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쇼는 미얀마 북부 샨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북부 샨 주의 권력 중심지였으며, 영국 식민지 시대와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버마 로의 종착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1년 미얀마 내전 중에는 타앙 민족 해방군 등 반군 세력의 공격을 받았으며, 현재 미얀마와 중국 간 국경 무역의 요충지이다. 라쇼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라쇼 기차역, 라쇼 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주요 명소로는 사사나 파고다, 만수 파고다, 관음산 영봉사 등이 있으며, 라쇼 대학교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도시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미얀마의 도시 - 네피도
네피도는 2005년 미얀마의 새로운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군부의 전략적 목적과 행정 수행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낮은 인구 밀도와 사회·경제적 과제를 안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라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쇼 |
행정 구역 | |
국가 | 미얀마 |
주 | 샨주 |
구 | 라쇼구 |
자치구 | 라쇼 자치구 |
군 | 라쇼군 |
지리 | |
해발 고도 | 836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09년 추정) | 131,000명 |
민족 구성 | 샨족 중국인 버마족 |
종교 | 불교 |
시간대 | |
시간대 | 미얀마 표준시 |
협정 세계시 (UTC) | +6:30 |
2. 역사
1883년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03년에 만덜레부터 라쇼까지 미얀마 철도가 연결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버마 로의 종착역으로 중요해졌으며, 1942년 4월 29일 일본군에게 점령되었다가 1945년 3월 7일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4]
미얀마 내전 중 작전 1027 동안 타앙 민족 해방군과 다른 반군 세력에 의해 포위되었고, 라쇼 주변 마을들을 점령당했지만, 마을 자체에서는 즉각적인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다. 다른 지역 전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라쇼로 피난했다.[5] 휴전이 붕괴된 후, MNDAA와 동맹 세력은 마을 점령을 위한 새로운 공격을 시작했고, 라시오 전투에서 반군 세력이 승리했다.[6]
2. 1. 영국 식민지 시대 이전
영국 통치 이전 라시오는 북부 샨 주의 권력 중심지였지만, 계곡에 있는 버마 주둔지는 오래된 중국 요새화된 캠프인 남 야오 근처에 있었다. 라시오 계곡은 과거 인구가 매우 많았지만, 영국 점령 약 10년 전 소파인 Hsenwi의 반란으로 인해 황폐해졌다.[1]2. 2. 영국 식민지 시대 (1887년 ~ 1948년)
1883년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미얀마 철도가 만덜레부터 라쇼까지 연결된 것은 1903년이었다.[1] 라쇼 지역의 영국 식민지 시대는 1887년에 시작되었다.[1]영국 통치 이전에도 라쇼는 북부 샨 주의 권력 중심지였지만, 계곡에 있는 버마 주둔지는 오래된 중국 요새화된 캠프인 남 야오 근처에 있었다. 라쇼 계곡은 과거 인구가 매우 많았지만, 영국 점령 약 10년 전 소파인 Hsenwi의 반란으로 인해 황폐해졌다.[1]
1900년에 라쇼 마을은 법원과 문관들의 숙소가 있는 유럽인 주둔지, 군사 경찰 주둔지, 라쇼 대대 군사 경찰 본부, 샨족, 버마인, 힌두교도, 무슬림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별도의 구역으로 나뉜 토착민 주둔지(정부 공무원과 북부 샨 주의 다섯 명의 소파의 임시 거주지를 위한 예비 공간이 있었다), 바자르로 구성되었다.[1]
라쇼는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버마 로의 버마 종착역으로서 중요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라쇼는 1942년 4월 29일에 일본군에게 점령되었고, 1945년 3월 7일에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4]
2.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라쇼는 1942년 4월 29일에 일본군에게 점령되었고, 1945년 3월 7일에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4]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버마 로의 버마 종착역으로서 중요해졌다.2. 4. 미얀마 내전 (2021년 ~ 현재)
미얀마 내전 (2021년~현재) 작전 1027 동안, 타앙 민족 해방군과 다른 반군 세력에 의해 라쇼가 포위되었고, 그들은 라쇼 주변의 마을들을 점령했지만, 마을 자체에서는 즉각적인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다. 다른 지역의 전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안전을 위해 라쇼로 피난했다.[5] 작전을 종결시킨 휴전이 붕괴된 후, MNDAA와 그 동맹 세력은 마을을 점령하기 위한 새로운 공격을 시작했고, 라시오 전투에서 반군 세력이 승리했다.[6]3. 지리
