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딕 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딕 리는 싱가포르의 패션 디자이너, 가수, 작곡가, 작가, 음악 프로듀서, 사업가이다. 1974년 앨범 '라이프 스토리'로 데뷔했으며, '매드 차이나맨' 앨범으로 지역적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아시아적인 요소를 팝 음악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뮤지컬 '뷰티 월드', '푸테리 구눙 레당' 등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다. 2005년 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싱가포르 국경일 퍼레이드 주제가를 작곡하는 등 싱가포르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남자 가수 - 펑웨이중
    펑웨이중은 1990년 싱가포르에서 태어나 배우로 활동했으며, 2014년 감독으로 데뷔하고 2015년 싱글을 발매했으나, 2019년 군 복무 중 사고로 사망했다.
  • 싱가포르의 남자 가수 - 임준걸
    임준걸은 싱가포르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사업가이며, 2003년 데뷔하여 중국어권 음악 시장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작곡 및 가창 실력으로 인정받았고, 금곡상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이연걸
    이연걸은 중국 무술 국가대표 5연패의 전설적인 무술가 출신 배우로, 영화 《소림사》 데뷔 후 《황비홍》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액션 스타로 발돋움했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에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중국계 싱가포르인 - 로런스 웡
    로런스 웡은 2024년 5월 15일부터 싱가포르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경제학과 공공행정을 전공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 여러 부처를 거쳐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장관직을 수행, 2022년 부총리에 임명된 후 2024년 싱가포르의 총리가 되었다.
  • 1956년 출생 - 조대환
    조대환은 강력 및 특수 분야 수사를 담당한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변호사 개업 후 삼성 비자금 의혹 특별검사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및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1956년 출생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딕 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3년의 딕 리
2023년의 리
본명리처드 리 펭분
출생일1956년 8월 24일
출생지싱가포르
국적싱가포르
직업싱어송라이터
극작가
영화 감독
활동 악기피아노
활동 장르팝 음악
Cantopop
뮤지컬 극장
배우자자신타 아비셰가나덴 (1992년 결혼, 1997년 이혼)
웹사이트딕 리 공식 웹사이트
중문 정보
한자 이름李炳文
중국어 병음Lǐ Bǐngwén
광둥어 발음lei5 di2 man4
일본 정보
이름디크 리
출생1956년 8월 24일
싱가포르
직업싱어송라이터
디자이너
극작가
영화감독
담당 악기피아노
활동 기간1971년 -
한국어 정보
이름딕 리
원어명李炳文
본명Richard "Dick" Lee Peng Boon
로마자 표기해당 정보 없음
출생일1956년 8월 24일
출생지싱가포르
사망일해당 정보 없음
사망지해당 정보 없음
국적싱가포르
학력성 마이클 학교
성 요셉 학원
경력팝 가수
작곡가
작사가
극작가
직업음악가
병역해당 정보 없음
활동 기간해당 정보 없음
소속해당 정보 없음
종교가톨릭
배우자자신타 아비셰가나덴 (1992년 결혼, 몇 년 후 이혼)
상훈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서명해당 정보 없음

2. 초기 생애

리는 페라나칸 출신 아버지 리 킵 리(Lee Kip Lee, 해협시보 기고가)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탄(Elizabeth Tan)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5남매 중 장남으로,[1] 남동생 셋과 여동생 하나(사망)가 있었다. 그의 가족은 광둥어권 항구 관련 사업을 하는 부유한 페라나칸 집안이었으며, 독실한 가톨릭교회 신자였다. 그는 교통사고로 여동생을 잃는 아픔을 겪었다.

초등 교육은 세인트 마이클 스쿨(St. Michael's School, 현 세인트 조셉 기관 주니어)에서, 중등 교육은 세인트 조셉 기관에서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클래식 음악을 즐겨 들었으며, 이후 영국으로 유학하여 의상 디자인을 공부하면서 현지 서양 음악을 접하게 되었다. 학생 시절에는 딥 퍼플 등의 커버 밴드를 했으나, 싱가포르 정부의 하드록 금지 정책 때문에 닐 영과 같은 싱어송라이터로 방향을 바꾸었다.

1974년 앨범 『라이프 스토리(Life Storyeng)』로 데뷔했다. 원래는 패션 디자이너('DICK LEE' 브랜드)이자 이벤트 회사 경영자였지만, 가수로 성공하는 것이 오랜 꿈이었다. 그러나 초기 발표한 곡들은 판매량이 저조했다.

3. 음악 경력

딕 리는 15세였던 1971년, 그룹 '하모니'(Harmony)의 피아니스트로 음악 경연대회에 참가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2] 이후 형제들과 '딕 앤드 더 갱'(Dick and the Gang)을 결성해 활동했으며, 1974년에는 직접 작곡한 곡들로 채워진 첫 솔로 앨범 ''Life Story''를 발표했다.[2]

초기에는 패션 디자이너 활동을 병행하며 가수로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팝 음악에 아시아적 요소를 접목하는 시도를 꾸준히 이어갔다. 1989년에 발표한 앨범 ''The Mad Chinaman''은 싱가포르민요동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는 그의 음악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앨범은 당시 월드 뮤직 붐을 타고 일본 등 해외에서도 주목받으며 그에게 지역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그의 음악은 아시아적 정체성, 특히 페라나칸 문화와 싱가포르 정체성을 탐구하는 특징을 지닌다.

