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그나르 넉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그나르 넉시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경제학자로, 고전 개발 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빅 푸시 이론'을 주창하고, 저축과 자본 형성을 강조했으며, 빈곤의 악순환 문제를 제기했다. 국제 자본 이동과 국제 통화 문제를 연구했으며, 국제 연맹에서 근무하며 변동 환율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이론은 한국 경제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자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필리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2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98년 부통령에 당선되어 2001년 에드사 혁명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고, 2004년 재선에 성공했다.
  • 경제학자 - 쑹쯔원
    쑹쯔원은 중화민국 시대 정치가이자 경제학자로, 국민정부 재정부장과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중일전쟁 시 미국 지원을 확보했으나, 관료 자본주의 논란 속에 국공내전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 스웨덴계 에스토니아인 - 알프레드 네울란드
    알프레드 네울란드는 에스토니아 발가 출신의 역도 선수이며, 14세에 역도를 시작했다.
  • 스웨덴계 에스토니아인 - 렌나르트 메리
    렌나르트 메리는 에스토니아의 외교관, 작가, 영화감독, 정치가로, 시베리아 강제 이주 경험과 타르투 대학교 졸업 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렌나르트 메리 탈린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라그나르 넉시
기본 정보
균형 성장 이론의 선구자 라그나르 努尔克 세
라그나르 努尔克 세, 균형 성장 이론의 선구자
출생일1907년 10월 5일
출생지캐루, 리보니아 현, 러시아 제국 (현재 에스토니아)
사망일1959년 5월 6일
사망 장소스위스 르 몽-펠레린
국적에스토니아
학력
학교Domschule zu Reval, 탈린
대학교타르투 대학교
경력
기관컬럼비아 대학교
학문적 배경
학파경제학자
기여균형 성장 이론
영향폴 로젠스타인-로단
반대앨버트 허쉬만

2. 생애

라그나르 넉시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세계적인 경제학자로, 특히 개발경제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수학한 후 1934년부터 국제 연맹에서 활동하며 국제 경제 및 금융 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키웠다.[3][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다. 1959년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51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5] 그의 학문적 업적은 사후에도 기려지고 있다.[6]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1907년 10월 5일, 당시 러시아 제국령이었던 리보니아현 (현재 에스토니아 예르바주)의 캐루 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벌목꾼에서 농장 관리인으로 성공한 에스토니아인이었고, 어머니는 에스토니아 스웨덴인이었다. 그의 부모는 1928년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넉시의 학력은 다음과 같다.

학력 구분학교기간전공/과정비고
초등 교육러시아어 초등학교졸업
중등 교육탈린 대성당 학교~ 1926중등 교육 (독일어)탈린 소재 명문 학교, 우수 성적 졸업
대학 교육타르투 대학교1926 ~ 1928법학 및 경제학
대학 교육에든버러 대학교1928 ~ 1932경제학학사 (1등급), 지도교수: 프레데릭 오길비
연구빈 대학교1932 ~ 1934경제학 연구카네기 펠로우십 수혜. 오스트리아 학파 학자들(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프리츠 마흘루프, 루트비히 폰 미제스, 하버러 등)과 교류.


2. 2. 국제 연맹 및 학계 활동

1934년 첫 저서인 『Internationale Kapitalbewegungen|국제 자본 이동론deu』을 발표했다.[3] 같은 해부터 1945년까지 국제 연맹의 경제 금융 기구 소속 금융부와 경제 정보 서비스에서 금융 분석가로 근무했다. 그는 주로 연간 통화 검토를 담당했으며, 세계 무역 검토, 세계 경제 조사 등 다양한 보고서 발간과 "전쟁에서 평화 경제로의 전환"이라는 제목의 경제 불황 관련 보고서 작업에도 참여했다. 넉시는 변동 환율 제도가 전간기 경제 위기의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는데, 변동 환율이 "누적되고 악화되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지적했다.[4]

1945년 뉴욕컬럼비아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1946년까지 초빙 강사로 활동했다. 이후 1946년부터 1947년까지 프린스턴에 위치한 고등 연구소의 회원을 지냈으며, 1947년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 부교수로 복귀했다. 1949년에는 정교수로 승진하여 1959년 사망 직전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다.

학문 활동을 이어가며 1954년부터 1955년까지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너필드 칼리지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1958년에는 프린스턴 대학교로부터 경제학 교수직과 국제 금융 부서 이사직을 제안받았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는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에서 경제 개발을 연구하고 세계 여러 곳에서 강연 활동을 펼쳤으며, 동시에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에서도 연구와 강의를 수행했다.

1959년 봄, 제네바로 돌아온 넉시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의 직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인 5월 6일, 51세의 나이로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5]

2. 3. 사후

2007년 10월 5일, 라그나르 넉시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에스토니아 우편 서비스는 국제 우표를 발행하여 그를 기렸다. 그가 태어난 캐루 마을의 생가 건너편에는 명판이 새겨진 석조 기념비가 세워졌다. 또한 2007년 초에는 에스토니아 은행의 강연 시리즈와 탈린 공과대학교 기술 거버넌스 프로그램의 국제 회의를 통해 넉시를 기념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직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3년에는 탈린 공과대학교가 학과 중 하나의 이름을 '라그나르 넉시 혁신 및 거버넌스 학과'로 변경했다.[6]

3. 학문적 업적

넉시는 고전 개발 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폴 로젠스타인-로단, 쿠르트 만델바움과 함께 경제 발전을 위한 '빅 푸시 이론'을 제시했으며, 저축과 자본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가난한 국가들이 '빈곤악순환'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분석했다.

