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인은 싱가포르 국적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싱가포르의 역사는 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오랑 라우트가 최초의 정착민이었다. 1819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영국 무역항으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민족들이 이주해왔다. 현대 싱가포르인의 대다수는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가 주요 민족 구성이다. 싱가포르는 다문화주의를 장려하며,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4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불교가 가장 많은 신자가 있는 종교이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싱가포르 문학은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로 쓰인 작품들을 포괄하며, 싱가포르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민족 - 타밀족
    타밀족은 주로 남인도와 스리랑카에 거주하며 타밀어를 사용하는 드라비다계 민족으로,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왕국과 시대를 거쳐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살아가고 있다.
  • 싱가포르의 민족 - 버마족
    버마족은 미얀마의 다수 민족으로, 주로 이라와디강 유역에 거주하며 윈난성에서 이주하여 몬족과 퓨족을 흡수했고,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버마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싱가포르인
기본 정보
싱가포르 국기
싱가포르 국기
공식 명칭싱가포르 공화국
현지 이름ms: 오랑 싱가푸라(Orang Singapura)
zh: 新加坡人 (Xīnjiāpō Rén)
ta: சிங்கப்பூரர் (Ciṅkappūrar)
인구 통계
전체 인구약 380만 명
거주지싱가포르: 3,498,200 명 (2020년 인구 조사)
해외: 340,751 명
해외 거주자말레이시아: 91,002 명
오스트레일리아: 64,739 명
영국: 58,432 명
미국: 39,018 명
인도네시아: 23,524 명
중국: 12,799 명
캐나다: 12,582 명
방글라데시: 9,709 명
뉴질랜드: 5,734 명
인도: 4,155 명
네덜란드: 4,126 명
일본: 2,735 명
독일: 2,638 명
프랑스: 2,512 명
스위스: 2,349 명
베트남: 1,830 명
브라질: 1,115 명
노르웨이: 1,000 명
스웨덴: 1,000 명
덴마크: 1,000 명
몰타: 1,000 명
멕시코: 1,000 명
핀란드: 1,000 명
언어
공용어영어
만다린어
말레이어
타밀어
종교
종교불교
기독교
이슬람
도교
힌두교
시크교
유교
유대교
자이나교
조로아스터교
중국 민간 신앙
관련 집단
관련 민족해외 싱가포르인

2. 역사

2. 1. 오랑 라우트와 싱가푸라 왕국

싱가포르 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2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섬은 동남아시아와 인도 및 지중해를 연결하는 무역 중심망의 일부인 무역항으로 확인되었다.[71] 섬의 최초 정착민은 오랑 라우트라는 해양 민족으로, 11세기 촐라 제국의 라젠드라 촐라 1세에 의해 침략당하기 전까지 스리위자야 제국의 전초 기지였다.[71][10] 19세기 중국 기록인 ''남양려측''(南洋蠡測)에 따르면 싱가포르에 중국 묘가 존재한다고 묘사되어있으며, 후량과 송 공종 시대의 글과 비문이 발견되어, 907년부터 1274년까지 일부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살고, 죽고, 묻혔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11][12]

1299년 상닐라 우타마에 의해 싱가푸라 왕국이 건국되었다.[72] 1398년 싱가푸라 왕국 멸망 후, 여러 지역 제국과 믈라카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다.[72] 1613년 포르투갈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72][5]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 도착 이전, 조호르 술탄국 소속 수백 명의 토착 말레이인이 거주했다.[73]

2. 2. 현대 싱가포르

현대 싱가포르는 1819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영국의 무역항으로 건설되었다.[74] 래플스는 싱가포르를 자유 항구로 지정하였고, 부기족, 자와인, 페라나칸, 중국인, 인도인 및 하드라마우트의 아랍 상인들이 몰려들었다.[75] 자유 항구 지정 6개월 후, 인구는 5,000명으로 증가했으며, 1825년에는 1만 명을 돌파했다.[76] 1871년에는 인구가 10만 명에 달했고, 그중 절반 이상이 중국인이었다.[18] 초기 이주민 상당수는 남성이었고, 돈을 벌면 고국으로 돌아갔으나, 20세기 초중반부터 영구 정착하는 이주 노동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후손이 오늘날 싱가포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14][19]

1957년 싱가포르는 자치 정부를 획득하면서 싱가포르 시민권이 부여되었다.[20]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에 편입되었으나,[21] 1965년 분리 독립하여 싱가포르 공화국이 되었고, 싱가포르 국적법은 새로운 싱가포르 헌법에 통합되었다.

