 많아 회색을 띤다.[3] 강은 카트만두 계곡의 논밭을 지나 남서쪽으로 약 10km 흐른다.[3]
파슈파티나트 사원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저항성 암석층이 흐름을 방해한다.[3] 사원 너머로 강은 서쪽으로 흐르는 더 큰 모나하라 강과 합류할 때까지 남쪽으로 흐른 다음, 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카트만두 도심 지역에 진입한 후, 비교적 오염되지 않은[3] 도비 콜라[4]와 하수가 가득한 투쿠차 콜라와 같은 더 많은 지류가 유입된다.[3][5] 그런 다음 강은 남쪽으로 굽어지고 비슈나마티 강이 테쿠 도반에서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비슈나마티 강은 바그마티 강의 수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6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에서 발원한다.
3. 2. 카트만두 계곡
바그마티강의 유역은 서쪽의 간다키 유역과 동쪽의 코시 유역 사이에 있으며, 카트만두 계곡을 포함한다. 바그마티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약간 떨어진 남쪽에서 발원하며 빙하의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강수량에 의존한다. 4월부터 6월 초까지는 유량이 매우 적고, 6월 중순부터 8월 중순의 몬순 시즌에는 최고조에 달한다.
바그마티 강은 네팔 순다리잘 근처 시바푸리 나가르준 국립공원에 위치한 바그드와르 폭포(बाघद्वार|바그드와르|lit=호랑이 문ne)에서 세 개의 발원 하천이 합류하여 시작된다. 이곳에서는 호랑이 입 모양의 가고일을 통해 물이 흘러 나온다.[2][3] 이곳은 카트만두에서 북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여기서 바그마티 강은 넓고 급류이며 부유 고형물의 양이 많아 회색을 띤다.[3] 강은 카트만두 계곡의 논밭을 지나 남서쪽으로 약 10km 흐른다.[3]
파슈파티나트 사원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저항성 암석층이 흐름을 방해한다.[3] 사원 너머로 강은 서쪽으로 흐르는 더 큰 모나하라 강과 합류할 때까지 남쪽으로 흐른 다음, 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카트만두 도심 지역에 진입한 후, 비교적 오염되지 않은[3] 도비 콜라와 하수가 가득한 투쿠차 콜라와 같은 더 많은 지류가 유입된다.[3][5] 그런 다음 강은 남쪽으로 굽어지고 비슈나마티 강이 테쿠 도반에서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비슈나마티 강은 바그마티 강의 수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6km 떨어진 시바푸리 언덕에서 발원하며, 나가르준 언덕, 스바얌부 스투파, 두르바르 광장을 지나 남쪽으로 흐른다. 이 지류는 카트만두 중심부를 지나면서 심하게 오염되고 쓰레기로 가득 찬다.
바그마티 강은 남쪽으로 흐르면서 많은 굴곡을 이루다가 카트만두 계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 닥신칼리 사원 단지 근처의 초바르 협곡으로 들어간다. 초바르 협곡은 마하바라트 산맥을 관통한다.
3. 3. 하류
바그마티 강은 카트만두 계곡을 포함하여 서쪽의 간다키 유역과 동쪽의 코시 유역 사이에 위치한다. 바그마티 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약간 떨어진 남쪽에서 발원하며, 빙하의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강수량에 의존한다. 따라서 더운 계절(4월~6월 초)에는 유량이 매우 적고, 몬순 시즌(6월 중순~8월 중순)에 최고조에 달한다.
