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버스는 런던 교통국(TfL)의 관리 하에 운영되며, 1829년 마차 운송에서 시작되어 2024년 현재 8,776대의 버스가 670개 이상의 노선에서 운행되는 세계적인 규모의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런던 버스는 입찰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며, 2층 버스, 굴절 버스, 신형 루트마스터 등 다양한 차량을 사용해왔다. 현재는 붉은색 외장의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며, 하이브리드, 전기, 수소 연료 전지 버스 등 친환경 차량 도입도 확대되고 있다. 런던 버스는 iBus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정보 제공 및 CCTV를 통한 안전 관리도 이루어지며, 2005년 런던 연쇄 폭탄 테러와 같은 사건 이후 보안을 강화했다. 런던 시내의 주요 버스 정류장은 옥스퍼드 서커스, 트라팔가 광장, 피카딜리 서커스 등이 있으며, 런던 버스는 런던 시민의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의 버스 교통 - 루트마스터
1950년대 런던 교통국이 설계하고 파크 로열 비히클스에서 제작한 2층 버스인 루트마스터는 경량 알루미늄 차체, 독립 현가 장치, 자동 변속기 등 혁신적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런던의 상징이 되었다. - 런던의 버스 교통 - 레드 애로 (버스)
레드 애로 버스는 런던 교통국이 1966년 교통 효율성을 위해 도입한 단거리 통근 버스 서비스로, 런던 제너럴에서 운영되다 2023년 4월 29일 507번과 521번 노선 폐지 후 교통 체계 변화 논란을 야기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런던 버스 | |
---|---|
일반 정보 | |
![]() | |
모회사 | 런던 교통국 |
설립일 | 1999년 11월 11일 |
본사 위치 | 런던 |
운행 지역 | 그레이터런던 버크셔주 버킹엄셔주 에식스주 하트퍼드셔주 켄트주 서리주 |
서비스 유형 | 버스 교통망 |
노선 수 | 약 700개 |
정류장 수 | 19,000개 |
차량 대수 | 8,643대 (2023년 3월 기준) |
수송량 | 570만 명 (2019/20년) |
연료 유형 | 디젤 연료 하이브리드 전기 수소 연료 전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운영 | |
운영자 | 하단 참조 |
노선 수 (심야) | 52개 |
기타 정보 | |
주요 특징 | 673개 노선 운영 주당 600만 명 수송 |
2. 역사
런던 버스는 런던 교통 공사(TfL)의 자회사인 런던 버스 서비스 유한회사(London Bus Services Limited, LBSL)와 이스트 템스 버스(East Thames Buses)를 통해 운영된다.[6][7]
런던 버스 서비스 유한회사(LBSL)는 1985년 런던 버스 서비스 민영화의 일환으로 설립되었으며, 런던 지역 교통국(London Regional Transport, LRT)의 자회사였다. 1988년부터 12개의 버스 운영 부서와 기타 자산을 보유했던 이 회사는 1994/95년에 운영 부서를 매각했고, 이들 구매자가 현재 LBSL에서 버스 운영 입찰을 수주한 회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후 LBL은 LRT에서 TfL로 이전되면서 휴면 상태가 되었다가, 이스트 템스 버스 설립과 함께 LBSL과 차이니즈 월로 분리되면서 부활하여 런던 버스 운영사 대리인 역할을 했다.
2. 1. 마차 버스 시대 (1829년 ~ 1914년)
런던 버스의 역사는 지하철보다 길다고 여겨지지만, 버스의 기원은 마차에 의한 운송이었다고 한다. 1829년 조지 실리비어(George Shillibeer)가 현재의 패딩턴 - 시티 간에 자신의 말과 마차로 승객 수송을 시작했다. 1850년 토머스 틸링(Thomas Tilling)은 버스 회사(London General Omnibus Company, 이하 LGOC)를 법인화하여, 1855년에 마차 버스로 운행을 시작했다.[1]
1902년부터 LGOC는 모터 동력 차량을 도입했고, 1904년에 토머스 틸링이 처음으로 자동차에 의한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2] 1909년부터 LGOC는 직접 차량을 제조하여 자동차 버스와 마차 버스를 병용했지만, 1912년에 런던 지하철 회사가 LGOC를 인수하면서 1914년까지 마차에 의한 운행이 종료되었다.[2]

2. 2. 자동차 버스 도입과 2층 버스의 등장 (1902년 ~ 1960년대)
1902년부터 런던 제너럴 옴니버스 회사(LGOC)가 모터 동력 차량을 도입했고, 1904년에는 토머스 틸링이 처음으로 자동차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1909년부터 LGOC가 직접 차량을 제조하여 자동차 버스와 마차 버스가 함께 사용되었지만, 1912년 런던 지하철 회사가 LGOC를 인수하면서 1914년까지 마차 버스 운행은 종료되었다.1920년대 초에는 치열한 운임 경쟁이 벌어졌고, 1924년 중앙 정부가 런던 시내 버스 사업을 통합하면서 버스 사업자마다 달랐던 색상이 시내 버스 점유율 1위였던 LGOC의 빨간색으로 통일되었다.
자동차 버스는 초기부터 1960년대까지 LGOC가 차량을 생산했을 뿐만 아니라 설계 및 부품 공급 등 종합 버스 제조사로서의 면모를 보였으며, 이후 이 사업은 법인화되어(AEC사) 그룹 사업의 핵심이 되었다. 런던 버스의 기본 설계 및 사양을 구축하여 여러 회사에 있던 버스 제조사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런던 노선 버스의 대부분은 AEC가 만든 빨간색 버스였다.
2층 버스는 1800년대 중반, 마차 운행이 서민들의 발이 되면서 등장했다. 당시 마차는 만성적인 수송력 부족 문제를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이 마차 지붕에 타기 시작하면서 지붕에 좌석을 설치하여 2층 버스가 탄생하게 되었다.
2. 3. 루트마스터의 등장과 퇴역 (1956년 ~ 2005년)
AEC사의 최후이자 최대 히트작이었던 루트마스터는 본 노선에서 퇴역이 발표되었지만, 시민들로부터 존속을 열망받아 시내 관광객 수송을 겸하는 2개 노선에 투입되었다. 이 노선에서 운행되는 버스는 종전과 같이 차장이 승무했다. 회송 외의 범위 밖 운행은 전세 버스 회사에 의해 운행될 뿐이었다. 그러나 승객 감소에 따라 2019년까지 운행이 종료되었다.[1]2. 4. 굴절 버스 도입과 조기 퇴역 (2002년 ~ 2011년)
2000년대 초, 런던 버스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했다. 당시 시장이었던 켄 리빙스턴은 2002년에 굴절 버스를 도입하여 런던 버스의 수송 능력을 높이고자 했다. 그러나 굴절 버스는 좁은 도로에서의 운행 어려움, 무임승차 증가, 잦은 사고 발생 등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결국 2009년 시장으로 취임한 보리스 존슨은 굴절 버스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단계적인 퇴역을 추진했다. 그는 굴절 버스를 대체할 새로운 버스 모델을 도입하고, 버스 증편을 통해 수송 능력을 유지하고자 했다. 굴절 버스는 2011년까지 모두 퇴역했으며, 이는 런던 버스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된다.
