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량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량충제는 1932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2010년 사망한 중국의 환경운동가이다. 칭화 대학과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윈난 대학과 국제관계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중국 최초의 민간 환경보호 단체인 '자연의 벗'을 설립하여 회장을 역임했으며, 멸종 위기 동물 보호 운동을 펼쳤다. 전국정협 위원으로서 환경 보호에 힘썼으며, 저서로 <린후이인문집>, <호소할 곳 없는 대자연을 위하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환경 운동가 - 저우쉰
    저우쉰은 1991년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인 중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퍼햅스 러브》로 금마장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가수, 모델, 사회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중국의 환경 운동가 - 마쥔
    마쥔은 중국의 탐사 보도 기자 출신 환경운동가이자 작가로서, 수질 오염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와 중국 수질 오염 지도 개발, 기업의 환경 책임 강화 및 대중 참여 유도를 통해 타임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막사이사이상, 골드만 환경상, 스콜상 등을 수상했다.
  • 폐질환으로 죽은 사람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폐질환으로 죽은 사람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막사이사이상 수상자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막사이사이상 수상자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량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량충제
량충제
본명량충제
인물 정보
출생1932년 8월 4일
출생지베이징, 중화민국
사망2010년 10월 28일
사망지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부모량쓰청
배우자팡징
자녀량장
친척량치차오 (할아버지)
수상
수상 내역2000년 라몬 막사이사이상 공공 봉사 부문
활동
직함자연의 친구들 회장

2. 생애

량충제는 1932년 베이징에서 량쓰청린휘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량치차오의 손자이다. 1950년 칭화 대학 사학과에 입학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1952년 베이징 대학 사학과로 옮겨 1954년에 졸업했다. 1958년부터 윈난 대학(云南大学)에서 강의했고, 이후 국제관계연구소에서 세계사를 연구했다.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에서 편집을 맡았으며, 덩샤오핑의 통역을 맡기도 했다. 1993년부터 환경 운동에 관심을 갖고 중국 최초의 민간 환경 단체인 '자연의 벗'을 설립했다. 2010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문 활동

'''량충제'''(梁從誡)는 1932년 베이징에서 량쓰청린휘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량치차오의 손자이며, 본적은 광둥 신후이이다.

1950년 칭화 대학 건축학과 입시에 탈락한 후, 칭화 대학 사학과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대학 운영에 어려움이 생기자, 1952년 베이징 대학 사학과로 강제 전학되어 1954년에 졸업하였다. 1958년부터 윈난 대학(云南大学) 사학과에서 강의했으며, 이후 베이징으로 돌아와 국제관계연구소에서 세계사를 연구했다.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에서 편집을 맡았고, <백과지식(百科知识)>과 <지식인(知识分子)> 잡지를 창간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해외 백과전서 중국 방문단의 덩샤오핑(邓小平) 방문 시 덩샤오핑의 통역을 맡았다.

2. 2. 환경 운동

중국문화서원대 둥핑 교수, 왕리슝 베이징이공대 연구원, 작가이자 탐험가인 량샤오옌 등과 함께 문화서원대학에 ‘녹색문화분원’이라는 간판을 내걸었다. 이후 ‘자연의 벗(自然之友)’으로 개명하고 회원들을 모집하며 윈난성 원숭이, 티베트 영양 등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보호 운동을 벌였다.[1] 1998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윈난성 원숭이 사진을 선물로 보내 중국의 환경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1]

이후 ‘자연의 벗’은 회원이 2000여 명으로 늘어나 중국 최대 환경 관련 비정부기구(NGO)로 성장했다.[1] 그는 생전에 “중국에서 환경 운동은 전원생활이 아닌 생사를 건 투쟁이 되어야 한다”라고 말할 정도로 환경 보호 의식이 철저했고, 외출할 때에는 젓가락과 수저를 가지고 다니며 일회용 젓가락을 절대 사용하지 않았다.[1] 또 전국 정치협상회의 위원으로서 자전거를 타고 회의장에 들어가려다 저지당했을 정도로 자전거를 애용했다.[1]

2. 3. 사망

량충제는 1993년부터 민간 환경보호활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서 중국 최초의 민간이 운영하는 환경보호조직 ‘자연의 벗’을 설립하고 이끌었다. 일생 무당파로 있었으며, 2010년 10월 28일 오후 4시경 베이징에서 79세에 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1]

3. 경력

직책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全国政协) 위원
인구‧자원‧환경위원회 위원
자연의 벗(自然之友) 창립자 겸 회장
1999년 ‘지구상(地球奖)’과 ‘판다상(大熊猫奖)’ 수상


4. 저서


  • 林徽因文集|린후이인문집중국어 전2권(건축권, 문학권)
  • 薪火四代|신훠쓰다이중국어 전2권
  • 为无告的大自然|웨이우가오더따쯔란중국어
  • 图像中国建筑史|영상 중국건축사중국어 (2001)
  • 狄德罗百科全书节选本|디드로 백과전서 발췌본중국어 (2007)
  • 수필집 不重合的圈|부총허더촨중국어 (2003)

참조

[1] 뉴스 Liang Congjie, Chinese Environmental Pioneer, Dies at 7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0-29
[2] 웹사이트 Liang Congjie http://www.rmaf.org.[...] 2010-10-29
[3] 뉴스 Pioneer of China environmental NGOs dies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