음악 프로듀서로서도 활동하여 1983년 Zircon Lounge의 데뷔 앨범 공동 프로듀싱[3]을 시작으로, 홍콩의 임억련, 일본의 샌디 등 여러 아티스트의 앨범 작업에 참여했다. 또한, ''나갈랜드''(1992), ''홍콩 랩소디''(1993), ''판타지아''(1994) 등 다수의 뮤지컬 음악을 작곡하고 직접 출연하기도 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일본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1990년대에 여러 앨범을 발표하고 공연했으며, 2003년에는 후쿠오카시로부터 제14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마츠토야 유미, 임형주 등 아시아 각국의 아티스트들과 함께 그룹 'Friends Of Love The Earth'를 결성하여 2005년 일본 국제 박람회 폐막 콘서트 등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오랜 공백기 후 2017년에는 일본에서의 공연을 재개했다.

영화 음악 분야에서는 진가신 감독의 ''금지옥엽''(1994), 임해상 감독의 ''해호오즈키''(1996) 등의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그는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지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음반 목록이다.

주요 음반 목록
구분발매 연도앨범 제목
일본 미발매1973LIFE STORY
1983LIFE IN THE LION CITY
1985RETURN TO BEAUTY WORLD
1986FRIED RICE PARADICE
1986THE SONGS FROM LONG AGO
1986THE SONGS OF CHRISTMAS
1987CONNECTIONS
1988BEAUTY WORLD
2004LIFE/STORIES (베스트 음반)
2010LIFE DELUXE
201440TH ANNIVERSARY COLLECTION (베스트 음반)
2004'LIFE.STORIES Dick Lees 30th Anniversary concert 2004'' (라이브 음반)
일본 발매1989매드 차이나맨 THE MAD CHINAMAN
1989웬 아이 플레이 WHEN I PLAY
1990아시아 메이저 ASIA MAJOR
1991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1993이어 오브 더 몽키 THE YEAR OF THE MONKEY
1993피스 라이프 러브 PEACE LIFE LOVE
1993홍콩 랩소디 HONG KONG RHAPSODY
1995어디에 있든 (북남서동)
1995시크릿 아일랜드 Secret Island
1996싱가팝 SINGAPOP
1999트랜짓 라운지 TRANSIT LOUNGE (DL PROJECT 명의)
2000에브리씽 Everything (자작곡 커버 음반)
2006RICE


3. 1. 초기 (1970년대 ~ 1980년대)

딕 리는 15세였던 1971년, 그룹 '하모니'(Harmony)의 피아니스트로 여러 음악 경연대회에 참가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2] 이후 그룹을 나와 형제들과 함께 '딕 앤드 더 갱'(Dick and the Gang)을 결성하여 그룹 또는 솔로로 활동했다.[2] 그는 어린 시절부터 클래식 음악을 접했으며, 영국 유학 중 의상 디자인을 공부하며 서양 음악을 경험했다. 학생 시절에는 딥 퍼플 등의 커버 밴드를 했으나, 싱가포르 정부가 하드록을 금지하자 닐 영과 같은 싱어송라이터로 전향했다.

1974년, 자신의 작곡으로 채운 첫 번째 앨범 ''Life Story''를 발매하며 데뷔했다.[2] 당시 그는 'DICK LEE' 브랜드를 가진 패션 디자이너이자 이벤트 회사 경영자였으나, 가수로서의 성공을 꿈꿨다. 하지만 초기 앨범들의 판매량은 저조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딕 리는 팝 음악에 아시아적 요소를 접목하려는 시도를 계속했다. 1983년에는 Zircon Lounge의 데뷔 앨범 ''Regal Vigour''를 공동 프로듀싱하고 키보드를 연주했다.[3] 1984년 발매한 ''Life in the Lion City''는 그의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받았다.

가수로서 은퇴를 고려하던 1989년, 마지막 앨범으로 생각하고 발표한 ''The Mad Chinaman''이 예상외의 큰 성공을 거두면서 가수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다. 이 앨범은 그의 음악적 뿌리인 싱가포르의 민요동요를 현대적인 팝 스타일로 편곡한 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당시 세계적으로 불던 월드 뮤직 붐과 맞물려 일본 등 해외에도 소개되었다. 이 앨범을 통해 그는 지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The Mad Chinaman'' 앨범에는 동양인의 정체성에 대한 그의 고민이 담겨 있다. 그는 자신을 포함한 많은 동양인을 "바나나"(겉은 황인종이지만 속은 백인이라는 풍자)라고 표현하며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특히 싱가포르 내에서 교육받은 계층이나 기성세대가 외면하던 싱글리시(중국어, 말레이어 등의 영향을 받은 영어)를 고유한 문화로 옹호했다. 앨범의 첫 곡인 「라사 사얀(ms)」은 싱글리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싱가포르 문화를 풍자한 스타일의 곡인데, 처음에는 정부 방침에 따라 방송이 금지되었다가 앨범의 인기가 높아지자 결국 해금되기도 했다.