3. 인구

현대 싱가포르인의 대다수는 1819년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싱가포르가 영국 무역항으로 설립되었을 때 섬에 정착한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말레이 반도 지역의 원주민인 말레이인들은 예외이다.[15] 당시 래플스는 싱가포르가 자유 무역항이 될 것이라고 결정했고, 자유 무역항에 대한 소식이 군도를 통해 퍼져나가면서 부기스, 자바인, 페라나칸 중국인, 남아시아인 및 하드라미 아랍인 상인들이 네덜란드 무역 제한으로 인해 섬으로 몰려들었다.[16] 싱가포르가 자유 무역항으로 설립된 지 6개월 후, 인구는 5,000명으로 증가했고, 1824년의 첫 인구 조사에서 전체 10,683명 중 6,505명이 말레이인과 부기스 정착민인 것으로 나타났다.[17] 영국 정착지가 된 지 몇 달 안에 많은 수의 중국 이주민들도 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1825년, 섬의 인구는 만 명을 넘어섰고, 1826년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기스와 자바인을 제외하고 6,088명의 중국인이 4,790명의 말레이인보다 더 많았다.[4]

1871년까지 말레이 반도, 중국, 인도 및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싱가포르의 인구는 거의 10만 명에 달했고, 그중 절반 이상이 중국계 싱가포르인이었다.[18] 이 초기 이주민의 상당수는 주로 남성이었고, 돈을 충분히 벌면 일반적으로 고국으로 돌아갔다. 20세기 초중반에 들어서면서 점차 더 많은 수의 이주 노동자들이 영구적으로 거주하기로 결정했고, 그들의 후손이 오늘날 싱가포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14][19]

1957년 싱가포르는 자치 정부를 획득했고, 싱가포르에서 태어났거나 말라야 연방에서 태어난 특정 거주자, 2년 동안 거주한 영국 시민, 10년 동안 거주한 기타 거주자에게 싱가포르 시민권이 부여되었다.[20] 1963년 9월 16일, 말라야, 싱가포르, 노스 보르네오 왕령 식민지, 사라왁 왕령 식민지가 합병되어 말레이시아를 형성하면서 모든 싱가포르인은 사실상 말레이시아인이 되었다.[21] 그러나 합병 후 약 2년 만인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로부터 분리되었고, 싱가포르 시민에게서 말레이시아 시민권이 철회되었다. 싱가포르 국적법은 새로운 싱가포르 헌법에 통합되었다. 헌법은 1957년 조례를 폐지했고, 조례에 따라 1963년 9월 16일 현재 시민권을 가진 모든 사람은 싱가포르 시민으로 계속 남았다.

오늘날 싱가포르 시민권은 출생, 혈통 또는 등록에 의해 부여된다. 헌법에 규정되어 있지만, 귀화에 의한 시민권은 더 이상 부여되지 않는다. 대신 정부는 등록에 의한 시민권에 대한 헌법 조항을 사용하여 거주 외국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한다.[22]

3. 1. 민족 구성

다양한 민족 출신의 사람들 - 중국인, 말레이인, 인도인이 1900년경 싱가포르의 한 길모퉁이에 모여 있다.