라쇼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Cwa)에 속하지만, 열대 몬순 기후(Aw)에 가깝다.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비가 내리는 특징을 보인다. 12월부터 3월까지 밤에는 쌀쌀하지만, 연중 기온은 일반적으로 따뜻하다.[1][7]
3. 1. 기후
라쇼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Cwa)에 속하지만, 열대 몬순 기후(Aw)에 가깝다.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비가 내리는 특징을 보인다.[1][7] 12월부터 3월까지 밤에는 쌀쌀하지만, 연중 기온은 일반적으로 따뜻하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약 137.16cm이며, 평균 최고 기온은 27°C, 평균 최저 기온은 13°C이다.[1][7]3. 1. 1. 상세 기후 데이터
라쇼의 상세 기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아래의 데이터는 1981년~2010년, 1991년~2020년 관측값을 기준으로 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5.7 | 28.1 | 31.2 | 32.8 | 31.6 | 30.7 | 29.3 | 29.6 | 29.9 | 29.3 | 27.1 | 25.2 | 29.2 |
평균 최저 기온 (°C) | 5.2 | 6.1 | 9.6 | 15.1 | 19.2 | 21.8 | 21.9 | 21.8 | 20.9 | 18.7 | 13.3 | 8.1 | 15.1 |
월 강수량 (mm) | 2.7 | 5.9 | 9.6 | 57.1 | 171.9 | 178.3 | 213.0 | 290.9 | 280.7 | 175.6 | 75.5 | 10.0 | 1471.2 |
평균 최고 기온 (°C) (1991–2020) | 25.8 | 28.3 | 31.5 | 33.0 | 31.7 | 30.7 | 29.5 | 29.8 | 30.2 | 29.4 | 27.6 | 25.5 | 29.4 |
평균 기온 (°C) (1991–2020) | 15.8 | 17.5 | 21.0 | 24.3 | 25.6 | 26.3 | 25.8 | 25.9 | 25.6 | 24.1 | 20.6 | 17.1 | 22.5 |
평균 최저 기온 (°C) (1991–2020) | 5.9 | 6.7 | 10.5 | 15.6 | 19.5 | 21.9 | 22.1 | 21.9 | 21.1 | 18.9 | 13.6 | 8.8 | 15.5 |
월 강수량 (mm) (1991–2020) | 11.9 | 6.4 | 13.5 | 51.3 | 137.8 | 184.1 | 242.5 | 237.9 | 191.3 | 132.5 | 43.7 | 10.2 | 1263.2 |
평균 강수일수 (≥ 1.0 mm) (1991–2020) | 1.5 | 0.9 | 2.3 | 7.4 | 13.5 | 15.7 | 19.3 | 19.7 | 14.1 | 11.0 | 3.4 | 1.4 | 110.3 |
1981년~2010년 관측 기록상 가장 높은 기온은 1월에 기록된 38.9°C이며, 가장 낮은 기온은 1월에 기록된 -1.9°C이다. 1991년~2020년 관측 기록도 동일하다.[9] 연간 강수량은 평균 1471.2mm(1981~2010년), 1263.2mm (1991~2020년)이다.
라쇼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Cwa)에 속하지만, 열대 몬순 기후(Aw)에 가깝다.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비가 내리는 특징을 보인다.[1][7] 12월부터 3월까지 밤에는 쌀쌀하지만, 연중 기온은 일반적으로 따뜻하다.
4. 교통
라쇼는 버마 로드와 만달레이-라쇼 철도의 종점이다. 라쇼 기차역은 이 철도의 종착역이며, 만달레이에서 출발하는 정부 마차 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다. 만달레이에서 178km 떨어져 있다.[1]
경치가 아름다운 고테익 고가교는 라쇼 근처에 있으며, 만달레이에서 오는 기차는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이 다리를 건넌다.
2009년에는 중국 지에가오까지 철도 연결이 제안되었다. 2011년에는 쿤밍과 캑퓨를 잇는 연결로 제안이 확대되었고, 같은 해 5월 베이징 방문 중 테인 세인 대통령은 미얀마 철도 교통부와 중국 국영 철도 엔지니어링 공사 간의 철도 건설을 위한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10]
라쇼 공항이 있다.
라쇼는 도로, 철도, 항공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주요 교통 수단과 요금은 다음과 같다.
교통 수단 | 출발지 | 소요 시간 | 비용 (MMK/USD) |
---|---|---|---|
버스 | 타웅지 (인레 호수 근처) | 17시간 | 17000MMK |
철도 | 만달레이 | 16시간 | 5USD~12USD |
비행기 | 만달레이 | 45분 | 84USD |
비행기 | 양곤 공항 | 1시간 45분 | 157USD |
버스 | 양곤 | 15시간 | 14500MMK |
택시 | 중-미얀마 국경 도시 무세 | 5시간 | 15000MMK (승객 4명이 모일 때까지 출발하지 않음. 4인분을 지불하면 전세 가능. 도중에 여권 검사가 2번 있음) |
- 라쇼 온천: 라쇼 교외에 있으며,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으로 시가지에서 편도 5000MMK 정도이다. 온천은 개인실 1500MMK(수건 미지참 시)이다.