이 시기 딕 리는 아시아적인 색채와 AOR 풍의 멜로디 감각을 결합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가사는 영어, 말레이어, 광둥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으며, 내용은 사회 풍자부터 감상적인 사랑 노래, 코믹한 이야기까지 폭넓었다. 그의 음악은 상류층의 세련됨과 동시에 어딘가 슬픔을 간직한 싱가포르 특유의 감성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초기 활동을 통해 그는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지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다.

3. 2. 전성기 (1990년대)

1990년 일본으로 이주하여 솔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황쯔시아(Tracy Huang), 임억련(Sandy Lam) 등 아시아 정상급 아티스트 및 일본 그룹 주(Zoo)와의 협업을 통해 자신만의 아시아 정체성을 탐구하며 발전시켰다. 이 시기 그는 아시아의 여러 유명 가수들을 위해 많은 곡을 작곡했다.

사실 그는 1989년에 발표한 앨범 ''매드 차이나맨''을 마지막으로 가수 은퇴를 고려했으나, 이 앨범이 예상치 못한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음악 활동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다. ''매드 차이나맨''은 그의 고향인 싱가포르에 전해지는 민요와 동요를 현대적인 팝 스타일로 편곡한 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는데, 당시 세계적으로 불던 월드 뮤직 붐과 맞물려 일본의 대중 매체에도 소개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의 음악은 종종 페라나칸 문화와 싱가포르 정체성을 탐구했으며, 특히 싱글리시 사용과 같은 부분은 때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예를 들어 ''매드 차이나맨'' 앨범의 수록곡 '라사 사양'(Rasa Sayangms)은 싱글리시를 많이 사용하여 싱가포르 문화를 풍자한 랩 스타일의 곡이었는데, 초기에는 정부 방침으로 방송 금지되었으나 앨범의 인기로 인해 결국 해금되었다.

1990년대 동안 딕 리는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무대 뮤지컬을 작곡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프라이드 라이스 파라다이스''(Fried Rice Paradise영어, 1991), ''캄퐁 앰버''(Kampong Amber영어, 1994), ''싱 투 더 던(Sing to the Dawn)''(1996), ''핫팬츠(Hotpants)''(1997) 등이 있다. 특히 1997년에는 홍콩의 유명 가수 장학우를 위해 작곡한 뮤지컬 ''설랑호(Snow.Wolf.Lake)''가 큰 호평을 받았다.

일본에서의 활동도 활발했다. 1992년에는 자신이 원작을 쓰고 주연을 맡은 오페레타 ''나갈랜드''(Nagraland영어)를 싱가포르, 홍콩, 일본에서 공연했으며, 이 공연에는 THE BOOM의 보컬 미야자와 카즈후미가 참여하기도 했다. 이듬해인 1993년에는 일본의 유명 연출가 미야모토 아몬이 연출한 뮤지컬 '홍콩 랩소디'의 전곡 작곡을 담당했으며, 1994년에는 원안, 작사, 작곡, 주연까지 맡은 뮤지컬 '판타지아'가 도쿄, 오사카 등 일본 주요 도시에서 성공적으로 공연되었다.

음악 프로듀서로서도 역량을 발휘하여, 홍콩 가수 임억련의 앨범 ''야화''(野花중국어, 1991) 등에 참여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활동 영역을 더욱 넓혔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홍콩에 본사를 둔 소니 뮤직 아시아(Sony Music Asia)의 A&R 지역 부사장으로 재직했다. 이 시기에 소니에서 발매한 앨범 ''Transit Lounge''는 비평가와 음악 애호가들 모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1998년부터는 싱가포르 레퍼토리 극장(Singapore Repertory Theatre)의 부예술감독을 맡아 싱가포르 연극계에도 기여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그는 싱가포르 국경일 퍼레이드(NDP)의 주제가 ''Home''을 작곡했으며, 이 곡은 싱가포르 가수 킷 찬이 불러 국민적인 사랑을 받는 노래가 되었다.

3. 3. 2000년대 이후

2000년, 리는 싱가포르 대통령 자선 행사를 위해 제작되고 싱가포르 텔레비전 공사(TCS)에서 방영된 시트콤 ''푸아 추 캉(Phua Chu Kang)''의 뮤지컬 버전 음악을 작곡했다. 이 뮤지컬은 200만싱가포르 달러가 넘는 기록적인 금액을 모금했다.

2002년에는 싱가포르 레퍼토리 극장 영 컴퍼니(SRT Young Company)를 위해 첫 댄스 뮤지컬 ''리믹스(re:MIX)''를 쓰고 공동 연출했다. 같은 해 10월, 싱가포르의 새로운 문화 중심지인 에스플러네이드 - 베이 극장의 개막 축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위촉받아 뮤지컬 ''금단의 도시: 황후의 초상(Forbidden City: Portrait of An Empress)''을 작곡했다. 이 작품은 인기를 얻어 2003년 9월과 2006년에 재공연되었으며, 스티븐 덱스터가 연출을 맡았다. 2008년에는 런던 웨스트엔드 공연을 시작으로 세계 투어를 계획하기도 했다.