싱가포르의 민족 구성은 2021년 기준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이 75.9%로 가장 많고, 말레이계 싱가포르인이 15.1%, 인도계 싱가포르인이 7.4%를 차지하며, 기타 민족은 1.6%이다.[8] 싱가포르 정부는 다민족 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민족 간 분리 및 앙클레이브 형성을 막기 위해 1989년 "민족 통합 정책"(EIP)을 시행했다.[23]

싱가포르에서는 중국계-말레이계-인도계-기타(CMIO) 모델이 인종을 구성하는 주요 틀이다.[24] 1964년 싱가포르 인종 폭동을 계기로[25] 제정된 인종 화합의 날을 통해 인종 간 화합을 기념한다.[25] 1964년 인종 폭동은 36명의 사망자와 560명의 부상자를 냈다.[26]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유라시아인 등은 CMIO 모델에 따라 더 큰 민족 집단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자바인은 말레이족으로,[27] 페라나칸은 중국계 민족으로 분류된다.[28][29]

3. 2. 거주 국가

싱가포르의 총인구는 334만 3천 명이며, 해외 거주 싱가포르인은 21만 2천 명이다.[79] 해외 거주 싱가포르인들은 주로 호주, 말레이시아, 영국 등에 거주하며, 이들 국가에 큰 규모의 싱가포르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80]

4. 문화

싱가포르의 상점


싱가포르 문화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그리고 유럽 문화가 혼합된 형태이다. 말레이 제도, 인도, 중국, 유라시아, 유럽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리틀 인디아, 차이나타운, 캄퐁 글람과 같은 여러 민족 지역의 건축 양식에서 반영된다. 싱글리시는 싱가포르인들이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는 지역 사투리와 말레이어, 민남어, 조주어, 광동어, 타밀어에서 파생된 단어가 섞인, 주로 영어 기반의 지역 혼성 언어이다.[30][31]

싱가포르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 헌법은 민족, 인종, 종교, 교파, 출신, 출생지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 따라서 국가는 단일 문화 동화 대신 다문화주의와 다인종주의의 문화적 다양성을 장려한다.[30][31] 싱가포르인의 약 70%는 중국, 말레이, 인도 문화를 포함한 다른 민족 문화와 동일시한다.[7] 설날, 하리 라야 푸아사, 디파발리, 웨삭 데이, 크리스마스, 성 금요일, 부활절, 새해와 같은 주요 축제는 각기 다른 주요 인종 및 종교 집단이 기념하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싱가포르의 전 총리인 리콴유고촉통은 싱가포르가 전통적인 국가의 설명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싱가포르인들이 모두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같은 종교를 공유하며, 같은 관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과도기적 사회라고 칭했다.[32] 각 싱가포르인의 행동과 태도는 무엇보다도 그들의 모국어와 종교의 영향을 받는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싱가포르인은 서구 문화와 기독교 문화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33]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중국 문화와 유교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싱가포르인들은 말레이 문화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이슬람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34][35]

4. 1. 문화적 특징

싱가포르 문화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문화가 혼합된 형태이며, 말레이 제도, 인도, 중국, 유라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30][31] 이는 리틀 인디아, 차이나타운, 캄퐁 글람과 같은 여러 민족 지역의 건축 양식에서 반영된다. 싱글리시는 싱가포르인들이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는 지역 사투리와 말레이어, 민남어, 조주어, 광동어, 타밀어에서 파생된 단어가 섞인, 주로 영어 기반의 지역 혼성 언어이다.[30][31]

싱가포르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 헌법은 민족, 인종, 종교, 교파, 출신, 출생지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 따라서 국가는 단일 문화 동화 대신 다문화주의와 다인종주의의 문화적 다양성을 장려한다.[30][31] 싱가포르인의 약 70%는 중국, 말레이, 인도 문화를 포함한 다른 민족 문화와 동일시한다.[7] 설날, 하리 라야 푸아사, 디파발리, 웨삭 데이, 크리스마스, 성 금요일, 부활절, 새해와 같은 주요 축제는 각기 다른 주요 인종 및 종교 집단이 기념하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싱가포르의 전 총리인 리콴유고촉통은 싱가포르가 전통적인 국가의 설명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싱가포르인들이 모두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같은 종교를 공유하며, 같은 관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과도기적 사회라고 칭했다.[32] 각 싱가포르인의 행동과 태도는 무엇보다도 그들의 모국어와 종교의 영향을 받는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싱가포르인은 서구 문화와 기독교 문화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33]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중국 문화와 유교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싱가포르인들은 말레이 문화에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이슬람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34][35]

4. 2. 주요 명절

4. 3. 키아수(Kiasu)

