딘또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딘또안은 딘보린의 둘째 아들로, 979년 딘 왕조의 황제가 되었으나, 레호안이 섭정하면서 허수아비 황제가 되었다. 980년 레호안이 황제로 즉위하면서 폐위되어 위왕으로 봉해졌고, 딘 왕조는 멸망했다. 1001년 반란 진압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딘 왕조의 황제 - 딘보린
딘보린은 십이사군의 난을 평정하고 대구월을 건국한 정조의 창건자이자 베트남 최초로 연호를 제정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한 초대 황제이다. - 974년 출생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1001년 사망 - 후지와라노 데이시
후지와라노 데이시는 헤이안 시대 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아버지의 사망과 권력 투쟁 속에서 고난을 겪었으나 궁정 문화를 꽃피우고 문학과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 1001년 사망 - 왕우칭
왕우칭은 북송 시대의 문인으로, 강직한 성품으로 황궁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비판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강조했으며, 두보와 백거이의 영향을 받은 평화롭고 이해하기 쉬운 시풍과 굴하지 않는 신념으로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딘또안 | |
---|---|
기본 정보 | |
이름 | 딘폐제 |
한자 표기 | 丁廢帝 |
풀 네임 | 딘또안 (丁璿) |
![]() | |
통치 정보 | |
칭호 | 대구월 황제 |
아버지 | 딘띠엔호앙 |
어머니 | 황후 즈엉번응아 |
배우자 | 없음 |
자녀 | 없음 |
출생일 | 974년 |
출생지 | 호아르, 대구월 |
사망일 | 1001년 (26-27세) |
사망지 | 호아르, 대구월 |
매장지 | 호아르 |
통치 | |
통치 시작 | 979년 |
통치 종료 | 980년 |
선임자 | 딘보린 |
후임자 | 레다이하인 (전레 왕조 황제) |
섭정 | 레다이하인 |
왕조 정보 | |
왕조 | 딘 왕조 |
선임자 | 딘보린 |
후임자 | 왕조 붕괴 |
종교 | |
종교 | 알 수 없음 |
2. 생애
딘보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978년 위왕(衛王)에 봉해졌다.
979년 11월, 딘볼린이 장자인 딘리엔과 함께 환관 도틱(Đỗ Thích)에게 살해되었다. 딘또안은 응우옌박(Nguyễn Bặc), 레호안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6세에 불과하여 실권이 없었다. 십도장군(十道將軍) 레호안이 섭정, 부왕(副王)으로서 실권을 잡았고, 딘또안은 사실상 허수아비였다. 응우옌박, 딘디엔(Đinh Điền)은 레호안의 횡포에 분노하여 거병했으나 진압되었다.
980년 7월, 송나라의 침공을 앞두고 레호안이 군중에서 추대받아 황제로 즉위하였고, 딘또안은 폐위되어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이로써 딘 왕조는 멸망하였다.
1001년, 딘또안은 타인호아 성에서 끄우롱의 반란을 진압하던 중 화살에 맞아 2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2. 1. 초기 생애 및 즉위 과정
딘보린의 둘째 아들로 974년 호아르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딘또안(丁璿) 또는 딩투에(丁穗)이다. 978년에 위왕(衛王)에 봉해졌다.[1]979년 11월, 딘볼린이 장자인 딘리엔과 함께 환관 도틱(Đỗ Thích)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 정조의 대신인 응우옌박(Nguyễn Bặc), 레호안 등은 딘또안을 황제로 옹립하였다. 그러나 딘또안은 당시 6세에 불과하여 실권이 없었고, 십도장군(十道將軍) 레호안이 섭정, 부왕(副王)으로서 모든 권력을 장악했다.[1]
응우옌박, 딘디엔(Đinh Điền)은 레호안의 권력 독점에 반발하여 군사를 일으켰으나, 레호안에게 진압되었다. 이들은 레호안과 태후 즈엉반응아가 부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의심하기도 했다.[1]
980년 7월, 송나라의 침공 위협 속에서 레호안은 군사들의 추대를 받아 황제로 즉위했고, 딘또안은 폐위되어 위왕(衛王)으로 강등되었다. 이로써 딘 왕조는 멸망하였다.[1]
한편, 왕자 부마 응오 녓 카잉은 참파로 도망쳐 참파 왕 파라메슈바라바르만 1세에게 호아 루를 공격하도록 설득했다. 참파 함대가 출병했으나, 예상치 못한 폭풍으로 인해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2]
2. 2. 허수아비 황제와 딘 왕조의 멸망
979년 11월, 딘보린이 장자인 딘리엔과 함께 환관 도틱(Đỗ Thích)에게 살해되었다.[2] 딘볼린의 둘째 아들 딘또안은 응우옌박(Nguyễn Bặc), 레호안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레호안은 십도장군(十道將軍), 섭정, 부왕(副王)으로서 실권을 잡았고, 딘또안은 사실상 허수아비였다. 응우옌박, 딘디엔(Đinh Điền)은 레호안의 횡포에 분노하여 거병해 레호안을 공격했지만 진압되었다.980년 7월, 송나라의 침공을 앞두고 레호안이 군중에서 추대받아 황제로 즉위하였고, 딘또안은 폐위되어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이로써 딘 왕조는 멸망하였다.
딘또안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떠한 권력도 없는 명목상의 황제였다. 모든 권력은 섭정 레호안이 쥐고 있었으며, 몇 달 후 레호안은 전 레 왕조를 건국했다. 이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궁정에서 몇 가지 사건이 발생했다. 두 관료 딘 디엔과 응우옌 박은 레 호안에게 집중된 권력이 곧 딘 왕조를 레 호안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그들은 레 호안과 태후 즈엉 반 응아가 부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의심했다. 그들은 레 호안에 대항했지만, 그들의 저항은 곧 빠르게 진압되었다.[2]
왕자 부마 응오녓카인은 참파로 도망쳐 그들의 군주 파라메슈바라바르만 1세에게 설득하여 해군 함대를 파견해 호아르 수도를 공격하게 했다. 하지만 이 작전은 예상치 못한 폭풍으로 많은 선박이 침몰하면서 실패했다.[2]
1001년, 딘또안은 사망하였다.
2. 3. 딘 왕조 멸망 이후
979년 11월, 딘 볼린이 궁중 변란으로 장자인 정련과 함께 환관 도틱(Đỗ Thích)에게 살해되었다. 정선은 레호안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레호안이 십도장군(十道將軍), 섭정, 부왕(副王)으로서 실권을 잡아 사실상 허수아비였다. 응우옌박(Nguyễn Bặc), 딘 디엔이 레호안의 횡포에 분노하여 거병해 레호안을 공격했지만 진압되었다.[1]980년 7월, 송나라의 침공을 앞두고 레호안이 군중에서 추대받아 황제로 즉위하였고, 딘또안은 폐위되어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이로써 정조는 멸망하였다.[1]
1001년, 딘또안은 타인호아 성에서 끄우롱의 반란을 진압하던 중 화살에 맞아 2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3. 연호
4. 가계
5. 딘 왕조의 역대 군주
군주 |
---|
딘보린 |
딘또안 |
참조
[1]
문서
Some modern historians hypothesize that Dương Vân Nga intrigued with Lê Hoàn to assassinate Đinh Bộ Lĩnh and Đinh Liễn to enthrone her son, but this is not popularly confirmed.
[2]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