- 남 버스터미널: 시가지까지 2km 거리이며, 오토바이 택시는 2000MMK,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은 5000MMK 정도이다.
- 라쇼 역: 시가지까지 약 3.22km 거리이다.
- 라쇼 공항: 시가지까지 약 4.83km 거리이다.
4. 1. 도로
라쇼는 버마 로드의 종착점이자 만달레이-라쇼 철도의 종착역이다. 또한 만달레이에서 출발하는 정부의 마차 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며, 만달레이에서 약 286.46km 떨어져 있다.[1]경치가 아름다운 고테익 고가교는 라쇼 근처에 있으며, 만달레이에서 오는 기차는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이 다리를 건너간다.
2009년에는 중국 지에가오까지 철도 연결이 제안되었다. 2011년에는 쿤밍과 캑퓨를 잇는 연결로 제안이 확대되었다. 같은 해 5월 베이징 방문 중 테인 세인 대통령은 미얀마 철도 교통부와 중국 국영 철도 엔지니어링 공사 간의 철도 건설을 위한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10]
라쇼 공항이 있다.
라쇼로 가는 교통 수단은 다음과 같다.
교통 수단 | 출발지 | 소요 시간 | 비용 (MMK/USD) |
---|---|---|---|
버스 | 타웅지 (인레 호수 근처) | 17시간 | 17000MMK |
철도 | 만달레이 | 16시간 | 5USD~12USD |
비행기 | 만달레이 | 45분 | 84USD |
비행기 | 양곤 공항 | 1시간 45분 | 157USD |
버스 | 양곤 | 15시간 | 14500MMK |
택시 | 중-미얀마 국경 도시 무세 | 5시간 | 15000MMK (승객 4명이 모일 때까지 출발하지 않음. 4인분을 지불하면 전세 가능. 도중에 여권 검사가 2번 있음) |
- 라쇼 온천: 라쇼 교외에 있으며,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으로 시가지에서 편도 5000MMK 정도이다. 온천은 개인실 1500MMK(수건 미지참 시).
- 남 버스터미널: 시가지까지 2km 거리이며, 오토바이 택시는 2000MMK,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은 5000MMK 정도.
- 라쇼 역: 시가지까지 2마일 거리.
- 라쇼 공항: 시가지까지 3마일 거리.
4. 2. 철도
라쇼는 버마 로드의 종착점이자 만달레이-라쇼 철도의 종착역인 라쇼 기차역이 있는 곳이다.[1] 또한 만달레이에서 출발하는 정부의 마차 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며, 만달레이에서 178km 떨어져 있다.[1]경치가 아름다운 고테익 고가교는 라쇼 근처에 있으며, 만달레이에서 오는 기차는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이 다리를 건너간다.
2009년에는 중국 지에가오까지 철도 연결이 제안되었다. 2011년에는 쿤밍과 캑퓨를 잇는 연결로 제안이 확대되었으며, 같은 해 5월 베이징 방문 중 테인 세인 대통령은 미얀마 철도 교통부와 중국 국영 철도 엔지니어링 공사 간의 철도 건설을 위한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10]
만달레이에서 라쇼까지 철도로는 16시간이 소요되며, 요금은 5~12달러이다.
4. 3. 항공
라쇼는 버마 로드의 종착점에 위치해 있으며, 라쇼 기차역은 만달레이-라쇼 철도의 종착역이다. 또한 만달레이에서 출발하는 정부의 마차 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며, 만달레이에서 약 286.46km 떨어져 있다.[1]경치가 아름다운 고테익 고가교는 라쇼 근처에 있으며, 만달레이에서 오는 기차는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이 다리를 건너간다.
2009년에는 중국의 지에가오까지 철도 연결이 제안되었다. 2011년에는 쿤밍과 캑퓨를 잇는 연결로 제안이 확대되었다. 2011년 5월 베이징 방문 중 테인 세인 대통령은 미얀마 철도 교통부와 중국 국영 철도 엔지니어링 공사 간에 철도 건설을 위한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10]
라쇼 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교통편은 다음과 같다.
교통편 | 소요 시간 | 가격 |
---|---|---|
타웅지 (인레 호수 근처)에서 버스 | 17시간 | 17000MMK |
만달레이에서 철도 | 16시간 | 5USD~12USD |
만달레이에서 비행기 | 45분 | 84USD |
양곤 공항에서 비행기 | 1시간 45분 | 157USD |
양곤에서 버스 | 15시간 | 14500MMK |
중-미얀마 국경 도시인 무세에서 택시 | 5시간 | 15000MMK (승객 4명이 모일 때까지 출발하지 않음. 4인분을 지불하면 전세 가능. 도중에 여권 검사가 2번 있음) |
- 라쇼 온천: 라쇼 교외에 있으며,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으로 시가지에서 편도 5000MMK 정도이다. 온천은 개인실 1500MMK(수건 미지참 시)이다.
