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흐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흐무는 붉은 옷을 입은 수염 난 남자로 묘사되는 메소포타미아 신화 속 존재이다. 물과 관련이 있으며, 엔키/에아의 하인으로 여겨지거나, 에리두 사원의 문지기로 묘사되기도 한다. 라흐무는 수호신이나 액막이 역할도 했으며, 《에누마 엘리쉬》에서는 압주와 티아마트의 장남으로 등장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황도대, 부모별, 또는 별자리를 나타낸다는 이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아마트의 자식 - 라하무
- 에누마 엘리시의 등장인물 - 마르두크
마르두크는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신이자 바빌론의 도시신으로, 창조 신화에서 최고신으로 묘사되며, 태양신, 주술신, 영웅신 등 다면적인 신격을 가지고 바빌론 신년 축제 등 다양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에누마 엘리시의 등장인물 - 티아마트
티아마트는 바빌로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여신으로, 《에누마 엘리시》에서 압주와 함께 최초의 신들을 낳았으나, 자손과의 갈등 끝에 마르두크에게 패배하여 그의 시체로 하늘과 땅이 만들어진다. - 동물의 신 - 지지 (역법)
지지는 동아시아 역법에서 시간, 방위, 연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12개의 지지(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를 의미하며, 십이지는 12마리의 동물에 대응되어 다양한 문화적, 신앙적 형태로 활용된다. - 동물의 신 - 아리아드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도록 테세우스를 돕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되거나 테세우스에게 버려졌다는 이야기로 전해지며, 예술 작품과 관용구의 소재로 활용된다.
라흐무 |
---|
2. 도상 및 특징
라흐무는 예술 작품에서 붉은 옷을 입고 수염을 기른 남성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벌거벗은 영웅"이라고도 불린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라흐무의 속성으로 삽을 언급하기도 한다.[3][4]
2. 1. 수호신으로서의 역할
라흐무는 붉은 옷(tillû)을 입은 수염이 난 남자로 묘사된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라흐무의 속성으로 삽을 언급한다.[3][4]라흐무는 물과 관련이 있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엔키/에아(그리고 나중에는 그의 아들 마르두크도)의 하인으로 여겨졌으며, 에리두에 있는 그의 사원의 문지기로 묘사되었다. 일부 버전의 ''아트라하시스''에서 알려진 "바다의 수호자"일 가능성이 있다. 일부 텍스트는 그러한 역할에 최대 50명의 라흐무를 열거한다. 이들은 처음에는 가축과 야생 동물을 돌본다고 믿어지는 강의 정령이었을 가능성이 있다.[5]
라흐무와 같은 액막이 동물은 악마로 여겨지지 않았다. 이들은 악마로부터 가정을 보호했다. 그러나 신화는 이들을 패배한 후 개조된 신들의 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들은 완전히 신성한 존재로 간주되지 않았다. 이들의 이름은 거의, 또는 전혀, 딩기르 기호("신성 결정사")로 시작되지 않았으며, 예술에서 뿔이 달린 티아라(신성의 상징)를 착용하지 않는다.
액막이 의식에서 라흐무는 무슈후슈, 바슈무 (신화 속 뱀의 일종), 쿠사리쿠 (샤마쉬와 관련된 바이슨-맨) 또는 우갈루와 같은 다른 괴물과 연관되었다.[6]
2. 2. 액막이 역할
라흐무는 붉은 옷(tillû|틸루akk)을 입은 수염이 난 남자로 묘사된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라흐무의 속성으로 삽을 언급한다.[3][4] 예술적 표현은 때때로 문헌에서 "벌거벗은 영웅"이라고 불린다.라흐무와 같은 액막이 동물은 악마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들은 악마로부터 가정을 보호했다. 그러나 신화는 그들을 패배한 후 개조된 신들의 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 동시에, 그들은 완전히 신성한 존재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들의 이름은 거의, 또는 전혀, 딩기르 기호("신성 결정사")로 시작되지 않았으며, 예술에서 뿔이 달린 티아라(신성의 상징)를 착용하지 않았다.
액막이 의식에서 라흐무는 무슈후슈, 바슈무 (신화 속 뱀의 일종), 쿠사리쿠 (샤마쉬와 관련된 바이슨-맨) 또는 우갈루와 같은 다른 괴물과 연관되었다.[6]
2. 3. 신성(神性) 문제
라흐무는 붉은 옷(tillû)을 입은 수염이 난 남자로 묘사된다.[2] 일부 문헌에서는 라흐무의 속성으로 삽을 언급한다.[3][4] 예술적 표현은 때때로 문헌에서 "벌거벗은 영웅"이라고 불린다.라흐무는 물과 관련이 있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엔키/에아(그리고 나중에는 그의 아들 마르두크도)의 하인으로 여겨졌으며, 에리두에 있는 그의 사원의 문지기로 묘사되었고, 일부 버전의 ''아트라하시스''에서 알려진 "바다의 수호자"일 가능성이 있다. 일부 문헌은 그러한 역할에 최대 50명의 라흐무를 열거한다. 그들은 처음에는 가축과 야생 동물을 돌본다고 믿어지는 강의 정령이었을 가능성이 있다.[5]
라흐무와 같은 액막이 동물은 악마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들은 악마로부터 가정을 보호했다. 그러나 신화는 그들을 패배한 후 개조된 신들의 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 동시에, 그들은 완전히 신성한 존재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들의 이름은 거의, 또는 전혀, 딩기르 기호("신성 결정사")로 시작되지 않았으며, 예술에서 뿔이 달린 티아라(신성의 상징)를 착용하지 않는다.
