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왕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왕각은 중국 장시성 난창에 위치한 누각으로, 653년 당나라 시대에 이원영에 의해 처음 건립되었다. 왕발의 《등왕각 서》로 유명해졌으며, 전란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반복하여 현재는 1989년에 재건된 29번째 건물이다. 현재의 등왕각은 량쓰청의 설계로 건설되었으며, 난창의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등왕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중국어 간체 | 滕王阁 |
중국어 번체 | 滕王閣 |
병음 | Téngwáng Gé |
표준중국어 (IPAc-cmn) | /tʰə́ŋ wǎŋ kɤ̌/ |
우어 | Tàhng-wòhng gok |
광둥어 | Tang4 Wong4 Gok3 |
광둥어 (IPAc-yue) | /tʰɐŋ⁴ wɔŋ⁴ kɔk³/ |
한국어 (음독) | 등왕각 (滕王閣) |
일반 정보 | |
위치 | 중국장시성난창시 |
국가 중요 풍경 명승구 목록 | |
지정 번호 | 제5차 |
지정일 | 2004년 1월 13일 |
문화관광부 평가 | |
평가 | 4A급 풍경구 |
평가일 | 2021년 7월 22일 |
2. 역사
등왕각은 653년(영휘 4년) 당나라 때 건립된 이후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다. 왕보의 명작 ''등왕각서''로 인해 소실될 때마다 재건되었다.[1] 청나라 동치제 시대에 28번째 재건되었으나, 1929년 군벌 간 전쟁으로 파괴되었다.[2] 현재의 등왕각은 1989년에 29번째로 재건된 것이다.
등왕각의 파괴와 재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2. 1. 건립과 왕발의 등왕각서
653년(영휘 4년) 당나라 때 이 땅에 봉해진 이원영(당 고조의 22번째 아들)이 처음 건립하였다.[1] 그는 처음 등현(현재의 산둥성 등주시)에 봉해졌기 때문에 '등왕'으로 불렸고, 이 때문에 '등왕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639년 등왕에 봉해진 이원영은 초년에 쑤저우에서 보냈고, 652년 난창의 지사가 되면서 등왕각을 자신의 저택으로 사용하였다. 등왕각은 중국 남부의 유일한 현존하는 왕실 건축물이다. 20년 후, 새 지사가 건물을 재건하였고, 완공 후 지역 지식인들이 모여 산문과 시를 지었다. 이 중 왕보의 ''등왕각서''가 가장 유명하며, 이 작품으로 등왕각은 중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상원 2년(675년) 9월, 왕발은 교지 (현재 베트남 하노이 부근)로 좌천된 아버지 왕복치를 문병하던 중, 이곳에서 열린 연회에 초대받아 "등왕각서"(변문)와 "등왕각"(칠언 고시)을 지었다.
남송 말 원 초, 간강의 하도가 동쪽으로 옮겨가면서 누각 터가 강으로 무너져 내렸다. 이후 등왕각은 남창성 서쪽 성벽이나 장강문 밖에서 재건되었다.