키아수(Kiasu)는 싱가포르 특유의 문화적 정체성으로, 일종의 승부욕, 두려움, 욕심, 이기주의가 혼합된 복합적인 성격을 일컫는다.[82][83] 싱가포르인들은 스스로도 키아수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싱가포르 정부는 '미스터 키아수(Mr.Kiasu)'라는 마스코트를 활용하기도 한다.[84]

5. 언어

싱가포르에는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네 가지 공식 언어가 있다.[85] 말레이어는 국어이며 인구의 13%가 모국어로 사용한다.[86] 비말레이계 젊은 세대 대부분이 말레이어에 능숙하지 않지만, 말레이어는 싱가포르 국가와 싱가포르 훈장 및 장식에 대한 인용문, 그리고 군대 열병 훈련 명령에 사용된다.[52] 싱가포르 영어는 싱가포르인들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다.[88]

4개 언어 표지판


싱가포르는 역사적으로 무역 정착지로서 외국 상인들이 유입되었고,[47] 이들의 언어는 싱가포르의 현대 언어 레퍼토리에 서서히 자리 잡았다. 상인들의 유입과 함께, 바자르 말레이어 (''Melayu Pasar'')는 크리올어로, 말레이어와 중국어의 혼합으로, 말레이 제도에서 무역 언어였던 섬의 공용어로 부상했다.[48][49] 그러나 영국 식민 정부 하에서, 영어는 싱가포르의 행정, 법률 및 비즈니스 언어로서의 위상을 얻었고, 결국 바자르 말레이어를 대체하여 인구 간의 가교 언어가 되었다.[47] 정부 행정이 증가하고, 인프라와 상업이 발달하며, 교육 접근성이 더욱 확대되면서 싱가포르인들 사이에서 영어의 확산을 촉진했다.

거의 모든 싱가포르인은 이중 언어 구사자인데, 이는 싱가포르의 이중 언어 교육 정책 도입 이후의 결과이다.[53] 하지만 싱가포르 영어는 오늘날 싱가포르인들이 사용하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남아 있다.[54] 이는 모국어 수업을 제외한 모든 학교 과목의 주요 교육 언어이며, 행정, 법률 및 비즈니스의 공통 언어이기도 하다.[55] 2009년에는 20개 이상의 언어가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도시의 풍부한 언어 다양성을 반영한다.[56][57]

6. 종교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종교적으로 다양한 국가 중 하나이다.[81][62] 싱가포르인들은 다양한 민족적,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다양한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가지고 있다. 불교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는 종교이며, 힌두교가 그 뒤를 잇는다.[81] 아브라함 계통 종교를 믿는 사람들도 상당수 존재하며, 기독교이슬람교 신자도 많다.

불아사 치아 유물 사원 및 박물관


성 안드레 성당


술탄 모스크(Masjid Sultan)


싱가포르 종교간 기구 (IRO)는 싱가포르에서 10개의 주요 종교를 인정하며 종교 간 화합을 위해 노력한다.[63] 2010년과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실천되는 종교는 다음과 같다.[64][65][66]

싱가포르에서 실천되는 종교, 2010 & 2015년 통계
종교
그룹
인구
% 2010
인구
% 2015
불교33.3%33.2%
도교 및 민간 신앙10.9%10.0%
기독교18.4%18.7%
가톨릭7.1%6.7%
개신교 및 기타 비 가톨릭11.3%12.0%
무종교17.0%18.5%
이슬람교14.7%14.0%
힌두교5.1%5.0%
기타 종교0.7%0.6%



도교(10%), 중국 민간 신앙, 시크교, 자이나교와 같은 다른 다르마 종교도 싱가포르인들이 실천하는 주요 종교이다. 조로아스터교유대교를 실천하는 사람들도 소수 존재한다. 싱가포르 인구의 18.5%는 어떤 종교에도 속하지 않으며, 0.9%는 무신론자로 밝혀졌다. 또한, 도교와 힌두교 전통을 불교에 통합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와 같이 혼합 종교의 실천도 흔하다.