같은 해, 리는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경일 퍼레이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되었다. 그가 작곡한 노래 "`We Will Get There`"가 2002년 퍼레이드 주제가로 선정되었고, 가수 손연자가 불러 자신의 베스트셀러 앨범에 수록했다.[4] 이는 1998년 킷 찬이 부른 "`Home`"에 이어 리가 작곡한 두 번째 국경일 퍼레이드 주제가였다.

2003년에는 일본재단의 J-ASEAN 캠페인 이미지송 "Treasure The World"의 영어 가사를 작사했다. 이 노래는 일본과 10개 아세안(ASEAN) 회원국 아티스트들이 영어와 각국 언어로 녹음했다. 같은 해 7월, 리는 아시아 예술계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위원회에서 제14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을 받았다.

2004년에는 자서전 ''미친 중국인의 모험(The Adventures of the Mad Chinaman)''을 출판했으며, 플로렌스 리안, 켄 림과 함께 TV 프로그램 ''싱가포르 아이돌''의 첫 시즌 심사위원으로 출연했다. 그는 이후 2006년과 2009년에 열린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즌에도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2004년 12월 17일과 18일에는 칼랑 극장(Kallang Theatre)에서 데뷔 30주년 기념 콘서트 ''라이프 스토리즈(Life Stories)''를 개최했다. 이 콘서트에는 싱가포르 아이돌 우승자 타우픽 바티사와 준우승자 실베스터 심, 코미디언 쿠마르, 전 부인 재신타, 배우 고치엔문, 호산 레옹 등이 게스트로 참여했다.

2005년, 리는 음악 부문에서 싱가포르 최고 예술상인 문화훈장을 받았다.[5] 같은 해 9월, 일본마츠토야 유미와 함께 아이치 만국박람회 폐막 콘서트 "YUMING Love The Earth Final"에 참여했다. 이 콘서트를 계기로 마츠토야 유미, 리, 쉬커(중국), 아민(중국), 임형주(한국) 등 5명의 아시아 아티스트로 구성된 그룹 'Friends Of Love The Earth'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콘서트의 테마송인 "Smile again" (마츠토야 유미 작곡)을 함께 발표했으며, 이 곡은 디지털 음원으로 발매되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리는 Friends Of Love The Earth의 멤버로서 2005년 10월 후지 TV "우리들의 음악 2" 출연, 12월 도쿄 필 콘서트, 제56회 NHK 홍백가합전 (상하이 중계) 출연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2006년 9월에는 나고야에서 열린 아이치 엑스포 폐막 1주년 기념 콘서트 "Friends of Love The Earth 2006"에도 참여했다.

2009년에는 APEC 싱가포르 2009 정상회의 주제가를 작곡했다. 이 노래는 11월 14일 에스플러네이드 - 베이 극장에서 열린 APEC 싱가포르 2009 싱가포르 이브닝 행사에서 킷 찬이 버락 오바마를 비롯한 세계 지도자들 앞에서 불렀다. 리는 이 행사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젝션을 활용한 30분 길이의 뮤지컬 대작 연출도 맡았다.[6]

2010년에는 싱가포르 제44회 국경일 퍼레이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다시 맡았다. 2011년에는 콘서트 ''미친 중국인의 모험(The Adventures of the Mad China man)''과 직접 극본을 쓴 코미디 연극 ''뷰티 킹스(Beauty Kings)''를 선보였다.[7] 2012년에는 `시어터웍스`(TheatreWorks)가 제작한 ''내셔널 브로드웨이 컴퍼니(National Broadway Company)'' 공연에 배우로 참여했는데, 이는 에스플러네이드 - 베이 극장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이었다.

2013년에는 90분짜리 뮤지컬 ''라이트시커(LightSeeker)''를 작곡하여 리조트 월드 센토사에서 초연했다. 또한 세계적인 피아노 제조사 스타인웨이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새롭게 개편된 `레디퓨전 싱가포르`(Rediffusion Singapore) 라디오 방송국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되었다.[8]

2014년에는 드라마 센터(Drama Centre)에서 자신의 음악 경력 40년을 기념하는 콘서트 ''딕 리: 음악 40년 기념(Dick Lee: Celebrating 40 Years In Music)''을 열었다.[9] 같은 해, 1997년 뮤지컬 ''핫팬츠''(Hotpants)의 개정판을 재공연했다.[10] 세 번째 국경일 퍼레이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임기를 마친 리는 2015년 싱가포르 건국 50주년 기념 공연(SG50)의 연출을 맡았으며, 새로운 국경일 퍼레이드 주제가 작곡을 의뢰받았다.[11]

2015년, 리는 싱가포르 50주년 국경일 퍼레이드(SG50)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았으며, 해당 퍼레이드의 주제가 "Our Singapore"를 작곡했다. 이 곡은 싱가포르 가수 JJ 린이 불렀다.

2017년, 리는 자신의 젊은 시절을 다룬 자전적 뮤지컬 영화 ''원더 보이''로 영화 감독 데뷔를 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오사카와 요코하마에서 공연을 열며 22년 만에 일본 활동을 재개했다.