2. 5. 신형 루트마스터 등장 (2012년 ~ 현재)
주어진 섹션 제목 "신형 루트마스터 등장 (2012년 ~ 현재)"에 해당하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이용하여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 지침에 따라,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빈 섹션으로 남겨두거나, 섹션 자체를 삭제해야 합니다.3. 운영 시스템
런던 교통공사(TfL)는 런던 버스 서비스를 직접 관리하며, 버스 노선 계획, 서비스 수준 및 품질 관리, 버스 터미널 및 정류장 관리, 승객 정보 제공, 24시간 지휘 통제 센터(CentreComm)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27]
모든 버스 운행은 입찰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 민간 운영 사업자는 노선 운영권을 입찰하여 정해진 가격을 받고, 일정 기간(2022년 4월 이전 5년, 이후 7년, 성과에 따라 2년 연장 가능) 동안 노선을 운영한다.[2][3] 런던 교통공사는 노선 설정, 관리, 입찰을 담당하며, 센터컴을 통해 교통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운영 사업자는 버스와 운전 기사를 제공하고 런던 교통국의 지침을 준수하며, 버스 운행 거리에 따라 요금을 받는다.
런던 버스는 런던 교통국의 자회사인 런던 버스 서비스 유한회사(London Bus Services Limited, LBSL)가 법적 주체이다.[6] 이스트 템스 버스는 런던 교통국의 또 다른 자회사인 런던 버스 유한회사(London Buses Limited, LBL)의 영업 명칭이었다.[7]
런던 시내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 산하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민간 운송 회사가 노선별 입찰을 통해 운영권을 얻는다. 운송 회사는 5~10년 주기로 변경될 수 있지만, 빨간색 버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런던 교통국은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을 통해 버스 서비스(운행 횟수, 빈도), 무임 승차 등을 감시하고, 서비스 미흡 시 운행 권한을 회수한다.
런던 버스는 600개 이상의 노선과 많은 버스 정류장을 관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버스 수송 관리 기관이다. 8,000대 이상의 빨간색 버스가 런던 시내를 운행하며, 2층 버스와 함께 런던의 상징이다. 시내 중심부 노선은 대부분 2층 버스지만, 도로 상황이나 승객 수에 따라 일반 버스(싱글 데크)도 운행된다. 굴절 버스(벤디 버스)는 일부 도입되었으나 2011년 중단되었다.
런던 버스 회사는 노선 운영 관리, 긴급 구조, 프로모션, 운행 계획, 노선도 제작, 버스 터미널 관리를 담당한다. 버스 전용 차선 설치는 런던 버스 회사 신청, 런던 교통국과 경찰 심사를 거쳐 행정 기관이 설치한다.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 메가버스, 유로라인즈 등이 있는 런던 빅토리아 코치 스테이션은 런던 버스가 아닌 런던 교통국 직할 조직에서 운영한다.
3. 1. 운영 주체
모든 버스 운영은 운영 사업자가 운영되는 경로 당 정해진 가격에 대한 대가로 노선에 입찰하는 입찰 시스템 하에서 시행된다. 계약은 일반적으로 5년이며, 성능 기준을 충족시키면 2년 연장이 가능하다.[27] 경로는 런던 교통국(TfL)에 의해 설정, 통제 및 입찰되며 CentreComm을 통해 일일 지원을 제공한다. 이 센터는 발생할 수 있는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네트워크를 조정한다. 운영자는 버스 제공 및 운행을 담당하며, TfL은 지침을 설정하는 직원을 제공한다. 운영자는 각 버스가 운행하는 마일당 요금으로 지불되며, 가격은 새로운 입찰에 발표된다.런던의 버스는 아벨리오 런던, 아리바 런던, CT 플러스, 고 어헤드 런던, 런던 소버린, 런던 유나이티드, 메트로라인, 퀄리티 라인, 스테이지코치 런던, 설리번 버스, 타워 트랜싯, 유노에서 운영한다. 각 회사마다 자체 운영 코드가 있으며, 런던의 모든 버스 차고에는 자체 차고 코드가 있다.
런던 버스의 법적 신분은 런던 버스 서비스 유한회사(London Bus Services Limited, LBSL)[6]로, 런던 교통국(Transport for London, TfL)의 완전 소유 자회사이다. 이스트 템스 버스는 TfL의 또 다른 완전 소유 자회사인 런던 버스 유한회사(London Buses Limited, LBL)의 영업 명칭이었다.[7]
LBL은 런던 버스 서비스 민영화의 일환으로 1985년 4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TfL의 전신 조직인 런던 지역 교통국(London Regional Transport, LRT)의 독립 자회사로서 12개의 버스 운영 부서(1988년 후반부터) 및 기타 자산을 보유했다. 이 운영 부서는 1994/95년에 매각되었으며, 이들의 구매자가 현재 런던 버스(LBSL)에서 버스 운영 입찰을 수주한 회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1994/95년 이후 LBL 회사는 LRT에서 TfL로 이전되면서 휴면 상태가 되었다. LBL은 이스트 템스 버스가 설립되어 LBSL과 차이니즈 월로 분리되면서 부활했으며, 런던 버스 운영사 대리인 역할을 했다.


런던의 버스 서비스는 다음 회사에서 운영한다.
회사명 | 비고 |
---|---|
아벨리오 런던 | |
아리바 런던 | |
HCT 그룹 | |
고 어헤드 런던 | |
런던 유나이티드 | |
메트로라인 | |
스테이지코치 런던 | |
타워 트랜싯 | |
우노 | |
퍼스트 런던 | |
퀄리티 라인 | |
설리번 버스 |
각 회사는 자체 운영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런던의 모든 버스 차고는 자체 차고 코드를 가지고 있다.
런던 시내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TfL)의 부속 기관인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운영사(민간 운송 회사)가 각 노선별로 수년에 한 번 입찰 제도를 통해 운행 권한을 얻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송 회사가 5년에서 10년 주기로 바뀔 수 있지만, 빨간색 버스에는 변동이 없다.
또한, TfL 조직의 엄격한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에 의한 운행 실태 조사가 이루어지며, 버스 서비스가 정상 운행(운행 횟수, 빈도)으로 이루어지는지, 승객의 무임 승차를 묵인하지 않는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서비스가 현저하게 미흡할 경우 운행 권한을 갱신하지 않고 강제로 회수하기도 한다.
