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목어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목어목은 등목어아목, 가물치아목, 아시아낙엽고기아목으로 구성되며, 2개의 아목과 5개의 과를 포함하는 물고기 분류군이다. 2016년 현재, 등목어목의 계통 분류는 연구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아시아낙엽고기과(Nandoidei)를 등목어목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목어목 - 키싱구라미
    키싱구라미는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입맞춤처럼 보이는 행동으로 유명한 관상어이자 식용 물고기이다.
등목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등목어 (Anabas testudineus)
등목어 (Anabas testudineus)
학명Anabantiformes
학명 명명자Li, Dettaï, Cruaud, Couloux, Desoutter-Meniger & Lecointre, 2009
이명Labyrinthici (Cuvier & Valenciennes, 1828)
모식종등목어 (Anabas testudineus)
모식종 명명자(Bloch, 1792)
분류
하위 분류본문 참조

2. 하위 과


  • 등목어아목 (Anabantoidei) 베르크, 1940[3][11][12][6][2][13]
  • * Anabantidae 보나파르트, 1831
  • ** ''Anabas'' (클로케, 1816)
  • ** ''Ctenopoma'' (페터스, 1844)
  • ** ''Microctenopoma'' (노리스, 1995)
  • ** ''Sandelia'' (카스텔노, 1861)
  • * Helostomatidae 길, 1872
  • ** ''Helostoma'' (퀴비에, 1829)
  • * Osphronemidae 반 데르 후번, 1832
  • ** 아과 Belontiinae 리엠, 1962

''Belontia'' (마이어스, 1923)

  • ** 아과 Osphroneminae (반 데르 후번, 1832)

''Osphronemus'' (라세페드, 1801)

  • ** 아과 Luciocephalinae 블리커, 1852

''Luciocephalus'' (블리커, 1851)
''Sphaerichthys'' (카네스트리니, 1860)
''Ctenops'' (매클렐랜드, 1845)
''Parasphaerichthys'' (프라샤드 & 무케르지, 1929)

  • ** 아과 Macropodusinae 호에데만, 1948

''Trichogaster'' (블로흐 & 슈나이더, 1801)
''Trichopodus'' (라세페드, 1801)
''Betta'' (블리커, 1850)
''Parosphromenus'' (블리커, 1877)
''Macropodus'' (라세페드, 1801)
''Malpulutta'' (데라니야갈라, 1937)
''Pseudosphromenus'' (블리커, 1879)
''Trichopsis'' (카네스트리니, 1860)

3. 계통 분류

등목어목의 계통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세부적인 분류 체계에는 일부 차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극기류 내에서 드렁허리목과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16]

대표적인 계통 분류 연구로는 리카르도 베탕쿠르-R(Ricardo Betancur-R.) 등의 연구[17][18]와 콜린스(Collins) 등의 연구[6]가 있다. 이들 연구는 등목어목을 구성하는 아목과 과의 분류, 그리고 다른 목과의 관계를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연구 관점에 따라 등목어아목(Anabantoidei)과 가물치아목(Channoidei) 외에 아시아낙엽고기아목(Nandoidei)을 등목어목의 하위 분류로 포함시키기도 한다.[6][17][18] 등목어목의 구체적인 하위 분류와 계통 관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2016년 계통 분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극기류 내에서 등목어목은 드렁허리목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이 두 목은 전갱이류, 오발렌타리아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등 다른 분류군들과 단계적으로 분기된 것으로 나타난다.[16]

리카르도 베탕쿠르-R(Ricardo Betancur-R.) 등의 2016년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등목어목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17][18]

  • 등목어목 (Anabantiformes)
  • * 등목어아목 (Anabantoidei): 등목어과 (Anabantidae), 헬로스토마과 (Helostomatidae), 버들붕어과 (Osphronemidae) 포함.
  • * 가물치아목 (Channoidei): 가물치과 (Channidae) 포함.
  • * 아시아낙엽고기아목 (Nandoidei): 프리스톨렙피스과 (Pristolepididae), 바디스과 (Badidae), 아시아낙엽고기과 (Nandidae) 포함. (일부 연구에서는 별도의 목(Nandiformes)으로 분류)


이 연구에서는 등목어목이 드렁허리목 (Synbranchiformes)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고 본다. 드렁허리목은 걸장어아목(Mastacembeloidei), 드렁허리아목(Synbranchoidei), 인도스토무스아목(Indostomoidei)으로 나뉜다.