4. 패션 경력

런던의 해로우 예술학교에서 패션 디자인을 공부했고, 16세에 어머니의 부티크인 ''Midteen''을 위해 디자인하면서 패션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부티크인 ''Ping Pong''과 파트너와 함께 설립한 최초의 신진 디자이너 매장인 ''Hemispheres''를 위해 자신의 브랜드를 디자인했다.[12]

1982년부터 1990년까지 리는 패션과 관광 행사를 전문으로 하는 자신의 이벤트 회사인 런웨이 프로덕션(Runway Productions)을 운영했다. 패션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는데, 1984년에는 탕스 백화점의 디스플레이 디렉터를 맡았고, 1986년에는 ''Female'' 잡지의 패션 에디터로 활동했다. 또한 싱가포르 디자이너들을 현지 패션 시장에 소개하는 데 앞장선 디자인 예술 협회(Society of Designing Arts)의 창립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13]

2011년에는 아우디 패션 페스티벌의 의장을 맡았고,[13] 2014년에는 아우디 싱가포르의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14]

5. 사업 경력

1991년, 리는 싱가포르 부기스 거리에 드랙 카바레 공연장인 붐 붐 룸(Boom Boom Room)을 만들었다. 이곳에서는 드랙 코미디언 쿠마르와 다른 드랙 퀸들이 공연했다.[15] 2000년 부기스 거리가 재개발되면서 붐 붐 룸은 퍼 이스트 스퀘어(Far East Square)로 이전했다.[15] 이후 2004년에 문을 닫았다.[15] 2021년에는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의 샌즈 엑스포 앤 컨벤션 센터에서 붐 붐 룸을 한정적으로 다시 선보였다.[15]

2012년에는 싱가포르에 MAD(Modern Asian Diner)라는 식당을 열었다. 이 식당은 싱가포르 부킷 티마(Bukit Timah)의 더 그랜드스탠드(The Grandstand)에서 텅록 그룹, 베이커진, 바 스토리즈, 탑 와인즈 등 4개의 다른 현지 기업과 함께 5자 파트너십 형태로 운영되었다.[16] MAD는 2014년 3월에 문을 닫았다.[17] 이후 리는 MAD가 사용했던 공간 일부에 팬케이크 가게인 슬래피 케이크스(Slappy Cakes)를 다른 합작 투자 사업으로 열었다.[17]

6. 사회적 활동 및 평가

딕 리의 음악은 아시아적인 색채와 세련된 AOR 풍의 멜로디 감각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가사는 영어, 말레이어, 광둥어 등 여러 언어를 넘나들며,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부터 감성적인 사랑 이야기, 유머러스한 내용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룬다. 그의 음악 세계는 풍족하면서도 어딘가 슬픔을 간직한 싱가포르 특유의 감성을 담아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작품과 발언을 통해 동양인, 특히 싱가포르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꾸준히 제기했으며, 싱글리시와 같은 자국 문화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은 싱가포르 사회와 문화에 대한 성찰을 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음악 프로듀서뮤지컬 작곡가로서 홍콩, 일본 등 아시아 여러 국가의 아티스트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아시아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3년 일본 후쿠오카시로부터 제14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을 수상했다.

6. 1. 싱글리시 옹호

딕 리는 자신을 포함한 많은 동양인을 "바나나"(겉모습은 황인종이지만 내면은 서구화된 백인과 같다는 의미의 풍자)라고 부르며, 동양인의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는 곡을 만들고 관련 발언을 이어왔다. 특히 싱가포르에서 교양 있는 계층이나 체제 측으로부터 외면받기 쉬운 싱글리시(중국어, 말레이어 방언이 섞인 영어)를 소수이지만 중요한 자국 문화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1989년 앨범 『매드 차이나맨』의 첫 번째 곡인 「Rasa Sayang|라사 사양ms」에 잘 나타나 있다. 이 곡은 싱글리시를 많이 사용하여 싱가포르 문화를 풍자 형식의 곡이다. 정부 방침에 따라 처음에는 방송이 금지되었으나, 곡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결국 방송 금지가 해제되었다. 이후 딕 리는 『싱글리시 강좌』라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6. 2. 한일 관계 및 동아시아 문화 교류

1989년 발표한 앨범 『매드 차이나맨(The Mad Chinaman영어)』이 싱가포르를 넘어 아시아 지역에서 히트하면서 일본매스미디어에도 소개되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월드 뮤직 붐과 맞물려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2003년에는 일본 후쿠오카시로부터 제14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을 수상하며 일본 및 아시아 문화계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딕 리는 음악 프로듀서로서도 활동하며 홍콩의 가수 샌디 람의 앨범 『야화(野花중국어)』(1991년) 제작에 참여했으며, 일본의 음악가 구보타 마코토와 함께 가수 샌디의 앨범 『머시(Mercy영어)』를 공동 프로듀싱하기도 했다.