; 주요 운영 회사 (2012년 3월)
회사명 | 노선 수 | 버스 보유 대수 | 비고 |
---|---|---|---|
Abellio London | 65 | 411 | 구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 계열 회사, 현재는 네덜란드계 기업. |
Arriva London | 109 | 1636 | 모회사로 도이체 반(독일 철도 AG)을 둔 독일계 기업. 그레이트브리튼 섬의 거의 전역에 노선을 가진 메가 그룹. |
HCT Group | 10 | 런던의 시티 주변에 노선을 담당하는 소규모 운영 회사. | |
First London | 90 | 835 | 영국계 기업으로 LSE에 상장, 유럽과 미국에 많은 자회사와, 그레이트브리튼 섬 전역에 철도를 포함한 교통 기관을 가진 종합 여객 운송 그룹. 특히 최중요 공공 교통 기관의 지위를 확립. |
Go Ahead Group | 135 | 1485 | 영국계 기업, LSE에 상장, 런던 및 미들랜드에 철도를 포함한 교통 기관을 가진 종합 여객 운송 그룹. |
London United Busways | 100 | 872 | 파리 교통 공단을 모회사로 둔 프랑스계 기업. 자회사 1개와 분리하여 보유. |
Metroline | 82 | 985 | 모회사로 컴포트델그로라는 싱가포르계 기업을 갖고 SGX에 상장. 영국 국내에서는 런던 시내와 근교만 전개. |
Quality Line | 14 | 90 | 런던 남부에 거점을 두고, 런던 남부와 서리에만 운행. |
Stagecoach London | 97 | 1022 | 영국계 기업, LSE에 상장, 세계 각지에 많은 자회사, 그레이트브리튼 섬 전역에 철도, 선박을 포함한 교통 기관을 가진 종합 여객 운송 그룹. 퍼스트 그룹 다음 규모의 중요한 공공 교통 기관. |
Sullivan Buses | 런던 교외에 거점을 두고 있지만, 스쿨 버스 등의 전세 운행과, 시내의 철도 대체 운송, 대체 버스를 많이 담당. |
3. 2. 입찰 시스템
모든 런던 버스 운영은 운영 사업자가 운영되는 경로 당 정해진 가격에 대한 대가로 노선에 입찰하는 입찰 시스템 하에서 시행된다. 계약은 일반적으로 5년이며, 성능 기준을 충족하면 2년 연장이 가능하다.[27] 2022년 4월부터 계약 기간은 7년이며, 성과에 따라 2년 연장 옵션이 제공된다.[3] 경로는 런던 교통국(TfL)에 의해 설정, 통제 및 입찰되며 센터컴을 통해 일일 지원을 제공한다. 센터컴은 대규모 네트워크를 조정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통 문제를 해결한다. 운영자는 버스를 제공하고 운행하며, TfL 지침을 설정하는 직원을 제공한다. 운영자는 각 버스가 운행하는 마일당 요금으로 지불되며, 가격은 새로운 입찰에서 발표된다.런던 시내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TfL)의 부속 기관인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운영사(민간 운송 회사)가 각 노선별로 수년에 한 번 입찰 제도를 통해 운행 권한을 얻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송 회사가 5년에서 10년 주기로 바뀔 수 있지만, 빨간색 버스에서 바뀌는 일은 없다.
또한, TfL 조직의 엄격한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에 의한 운행 실태 조사가 이루어지며, 버스 서비스가 정상 운행(운행 횟수, 빈도)으로 이루어지는지, 승객의 무임 승차를 묵인하지 않는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서비스가 현저하게 미흡할 경우 운행 권한을 갱신하지 않고 강제로 회수하기도 한다.
주요 운영 회사는 다음과 같다(2012년 3월 기준).
운영 회사 | 계열 | 런던 내 노선 수 | 보유 버스 수 |
---|---|---|---|
Abellio London(Abellio London) | 구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 계열, 현재 네덜란드계 | 65 | 411 |
Arriva London(Arriva London) | 독일 철도 AG 계열, 독일계 | 109 | 1636 |
HCT Group(CT Plus) | 10 | 해당 자료 없음 | |
First London(First London) | 영국계, LSE 상장 | 90 | 835 |
Go Ahead Group(Go Ahead Group) | 영국계, LSE 상장 | 135 | 1485 |
London United Busways(London United) | 파리 교통 공단 계열, 프랑스계 | 100 | 872 |
Metroline(Metroline) | 컴포트델그로 계열, 싱가포르계, SGX 상장 | 82 | 985 |
Quality Line(Quality Line) | 14 | 90 | |
Stagecoach London(Stagecoach London) | 영국계, LSE 상장 | 97 | 1022 |
Sullivan Buses(Sullivan Buses) | 해당 자료 없음 | 해당 자료 없음 |
3. 3. 런던 버스의 역할
런던교통공사(TfL)는 런던 버스 서비스를 직접 관리하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27]- 새로운 버스 노선 계획 및 기존 노선 수정
- 서비스 수준 및 품질 관리
- 버스 정류장 및 환승 센터 관리
- 교통 사고 등 비상 상황 시 버스 운전자 지원
- 버스 시간표, 노선도, 온라인 노선 계획 서비스 등 승객 정보 제공
- 24시간 운영되는 런던 버스 지휘 통제 센터(CentreComm, NMCC) 운영 (사우스워크 소재)
모든 버스 노선은 입찰 시스템을 통해 운영된다. 민간 운영 사업자는 정해진 가격으로 노선 운영권을 입찰하며, 계약은 보통 5년(2022년 4월 이전) 또는 7년(2022년 4월 이후) 동안 지속된다.[2],[3] 계약 기간은 서비스 품질 평가에 따라 2년 연장될 수 있다. 런던 교통국은 노선 설정, 관리, 입찰을 담당하며, 센터컴을 통해 일상적인 교통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운영 사업자는 버스와 운전 기사를 제공하고 런던 교통국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운영 사업자는 버스 운행 거리(마일)에 따라 요금을 받으며, 요금은 새로운 입찰 시 발표된다.


런던 버스는 런던 교통국의 자회사인 런던 버스 서비스 유한회사(London Bus Services Limited, LBSL)가 법적 주체이다.[6] 또 다른 자회사인 런던 버스 유한회사(London Buses Limited, LBL)는 이스트 템스 버스의 영업 명칭으로 사용되었다.[7]
런던 시내를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 산하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민간 운송 회사가 노선별 입찰을 통해 운영권을 얻는 방식이다. 운송 회사는 5~10년 주기로 변경될 수 있지만, 빨간색 버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런던 교통국은 엄격한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을 통해 버스 서비스 (운행 횟수, 빈도), 무임 승차 등을 감시한다. 서비스가 미흡할 경우 운행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
런던 버스는 600개 이상의 노선과 많은 버스 정류장을 관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버스 수송 관리 기관이다. 8,000대 이상의 빨간색 버스가 런던 시내를 운행하며, 2층 버스와 함께 런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시내 중심부 노선은 2층 버스로 운행되지만, 도로 상황이나 승객 수에 따라 일반 버스(싱글 데크)도 운행된다. 굴절 버스(벤디 버스)는 일부 노선에 도입되었으나 2011년 운행이 중단되었다.
런던 버스 회사는 버스 노선 운영 관리, 긴급 구조, 프로모션, 운행 계획, 노선도 제작, 버스 터미널 관리를 담당한다. 버스 전용 차선 설치는 런던 버스 회사의 신청, 런던 교통국과 경찰의 심사를 거쳐 행정 기관이 설치한다.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 메가버스, 유로라인즈 등이 위치한 런던 빅토리아 코치 스테이션은 런던 버스가 아닌 런던 교통국 직할 조직에서 운영한다.
