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장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장종은 16세기 베트남 후 레 왕조의 황제이다. 그는 레 소종의 아들로 추정되며, 본명은 레닌이다. 막당중의 찬탈로 후 레 왕조가 멸망 위기에 처하자, 응우옌낌의 지원을 받아 1533년 황제로 옹립되어 왕조를 재건했다. 그러나 실제 권력은 응우옌낌과 그의 사위 찐끼엠에게 있었고, 장종은 꼭두각시 황제에 불과했다. 1545년 응우옌낌이 죽고 찐끼엠이 실권을 장악한 이후, 후 레 왕조는 타인호아 이남 지역을 장악하고 막 왕조와 대립하는 남북조 시대를 맞이했다. 장종은 1548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레 중종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베트남의 군주 - 레 신종
레 신종은 레 왕조의 황제로, 찐씨 가문의 압력 속에서 두 차례 즉위와 퇴위를 반복했으며, 찐씨 가문의 강압적인 통치와 응우옌씨와의 군사적 충돌이 지속된 시기에 재위하였다. - 16세기 베트남의 군주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1548년 사망 - 성세창
성세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사화에 연루되어 귀양 갔으며, 선조 때 신원되어 시호는 문장이다. - 1548년 사망 - 정순붕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신진사류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후 레 왕조의 황제 - 레 진종
레 진종은 레 왕조의 제14대 황제로 쩐 장의 꼭두각시였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권력 강화와 혼란, 반란 진압, 원정 실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후 레 왕조의 황제 - 레 희종
레 희종은 후 레 왕조의 황제로, 찐딱의 섭정 하에 꼭두각시 군주로 지냈으나, 그의 치세는 정화지치라 불리며 평화와 질서를 가져왔다.
레 장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 짱종 (Lê Trang Tông) |
본명 | 레 닌 (Lê Ninh) |
다른 이름 | 레 후에 (Lê Huệ) |
묘호 | 짱종 (Trang Tông) |
시호 | 유황제 (Dụ Hoàng đế) |
능호 | 경릉 (Cảnh Lăng) |
통치 정보 | |
작위 | 대월 황제 |
왕조 | 후 레 왕조 |
재위 기간 | 1533년 - 1548년 |
즉위 | 응우옌호아 원년 음력 1월 1일 (1533년 1월 25일) |
선임자 | 공황제 |
후임자 | 중종 무황제 |
섭정 | 응우옌낌 (1533년–1545년) 찐끼엠 (1545년–1548년) |
연호 | 응우옌호아 (1533년 - 1548년) |
도읍 | 애뢰 → 타인호아 |
생애 | |
출생 | 1515년, 동킨, 대월 |
사망 | 1548년 3월 9일 (33–34세), 타인호아, 대월 |
아버지 | 찌에우떵 (?) |
어머니 | 팜 티 응옥 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찐 티 응옥 끄우 |
기타 | |
사후 정보 | 묘호: 짱종 (莊宗) 시호: 유황제 (裕皇帝) |
2. 생애
레 장종은 소종의 아들로 추정된다. 1545년 응우옌낌이 사망하자 그의 사위인 찐끼엠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풍칵코안, 르엉흐우카인 등의 보좌를 받으며 타인호아 이남 지역을 모두 점령하고, 산남을 경계로 막 왕조와 대립했는데,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고 한다.[3] 1548년 장종이 사망하고 아들인 중종이 뒤를 이었다.[1][3]
2. 1. 초기 생애와 막 왕조의 등장
소종의 아들로 추정되는 장종은 16세기 초 레 위목제와 레 양익제가 장수들에게 폐립되고 쩐까오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황권을 잃었다. 이 과정에서 막당중이 정권을 장악하고 소종과 공황을 차례로 살해한 뒤 1527년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건립하였다.