바그마티 강은 남쪽으로 흐르면서 많은 굴곡을 이루다가 카트만두 계곡 가장자리에 도달하여 닥신칼리 사원 단지 근처의 초바르 협곡으로 들어간다. 초바르 협곡은 마하바라트 산맥을 관통한다. 이 산맥은 높이가 2000m에서 3000m에 이르며, 네팔 전역의 "중간 언덕"의 남쪽 경계이자 네팔 문화와 인도 문화 및 언어 사이의 중요한 문화적 경계이자 주요 지질학적 특징이다. 바그마티 강은 테라이에 도달하기 전에 낮은 시발릭 언덕을 가로지른 다음, 바이르가니아에서 인도로 건너간다. 이 강은 비하르주의 다르방가, 시타마르히, 셰오하르, 무자파르푸르 및 카가리아 지역을 가로질러 흐른다. 사마스티푸르의 자그모하라 마을에서 카말라 강과 만난다. 그러나 과거에는 다른 경로를 통해 갠지스 강으로 직접 흘러 들어갔다. 스칸다 푸라나의 ''스와스타니 브라타카타''에 따르면, 바그마티 강의 현재 북쪽 지류는 간다키 강의 지류였던 살리강이라는 주요 수로로 여겨졌으며, 현재의 살리강인 모나하라 강이 합류 지점에서 바그마티 강보다 더 크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4. 환경 오염
바그마티강은 정화되지 않은 하수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심하게 오염되었는데, 이는 주로 이 지역의 많은 인구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트만두의 많은 주민들은 개인 쓰레기와 폐기물을 강에 버린다.[6] 특히 하누만테 콜라, 도비 콜라, 투쿠차 콜라, 비슈누마티가 가장 오염이 심하다.[5] 바그마티강 시스템을 감시하고 깨끗하게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오염 부하 수정, 유량 증가 및 중요한 위치에 보 설치"가 포함된다.
2013년 5월 18일, 당시 수석 비서관이었던 릴라 마니 파우디얄의 주도로 바그마티 메가 정화 캠페인이 시작되었다.[7] 매주 토요일, 네팔 육군과 네팔 경찰 인력들이 일반 시민들과 함께 강에서 쓰레기와 하수를 청소하고 있다.
5. 홍수
바그마티 강은 대부분 지역에 홍수 피해를 주지 않지만, 비하르 테라이 지역과 북부 지역 주민들에게는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이 강으로 인한 최악의 피해는 1993년에 발생했다. 열악한 수자원 관리, 적절한 기상 예보 및 인식 부족이 대규모 피해의 주요 원인이었다.[8]
6. 종교적 중요성
바그마티강은 네팔에서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힌두교와 불교 경전에 여러 이름으로 등장하며, 강가에는 수많은 사원과 성지가 있다. 강은 Vinaya Pitaka에서 ''Vaggumuda'' (वग्गुमुदा|바구무다ne) 등으로 언급되었다.[1]
6. 1. 주요 사원 및 성지
바그마티강은 네팔 문명과 도시화의 근원으로 여겨진다.[1] 이 강은 Vinaya Pitaka에서 ''Vaggumuda'' (वग्गुमुदा|바구무다ne)로, 그리고 ''Nandabagga''로 언급되었다.[1] 또한 Majjhima Nikaya의 ''Battha Suttanta''에서 ''Bahumati'' (बाहुमति|바후마티ne)로 언급되었다.[1] 서기 477년의 비문은 이 강을 ''Bagvati parpradeshe'' (वाग्वति पारप्रदेशे|바그바티 파르프라데셰ne)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후 Gopalraj Vanshavali에서도 언급되었다.[1]
- '''고카르네스와르''' - 고카르네스와르 마하데브 사원은 1582년에 지어졌으며 바그마티 강둑에 있다. 8월 말이나 9월 초에 사람들은 이 사원에 가서 목욕하고, 살아있거나 죽은 아버지들을 기리기 위해 고카르나 아운시라고도 알려진 "쿠세 아운시" (아버지의 영원한 평화를 위해 숭배) 날에 공물을 바친다.
- '''구예스와리 사원''' - 파슈파티나트 사원에서 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바그마티 강둑에 있는 구예스와리 데비 사원이다. 사원의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단어 ''구야''(비밀)와 ''이슈와리''(여신)에서 유래되었다. ''라리타 사하스라나마''에서 여신의 707번째 이름은 구야루피니(Guhyarupini, 여신의 형태는 인간의 지각을 넘어선 비밀)로 언급된다. (또 다른 주장은 쇼다시 만트라의 비밀 16번째 음절이라는 것이다) (LS 137절: ''사라스바티 샤스트라 마야이| 구암바 구야루피니||''). 시바가 사티 데비의 시신을 가지고 슬픔 속에 세상을 돌아다닐 때, 그녀의 시신 일부가 여러 지역에 떨어졌다고 한다.