4. 노선
런던 버스는 다양한 버스 노선도를 발행한다. 2002년, 런던교통공사(TfL)는 최초의 스파이더 맵을 도입했다.[4] 이 맵들은 특정 지역이나 버스 정류장을 중심으로 하며, 해리 벡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스타일을 차용하여 노선 정보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버스 노선이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거미 모양 때문에 '스파이더 맵'이라는 별칭을 얻었지만, TfL 웹사이트에서는 이를 노선도로 지칭한다. 이 맵들은 주요 버스 정류장에 게시되어 있으며, TfL 웹사이트에서 PDF 형식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5]
런던의 시내 버스 네트워크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포괄적인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 2024년 3월 현재 8,776대의 버스가 670개 이상의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으며,[8] 2019/20년에는 20억 9천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다.[9]
4. 1. 일반 노선
런던 시내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TfL; Transport for London)의 부속 기관인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운영사(민간 운송 회사)가 각 노선별로 수년에 한 번 입찰 제도를 통해 운행 권한을 얻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송 회사가 5년에서 10년 주기로 바뀔 수 있지만, 빨간색 버스에서 바뀌는 일은 없다.또한, TfL 조직의 엄격한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에 의한 운행 실태 조사가 이루어지며, 버스 서비스가 정상 운행(운행 횟수, 빈도)으로 이루어지는지, 승객의 무임 승차를 묵인하지 않는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서비스가 현저하게 미흡할 경우 운행 권한을 갱신하지 않고 강제로 회수하기도 한다.
시내를 운행하는 600개 이상의 노선(번호는 900번대까지 존재)의 수와 취급하는 버스 정류장은, 버스 수송 관리 기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런던 버스 회사에서는 루트마스터를 시작으로 모든 버스 차체에 빨간색 도색을 적용하고 있으며, 8,000대 이상의 빨간색 버스가 런던 시내를 운행하고 있어, 2층 버스와 함께 런던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노선별로 사용하는 버스 차종이 다르지만, 시내 중심부를 통과하는 노선의 대부분은 2층 차량으로 운행되며, 도로 상태나 승객 수에 따라 싱글 데크라고 불리는 평면 버스가 운행된다. 벤디 버스라고 불리는 굴절 버스도 일부 수요가 많은 노선에 도입되었지만, 2011년 12월에 굴절 버스 운행이 종료되었다.
또한, 런던 버스 회사는 버스 노선 전체의 운영 관리를 담당하며, 노선 버스를 직접 운행하지는 않는다. 업무 내용으로는 운행 관리 외에, 긴급 시의 구조 활동, 프로모션 활동, 운행 계획 편성, 노선 지도 제작, 버스 터미널 운영 관리 등이 있다. 버스 전용 차선 설치는 런던 버스 회사가 신청하고 TfL과 경찰이 정밀 심사하여 행정 기관이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장거리 버스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내셔널 익스프레스사의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 스테이지코치사의 저가 장거리 버스인 메가버스, 내셔널 익스프레스사의 국제 국경 간 버스인 유로라인즈 등이 위치한 잉글랜드의 주요 거점인 런던 빅토리아 코치 스테이션은 런던 버스가 아닌 TfL의 직할 조직에서 운영하고 있다.
4. 2. 슈퍼루프 (Superloop) 노선
슈퍼루프(Superloop) 노선은 2023년 6월부터 2024년 3월에 걸쳐 새롭게 도입된 7개 노선과, 그 이전부터 운행되던 익스프레스 노선(X68, X26, 607)의 명칭을 변경한 3개 노선을 합한 10개의 노선이다. 슈퍼루프 노선의 머리글자에는 "SL" 문자가 표기된다. 슈퍼루프 노선은 런던의 주변을 운행하며, 노스 핀칠리에서 시계 방향으로 SL1, SL2, SL3, SL5, SL7, SL9, SL10 순으로 노선이 할당되어 있다. 다른 3개 노선(SL4, SL6, SL8)은 런던 주변 지역에서 중심부로 가는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노선 구간이 20km를 넘는 노선도 있으며 요금도 전 구간 동일하므로 이용자가 많다.
노선 번호 | 노선 |
---|---|
SL1 | 노스 핀칠리 - 월섬스토 센트럴 |
SL2 | 월섬스토 센트럴 - 노스 울위치 |
SL3 | 템즈미드 - 브롬리 노스 |
SL4 | 그로브 파크 - 캐너리 워프 |
SL5 | 브롬리 노스 - 크로이든 타운 센터 |
SL6 | (X68) 웨스트 크로이든 - 러셀 스퀘어 (평일 일부 시간대에만 운행) |
SL7 | (X26) 웨스트 크로이든 - 히스로 센트럴 (히스로 공항 내) |
SL8 | (607) 화이트 시티 - 아크스브리지 |
SL9 | 히스로 센트럴 (히스로 공항 내) - 해로우 |
SL10 | 해로우 - 노스 핀칠리 |
일부 버스 정류장만 정차하므로, 전 구간 도달 시간은 일반 노선 버스에 비해 빠르다. 그러나 특별한 도로를 달리는 것이 아니므로, 시가지의 정체 시나 추월이 불가능한 구간에서의 도달 시간은 일반 노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노선들에서는 나이트 버스 설정은 없으며, 일반 노선의 운행 횟수에 비해 적게 설정되어 있다. 노선 SL6(X68)은 런던 중심부로 향하는 편은 아침 몇 편만, 크로이든 방면행 편은 저녁 이른 시간의 몇 편만 운행하는 한정 운행 노선이다.
4. 3. 나이트 버스
일반 버스의 막차 시간은 일본에 비해 늦기 때문에 운행 시작 시간은 오전 1시 전후인 경우가 많으며, 지하철 막차 이후 시민의 교통 수단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수요가 많은 주요 노선의 번호 앞에 N 문자가 붙으며, 모든 노선에 나이트 서비스가 있는 것은 아니다. 승객의 대부분은 지하철이나 철도 막차 이후 귀가 곤란자, 야간·새벽 출근자 혹은 퇴근자인 경우가 많으며, 철도 노선과 거의 병행하는 수송 체계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운행 거리가 주간 버스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길어, 편도 15마일(약 24km) 이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심야 요금이 없으며, 요금은 낮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심야에도 구간에 따라 탑승률이 높으며, 낮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24시간 버스와 나이트 버스의 차이점은, 24시간 버스는 교통에 지장이 없는 한 같은 루트로 종일 운행하지만, 나이트 버스의 경우 낮의 일반 버스와 기점이나 루트가 다르거나 하는 경우가 많고, 예외는 있지만 기점 또는 종점이 트라팔가 광장/차링크로스이거나, 그곳을 일부러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나이트 버스는 오전 1시 전후부터 오전 5시 전후까지 운행된다.
나이트 버스 노선 N9는 런던 시내에서 런던 히드로 공항을 잇는 노선으로, 지하철 피카딜리 라인의 막차 이후부터 첫차 전에 걸쳐 출발하는 항공편 이용자에게 공항 또는 런던 시내까지의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 되고 있다 (단, 주말에는 피카딜리 라인의 심야 운전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노선은 빈번하게 운행되지만, 피카딜리 라인의 첫차 운행 전에 마지막 운행을 한다.