1992년, 딕 리 자신이 원작을 쓰고 주연을 맡은 오페레타 『나갈랜드(Nagraland영어)』를 싱가포르, 홍콩, 일본에서 공연했다. 이 공연에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파비앙 레자 파네가 음악 감독을 맡았고, 더 붐의 보컬 미야자와 카즈후미가 유일한 일본인 배우로 출연했다. 이를 계기로 미야자와 카즈후미와는 이후에도 교류를 이어가며, 딕 리가 더 붐의 곡에 코러스로 참여하거나 공동 작곡을 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연출가 미야모토 아몬이 연출한 뮤지컬 「홍콩 랩소디(香港ラプソディー일본어)」의 모든 곡을 작곡했다. 두 사람은 작곡가 스티븐 손드하임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으로 의기투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4년에는 딕 리가 원안, 작사, 작곡, 주연을 맡은 뮤지컬 「판타지아(Fantasia영어)」가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나고야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에는 구성·연출에 스가노 코메이, 음악 감독에 노미 유지, 연주에 아오야기 마코토, 마키노 노부히로 등이 참여했으며, 가수 EPO가 배우로 출연하기도 했다.

일본에서 가수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 그의 음반은 워너 뮤직 재팬을 통해 발매되었으나, 해당 회사에서 당시 마스터 테이프를 분실한 것으로 알려져 딕 리 본인이 이에 대해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한동안 일본에서의 음악 활동은 뜸했으나, 2017년 7월, 1995년 이후 22년 만에 일본 공연(오사카 로열 호스, 요코하마 모션 블루)을 가지며 활동을 재개했다.

2005년에는 마츠토야 유미의 제안으로 아이치 엑스포 폐막 콘서트 "YUMING Love The Earth Final"에 참여했다. 이 콘서트를 계기로 아시아 각국의 아티스트들과 함께 그룹 프렌즈 오브 러브 디 어스(Friends Of Love The Earth)를 결성했다.

'''프렌즈 오브 러브 디 어스 (Friends Of Love The Earth) 멤버'''
이름국가
마츠토야 유미일본
딕 리 (Dick Lee)싱가포르
쉬커 (Xu Ke, 許可)중국
아민 (amin, 阿敏)중국
임형주 (Lim Hyung Joo, 林亨柱)대한민국



이 그룹은 콘서트의 테마송인 『Smile again』(마츠토야 유미 작곡)을 발표했으며, 이 곡은 온라인 음원 형태로 먼저 공개된 후 2006년 싱글 CD(마츠토야 유미의 싱글 『虹の下のどしゃ降りで』의 커플링곡)로도 발매되었다. 『Smile again』은 2005년 일본 "iTunes Music Store" 연간 앨범 차트 1위, 2006년 1월 전국 유선방송 랭킹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딕 리는 이 그룹의 일원으로 2005년 10월 후지 TV의 음악 프로그램 「우리들의 음악 2」, 12월 도쿄 국제 포럼에서 열린 「유민 & Friends Of Love The Earth・도쿄 필 콘서트」에 출연했으며, 같은 해 12월 31일에는 제56회 NHK 홍백가합전중국 상하이의 화평반점 옥상에서 생중계로 출연하여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6년 9월에는 아이치 엑스포 폐막 1주년 기념 콘서트 "Friends of Love The Earth 2006"(나고야 레인보우홀)에도 참여했다.

이 외에도 일본의 댄스&보컬 유닛 ZOO에게 싱글곡 「Adam」을 작곡해주기도 했다.

'''주요 협업 및 교류 아티스트'''
아티스트국가/지역주요 내용
샌디 람홍콩앨범 『야화』 프로듀싱 (1991)
구보타 마코토일본샌디 앨범 공동 프로듀싱, 음악적 교류
샌디일본곡 제공, 앨범 코러스 참여 등 상호 교류
미야자와 카즈후미 (더 붐)일본뮤지컬 『나갈랜드』 출연 (1992), 이후 코러스 참여, 공동 작곡 등 교류 지속
미야모토 아몬일본뮤지컬 「홍콩 랩소디」 작곡 (1993), 열대 축제극 「마우이」 곡 제공
EPO일본뮤지컬 「판타지아」 출연 (1994)
마츠토야 유미일본프렌즈 오브 러브 디 어스 결성 및 활동 (2005-2006)
ZOO일본싱글곡 「Adam」 작곡 제공
임형주대한민국프렌즈 오브 러브 디 어스 멤버로 활동 (2005-2006)
쉬커, 아민중국프렌즈 오브 러브 디 어스 멤버로 활동 (2005-2006)


7. 수상 내역

wikitext

년도수상
1995987FM 퍼펙트 10 음악상 (싱가포르 음악계의 뛰어난 공헌)
홍콩 영화제 최우수 주제가상 (영화 남자는 여자를 좋아해의 주제가 "The Search of My Life" 수상)
1998싱가포르 작곡가 및 작사가 협회(Compass) 어워드: 최우수 현지 영어 팝송상, 올해의 최우수 현지 작곡가상[19]
1999홍콩 영화제 최우수 주제가상 (영화 유리의 도시의 주제가 수상)
Compass 어워드: 아티스트 엑설런스상, 최우수 현지 중국어 팝송상, 올해의 최우수 현지 작곡가상[19]
2000Compass 어워드: 올해의 최우수 현지 작곡가상[19]
2001Compass 어워드: 올해의 최우수 현지 작곡가상[19]
2003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상
2004Compass 어워드: 최우수 말레이 팝송상
2005문화훈장
2006Compass 어워드: 올해의 최우수 현지 작곡가상
2009Compass 어워드: 윙스 오브 엑설런스
2013Compass 어워드: 최우수 현지 영어 팝송상 ("Home")[19]
2017Compass 평생공로상
2022Compass 어워드: 최우수 현지 영어 팝송상 (JJ Lin과 공동 수상)


8. 작품 목록

딕 리는 가수 활동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펼쳤다.