2. 2. 잦은 파괴와 재건
등왕각은 당나라 때인 653년(영휘 4년)에 처음 건립된 이후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다.[1] 청나라 동치제 시대에 28번째 재건이 이루어졌으나, 1929년 군벌 간의 전쟁으로 파괴되었다.[2] 현재의 등왕각은 1989년에 29번째로 재건된 것이다.등왕각의 파괴와 재건 역사는 아래 표와 같다.[3]
연도 | 사건 |
---|---|
653년 | 이원영에 의해 건축됨. |
675년 | 재건축. |
790년 | 재건축. |
820년 | 재건축. |
848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108년 | 재건축. 주요 정자 북쪽과 남쪽에 작은 구조물 추가. 북쪽 구조물은 "취취정", 남쪽 구조물은 "압강정"으로 명명됨. |
1294년 | 전쟁 중 여러 번 손상된 후 성벽 위에 배치. |
1336년 | 1334년에 재건축 시작하여 1336년에 완공. |
1436년 | 강에 잠긴 후 재건축. "영은당"으로 개명. |
1452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서강제일루"로 개명. |
1468년 | 붕괴 후 재건축. 원래 이름 복원. |
1527년 | 진호의 난 때 파괴된 후 재건축. |
1599년 | 붕괴 직전 상태가 된 후 재건축. |
1616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634년 | 1633년에 재건축 시작하여 이듬해 완공. |
1648년 | 명 장군이 진격하는 청 군대에 맞서 안전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주변 지역에 불을 지르면서 화재 발생, 파괴됨. |
1654년 | 재건축. |
1679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682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685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702년 | 재건축. |
1706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731년 | 화재로 파괴. |
1736년 | 재건축. |
1743년 | 재건축 및 다시 "서강제일루"로 개명. |
1788년 | 붕괴 후 재건축. |
1805년 | 재건축. |
1812년 | 재건축. |
1847년 | 여러 번의 화재 후 두 번 재건축. |
1853년 | 태평천국의 난 공격 중 난창의 많은 부분이 3일간의 화재로 파괴됨. |
1873년 | 1872년에 재건축 시작하여 이듬해 완공. |
1909년 | 화재로 파괴된 후 재건축. |
1926년 | 북벌군이 난창을 공격했을 때 수비군에 의해 파괴됨. |
1935년 | 일본의 침략으로 재건축 시도 중단. |
1985년 | 재건축. |
1991년 | 작은 건물인 "취취정"과 "압강정" 복원. |
2. 3. 현대의 등왕각
1929년 군벌 간의 전쟁으로 파괴되어 방치되었던 등왕각은 1989년에 재건되어 29번째 재건을 맞이하였다. 현재의 등왕각은 건축가 량쓰청의 설계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송나라 양식으로 장식되었으며, 1989년 10월 8일에 완공되어 난창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높이는 57.5m이며 9층 건물로, 전체 면적은 13000m2이다.등왕각은 높이 12m의 콘크리트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파괴된 고대 성벽을 상징한다. 입구에는 마오쩌둥의 서예 작품인 「」(지는 노을과 외로운 기러기가 함께 날고, 가을 물과 드넓은 하늘이 한 색깔이다.)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스틸 현판이 있으며, 이는 ''등왕각 서문''에서 인용한 구절이다.
1989년에 함께 건설된 정원은 등왕각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등왕각 내부에는 시대 음악 공연을 상연하는 극장과 재현된 고대 악기 전시, 식당, 기념품 가게 등이 있으며, 주변 거리는 등왕각 양식에 맞춰 설계되어 난창의 골동품 거래 중심지가 되었다.
3. 건축
현재의 등왕각은 1989년 10월 8일에 량쓰청의 설계에 따라 완공되었다.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지만 송나라 양식으로 장식되었다. 건물은 높이 12m의 콘크리트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현재는 파괴된 고대 성벽을 상징한다. 1989년에 함께 건설된 정원은 관광 명소로 사용되며, 시대 음악 공연을 상연하는 극장과 재현된 고대 악기 전시, 식당, 기념품 가게 등이 있다. 등왕각 주변 거리는 등왕각 양식에 맞춰 설계되어 난창의 골동품 거래 중심지가 되었다.
3. 1. 구조
현재의 등왕각은 건축가 량쓰청의 설계에 따라 1989년 10월 8일에 완공되었으며, 난창의 랜드마크이다.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지만, 송나라 양식으로 장식되었다. 높이는 57.5m, 9층 건물로 전체 면적은 13000m2이다.건물은 높이 12m의 콘크리트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현재는 파괴된 고대 성벽을 상징한다. 입구에는 마오쩌둥의 서예 작품인 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스틸 현판이 있다. 이는 ''등왕각 서문''에서 인용한 구절이다.