7. 문학

싱가포르 문학은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 4개의 공용어로 쓰인 문학 작품들을 포괄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특정 언어의 문학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싱가포르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묘사하는 독특한 문학으로도 여겨지며, 싱가포르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영어 싱가포르 문학은 1830년대 식민지 싱가포르의 페라나칸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었다.[58] 1937년 테오 포 렝이 쓴 시 ''F.M.S.R. A Poem''이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으며,[58] 1950년대에는 왕궁우의 작품 펄스가 뒤를 이었다.[59] 1965년 싱가포르가 독립 국가가 된 이후 에드윈 텀부, 아서 얍, 로버트 여를 포함한 여러 작가들이 주로 시에 집중했으며, 이는 영어로 쓰인 싱가포르 문학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58]

말레이어 싱가포르 문학은 1841년 말레이 서기 압둘라 빈 압둘 카디르가 쓴 ''Cherita Kapal Asap''이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60] 다른 초기 말레이 작가로는 투안 시미와 마수리 S. N.이 있다.[60] 1970년대 초까지 싱가포르 말레이 문학 작품은 말레이시아의 작품과 유사했다. 싱가포르가 독립하기 전에 많은 초기 말레이어 싱가포르 문학 개척자들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는데, 이는 그들이 말레이시아의 더 큰 말레이 커뮤니티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고, 글쓰기에서 공통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이르러,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통치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의 말레이어 문학 작품은 더욱 뚜렷해졌으며, 싱가포르 말레이 문학은 자유, 진정성, 비판적 사고를 주제로 다루게 되었다.[61]

7. 1. 영어 문학

영어 싱가포르 문학은 1830년대 식민지 싱가포르의 페라나칸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었다.[58] 1937년 테오 포 렝이 쓴 시 ''F.M.S.R. A Poem''이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으며,[58] 1950년대에는 왕궁우의 작품 펄스가 뒤를 이었다.[59] 1965년 싱가포르가 독립 국가가 된 이후 에드윈 텀부, 아서 얍, 로버트 여를 포함한 여러 작가들이 주로 시에 집중했으며, 이는 영어로 쓰인 싱가포르 문학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58]