그의 연구는 크게 국제 금융 및 무역 분야와 개발 경제학 분야로 나눌 수 있다. 국제 금융 분야에서는 국제 자본 이동과 국제 통화 문제를 다루었으며, 특히 양차 대전 사이의 외국 환율 및 국제 금융 문제를 분석한 연구가 주목받는다. 개발 경제학 분야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 방안을 모색하며, 1차 산품 수출의 한계와 빈곤의 악순환 문제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브레튼 우즈 협정의 기초 논의에 영향을 준 ''국제 통화 경험: 전간기의 교훈'' (1944), ''국제 통화 균형의 조건'' (1945), 그리고 개발 경제학 분야의 대표작인 ''저개발 국가의 자본 형성 문제'' (1953) 등이 있다.

3. 1. 국제 금융 및 무역 연구

넉시는 국제 자본 이동과 국제 통화 등의 문제를 연구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국제 자본 이동론』이 있으며, 『국제 통화』에서는 양차 대전 기간의 외국 환율 및 국제 금융 문제를 이론적·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의 주요 저서 목록에는 브레튼 우즈 협정의 기초가 된 ''국제 통화 경험: 전간기의 교훈'' (1944)과 ''국제 통화 균형의 조건'' (1945) 등도 포함된다.

3. 2. 개발 경제학

넉시는 고전 개발 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폴 로젠스타인-로단, 쿠르트 만델바움과 함께 '빅 푸시 이론'을 주창했으며, 경제 발전에 있어 저축과 자본 형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넉시는 연구 대상을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 문제로 넓혔다. 그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이 어려운 이유로 1차 산품의 수출 증가세 둔화와 '빈곤악순환'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넉시에 따르면, 가난한 국가들은 낮은 소득이 낮은 저축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낮은 투자와 낮은 생산성을 유발하여 결국 다시 낮은 소득으로 돌아오는 악순환에 갇혀 벗어나기 어렵다. 그는 이러한 악순환을 극복하기 위해 산업 전반에 걸쳐 대규모 투자를 동시에 진행하여 상호 수요를 창출하고 시장을 확대하는 방식, 즉 '빅 푸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국제 자본 이동과 국제 통화 문제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 ''국제 통화 경험: 전간기의 교훈'' (1944)은 브레튼 우즈 협정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개발 경제학 분야의 주요 저서로는 ''저개발 국가의 자본 형성 문제'' (1953)가 있다.

4.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라그나르 넉시는 폴 로젠스타인-로단, 쿠르트 만델바움과 함께 '빅 푸시 이론'을 제시한 고전 개발 경제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경제 발전을 위해 저축과 자본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가난한 국가들이 '빈곤악순환'에 갇혀 저개발 상태를 벗어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산업 부문에 걸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핵심 주장이었다.

넉시의 이러한 균형 성장론적 관점은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계획에 중요한 이론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박정희 정부가 추진했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동시적이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성장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넉시의 빅 푸시 이론과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생산 능력을 대폭 확충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출을 증대시켜 경제 성장을 이루려 했던 수출 주도형 성장 전략 역시 대규모 자본 형성을 통한 개발을 강조한 넉시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넉시의 이론이 모든 개발도상국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일부에서는 그의 균형 성장론이 각 나라가 처한 고유한 상황이나 자원, 기술 등의 제약 조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제기하기도 한다.

5. 가족

아버지는 에스토니아인으로, 벌목꾼으로 시작하여 토지 관리자로 성공했다. 어머니는 스웨덴계 에스토니아인이었다. 부모는 1928년에 캐나다로 이주했다.

라그나르 넉시는 1946년 뉴저지주 잉글우드 출신인 해리엇 버거(Harriet Berger)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그 중 한 명은 시인 데니스 넉스이다.

6. 저서

(내용 없음)

6. 1. 한국어 번역

(내용 없음)

6. 2. 원서


  • 너크스, 라그나르. ''무역과 개발.'' 라이너 카텔, 얀 A. 크레겔, 에릭 S. 레이너트 편. 런던 & 뉴욕: 앤섬, 2009. ISBN 1843317877 너크스의 모든 주요 저작물 모음.
  • 너크스, 라그나르 (1944). ''국제 통화 경험: 전간기의 교훈''. 제네바: 국제 연맹.
  • 카텔, 라이너, 얀 A. 크레겔, 에릭 S. 레이너트, 편. ''라그나르 너크스 (1907–2007): 고전 개발 경제학과 오늘날의 관련성.'' 런던 & 뉴욕: 앤섬, 2009. ISBN 1843317869
  • 쿠크, 칼레브 (2004).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24825/http://www.bankofestonia.info/pub/en/dokumendid/publikatsioonid/seeriad/kroon_majandus/_2004/_2004_1/_8.pdf?objId=928824 (재)라그나르 너크스 재발견]. ''크론 & 경제'' 2004년 제1호.
  • 「생산 구조의 도식적 표현」, 1934, RES
  • 「국제 통화 균형의 조건」, 1945.
  • 「저개발국의 자본 형성 문제」, 1953.
  • 「무역과 개발의 패턴」, 1959.
  • 「세계 경제의 균형과 성장」, 1961.

참조

[1] 서적 Ragnar Nurkse (1907–2007) Anthem Press
[2] 간행물 Ragnar Nurkse a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https://doi.org/10.1[...] 2018
[3] 간행물 Review of Internationale Kapitalbewegungen https://www.jstor.or[...] 1936
[4] 서적 Globalizing Capital: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5] 뉴스 Deaths: Ragnar Nurkse https://www.newspape[...] Newspapers.com 1959-05-07
[6] 웹사이트 About {{!}} TalTech https://taltech.ee/e[...] 2021-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