장종은 남쪽으로 도망하여 숨었으나, 후 레 왕조에 충성하던 응우옌낌이 1532년 장종을 애뢰에서 영접하였다. 1533년, 응우옌낌은 장종을 황제로 옹립하고 후 레 왕조를 중흥시켰다. 그러나 장종은 실권이 없었고, 응우옌낌의 군사적 지지 아래 타인호아를 수복하고 막 왕조를 북벌하였다.
2. 2. 후 레 왕조 중흥과 남북조 시대
1527년 막당중이 소종과 공황을 차례로 살해하고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건립하였다. 이로 인해 소종의 아들로 추정되는 장종은 남쪽으로 도망하여 숨어야 했다.[3] 그러나 후 레 왕조에 충성하는 대신들은 여전히 많았고, 이들은 막 왕조에 반기를 들었다.[3]1532년, 청화우위전전장군(淸化右衛殿前將軍)이자 안청후(安淸侯)인 응우옌낌은 사람을 시켜 후 레 왕조의 자손을 찾도록 하였고, 장종을 찾아 애뢰(哀牢)로 영접하였다.[3] 1533년 장종은 황제로 옹립되어 후 레 왕조를 중흥하였다.[3] 그러나 실제 권력은 응우옌낌에게 있었고, 장종은 그의 꼭두각시에 불과하였다.[3]
응우옌낌의 군사적 지지 아래 후 레 왕조는 타인호아를 수복하고, 병사를 일으켜 막 왕조를 북벌하였다.[3] 1545년, 응우옌낌이 죽자 그의 사위인 찐끼엠이 정권을 장악하였다.[3] 풍칵코안(馮克寬), 르엉흐우카인(梁有慶) 등 신하들의 보좌를 받으며, 후 레 왕조는 타인호아 이남 지역을 모두 점령하고, 산남(山南)을 경계로 막 왕조와 대립하였다.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고 한다.[3]
1548년, 장종이 죽고 아들인 중종이 뒤를 이었다.[3]
2. 3. 죽음
1532년 응우옌낌이 장종을 영접하여 애뢰로 갔다.[1] 1533년 장종은 황제로 옹립되어 후 레 왕조를 중흥하였으나, 실제로는 아무 권력이 없었고 응우옌낌의 괴뢰에 불과하였다.[1]1545년 응우옌낌이 죽자 그의 사위인 찐끼엠이 정사를 오로지하였다.[1]
1548년 장종이 죽고 아들인 중종이 뒤를 이었다.[1]
3. 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명종철황제 레숭(Lê Sùng/黎漴/여충) |
조모 | 단목황태후 찐 티 로안(Trịnh Thị Loan/鄭氏鸞/정씨란) |
부친 | 소종신황제 레이(Lê Y/黎椅/여의) |
모친 | 가경황태후 팜 티 응옥꾸아인(Phạm Thị Ngọc Quỳnh/范氏玉瓊/범씨옥경) |
황후 | 정숙황태후 레 티 응옥똥(Lê Thị Ngọc Tông/黎氏玉琮/여씨옥종) |
황자 | 중종 레후옌(Lê Huyên/黎暄/여훤)[1] |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명종철황제 레숭(Lê Sùng/黎漴/여충)
- 조모 : 단목황태후 찐 티 로안(Trịnh Thị Loan/鄭氏鸞/정씨란)
- 부친 : 소종신황제 레이(Lê Y/黎椅/여의)
- 모친 : 가경황태후 팜 티 응옥꾸아인(Phạm Thị Ngọc Quỳnh/范氏玉瓊/범씨옥경)
3. 2. 후비
- 정숙황태후 레 티 응옥똥(Lê Thị Ngọc Tông/黎氏玉琮/여씨옥종)
3. 3. 황자
레후옌(Lê Huyên/黎暄/여훤)은 중종으로, 13대 황제이다.[1]4. 연호
연호 | 기간 |
---|---|
원화 (元和) | 1533년 ~ 1548년 |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2]
서적
歷朝憲章類誌
[3]
서적
대월사기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