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우칭은 북송 시대의 문인으로, 983년 진사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났으며, 5세에 시를 지을 정도였다. 우습유, 직사관, 좌사간, 지제고, 한림학사 등을 역임하며 황궁의 사치를 비판하는 등 강직한 면모를 보였으나, 직언을 자주 하여 세 번이나 좌천되었다. 48세에 기주로 전근 간 지 한 달 만에 사망했으며, 구양수가 그의 화상을 보고 시를 지어 기렸다. 저서로는 《소축집》, 《소축집외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1년 사망 - 후지와라노 데이시
후지와라노 데이시는 헤이안 시대 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아버지의 사망과 권력 투쟁 속에서 고난을 겪었으나 궁정 문화를 꽃피우고 문학과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 1001년 사망 - 딘또안
딘또안은 딘 왕조의 제2대 황제로 딘보린의 아들이나, 레호안에게 실권이 넘어가 위왕으로 강등되었고 반란 진압 중 사망하여 딘 폐제로 불린다. - 954년 출생 - 후지와라노 요시타카
후지와라노 요시타카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자 시인으로, 고전 36가선 중 한 명이며 《오구라 백인일수》에 시가 수록되었고,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나 불교 신앙심과 예술적 재능으로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954년 출생 - 오나카토미노 스케치카
오나카토미노 스케치카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이자 가인으로, 이치조, 고이치조, 고스자쿠 천황 3대에 걸쳐 다이조사이에서 와카를 읊고 신기백을 역임했으며, 칙찬 가인으로서 칙찬 와카집에 다수의 작품이 수록되었고 개인 가집으로 『스케치카쿄슈』를 남겼다. - 중국의 시인 - 굴원
굴원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친제파의 수장으로서 진나라와의 동맹을 반대하다가 좌천되어 멱라강에 투신 자결했으며, 그의 작품은 애국심을 담고 있으며 단오절 풍습의 기원이 되었다. - 중국의 시인 - 쉬즈모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인 쉬즈모는 낭만주의와 자유시의 영향을 받아 현대 중국어로 자유로운 형식과 현대적인 감각을 담은 시를 발표하여 중국 시의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린후이인, 루샤오만과의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왕우칭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한자 | 王禹偁 |
로마자 표기 | Wang Yucheng |
자 | 승중(승중, 勝仲) |
호 | 황주피인(황주피인, 黃州疲隱), 소축선생(소축선생, 小畜先生), 반천부옹(반천부옹, 半泉父翁) |
국적 | 북송 |
출생지 | 거야( 거야, 鉅野) |
사망지 | 기주(기주, 蘄州) |
시대 | 북송 |
직업 | 문인, 관료 |
관력 | |
진사 | 976년 병진과(병진과, 丙辰科) |
관직 | 좌사간(좌사간, 左司諫) 지제고(지제고, 知制誥) 호부원외랑(호부원외랑, 戶部員外郎) 형부원외랑(형부원외랑, 刑部員外郎) 병부원외랑(병부원외랑, 兵部員外郎) 예부원외랑(예부원외랑, 禮部員外郎) 도관원외랑(도관원외랑, 都官員外郎) 수찬(수찬, 修撰) 기거사인(기거사인, 起居舍人) 상서고공원외랑(상서고공원외랑, 尙書考功員外郎) 둔전원외랑(둔전원외랑, 屯田員外郎) 사농사(사농사, 司農寺) 상주통판(상주통판, 商州通判) 유주통판(유주통판, 渝州通判) 섬주통판(섬주통판, 陝州通判) 요주통판(요주통판, 耀州通判) 지빈주(지빈주, 知賓州) 지황주(지황주, 知黃州) 지제주(지제주, 知滁州) 지단주(지단주, 知 단주) 지악주(지악주, 知岳州) 지응천부(지응천부, 知應天府) 지강주(지강주, 知 강주) |
가족 관계 | |
부 | 왕이소(왕이소, 王易蕭) |
배우자 | 조씨(조씨, 조씨) |
자녀 | 왕공진(왕공진, 王鞏辰), 왕공신(왕공신, 王鞏臣), 왕공필(왕공필, 王鞏弼) |
2. 생애
왕우칭은 송태종 태평흥국 8년(983)에 진사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성무현 주부를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단공 원년(988) 우습유와 직사관이 되었다. 황궁의 사치를 비판하는 『단공잠(端拱箴)』을 지었고, 좌사간, 지제고, 한림학사 등을 역임하며 직언을 서슴지 않아 '아첨을 끊는 검을 겸하여 갈고 직언하는 깃발을 대신 세운다'라는 평을 받았다.[3]
이러한 강직함 때문에 순화 2년(991) 상주, 지도 원년(995) 제주, 함평 원년(998) 황주로 좌천되어 '왕황주(王黃州)'라는 별명이 붙었다. 황주에서는 '황주신건소죽루기(黃州新建小竹樓記)'를 지어 좌천된 상황에서도 편안한 심경을 드러냈다.[3]