음악 프로듀서로서 홍콩의 가수 샌디 람의 앨범 『야화』(1991년)와 일본 가수 샌디의 앨범 『머시』(구보타 마코토와 공동 프로듀스) 등에 참여했다.

또한 진가신 감독의 금지옥엽(1994년)과 임해상 감독의 해호오즈키(1996년) 등 영화 음악 작업에도 참여했다.

방송 활동으로는 싱가포르의 독특한 영어인 싱글리시를 다루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싱글리시 강좌』에 출연하기도 했다.

8. 1. 음반

년도제목앨범 정보
1974LIFE STORY필립스(Philips)
1984LIFE IN THE LION CITYWEA
수리람(SURIRAM)싱글 – WEA
1985RETURN TO BEAUTY WORLDWEA
1986옛날 노래들(SONGS FROM LONG AGO)WEA
크리스마스 노래들(SONGS OF CHRISTMAS)
프라이드 라이스 파라다이스(FRIED RICE PARADISE)컴필레이션 - WEA
1987CONNECTIONSWEA



년도제목앨범 정보
1989THE MAD CHINAMANWEA
1990ASIA MAJORWEA JAPAN
1991ORIENTALISMWEA JAPAN
1992THE YEAR OF THE MONKEYWEA JAPAN
1993HONG KONG RHAPSODYWEA JAPAN
PEACE LIFE LOVEWEA JAPAN
1994LIFE STORY컴필레이션 – WEA JAPAN
COMPASSWEA HK
1995SECRET ISLANDFor Life Records Japan
1996SINGAPOPFor Life Records Japan
1999TRANSIT LOUNGESony Music
2000EVERYTHINGSony Music
2003RICEYellow Music
2010LOVE DELUXEWarner Music



년도제목앨범 정보
2016RASA SAYANG feat. Shigga Shay싱글 - DLA
BITTERSWEETEP - mm2
2018WONDER BOYEP – DLA
2021ENOUGH FOR ME feat. Omnitones싱글 – DLA
2022LOVE IS REAL feat. Omnitones싱글 – DLA



'''주요 싱글'''

년도제목
1990년무스타파
라사 사양
우 우 니 니
코카투
1991년아시아 메이저
오리엔탈리즘
어 휴먼 터치
스타즈 오브 디 이스트
피스 라이프 러브
1992년바나나
드림 오브 나그라랜드
이어 오브 더 몽키
1995년굿 어스
1996년샤나나나나 (폼킥키즈 주제가)
리틀 인디아



'''일본 미발매 음반'''

년도제목비고
1973년LIFE STORY
1983년LIFE IN THE LION CITY
1985년RETURN TO BEAUTY WORLD
1986년FRIED RICE PARADICE
THE SONGS FROM LONG AGO
THE SONGS OF CHRISTMAS
1987년CONNECTIONS
1988년BEAUTY WORLD
2004년LIFE/STORIES베스트 음반
2010년LIFE DELUXE
2014년40TH ANNIVERSARY COLLECTION베스트 음반



'''일본 발매 음반'''

년도제목비고
1989년매드 차이나맨 THE MAD CHINAMAN
웬 아이 플레이 WHEN I PLAY
1990년아시아 메이저 ASIA MAJOR
1991년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1993년이어 오브 더 몽키 THE YEAR OF THE MONKEY
피스 라이프 러브 PEACE LIFE LOVE
홍콩 랩소디 HONG KONG RHAPSODY
1995년어디에 있든 (북남서동)
시크릿 아일랜드 Secret Island
1996년싱가팝 SINGAPOP
1999년트랜짓 라운지 TRANSIT LOUNGEDL PROJECT 명의
2000년에브리씽 Everything자작곡 커버 음반
2006년RICE



'''영상 음반 (일본 미발매)'''


  • LIFE.STORIES Dick Lee's 30th Anniversary concert 2004

8. 2. 뮤지컬

딕 리는 다수의 뮤지컬 작품에 참여하며 작곡, 작사, 원작, 주연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2년에는 직접 원작을 쓰고 주연을 맡은 오페레타 『나갈랜드 (NAGRALAND)』를 싱가포르, 홍콩, 일본에서 공연했다. 이 공연에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파비앙 레자 파네가 음악 감독을 맡았고, 미야자와 카즈후미가 유일한 일본인 배우로 출연했다. 이듬해인 1993년에는 미야모토 아몬이 연출한 뮤지컬 「홍콩 랩소디 (HONG KONG RHAPSODY)」의 모든 곡을 작곡했다. 1994년에는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나고야에서 공연된 뮤지컬 「판타지아 (FANTASIA)」의 원안, 작사, 작곡을 담당했으며 직접 주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스가노 코메이가 구성과 연출을, 노미 유지가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아오야기 마코토와 마키노 노부히로가 연주에 참여했다.

그가 참여한 주요 뮤지컬 작품은 다음과 같다.