1989년에 함께 건설된 정원은 주로 관광 명소로 사용된다. 내부 장식 외에도 시대 음악 공연을 상연하는 극장과 재현된 고대 악기 전시 등이 볼거리이다. 식당과 기념품 가게도 있으며, 등왕각 주변 거리는 등왕각의 양식에 맞춰 설계되어 난창의 골동품 거래 중심지가 되었다.
3. 2. 장식
현재의 등왕각은 량쓰청의 설계에 따라 1989년 10월 8일에 완공되었으며, 난창의 랜드마크이다.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지만, 송나라 양식으로 장식되었다. 높이는 57.5m, 9층 건물로 전체 면적은 13000m2이다.건물은 높이 12m의 콘크리트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현재는 파괴된 고대 성벽을 상징한다. 입구에는 마오쩌둥의 서예 작품인 가 새겨진 스테인리스 스틸 현판이 있다. 이는 ''등왕각 서문''에서 인용한 구절이다.
1989년에 함께 건설된 정원은 주로 관광 명소로 사용된다. 내부 장식 외에도 시대 음악 공연을 상연하는 극장과 재현된 고대 악기 전시 등이 볼거리로 제공되며, 식당과 기념품 가게도 있다. 등왕각 주변 거리는 등왕각의 양식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난창의 골동품 거래 중심지가 되었다.
4. 문화적 영향
등왕각은 《등왕각서》를 통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 결과, 후세에 웅장한 건축물의 한 예로서 거의 전설적인 지위를 부여받았다. 자금성이 건설되었을 때, 그 모서리 누각은 송나라 시대 그림에 묘사된 등왕각과 황학루를 모방하여 지어졌다. (이상하게도, 현존하는 그림에서 두 누각은 동일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 독특한 구조의 모서리 누각은 자금성의 가장 가치 있는 건축 보물 중 일부로 남아 있다. 등왕각은 중국 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매우 높이 평가받았으며, 고대 도서관으로도 사용되어 수많은 귀중한 경전과 시를 보관했다.
당나라 영휘 4년(653년) 당시 홍주 도독이었던 이원영 (당 고조 이연의 스물두 번째 아들)에 의해 홍주성 서문 "장강문"의 북서쪽, 간강 동쪽에 창건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이원영이 등왕에 봉해진 데서 유래한다.
상원 2년(675년) 9월, 당나라 시인 왕발이 당시 교지 (현재 베트남 하노이 부근)로 좌천된 아버지 왕복치를 문병하던 중, 이곳에서 열린 연회에 초대받아 명작 "등왕각서"(변문)와 "등왕각"(칠언 고시)을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5. 현대적 활용
현재의 등왕각은 건축가 량쓰청의 설계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1989년 10월 8일에 완공되었다. 현재 난창의 랜드마크이다.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지만, 송나라 양식으로 장식되었다. 높이는 57.5m이며 9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전체 면적은 13000m2이다.
건물은 높이 12m의 콘크리트 플랫폼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현재는 파괴된 고대 성벽을 상징한다. 입구의 스테인리스 스틸 현판에는 마오쩌둥의 서예 작품인 가 새겨져 있다. 이는 ''등왕각 서문''에서 인용한 구절이다.[1]
정원 또한 1989년에 건설되었다. 건물은 주로 관광 명소로 사용된다. 내부 장식 외에도 시대 음악 공연을 상연하는 극장과 재현된 고대 악기 전시 등이 볼거리로 제공된다. 식당과 기념품 가게도 있다. 등왕각 주변의 거리는 등왕각의 양식에 맞춰 설계되었다. 이 지역은 난창의 골동품 거래의 중심지가 되었다.[1]
참조
[1]
문서
Wang
[2]
문서
Wang
[3]
문서
Wang
[4]
웹사이트
国务院关于发布第五批国家重点风景名胜区名单的通知 国函〔2004〕5号
http://www.gov.cn/zw[...]
중화인민공화국중앙인민정부
2023-02-05
[5]
웹사이트
江西省南昌市滕王阁旅游区
https://www.mct.gov.[...]
중화인민공화국문화관광부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