5. 요금 체계
런던 버스 네트워크에서는 트래블카드, 오이스터 카드 및 비접촉식 직불 및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7월 6일부터 현금 운임은 사용할 수 없지만, 2015년 1월 2일에 버스 일일 정기권(일회용 오이스터 카드 또는 역 발권기의 종이로 발급됨)이 재도입되었다.[34]
오이스터 카드를 이용하면 '일일 상한선'이 적용되어 하루 동안 이용한 버스 횟수에 관계없이 일정 금액 이상 차감되지 않는다. 주간 및 월간 정기권을 구매하여 오이스터 카드에 등록할 수도 있다. 비접촉식 카드도 오이스터 카드와 동일한 요금이 부과되며,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7일간 요금 제한이 적용된다.[35]
런던의 요금 체계는 혼잡 통행료와 주차 위반 범칙금을 재원으로 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세계 도시의 버스 교통 시스템 중에서도 저렴한 편이다.
연령 및 거주지에 따른 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11세 미만 어린이는 무료이며, 11-15세 어린이는 오이스터 포토카드를 통해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16-18세 런던 거주자에게도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37] 프리덤 패스 제도를 통해 연금 수령 연령 이상인 런던 거주자와 장애인은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5. 1. 단일 요금
런던 버스 네트워크에서는 트래블카드, 오이스터 카드 (버스 통행과 Oyster pay as you go 포함) 및 비접촉식 직불 및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7월 6일부터 현금 운임은 사용할 수 없지만, 2015년 1월 2일에 버스 일일 정기권(일회용 오이스터 카드 또는 역 발권기의 종이로 발급됨)이 재도입되었다.[34] 단일 이용 운임은 이용 기간(운임 단계)에 따라 청구되었지만, 현재는 모든 거리에 대해 단일 정액 운임으로 청구된다. 2000년부터 Zone 1 이용의 고정 요금이 외부 지역보다 높았지만, 2004년부터는 차이가 없어졌으며, 이는 오이스터 카드 고정 요금의 도입과 동시에 변경되었다.오이스터 카드로 지불하면, 하루에 얼마나 많은 버스를 이용했는지에 관계없이 잔액에서 차감될 최대 금액을 제한하는 "일일 상한선"이 있지만, 단일 이용의 경우 일정 금액이 부과된다(04:30부터 다음날 04:29 까지). 또는 주간 및 월간 정기권을 구매하여 오이스터 카드에 등록할 수도 있다.
비접촉식 지불 카드를 사용하는 승객은 오이스터 요금과 동일한 요금이 부과된다. 오이스터 카드와 달리 비접촉식 카드는 현재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기준으로 7일간 요금 제한이 있다.[35]
2023년 현재 단일 요금은 1.75GBP이다.
5. 2. 할인 혜택
런던 버스 네트워크에서는 트래블카드, 오이스터 카드 (버스 통행과 Oyster pay as you go 포함) 및 비접촉식 직불 및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7월 6일부터 현금 운임을 사용할 수 없지만, 2015년 1월 2일에 버스 일일 정기권(일회용 오이스터 카드 또는 역 발권기의 종이로 발급됨)이 재도입되었다.[34]오이스터 카드로 지불하면, 하루에 얼마나 많은 버스를 이용했는지에 관계없이 잔액에서 차감될 최대 금액을 제한하는 "일일 상한선"이 있다(04:30부터 다음날 04:29 까지). 주간 및 월간 정기권을 구매하여 오이스터 카드에 등록할 수도 있다.
비접촉식 지불 카드를 사용하는 승객은 오이스터 요금과 동일한 요금이 부과된다. 오이스터 카드와 달리 비접촉식 카드는 현재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기준으로 7일간 요금 제한이 있다.[35]
11세 미만 어린이는 성인이 동반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런던 버스와 트램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오이스터 카드나 승차권은 필요하지 않다).[36] 11-15세 어린이는 11-15 Oyster photocard (오이스터 포토카드)를 통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오이스터 카드나 트래블카드가 없으면 성인 요금 전액을 지불해야 한다. 방문자는 TfL의 여행 정보 센터에서 일반 오이스터 카드에 특별 할인을 추가할 수 있다. 16세에서 18세 사이의 런던 거주자를 위한 할인도 있다.[37]
프리덤 패스 제도는 그레이터런던 거주자 중 주 정부 연금 수급 연령 이상인 사람들과 장애인을 위해, 버스 및 TfL의 철도 서비스를 언제든지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국 지방 당국이 발급한 할인 버스 통행증을 소지한 사람들은 언제든지 TfL 버스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6. 차량
런던 버스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운행하며, 공통적으로 주로 붉은색 외장을 사용한다. 런던 버스는 차량의 수명과 사양에 대해 엄격하게 통제한다. 런던 외곽 지역 버스에서는 보기 드문 별도의 출입문, 2층 버스의 곡선형 계단 등이 특징이다. 또한 런던 버스는 런던 운영 차량에 전통적인 인쇄 롤지 행선판을 사용하는 반면, 영국 다른 지역에서는 전자식 도트 매트릭스나 LED 디스플레이가 표준이다.[21]
런던 버스는 차량 수명을 면밀히 통제하여, 런던 운행을 마친 차량이 다른 지역에서 다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21]
6. 1. 차량 종류
런던 버스는 계약을 맺은 다양한 운전자들이 주로 붉은색 외장을 사용하며, 다양한 차량을 운행한다. 런던 버스는 차량의 수명과 사양에 대해 엄격하게 통제한다. 런던 외곽 지역 버스에서는 보기 드문 별도의 출입문, 2층 버스의 곡선형 계단 등이 특징이다. 또한, 런던 버스는 전통적인 인쇄된 롤지 행선판을 사용하는 반면, 영국 다른 지역에서는 전자식 도트 매트릭스나 LED 디스플레이가 표준이다.런던 버스는 차량 수명을 면밀히 통제하기 때문에, 런던에서 운영을 마친 차량이 다른 지역에서 다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024년 3월 기준 런던 버스 차량은 총 8,776대로, 하이브리드 버스 3,826대, 배터리 전기 버스 1,397대, 수소 연료 전지 버스 20대가 포함되어 있다.[8] 런던의 저공해 버스(Low emission buses in London)는 모스크바의 전기 버스(Electric buses in Moscow)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무공해 차량(zero emission fleet)이다.[14] 2006년부터 모든 버스는 런던 교통 접근성(Accessibility of transport in London)에 따라 접근 가능하고 낮은 바닥(accessible and low floor)으로 설계되었으며,[15] 이는 세계 최초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16]
계약을 맺은 다양한 버스 운영업체는 1997년부터 의무화된 빨간색 차체 도색과 2006년 도입된 흰색 지붕의 안테나 지붕 표시(Aerial roof markings#Public buses)를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한 차량을 운영한다.[17][18][19] 런던 버스는 각 노선에 사용될 버스의 사양을 설정하고, 운영업체는 이를 충족하는 차량을 선택한다.[20] 런던 버스 사양의 예로는 별도 출입문, 2층 버스의 직선 계단 등이 있다.[21] 과거 런던 버스는 런던 운행 차량에 인쇄 롤러 행선지 표시기를 사용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전자식 도트 매트릭스나 LED 디스플레이가 표준이다.[21]
2층 버스는 1800년대 중반 마차 운행 시절, 수송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지붕에 좌석을 설치하며 탄생했다. 자동차 버스 운행 초기에는 LGOC사가 1960년대까지 차량을 생산, 설계, 부품 공급을 하는 등 종합 버스 제조사였다. 런던 버스의 기본 설계 및 사양을 구축하여 여러 버스 제조사를 차지했으며, 런던 노선 버스 대부분이 AEC에서 만든 빨간색 버스였다. 1920년대 초, 운임 경쟁이 시작되었고 1924년 중앙 정부에 의한 런던 시내 버스 사업 통합으로, 버스 사업자별로 달랐던 배색이 LGOC사의 빨간색으로 통일되었다.