- '''파슈파티나트 사원''' - 카트만두 북쪽 강둑 위에 세워진 파슈파티나트 사원은 시바에게 헌정되었으며, 힌두교의 성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3]
- '''코테스와르 마하데브''' - 코테스와르에 있는 코테스와르 마하데브 사원 역시 바그마티 강둑에 위치한 주요 성지이다. 한 인기 있는 전설에 따르면 이곳의 시바 링감은 64개의 신성한 시바 링감 중 하나라고 한다.
- '''샹크물''' - 코테스와르 마하데브 사원 근처에는 샹크물이라고 알려진 곳이 있다. 샹크물은 카트만두 계곡의 역사와 전설을 기록한 수많은 연대기에 정의된 카트만두 계곡의 12개의 "가장 신성한" 합류 지점 중 하나이다. 샹크물에서는 파슈파티나트 사원 단지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바그마티 강과 마노하라 강을 포함하여 계곡 동쪽에서 흐르는 모든 강이 합류한다.
- '''칼모찬 사원''' - 힌두교의 신인 파괴자 비슈누에게 헌정된 칼모찬 사원은 바그마티 강둑에 있는 타파탈리 두르바르 단지의 일부였다. 18세기 초에 지어졌다. 이 사원은 정 바하두르 라나가 무굴 카트만두-고딕 건축 양식으로 지었으며, 무굴 미술과 네팔 미술을 가지고 있다. ''장가 히라냐 헴나라얀 만디르''라고도 불리며, 타파탈리의 칼모찬 가트에 위치해 있다.
- '''트리푸레슈워르 사원''' - 칼모찬 가트 근처의 트리푸레슈워르 마하데브 사원은 카트만두 계곡에서 가장 큰 사원으로, 라리트 트리푸라 순다리 데비가 19세기(약 1875년 B.S.)에 지었다. 3개의 지붕이 있는데, 위 두 개는 금속으로, 아래 하나는 구운 테라코타로 만들어졌으며, 높은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다.[9] 이 사원은 그녀의 남편인 라나 바하두르 샤 왕을 그의 영원한 행복과 국가의 선의를 위해 세워졌다. 아마도 계단식 양식의 마지막 주요 사원이었을 것이다.[10]
- '''파찰리 바이라브''' - 리차비 왕 구나카마데바 (서기 924–1008)에 의해 세워졌으며, 이 신은 바그마티 강둑에 위치한 바이라브 축제와 도시를 세운 것으로 알려진 구나카마데바 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테쿠 도반''' - 카트만두 계곡의 12개의 신성한 ''티르타'' 중 하나로, 바그마티 강과 비슈누마티 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얀 티르타''를 따라 있는 가트는 의식적인 목욕과 강 근처의 화장을 위한 장소이다.
- '''잘 비나야크 사원''' - 초바르에 위치한 잘 비나야크 사원은 가네쉬의 사원이다. 잘 비나야크 사원은 카트만두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가네쉬 사원 중 하나이며, 카트만두 계곡의 4개의 ''비나야크'' 사원 중 하나이다.
참조
[1]
논문
नेपाली वास्तु र वास्तुग्रन्थको संक्षिप्त परिचय
http://himalaya.soca[...]
Ancient Nepal
[2]
서적
Living Martyrs: Individuals and Revolution in Nepal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
문서
1977
[4]
지도
Map of Kathmandu
http://www.lib.utex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85
[5]
문서
2007
[6]
문서
1977
[7]
웹사이트
Bagmati Cleanup Mega Campaign: A massive effort of volunteerism
https://theannapurna[...]
2024-05-16
[8]
간행물
Lessons from the Extreme Floods in South Central Nepal in 1993
http://www.riob.org/[...]
International Network of Basin Organizations
2002-05
[9]
웹사이트
Tripureshwor Mahadev Temple
https://naya.com.np/[...]
[10]
웹사이트
TRIPURESHWOR MAHADEV त्रिपुरेश्वर महादेव
http://www.rajunepal[...]
[11]
백과사전
パタン ぱたん Patan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