등목어목의 상세 분류는 다음과 같다.[3][11][12][6][2][13]

  • 등목어아목 (Anabantoidei)
  • * 등목어과 (Anabantidae)
  • ** ''Anabas''
  • ** ''Ctenopoma''
  • ** ''Microctenopoma''
  • ** ''Sandelia''
  • * 헬로스토마과 (Helostomatidae)
  • ** ''Helostoma''
  • * 버들붕어과 (Osphronemidae)
  • ** 벨론티아아과 (Belontiinae)

''Belontia''

  • ** 오스프로네무스아과 (Osphroneminae)

''Osphronemus''

  • ** 루키오케팔루스아과 (Luciocephalinae)

''Luciocephalus''
''Sphaerichthys''
''Ctenops''
''Parasphaerichthys''

  • ** 버들붕어아과 (Macropodusinae)

''Trichogaster''
''Trichopodus''
''Betta''
''Parosphromenus''
''Macropodus''
''Malpulutta''
''Pseudosphromenus''
''Trichopsis''

  • 가물치아목 (Channoidei)
  • * 아이니그마칸나과 (Aenigmachannidae)
  • ** ''Aenigmachanna''[13]
  • * 가물치과 (Channidae)
  • **''Parachanna''
  • **''Channa''


콜린스(Collins) 등(2015)의 연구에서는 아시아낙엽고기아목(Nandoidei)을 등목어목 내에 포함시키며, 과들의 계통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기도 한다.[6]

  • '''등목어목''' (Anabantiformes)
  • * 아시아낙엽고기아목 (Nandoidei)
  • ** 프리스톨렙피스과 (Pristolepididae)
  • ** 바디스과 (Badidae)
  • ** 아시아낙엽고기과 (Nandidae)
    난두스 난두스
  • * 가물치아목 (Channoidei)
  • ** 가물치과 (Channidae)
    가물치
  • ** 아이니그마칸나과 (Aenigmachannidae)
  • * 등목어아목 (Anabantoidei)
  • ** 등목어과 (Anabantidae)
    아나바스 테스투디네우스
  • ** 헬로스토마과 (Helostomatidae)
    키싱구라미
  • ** 버들붕어과 (Osphronemidae)
    버들붕어

3. 2.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7][18]
등목어과
헬로스토마과
버들붕어과

  • ** 가물치아목

가물치과

  • ** 아시아낙엽고기아목

프리스톨렙피스과
바디스과
아시아낙엽고기과
걸장어과
카우드후리아과

  • ** 드렁허리아목

드렁허리과

  • ** 인도스토무스아목

인도스토무스과

3. 3. Collins 등(2015)의 계통 분류

Collins 등(2015)의 연구에 따르면, 난도이아목(Nandoidei)을 포함시킨 등목어목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6] 이 분류 체계에서 등목어목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

  • 난도이아목 (Nandoidei): 이 그룹 내에서는 프리스톨레피스과(Pristolepididae)가 가장 기초적인 분기군이며, 바디과(Badidae)와 난디과(Nandidae)가 서로 가까운 관계(자매군)를 형성한다.

  • 가물치아목 (Channoidei): 가물치과(Channidae)와 아이니그마찬나과(Aenigmachannidae)로 구성된다. 이 아목은 아래의 등목어아목과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

  • 등목어아목 (Anabantoidei): 이 그룹 내에서는 등목어과(Anabantidae)가 가장 먼저 분기하였고, 헬로스토마과(Helostomatidae)와 버들붕어과(Osphronemidae)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참조

[1] 논문 RNF213, a new nuclear marker for acanthomorph phylogeny https://www.scienced[...] 2009-02-01
[2]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7-07-11
[3] 레코드 Anabas 2019-12-11
[4] 웹사이트 Labyrinth https://www.thespruc[...] 2022-01-16
[5]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Wiley 2019-12-08
[6]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of leaffishes (Teleostei: Polycentridae, Nandidae).
[7] 서적 Labyrinth Fish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8] 논문 A Fossil Gourami (teleostei, Anabantoidei) from Probable Eocene Deposits of the Ombilin Basin, Sumatra, Indonesia https://www.jstor.or[...] 2015
[9] 간행물 Diseases of Giant Gourami, Osphronemus goramy (Lacepede) http://www.fisheries[...] 2007-01-06
[10] 웹사이트 Trichogaster trichopterus http://filaman.ifm-g[...] FishBase 2006-12-23
[1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12] 서적 The comparative osteology and phylogeny of the Anabantoidei (Teleostei, Pisces) Urbana,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3] 논문 The subterranean Aenigmachanna gollum , a new genus and species of snakehead (Teleostei: Channidae) from Kerala, South India https://biotaxa.org/[...] 2019-05-09
[14]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2020-05-27
[15]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of leaffishes (Teleostei: Polycentridae, Nandidae). http://rupertcollins[...] 2020-05-27
[16]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20-03-12
[17] 논문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04-18
[18]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3 http://www.deepf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