; 루츠마스터의 등장

AEC사의 마지막이자 최대 히트 차량인 루츠마스터는 1956년부터 196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런던 시내 버스의 기본 모델이었다. 원맨 버스와 정원 증가 추세에 따라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걸쳐 원맨형 2층 차량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반, 배기가스 규제 강화, 승강구 안전성 문제, 수송력 부족 등으로 루츠마스터의 단점이 드러났고, 2005년 12월 9일 159번 버스로 본 계통에서 물러났다. 이후 헤리티지(유산) 루트로 2개 계통에서 운행되었지만, 2019년까지 폐지되었다.
; 굴절 버스(벤디 버스)의 도입과 조기 퇴역


일부 혼잡 노선에서는 수송력이 부족하여 증편 시 교통 체증을 유발할 수 있었다. 당시 런던 시장 켄 리빙스턴은 굴절 버스의 필요성을 숙고하여, 2002년부터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를 고수요 12개 노선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벤디 버스는 도로 개량 없이 좁은 도로에서 운행되어 사고가 잦았고, 언론은 시장의 무모한 개혁과 위험성을 비판했다. 차량 화재 사고로 시타로 엔진 결함이 발견되었고, 수리 후 운행되었지만 언론의 비판은 계속되었다. 리젠트 스트리트 등 교통 체증 명소에 굴절 버스 계통이 겹쳐 혼잡이 심해졌고, 2008년 런던 시장 선거에서 교통 체증 해소가 논점이 되었다. 켄 리빙스턴은 교통 체증세(혼잡 통행료) 도입으로 시민들의 반감을 사 재선에 실패했다. 보리스 존슨 신임 시장(당시)은 굴절 버스를 교통 체증의 원흉으로 보고, 무임 승차 문제로 인해 조기 퇴역을 발표했다. 실제로 무임 승차가 다발하여 150명의 검표원을 고용하여 무임 승차 방지에 힘썼다.
2009년 9월 루트 507, 521에서 굴절 버스 운용을 폐지하고,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표준 차체 2도어 차량으로 변경했다. 2010년 후반부터 단계적으로 벤디 버스 운용을 폐지했고, 2011년 12월까지 런던 시내에서 조기 철수하여 리버풀 등 지방 도시 및 몰타 섬으로 활약의 장을 옮겼다. 벤디 버스 운용 노선은 루트 507, 521을 제외하고 모두 2층 버스 운행으로 변경되어 현재 런던 시내에는 굴절 버스 운용이 없다. 도로 설비 및 운임 수수 문제 해결 시 굴절 버스는 대량 수송에 기여할 수 있었지만, 두 정치인에게 농락당한 운명이었다.
; 신형 루츠마스터의 등장

2008년 런던 시장 선거에서 보리스 존슨이 당선되었고, 굴절 버스 조기 퇴역과 신형 루츠마스터 기획 설계가 공모되었다. 2009년 라이트 버스사 설계가 선정되어 "뉴 버스 포 런던"을 테마로 2010년 5월 발표 후 시제차 제작을 시작했다. 시제차는 2011년 11월 서더크 시청 - 트라팔가 스퀘어에서 시내를 주행했고, 트라팔가 스퀘어 등에서 일반 공개했다. 2012년 2월 27일 38번 계통에서 정기 운행을 시작했다. 시장의 과도한 신형 버스 애착으로 보리스마스터, 보리스 버스라고도 불린다. 본 형식은 도심부를 중심으로 많은 계통에서 운용되고 있다. 차량 사양이 런던에 특화되어 다른 도시에서의 정기 운용은 없다.


시내 노선 버스는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 관리하며, 운영 업체가 운행한다. 1번부터 600번대(결번 존재), 700 - 800번대, 900번대까지 존재한다. 500번대까지가 일반 노선, 600번대는 스쿨 버스, 900번대가 매일 운행하지 않는 지역 노선으로 분류되지만, 일부는 24시간 운행한다. 노선 번호는 개설 순서대로 부여되지만, 장거리 노선을 분할, 축소하며 개정된 노선도 있다. 1번 노선(1번 노선)은 런던 최초 자동차 버스 노선(윌즈던 - 루이샴)이지만, 가장 오래된 노선은 11번 노선(11번 노선)으로, 리버풀 스트리트 - 세인트 폴 - 화이트홀 - 빅토리아 - 킹스 로드 - 첼시/월즈 엔드 - 풀럼 브로드웨이 구간을 운행하며 개설 초창기부터 거의 변하지 않았다.
현재 시내 버스 노선 대부분은 운행 거리가 길다(편도 16km 초과 노선 다수). 이는 저렴한 버스 운임(전 구간 통일), 지하철 사고 시 런던 교외까지의 수송 수단 확보 목적이다. 따라서 지하철 노선과 병행하는 버스 노선이 많다. 현재 10개 운행 회사에서 운행하며, 런던 교통국(TFL) 관리 노선 버스는 적색 기본 색상이다. 일부 런던 시외 기점 노선은 배색, 운임 등 서비스가 다르다. TFL 관리 노선 중 시외 운행 노선은 적색 버스, 시내 운임과 동일하다. 시내 주행 적색 버스는 모두 배리어 프리 대응으로, 휠체어, 유모차 탑승 가능 슬로프가 설치되어 있다.
버스 수요가 많아 평일 주요 노선은 5시 대 운행 시작, 막차는 오전 1시 가까이 운행된다. 교통 체증 등으로 인한 지연 시 행선지 변경 등 즉각 대응하지만, 시내 교통 체증은 도로 공사, 운전자 매너 외 버스 과다 운행도 원인 중 하나이다. 트라팔가 광장 - 헤이 마켓 - 피카딜리 서커스까지 버스만 수십 대가 늘어서는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보리스 존슨 시장의 굴절 버스 퇴역 후 수송 능력 보충을 위한 증편 결과이다.

운행 회사, 노선에 따라 사용 차종이 다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저공해차 도입이 활발하며, 루트마스터를 현역으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된다. 일본 버스가 도입된 적은 없다. 기후 영향으로 런던 버스 냉방화율은 낮으며, 미설치 버스가 많다. 신형 형식에는 도입 경향이 높지만, 2층 부분에만 설치되거나 승객이 창문을 여는 등 냉방 효율이 좋지 않다. 차고는 2층 버스 사용으로 인해 벽돌조 대형 차고 건물이 많아 역사적 구조를 보인다.