7. 2. 말레이어 문학

말레이어 싱가포르 문학은 1841년 말레이 서기 압둘라 빈 압둘 카디르가 쓴 ''Cherita Kapal Asap''이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60] 다른 초기 말레이 작가로는 투안 시미와 마수리 S. N.이 있다.[60] 1970년대 초까지 싱가포르 말레이 문학 작품은 말레이시아의 작품과 유사했다. 싱가포르가 독립하기 전에 많은 초기 말레이어 싱가포르 문학 개척자들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는데, 이는 그들이 말레이시아의 더 큰 말레이 커뮤니티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고, 글쓰기에서 공통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이르러,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통치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의 말레이어 문학 작품은 더욱 뚜렷해졌으며, 싱가포르 말레이 문학은 자유, 진정성, 비판적 사고를 주제로 다루게 되었다.[61]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migrant stock 2019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0-06-25
[2] 웹사이트 Immigrants in Brazil (2024, in Portuguese) https://www.nepo.uni[...]
[3] 서적 Lee Kuan Yew: The Crucial Year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3-02-15
[4] 논문 Population Trends in Singapore, 1819–1967 1969-03
[5] 웹사이트 History of Singapore http://www.nationson[...] One World Nations Online 2015-08-29
[6] 웹사이트 Arts, culture and a distinct Singaporean identity https://www.straitst[...] The Straits Times 2020-06-23
[7] 논문 CNA-IPS SURVEY ON ETHNIC IDENTITY IN SINGAPORE https://lkyspp.nus.e[...] 2020-06-23
[8] 웹사이트 2019 Singapore Population in Brief https://www.strategy[...] Strategy Group Singapore, Prime Minister's Office 2020-06-27
[9] 웹사이트 Records of Ancient Links between India and Singapore http://www.hsse.ni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2006-08-04
[10] 문서 Heidhues 2001
[11] 웹사이트 《南洋蠡测》 / 颜斯综著 http://libapps2.nus.[...]
[12] 서적 新加坡古事記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13] 서적 Governing Singapore: democracy and national development Allen & Unwin
[14] 서적 The Population of Singapore https://books.google[...] ISEAS Publishing 2012-06-30
[15] 웹사이트 1819 - The February Documents http://www.mindef.go[...] "[[Ministry of Defence (Singapore)]]" 2015-03-01
[16] 웹사이트 Singapore – Founding and Early Years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2006-07-18
[17] 웹사이트 First Census of Singapore is Taken http://eresources.nl[...]
[18] 서적 Contesting Space in Colonial Singapore: Power Relations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NUS Press
[19] 웹사이트 Founding of Modern Singapore http://app.www.sg/wh[...] "[[Minist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he Arts]]" 2011-04-13
[20] 서적 Singapore :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1] 웹사이트 Signing of the Malaysia Agreement - Singapore History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2020-03-09
[22] 웹사이트 Citizenship rules of Singapore http://statutes.agc.[...] 2015-02-20
[23] 웹사이트 HDB InfoWEB: Ethnic Integration Policy & SPR Quota : Selling Your Flat http://www.hdb.gov.s[...]
[24] 서적 Beyond Rituals and Riots: Ethnic Pluralism and Social Cohesion in Singapore Institute of Policy Studies and Eastern Universities Press
[25] 웹사이트 Speech by Mr Heng Swee Keat, Minister for Education, at the Racial Harmony Day Celebrations on Monday, 21 July 2014, at 9:20am at Elias Park Primary School http://www.moe.gov.s[...] MOE, Singapore 2015-03-01
[26] 논문 The past in the present: Memories of the 1964 'racial riots' in Singapore 2001
[27] 서적 Singapore,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13-02-17
[28] 웹사이트 Debate over CMIO model as diversity grows https://www.todayonl[...] Today 2020-06-26
[29] 웹사이트 Commentary: I am Peranakan not Chinese https://www.channeln[...] Channel News Asia 2020-06-26
[30] 논문 Irreducible Plurality, Indivisible Unity: Singapore Relational Constitutionalism and Cultivating Harmony Through Constructing a Constitutional Civil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10
[31] 웹사이트 PM Lee Hsien Loong at the Official Opening of the Singapore Chinese Cultural Centre https://www.pmo.gov.[...] "[[Prime Minister's Office (Singapore)]]" 2020-06-23
[32] 뉴스 MM Lee says Singapore needs to do more to achieve nationhood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11-10-27
[33] 논문 Christian identities in Singapore: religion, race and culture between state controls and transnational flows routledge
[34] 논문 Some Aspects of Malay-Muslim Ethnicity in Peninsular Malaysia
[35] 웹사이트 Bit of Malay Culture Is Now Vanishing Under Muslim Rules https://yaleglobal.y[...] Yale University 2018-11-17
[36] 웹사이트 A history of Singapore cuisine https://www.seasoned[...] Seasoned Pioneers 2021-09-25
[37] 웹사이트 Food Culture in Singapore, Eating Habits in Singapore https://www.topasiat[...] Top Tour Asia 2021-09-25
[38] 웹사이트 CULINARY BIOGRAPHIES: CHARTING SINGAPORE'S HISTORY THROUGH COOKING AND CONSUMPTION https://www.iseas.ed[...] ISEAS - Yusof Ishak Institute 2021-09-25
[39] 웹사이트 Hawker Culture in Singapore – Heritage Plan https://www.oursgher[...] Our SG Heritage 2021-09-25