- 남 버스터미널: 시가지까지 2km. 오토바이 택시는 2000MMK, 경트럭이나 전세 차량은 5000MMK 정도이다.
- 라쇼 역: 시가지까지 2마일.
- 라쇼 공항: 시가지까지 3마일.
5. 문화
2000년 이후 라쇼는 미얀마와 중국 간의 국경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라쇼는 무세에서 190km 떨어져 있으며, 무세와 만달레이 사이에 있다.
사이 마욱 캄은 2010년 총선에서 라쇼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미얀마 민주 정부의 부통령 중 한 명이 되었다.
5. 1. 종교
종교 유적지로는 "사사나(피욘 찬타) 파고다"와 "만수 파고다"가 있다. 예푸산 온천은 시내 중심가에서 약 8.05km 떨어져 있으며 겨울철에 건강에 좋다. 소수 민족 외에도 라쇼는 많은 중국인이 거주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중국 사찰은 "관음산 영봉사"이며, 많은 중국인들이 춘절에 방문한다.5. 2. 명소
- 얀 틴 아웅 파고다
- 중국 사원
- 자연 온천
- 사르사나 언덕
- 만수 산 수도원
- 라쇼 야시장
- 후 몬 댐
- 린노엣(박쥐) 동굴
- 예 칸 타웅
종교 유적지로는 "사사나(피욘 찬타) 파고다"와 "만수 파고다"가 있다. 예푸산 온천은 시내 중심가에서 약 약 8.05km 떨어져 있으며 겨울철에 건강에 좋다. 소수 민족 외에도 라쇼는 많은 중국인들이 거주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중국 사찰은 "관음산 영봉사"이며, 많은 중국인들이 춘절에 방문한다. 2000년 이후 라쇼는 미얀마와 중국 간의 국경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무세에서 190km 떨어져 있으며, 무세와 만달레이 사이에 위치해 있다.
5. 3. 기타
라쇼에는 다음과 같은 명소들이 있다.이름 | 설명 |
---|---|
얀 틴 아웅 파고다 | |
중국 사원 | |
자연 온천 | |
사르사나 언덕 | |
만수 산 수도원 | |
라쇼 야시장 | |
후 몬 댐 | |
린노엣(박쥐) 동굴 | |
예 칸 타웅 |
종교 유적지로는 "사사나(피욘 찬타) 파고다"와 "만수 파고다"가 있다. 예푸산 온천은 시내 중심가에서 약 약 8.05km 떨어져 있으며 겨울철에 건강에 좋다. 소수 민족 외에도 라쇼는 많은 중국인들이 거주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중국 사찰은 "관음산 영봉사"이며, 많은 중국인들이 춘절에 방문한다. 2000년 이후 라쇼는 미얀마와 중국 간의 국경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무세에서 190km 떨어져 있으며, 무세와 만달레이 사이에 위치해 있다.
사이 마욱 캄은 2010년 총선에서 미얀마 민주 정부의 부통령 중 한 명으로, 라쇼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6. 교육
라쇼에는 라쇼 대학교, 컴퓨터 대학교(라쇼),[11] 기술 대학교(라쇼),[12] 교육 대학(라쇼) 및 라쇼 간호 학교가 있다.
참조
[1]
서적
Lashio
[2]
웹사이트
Loi Leng
http://www.peakbagge[...]
Peakbagger.com
2004-11-01
[3]
웹사이트
Population of Lashio, Myanmar
http://population.mo[...]
Population.mongabay.com
2014-02-25
[4]
뉴스
Buddhist mobs attack Muslim homes in Myanmar, one dead
https://www.reuters.[...]
2013-05-29
[5]
웹사이트
Surrounded Myanmar Junta Troops Shell Civilians, Blow Bridges in Lashio
https://www.irrawadd[...]
2024-01-04
[6]
웹사이트
Myanmar's MNDAA Launches Offensive to Seize Northern Shan Capital
https://www.irrawadd[...]
2024-07-03
[7]
웹사이트
Maps, Weather, Videos, and Airports for Lashio, Burma
http://www.fallingra[...]
Fallingrain.com
2014-02-25
[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10-16
[9]
웹사이트
Myanmar Climate Report
http://met-xpprod.cu[...]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2018-10-28
[10]
웹사이트
Myanmar in China’s Push into the Indian Ocean
http://www.idsa.in/b[...]
2016-03-14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csy.edu.[...]
2011-05-30
[12]
웹사이트
Technological University (Lashio) - Lashio District
http://www.most.gov.[...]
Most.gov.mm
2014-02-25
[13]
웹인용
Myanmar Climate Report
http://met-xpprod.cu[...]
노르웨이 기상연구원
2018-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