; 더블데크 버스 (2층)
- --
- --
- --
- --
- --
- --
- --
- --
; 싱글데크 (평면 타입)
메르세데스 벤츠 시타로 수소전지차 - --
라이트 팔사 수소전지차 - --
- --
- --
- --
- --
6. 2. 차량 특징
런던 버스와 계약을 맺은 다양한 버스 운전사들은 다양한 차량을 운행하며, 공통적인 특징은 주로 붉은색 외장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런던 버스는 차량의 수명과 사양 모두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유지한다. 런던 외곽에 위치한 영국의 버스에서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특정 예시로 별도의 출입문을 사용하거나, 2층 버스에서는 영국의 다른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직선 계단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미려한 곡선적 계단을 사용했다. 또한 런던 버스는 런던에서 운영되는 차량이 전통적인 인쇄된 롤지 행선판을 사용하는 반면, 영국의 다른 대부분 지역에서는 전자 도트 매트릭스 또는 LED 디스플레이를 새 버스의 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은 찢어지고 빨리 더러워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LED 백라이트와 최신 차량에 설치된 'SmartBlind' 시스템이 개선되었다.런던 버스가 차량의 수명을 면밀히 통제하기 때문에, 런던 버스가 몇 년 동안 운영을 마친 후 다른 지역의 운영에서 관리자에 의해 계단식 연결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런던 버스 차량 총 8,776대에는 하이브리드 버스 3,826대, 배터리 전기 버스 1,397대, 수소 연료 전지 버스 20대가 포함되어 있다.[8] 런던의 저공해 버스(Low emission buses in London)는 모스크바의 전기 버스(Electric buses in Moscow)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무공해 차량(zero emission fleet)이다.[14] 2006년부터 모든 버스는 런던 교통 접근성(Accessibility of transport in London)이 접근 가능하고 낮은 바닥(accessible and low floor)으로 설계되었으며,[15] 이는 세계 최초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16]
런던 버스와 계약을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버스 운영업체는 광범위한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 의무화된 빨간색 차체 도색과, 여름철 버스 냉방을 돕기 위해 2006년에 처음 도입된 흰색 지붕의 안테나 지붕 표시(Aerial roof markings#Public buses)가 일반적인 특징이다.[17][18][19] 각 버스 노선에 대해 런던 버스는 사용될 버스에 대한 사양을 설정하며, 사양을 충족하는 특정 차량의 선택은 운영업체에 달려 있다.[20] 런던 버스 사양의 특정 예로는 별도의 출입문 사용(런던 이외의 영국 버스에서는 점점 더 드문 경우)과 2층 버스의 경우 직선 계단 사용이 있다.[21] 또한 런던 버스는 이전에는 런던에서 운행되는 차량에 전통적인 인쇄 롤러 행선지 표시기를 사용할 것을 명시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전자식 도트 매트릭스 또는 LED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버스의 표준이다.[21]
2024년 현재, 런던 버스에는 승객을 위한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운전석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2층 버스 상단에는 공기 냉각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온도를 35°C에서 30°C로 낮출 수 있다. 2024년부터는 미래 규격에 따라 공기 냉각 시스템을 통해 온도를 35°C에서 26°C로 낮추도록 요구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1층 버스와 2층 버스 모두에 적용될 것이다.[22] 새로운 전기 1층 버스에는 습기 제거 기능이 있는 에어컨이 사용된다.[23]
운행 회사나 노선에 따라 사용 차종은 다르다. 또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저공해차 도입도 활발하다. 일본 버스가 도입된 적은 한 번도 없다.
기후의 영향도 있어, 일본의 버스와 비교해 런던 버스의 냉방화율은 매우 낮으며, 설치되지 않은 버스가 여전히 많다. 신형 형식에는 도입되는 경향이 높지만, 2층 부분에만 냉방이 설치되어 있거나, 혼잡하면 승객이 창문을 열어버리는 등의 영향으로 냉방 효율도 좋지 않다.
차량을 격납하는 차고도, 오래전부터 2층 버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버스 차고 건물도 벽돌조의 대형 차고로 되어 있어, 역사를 느끼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 더블데크 버스 (2층)
- 알렉산더 ALX400
- 스카니아 오미니시티
- 알렉산더 데니스 엔바이로 400 Hybrid
- 라이트 이클립스 제미니 Powered by Volvo
- 이스트 란카스 밀레니엄 Powered by Volvo
- 플랙스톤 프레지던트 Powered by Volvo
- 라이트 이클립스 제미니 Ⅱ Hybrid Powered by Volvo
- AEC 루트마스터
; 싱글데크 (평면 타입)
- 메르세데스 벤츠 시타로 수소전지차
- 메르세데스 벤츠 시타로
- 라이트 팔사 수소전지차
- 알렉산더 ALX200
- 알렉산더 데니스 엔바이로 200
- 옵타레 파사
- 옵타레 솔로
- 옵타레 템포 SR
6. 3. iBus 시스템

* 위: iBus 디스플레이에 경로 번호 및 목적지 (Southall Town Hall까지 482)가 표시된다.
* 밑: CCTV에서 실시간 화면이 표시된다.
런던의 모든 버스는 런던 iBus 시스템(iBus (London))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승객에게 음성 시각적 안내 방송을 제공하고, 교통 정류장에서 우선 순위를 촉발시킬 수 있는 자동 차량 위치 확인 시스템이다. 2006년에 시험 사용되었으며, 2009년까지 모든 버스 노선으로 확장되었다.[38][24]
런던 시내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런던 교통국(TfL; Transport for London)의 부속 기관인 런던 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엄격한 운행 감시 시스템(iBus)과 조사원에 의한 운행 실태 조사가 이루어진다.
2006년부터 시험적으로 도입된 시내 종합 버스 로케이션 시스템은, 2008년에 런던 교통국이 관리하는 모든 차량에 도입되어 버스 운영의 현대화와 운행 관리의 IT화에 기여하고 있다.
; 안내 방송
루트마스터를 제외한 런던 교통국 관리 버스의 목적지와 다음 정류장 안내 자동 방송은 iBus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약 19,000개의 버스 정류장과 600개에 가까운 버스 노선, 30,000가지의 안내 방송이 존재한다.
드물게 우회 운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우회 구간 진입 전 자동 안내 방송이 나오지만,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버스는 다음 정류장 표시와 안내 방송이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
자동 안내 방송 시스템과 로케이션 시스템은 정보가 완전히 공유되어 있으며, 버스 추적 시스템이 GPS 기능으로 관리된다.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시험이 여러 번 거듭되었으며, 현재 차량 위치, 속도, 도로 상황 등이 30초마다 중앙 관제로 전송되어 계산된 로케이션 안내가 제공되므로, 로케이션 시스템의 카운트다운 정확도는 높다.
;CCTV
루트마스터를 제외한 모든 버스에는 감시 카메라(CCTV)가 설치되어 있다. 버스에 따라 10대 안팎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2005년 런던 연쇄 폭탄 테러 이후 버스 차내도 테러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재인식한 런던 교통국(TfL)과 중앙 정부의 방범 의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범죄자 추적은 물론, 버스 차내 방범에도 기여하며, 감시 카메라 시선은 운전사에게도 향해 있어 승무원 부정 방지 및 위험 운전 감시로 안전 운행에 도움이 된다.