[40]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Singapore's Hawker Culture https://www.roots.go[...] 2023-04-21
[41] 웹사이트 UNESCO - Hawker culture in Singapore, community dining and culinary practices in a multicultural urban context https://ich.unesco.o[...] 2021-07-03
[42] 웹사이트 3 Reasons Why Singaporeans Aren't Eating at Home More https://blog.moneysm[...] Money Smart 2021-09-25
[43] 웹사이트 Singapore Famous Local Food & Cuisine https://www.visitsin[...] Visit Singapore Official Site 2021-09-25
[44] 웹사이트 Dipping sauce and a little controversy: who knew chicken rice had such 'wow' factor https://www.sbs.com.[...] 2019-01-21
[45] 웹사이트 10 Best Restaurants of 2019: #4 Service Bar https://www.columbus[...] 2020-11-14
[4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Hainanese Chicken Rice, Singapore's National Dish https://theculturetr[...] The Culture Trip 2020-07-15
[47] 논문 Saving Chinese-language education in Singapore 2013
[48] 논문 Bazaar Malay topics 2010
[49] 서적 English in Singapore and Malaysia: Status, features, fu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50]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nd national language http://statutes.agc.[...] 2010-11-11
[51] 간행물 Singapore's balancing a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nguistic landscape 2014
[52] 간행물 Singapore Arms and Flag and National Anthem Act
[53] 문서 See Language education in Singapore
[54] 논문 Epistemic modalities and the discourse particles of Singapore http://www.leeds.ac.[...] Elsevier
[55] 웹사이트 31 March 2000 http://www.moe.gov.s[...] Moe.gov.sg 2011-01-27
[56] 웹사이트 Language Policies Impact on Language Maintenance and Teaching Focus on Malaysia Singapore and The Philippines https://www.scribd.c[...] University of Malaya Angel David Malaysia 2017-09-09
[57] 웹사이트 Languages of Singapore http://www.ethnologu[...] 2010-11-13
[58] 뉴스 Work of lost Malayan poet Teo Poh Leng republished after 78 years thanks to ST article https://www.straitst[...] 2018-12-01
[59] 웹사이트 Wang Gungwu / Intro http://www.poetry.sg[...] poetry.sg 2021-09-26
[60] 웹사이트 '"A New World Is Being Created": A Brief History of Malay Literature in Singapore' https://www.heath.tw[...] Nomansland 2021-09-26
[61] 웹사이트 Malay Literature in the Wave of Singapore's Cosmopolitanism https://www.wordswit[...] Words Without Borders 2021-09-26
[62] 웹사이트 Global Religious Diversit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2014-04-15
[63] 웹사이트 Introducing Singapore's IRO – Inter-Religious Organisation https://iro.sg/about[...] 2019-09-14
[64] 간행물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ingstat.[...] 2015-04-01
[65]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1 http://www.singstat.[...] Department of Statistics 2014-02-02
[66] 웹사이트 2015 General Household Survey http://www.singstat.[...]
[67] 웹인용 2014 Population in Brief http://population.sg[...] Population SG 2015-01-01
[68] 웹인용 World Migr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https://www.iom.int/[...] Iom.int 2016-01-08
[69] 서적 Lee Kuan Yew: The Crucial Year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3-02-15
[70] 웹인용 History of Singapore http://www.nationson[...] One World Nations Online 2015-08-29
[71] 웹인용 Records of Ancient Links between India and Singapore http://www.hsse.ni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2006-08-04
[72] 문서
[73] 서적 Governing Singapore: democracy and national development Allen & Unwin
[74] 웹인용 1819 - The February Documents http://www.mindef.go[...] Ministry of Defence (Singapore) 1997-02-07
[75] 웹인용 Singapore – Founding and Early Years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2006-07-18
[76] 웹인용 Singapore Population 1950-2024 https://www.macrotre[...] 2024-12-08
[77] 웹인용 Singapore Citizenship Ordinance of 1957 https://www.nlb.gov.[...] 2024-12-08
[78] 서적 Singapore :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79] 웹인용 중앙시사매거진 https://jmagazine.jo[...] 2024-12-08
[80] 웹인용 World Migr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https://www.iom.int/[...] Iom.int
[81] 웹인용 Global Religious Diversit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2014-04-15
[82] 웹인용 Dictionary.com {{!}} Meanings & Definitions of English Words https://www.dictiona[...] 2024-12-08
[83] 웹인용 https://ink.library.[...] 2024-12-08
[84] 웹인용 S.U.R.E. or not? Mr Kiasu is back https://www.todayonl[...] 2024-12-08
[85] 웹인용 Official languages and national language http://statutes.agc.[...] 2010-11-11
[86] 문서 Singapore's balancing a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nguistic landscape
[87] 문서 Singapore Arms and Flag and National Anthem Act Singapore legislation
[88] 저널 Epistemic modalities and the discourse particles of Singapore http://www.leeds.ac.[...] Elsevier 2017-04-30
[89] 웹인용 31 March 2000 http://www.moe.gov.s[...] Moe.gov.sg 2011-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