송진종 함평 4년(1001), 기주로 전근되었으나 한 달도 되지 않아 48세로 세상을 떠났다.[3]
2. 1. 출생과 가문
왕우칭은 대대로 가난한 농민 집안 출신이었다. 송태종(宋太宗) 태평흥국 8년(983)에 진사(進士)에 합격하였다.[3] 어릴 때부터 열심히 공부하여 5세에 시를 쓸 줄 알았으며, 벼슬길에 뜻을 품고 『오지(吾志)』라는 시에서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3]2. 2. 초기 관직 생활
왕우칭은 가난한 농민 집안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5세에 시를 지을 정도로 뛰어났다. 송 태종 태평흥국 8년(983)에 진사에 합격하여 성무현 주부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벼슬길에 대한 강한 의지를 품고 『오지(吾志)』라는 시에서 "내 삶은 때를 잃은 것이 아니고 뜻은 더는 낮추지 않을 것이다. 그대에게 바라니 요순을 바라고 학업에는 공자와 주공(周公)에 뜻을 둔다"라고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3]단공 원년(988), 왕우칭은 황제의 명으로 서울에 들어가 우습유와 직사관에 임명되었다. 그는 곧 『단공잠(端拱箴)』을 지어 황궁의 사치를 비판하며 간언하였다. 이후 좌사간, 지제고, 한림학사 등 요직을 거쳤다. 왕우칭은 강직한 성품으로 직언과 간언을 서슴지 않아 '아첨을 끊는 검을 겸하여 갈고 직언하는 깃발을 대신 세운다'라는 평가를 받았다.[3]
하지만 이러한 강직함 때문에 그는 세 차례나 좌천되는 시련을 겪었다. 순화 2년(991) 상주로, 지도 원년(995) 제주로, 함평 원년(998) 황주로 좌천되었다. 이로 인해 '왕황주(王黃州)'라는 별명을 얻었다. 황주로 좌천되었을 때 지은 '황주신건소죽루기(黃州新建小竹樓記)'에서는 좌천되었지만 마음만은 편안하다며 달관한 심경을 드러냈다.[3]
2. 3. 중앙 관직 진출과 좌천
송태종 단공(端拱) 원년(988), 왕우칭은 황제의 명으로 서울에 들어가 우습유(右拾遺) 겸 직사관(直史館)이 되었다. 그는 곧바로 황궁의 사치를 비판하는 『단공잠(端拱箴)』을 지어 바쳤다. 이후 좌사간(左司諫), 지제고(知制誥),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다. 강직한 성품으로 직언과 간언을 서슴지 않아 ‘아첨하는 자를 베는 검을 갈고, 직언하는 깃발을 세운다(兼磨斷佞劍, 擬樹直言旗)’는 평을 받았다.[3] 그러나 이로 인해 순화(淳化) 2년(991) 상주(商州), 지도(至道) 원년(995) 제주(滁州), 함평(咸平) 원년(998) 황주(黃州)로 세 차례나 좌천되어 ‘왕황주(王黃州)’라는 별명이 붙었다.2. 4. 세 차례의 강등
왕우칭은 강직한 성품으로 직언과 간언을 잘하여 여러 차례 좌천되었다.2. 5. 죽음
송진종 함평 4년(1001년) 기주로 전근갔지만 한 달도 안 되어 향년 48세로 사망했다.[3] 구양수는 왕우칭을 흠모하여 제주 시절 왕우칭의 화상을 보며 ‘서왕원지화상측(書王元之畫像側)’을 지었다.2. 6. 사후 평가
왕우칭은 직언과 간언을 잘하여 '아첨을 끊는 검을 겸하여 갈고 직언하는 깃발을 대신 세운다(兼磨斷佞劍, 擬樹直言旗)'라고 불렸다. 그는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세 차례나 강등되었는데, 이러한 잦은 좌천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특히 황주로 좌천되었을 때 지은 '황주신건소죽루기(黃州新建小竹樓記)'에서는 폄적(貶謫)되었지만 마음은 편안하다면서 달관한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다.[3]구양수는 왕우칭을 흠모하여 제주 시절 그의 화상을 보며 '서왕원지화상측(書王元之畫像側)'이라는 시를 지어 그를 기렸다. 또한 왕우칭은 고문 운동을 일으킨 인물로 평가받으며, 문장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3. 저작
왕우칭은 小畜集|소축집중국어, 小畜集外集|소축집외집중국어, 五代史闕文|오대사궐문중국어 등을 지었다. 왕우칭 시의 종주인 두보(杜甫)와 백거이(白居易)는 풍격이 평화효창(平和曉暢)하여 示子|시자중국어(示子)의 시에서도 "본래 백낙천(백거이)과 함께 뒤로 물러나나 감히 두자미(두보)가 전신이 되길 기대한다(本與樂天爲後進, 敢期子美是前身)"라고 말했다. 시가가 연원이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있다. 산문(散文)은 평이하다. 대표작으로 황주신건소죽루기, 당하점구전이 있고, 시로는 ‘대설(對雪), ’촌행(村行)‘ 등이 있다.
- 小畜集|소축집중국어
- 小畜集外集|소축집외집중국어
- 集疑|집의중국어
- 五代史闕文|오대사궐문중국어
참조
[1]
논문
Sima Guang on Song Taizong: Politics, History and Historiograph
2013
[2]
논문
Recent Taiwanese Scholarship on Song Dynasty Poetry and Prose
2020
[3]
서적
模糊集
生活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