; 애플리케이션
2011년부터 웹상에서 로케이션과 카운트다운을 열람할 수 있게 되는 등, 대폭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스마트폰에서도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7. 2005년 런던 동시 폭탄 테러
2005년 7월 7일 오전 8시 50분경, 런던 시내 중심부를 운행하는 지하철 세 곳에서 거의 동시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었다. 약 1시간 후인 오전 9시 47분경, 유스턴과 러셀 스퀘어를 잇는 태비스톡 스퀘어를 주행 중이던 30번 노선 해크니 위크행 2층 버스에서 폭발이 발생했다. 이 폭발로 버스 2층 지붕이 날아갔고, 13명의 승객이 목숨을 잃었다. 이들은 모두 2층 좌석에 탑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건 당시 30번 노선 버스는 지하철 테러 발생 후에도 정상 운행 중이었다. 오전 9시에 마블 아치를 출발하여 유스턴에 도착했으나, 지하철 테러로 인한 통행 금지 때문에 우회하여 러셀 스퀘어를 경유하는 임시 경로로 운행하던 중이었다. 유스턴 로드에서 러셀 스퀘어 방면으로 우회전 후 약 200m 지점에서 폭발이 발생했으며, 당시 버스에는 운전사와 실행범을 포함하여 50명이 탑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실행범은 당일 유스턴에서 지하철 노던 라인을 이용할 예정이었으나, 지하철 운행 중단으로 인해 버스를 타게 된 것으로 보인다. 휴대 전화 발신 기록에 따르면, 실행범은 버스 탑승 전 다른 실행범에게 전화를 걸어 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버스 동승자의 증언에 따르면, 실행범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초조한 표정으로 가방 안을 계속 확인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7월 21일에도 유사한 지하철 및 버스 테러가 발생했다. 런던 중심부 워털루에서 동부 해크니 위크까지 운행하는 26번 노선 워털루행 2층 버스에서 폭발이 발생했으나, 다행히 2층에 승객이 거의 없어 유리창만 깨지는 정도의 피해만 발생했다. 이 버스는 퇴역하지 않고 현재도 운행 중이다.
테러 당시 두 버스 모두 이스트 런던 버스 그룹(현 스테이지코치) 소속이었으며, 피해를 입은 버스는 도입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차량이었다. 폭파된 버스는 폐차되었지만, 7월 21일 사건의 버스는 개조 후 현재도 운행되고 있다. 스테이지코치는 테러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Spirit of London"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도색의 버스를 도입하여 1대만 재적시키고 있다. 이 버스는 런던 시내를 주행하며 테러에 대한 시민들의 용기를 상징하고 있다.
8. 주요 버스 정류장 및 버스 터미널
런던 시내에서 가장 많은 버스가 통과하고 발착하는 곳은 옥스퍼드 서커스이며, 종일 끊이지 않고 버스가 교차한다. 트라팔가 광장, 피카딜리 서커스, 마블 아치, 빅토리아 역 등도 많은 버스가 종일 오간다. 나이트 버스에서는 많은 버스가 트라팔가 광장을 통과 지점이나 발착 지점으로 삼아, 심야의 터미널이 된다.
장소에 따라 버스 정류장이 철도역보다 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행선지에 "○○역"이라고 표시되어 있지 않은 한, 행선지나 버스 정류장의 명칭이 철도역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이트 시티 버스 스테이션(White City bus station)의 가장 가까운 역은 우드 레인 역(Wood Lane station)이며, 화이트 시티 역(White City station)은 그보다 400m 정도 떨어져 있다. 런던 북부의 브렌트 크로스 버스 스테이션(Brent Cross bus station)도 지하철역과 500m 이상 떨어져 있다.
참조
[1]
뉴스
London buses headed in the same direction as Helsinki's high-tech transport system | Technology
https://www.theguard[...]
2008-02-28
[2]
뉴스
London Buses tendering system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0-12-28
[3]
간행물
Route 322 reverts to Abellio…again
Buses (magazine)
2021-08
[4]
웹사이트
Transport Strategy – Buses
http://www.london.go[...]
2007-11-13
[5]
웹사이트
Bus route maps
http://www.tfl.gov.u[...]
2007-11-13
[6]
문서
Companies House extract company no 3914787
http://data.companie[...]
London Bus Services Limited
[7]
문서
Companies House extract company no 1900906
http://data.companie[...]
London Buses Limited
[8]
웹사이트
Bus fleet audit—31 March 2024
https://content.tfl.[...]
Transport for London
2024-03-31
[9]
간행물
Annual bus statistics 2019/20
https://assets.publi[...]
Department for Transport
[10]
문서
MD1418 January 2015 Fare Changes
https://www.london.g[...]
Greater London Authority
2014-11-18
[11]
문서
Leaflet 'Contactless travel' published by TfL.
[12]
웹사이트
Travelling with children
https://tfl.gov.uk/f[...]
[13]
웹사이트
Children and studen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0-01-19
[14]
웹사이트
"ГУП «Мосгортранс»: 1700 электробусов в Москве"
https://mosgortrans.[...]
2024-06-16
[15]
웹사이트
Start of Low floor buses - a Freedom of Information request to Transport for London
https://www.whatdoth[...]
2013-12-02
[16]
웹사이트
Transport for London wins Independent Living Award
https://tfl.gov.uk/i[...]
2007-12-14
[17]
웹사이트
Buses: deregulation in the 1980s
https://researchbrie[...]
2010-06-18
[18]
뉴스
Keeping cool upstairs
http://www.busandcoa[...]
2006-06-08
[19]
웹사이트
Bus graphics standard Issue 2
http://content.tfl.g[...]
2019-03
[20]
웹사이트
London's Bus Contracting and Tendering Process
http://content.tfl.g[...]
2015-08
[21]
웹사이트
LONDON BUS SERVICES LIMITED Specification for new buses
https://www.whatdoth[...]
London Buses
2019-05
[22]
문서
https://tfl.gov.uk/c[...]
[23]
문서
https://tfl.gov.uk/c[...]
[24]
웹사이트
All London's buses now fitted with iBus
https://www.tfl.gov.[...]
2009-04-23
[25]
뉴스
London buses headed in the same direction as Helsinki's high-tech transport system | Technology
https://www.theguard[...]
2008-02-28
[26]
문서
Bus fleet data & audits
https://tfl.gov.uk/c[...]
Transport for London
2017-03-26
[27]
뉴스
London Buses tendering system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0-12-28
[28]
웹인용
Transport Strategy – Buses
http://www.london.go[...]
2007-11-13
[29]
웹인용
Bus route maps
http://www.tfl.gov.u[...]
2007-11-13
[30]
문서
Companies House extract company no 3914787
http://data.companie[...]
London Bus Services Limited
[31]
문서
Companies House extract company no 1900906
http://data.companie[...]
London Buses Limited
[32]
웹인용
London Data Store
http://data.london.g[...]
2016-05-25
[33]
웹인용
London Buses
http://www.tfl.gov.u[...]
2007-11-13
[34]
문서
MD1418 January 2015 Fare Changes
https://www.london.g[...]
Greater London Authority
2014-11-18
[35]
문서
Leaflet 'Contactless travel' published by TfL.
[36]
웹인용
Travelling with children
https://tfl.gov.uk/f[...]
[37]
웹인용
Children and students | Transport for London
http://www.tfl.gov.u[...]
Tfl.gov.uk
2010-01-19
[38]
웹인용
All London's buses now fitted with iBus
https://www.tfl.gov.[...]
Transport for London
2009-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