년도제목장소
1988뷰티 월드 (BEAUTY WORLD)싱가포르
1991프라이드 라이스 파라다이스 (FRIED RICE PARADISE)싱가포르
1992나그라랜드 (NAGRALAND)일본, 홍콩, 싱가포르
뷰티 월드 (BEAUTY WORLD)싱가포르, 일본
1993홍콩 랩소디 (HONG KONG RHAPSODY)일본
1994판타지아 (FANTASIA)일본
캄퐁 앰버 (KAMPONG AMBER)싱가포르
1995모탈 씬스 (MORTAL SINS)싱가포르
1996싱 투 더 돈 (SING TO THE DAWN)싱가포르
1997어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 (A TWIST OF FATE)싱가포르
핫팬츠 (HOTPANTS)싱가포르
스노우.울프.레이크 (SNOW.WOLF.LAKE)홍콩
1998뷰티 월드 (BEAUTY WORLD)싱가포르/텔레비전 특별 방송
스노우.울프.레이크 (SNOW.WOLF.LAKE)싱가포르
2002포비든 시티 (FORBIDDEN CITY)싱가포르
2005어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 (A TWIST OF FATE)싱가포르
푸아 추 캉 (PHUA CHU KANG)싱가포르/텔레비전 특별 방송
2006맨 오브 레터스 (MAN OF LETTERS)싱가포르
푸테리 구눙 레당 (PUTERI GUNUNG LEDANG)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포비든 시티 (FORBIDDEN CITY)싱가포르
스노우.울프.레이크 (SNOW.WOLF.LAKE)중국
2007피.람리 더 뮤지컬 (P.RAMLEE THE MUSICAL)말레이시아, 싱가포르
2008뷰티 월드 (BEAUTY WORLD)싱가포르
2009푸테리 구눙 레당 (PUTERI GUNUNG LEDANG)말레이시아
2010프라이드 라이스 파라다이스 (FRIED RICE PARADISE)싱가포르
2014핫팬츠 (HOTPANTS)
2015LKY 더 뮤지컬 (LKY THE MUSICAL)싱가포르
뷰티 월드 (BEAUTY WORLD)
2017포비든 시티 (FORBIDDEN CITY)싱가포르
2019프라이드 라이스 파라다이스 (FRIED RICE PARADISE)싱가포르/텔레비전 시리즈
2022LKY 더 뮤지컬 (LKY THE MUSICAL)싱가포르


참조

[1] 웹사이트 The Music, Madness and Magic of Dick Lee https://biblioasia.n[...] 2023-01-09
[2] 논문 Popular Music in Singapore: Exploring Local Cultures, Global Resources, and Regional Identities http://journals.sage[...] 1996-06-01
[3] 웹사이트 Tributes paid to Singaporean DJ and musician Chris Ho, who has died https://www.nme.com/[...] 2023-01-08
[4] 웹사이트 'There's something about singing together': 12 fun facts and stories behind our national songs https://www.channeln[...] 2023-01-07
[5] 뉴스 Jack Neo, Dick Lee win top arts honour 2005-10-22
[6] 웹사이트 Singapore Evening at The Esplanade – A showcase of Singapore's unique culture and creative talents http://www.apec2009.[...] 2009-10-22
[7] 웹사이트 Dick Lee's Fantastic Entertainment http://www.todayonli[...]
[8] 뉴스 Dick Lee back in musical limelight with LightSeeker http://www.todayonli[...] MediaCorp 2014-09-10
[9] 뉴스 Concert review: Dick Lee takes jibes at Singapore but also reaffirms affection for country http://www.straitsti[...] Singapore Press Holdings 2014-09-10
[10] 뉴스 Theatre review: Dick Lee's revamped Hotpants is tighter and funkier http://www.straitsti[...] Singapore Press Holdings 2014-09-10
[11] 뉴스 Dick Lee to write 'the next Home' for S'pore's 50th NDP http://www.straitsti[...] Singapore Press Holdings 2014-09-10
[12] 웹사이트 Dick Lee back in fashion https://www.asiaone.[...] 2023-01-08
[13] 웹사이트 Dick Lee to chair 2011 Audi Fashion Festival http://sg.asia-city.[...] SG Magazine Online 2017-03-07
[14] 웹사이트 Dick Lee: The music man's defining presence http://brandinsider.[...] The Straits Times 2017-03-07
[15] 웹사이트 Drag, art and history come together at Boom Boom Room https://sg.style.yah[...] 2023-01-09
[16] 웹사이트 Modern Asian Diner Inspired by Dick Lee's Mad Chinaman https://senatus.net/[...] 2023-01-08
[17] 뉴스 The hit and miss of celebrity restaurants https://www.straitst[...] 2024-12-13
[18] 뉴스 Final Curtain for Dick and Ja http://www-cgi.cnn.c[...] 2014-09-10
[19] 웹사이트 Dick Lee wins Compass prize for Home - 15 years after it was written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 2017-03-07
[20] 웹사이트 Composer Dick Lee https://www.sso.org.[...] Singapore Symphony Orchestra 2021-05-19
[21] 웹인용 Dick Lee's Fantastic Entertainment http://www.todayonli[...] 2010-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