액막이 의식에서 라흐무는 무슈후슈, 바슈무 (신화 속 뱀의 일종), 쿠사리쿠 (샤마쉬와 관련된 바이슨-맨) 또는 우갈루와 같은 다른 괴물과 연관되었다.[6]
3. 우주론적 존재
신 목록에서 단수형 라흐무는 때때로 여성형 라하무와 함께 아누의 조상 중 하나로 등장하며, 원시적인 쌍인 두리와 다리(영원) 및 다른 인물들을 따르고 알랄루와 벨릴리를 선행한다.[7] 메소포타미아의 주술적 생물과 악마의 기원 및 발달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아시리아학자 프란스 위게르만은 이 전통이 상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8] 라흐무와 라하무는 이 맥락에서 반드시 형제자매는 아니다. 일부 신 목록에서 엔릴 또는 아누의 신성한 조상들의 긴 목록은 적어도 때때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숭배하는 신들이 근친상간 관계의 산물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9]
3. 1. 《에누마 엘리쉬》에서의 역할
신 목록에서 단수형 라흐무는 때때로 여성형 라하무와 함께 아누의 조상 중 하나로 등장하며, 원시적인 쌍인 두리와 다리(영원) 및 다른 인물들을 따르고 알랄루와 벨릴리를 선행한다.[7] 메소포타미아의 주술적 생물과 악마의 기원 및 발달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아시리아학자 프란스 위게르만은 이 전통이 상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8] 라흐무와 라하무는 이 맥락에서 반드시 형제자매는 아니다. 일부 신 목록에서 엔릴 또는 아누의 신성한 조상들의 긴 목록은 적어도 때때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숭배하는 신들이 근친상간 관계의 산물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이 두 [신성론]의 역사는 근친상간의 암시를 피하기 위해 때때로 특별한 조치가 취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다."라고 언급하였다.[9]3. 1. 1. 티아마트 군대의 일원
''에누마 엘리쉬''에서 라흐무는 압주와 티아마트의 장남이다. 그는 그의 여동생 라흐무와 함께 안샤르와 키샤르의 부모이며, 이 특정 신성론에 따르면 아누의 부모이자 에아와 마르두크의 조상이다.[10] 이들은 마르두크가 승리한 후에 그에게 3개의 이름을 부여한다.[11] 그러나, 주술적인 것보다는 우주론적인 것과 같은 종류의 라흐무는 티아마트의 괴물들 중 하나로 나타나기도 한다.[12]에누마 엘리쉬의 단편적인 아시리아 재작업본은 마르두크를 아슈르로 대체했고, 아슈르는 안샤르와 동일시되었으며, 라흐무와 라하무는 에아/엔키와 담키나를 대체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그 결과를 "마르두크의 역할을 그의 증조부에게 귀속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아 줄거리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점에서 완전히 피상적이다."라고 평가했다.[13]
3. 1. 2. 아시리아 판본에서의 변화
신 목록에서 단수형 라흐무는 때때로 여성형 라하무와 함께 아누의 조상 중 하나로 등장하며, 원시적인 쌍인 두리와 다리(영원) 및 다른 인물들을 따르고 알랄루와 벨릴리를 선행한다.[7] 메소포타미아의 주술적 생물과 악마의 기원 및 발달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아시리아학자 프란스 위게르만은 이 전통이 상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8] 라흐무와 라하무는 이 맥락에서 반드시 형제자매는 아니다. 일부 신 목록에서 엔릴 또는 아누의 신성한 조상들의 긴 목록은 적어도 때때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숭배하는 신들이 근친상간 관계의 산물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이 두 [신성론]의 역사는 근친상간의 암시를 피하기 위해 때때로 특별한 조치가 취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다."라고 언급하였다.[9]나중에 편집되었고 위에 언급된 전통에 의존하는 ''에누마 엘리쉬''에서 라흐무는 압주와 티아마트의 장남이다. 그는 그의 여동생 라흐무와 함께 안샤르와 키샤르의 부모이며, 이 특정 신성론에 따르면 아누의 부모이자 에아와 마르두크의 조상이다.[10] 그들(라흐무와 라하무)은 마르두크가 승리한 후에 그에게 3개의 이름을 부여한다.[11] 그러나, 주술적인 것보다는 우주론적인 것과 같은 종류의 라흐무도 티아마트의 괴물들 중 하나로 나타난다.[12]
에누마 엘리쉬의 단편적인 아시리아 재작업본은 마르두크를 아슈르로 대체했고, 이는 안샤르와 동일시되었으며, 라흐무와 라하무는 에아/엔키와 담키나를 대체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그 결과를 "마르두크의 역할을 그의 증조부에게 귀속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아 줄거리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점에서 완전히 피상적이다."라고 평가했다.[13]
4. 과거의 이론
19세기와 20세기 초 저술가들은 라흐무가 황도대, 부모별, 또는 별자리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14][15]
참조
[1]
간행물
Mesopotamian Protective Spirits: The Ritual Texts
https://www.academia[...]
1992
[2]
서적
1992
[3]
서적
1992
[4]
서적
1992
[5]
서적
1992
[6]
서적
1992
[7]
서적
2013
[8]
서적
1992
[9]
서적
2013
[10]
서적
2013
[11]
서적
2013
[12]
서적
1992
[13]
서적
2013
[14]
서적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yth-Making Age
[15]
서적
Enuma Elish Vol 1 & 2: The Seven Tablets of Creation; The Babylonian and Assyrian Legends Concerning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of Mank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