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의 국가는 1873년 칼리스 바우마니스가 작사, 작곡했으며, 젊은 라트비아인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1920년 6월 7일에 공식적으로 국가로 지정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점령 기간에는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1990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직전에 다시 국가로 복원되었다. 가사는 "신이여,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이며, 곡조는 F 장조가 공식적으로 사용되나, G 장조, B-플랫 장조 버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노래 - 백만송이 장미
    《백만송이 장미》는 라트비아 가요에서 시작되어 알라 푸가초바의 러시아어 버전으로 유명해졌으며, 화가 니코 피로스마니의 일화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언어로 번안되어 불리고 심수봉의 한국어 버전으로도 널리 알려진,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사랑받는 노래이다.
  • 라트비아의 노래 - Still Breathing
    사만타 티나가 202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라트비아 대표로 선정된 "Still Breathing"은 COVID-19 팬데믹으로 대회 취소되어 공연되지 못한 곡으로, 디지털 다운로드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 라트비아의 상징 - 라트비아의 국기
    라트비아 국기는 가로로 배열된 빨간색-흰색-빨간색 삼색기로, 빨간색 줄무늬는 흰색 줄무늬의 두 배 너비이며, 중세 기록에 기원을 두고 1921년 공식 국기로 채택, 소련 점령기 사용 금지 후 1990년 다시 국기로 지정되어 라트비아 독립을 상징한다.
  • 라트비아의 상징 - 알락할미새
    알락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16.5~21cm의 몸길이와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새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라트비아의 국가
일반 정보
Kārlis Baumanis의 필체로 된 라트비아 국가 악보
Kārlis Baumanis의 필체로 된 라트비아 국가 악보
제목Dievs, svētī Latviju!
영어 제목God Bless Latvia (신이여,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
국가라트비아
작곡가Kārlis Baumanis
작곡 시기1873년
작사가Kārlis Baumanis
작사 시기1873년
채택 시기1920년 6월 7일
재채택 시기1990년 2월 15일
이전 국가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2. 역사

칼리스 바우마니스는 1873년 젊은 라트비아인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교사로, 국가를 작사, 작곡했다.[1] 초기 가사에는 '라트비아' 대신 '발트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검열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다.[2][3][4] 1920년, 라트비아의 국가로 공식 선정되면서 '발트해'가 '라트비아'로 변경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점령기(1940-1990) 동안 "신이여,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의 제창은 금지되었고,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체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5] "신이여,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는 1990년 2월 15일 독립 직전에 라트비아의 국가로 복원되었다.[5]

2. 1. 칼리스 바우마니스와 민족주의 운동

칼리스 바우마니스는 1873년 젊은 라트비아인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교사로, 라트비아의 국가를 작사, 작곡했다.[1] 그는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의 곡조로 불린 "Dievs, svētī Kurzemi/Vidzemi|신이여, 쿠르제메/비제메를 축복하소서lv)"라는 노래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바우마니스의 원래 가사는 현재와 달랐다. 그는 "발트해"라는 용어를 "라트비아"와 "라트비아인"과 동의어처럼 사용했기 때문에, "라트비아"는 첫 구절의 시작 부분에서만 언급되었다. 이후 노래가 금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라트비아"라는 용어는 "발트해"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1920년 6월 7일 국가로 선택될 때 "발트해"라는 단어가 "라트비아"로 대체되었다는 오해가 생기기도 했다.[3][4]

3. 가사

Dievs, svētī Latviju!|디에우스, 스베티 라트비유!lv1873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라트비아인 교사 바우마니스가 작사·작곡했다.[7] 바우마니스가 쓴 가사는 현재와 달랐는데, "Baltics"라는 단어와 "Lativa" 또는 "Latvian"이라는 단어를 동의어로 사용했기 때문에 "Latvia"라는 단어는 1절의 첫머리에서만 사용되었다. 그 후, 검열을 피하기 위해 첫머리의 "Latvia"도 "Baltics"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Baltics"라는 가사가 사용된 것은 1920년 라트비아의 국가로 공식적으로 선정되었을 때로 여겨진다.[8][9]

공식 가사는 다음과 같다.[10]

공식 가사한국어 해석


3. 1. 라트비아어 가사

로마자 표기한국어 발음IPA 표기


3. 2. 한국어 해석

Dievs, svētī Latviju!|디에우스, 스베티 라트비유!lv[6]

:𝄆 하느님, 라트비아를 축복하시옵소서!

:우리의 사랑하는 조국이오니,

:라트비아를 축복하오니,

:오, 축복하소서! 𝄇

:𝄆 라트비아의 딸들이 꽃피는 곳,

:라트비아의 아들들이 노래를 부르는 곳,

:그곳에서 행복하게 춤을 추자,

:우리의 라트비아에서! 𝄇

4. 곡조

현재 공식적으로 F 장조 버전이 사용된다. 이전에는 G 장조 버전도 사용되었으며, 조의 기간 등 특별한 행사에서는 여전히 연주된다. LTV 방송 시작과 종료 시에는 B-플랫 장조 버전이 사용된다.

5. 기타

리가 비에스투르다르즈 공원에는 칼리스 바우마니스 기념비가 있는데, 여기에는 Dievs, svētī Latviju!|디에우스, 스베티 라트비유!lv의 악보가 새겨져 있다.[1] 라트비아 2유로 동전 가장자리에는 DIEVS SVĒTĪ LATVIJU|디에우스 스베티 라트비유lv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Darba apraksts http://www.liis.lv/m[...] Latvijas Izglītības informatizācijas sistēma 2007-05-27
[2] 웹사이트 Latvijas svētās skaņas (Part I) https://www.vestnesi[...] Latvijas Vēstnesis 2012-10-13
[3] 웹사이트 Latvijas svētās skaņas (Part II) https://www.vestnesi[...] Latvijas Vēstnesis 2012-10-13
[4] 웹사이트 7. jūnijā atzīmēsim Latvijas valsts himnas 100. dzimšanas dienu https://metodiskiema[...] 2020-06-05
[5] 서적 Lielā Latvijas Enciklopēdija. Zvaigzne ABC
[6] 웹사이트 Par Latvijas valsts himnu http://www.likumi.lv[...] Latvijas Vēstnesis 2007-05-27
[7] 웹사이트 Darba apraksts http://www.liis.lv/m[...] Latvijas Izglītības informatizācijas sistēma 2007-08-21
[8] 웹사이트 Latvijas svētās skaņas (Part I) http://www.lv.lv/ind[...] Latvijas Vēstnesis 1998-11-13
[9] 웹사이트 Latvijas svētās skaņas (Part II) http://www.lv.lv/ind[...] Latvijas Vēstnesis 1998-11-17
[10] 웹사이트 Par Latvijas valsts himnu http://www.likumi.lv[...] Latvijas Vēstnesis 1998-03-05
[11] 뉴스 Par Latvijas valsts himnu http://www.likumi.lv[...] Latvijas Vēstnesis 1998-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