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드라이트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라이트는 초자연 현상을 연구하는 심리학 교수와 조수가 은퇴한 초능력자의 정체를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영화는 초능력 사기꾼을 밝혀내던 중, 30년 만에 나타난 전설적인 초능력자 사이먼 실버를 조사하며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사건들을 다룬다. 영화는 반전을 통해 조수 톰 버클리가 사실 초능력자였음을 드러내며 마무리된다. 평론가들로부터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 면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미스터리 영화 - 아임 낫 스케어드
    아임 낫 스케어드는 2003년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9살 소년 미켈레가 유괴된 또래 소년 필리포를 구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스페인의 미스터리 영화 - 나인스 게이트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연출하고 조니 뎁이 주연을 맡은 1999년 영화 나인스 게이트는 아르투로 페레스-레베르테의 소설 《뒤마 클럽》을 원작으로, 악마 소환 전설이 담긴 책의 진본을 찾는 희귀 서적 딜러의 미스터리한 여정을 그린다.
  • 초상현상을 소재로 한 영화 - 고스트 오브 워
    2020년 공개된 영화 《고스트 오브 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를 배경으로 나치 점령 하의 성을 경비하는 미군 병사들이 초자연적인 공포를 겪는 이야기이며, 전쟁의 트라우마와 PTSD를 겪는 군인들의 고통을 시뮬레이션 현실이라는 반전을 통해 드러내는 초자연 공포 영화이다.
  • 초상현상을 소재로 한 영화 - 신이 말하는 대로 (영화)
    신이 말하는 대로(영화)는 만화 원작을 바탕으로 미이케 다카시가 감독한 2014년 일본 영화로, 고등학생 슌이 목숨을 건 서바이벌 게임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룬다.
  • 스페인의 스릴러 영화 - 그린 존 (영화)
    《그린 존》은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대량살상무기(WMD)를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 준위 로이 밀러와 그의 팀이 CIA 요원, 기자와 협력하여 정치적 음모와 정부의 거짓말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스페인의 스릴러 영화 - 원초적 본능 2
    《원초적 본능 2》는 2006년 개봉한 스릴러 영화로, 베스트셀러 작가 캐서린 트라멜이 정신과 의사 마이클 글래스를 조종하며 주변 인물들을 살해하고, 결국 마이클이 정신병원에 수감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레드라이트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로드리고 코르테스
제작자로드리고 코르테스
아드리안 구에라
각본가로드리고 코르테스
출연킬리언 머피
시고니 위버
로버트 드 니로
토비 존스
조엘리 리처드슨
엘리자베스 올슨
레오나르도 스바라글리아
음악빅토르 레예스
촬영샤비 히메네스
편집로드리고 코르테스
제작사Nostromo Pictures
Cindy Cowan Entertainment
Antena 3 Films
텔레비시오 데 카탈루냐
배급사밀레니엄 엔터테인먼트 (미국)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스페인)
프레시디오 (일본)
개봉일선댄스 2012년 1월 20일
스페인 2012년 3월 2일
미국 2012년 7월 13일
일본 2013년 2월 15일
상영 시간114분
제작 국가스페인
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400만 유로
흥행 수익1410만 달러
한국어 제목

2. 줄거리

영화는 대학교수이자 초자연현상 연구자인 마가렛 매더슨(시고니 위버)과 그의 조수이자 물리학자인 톰 버클리(킬리언 머피)가 초능력 사기꾼들의 속임수를 파헤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들은 강령회를 관찰하고 가짜 심령술사가 사용하는 속임수를 밝혀낸다.[1]

30년 만에 은퇴를 번복하고 대중 앞에 나타난 전설적인 초능력자 사이먼 실버(로버트 드 니로)가 활동을 재개한다. 과거 실버와의 대결에서 패배한 경험이 있는 매더슨은 실버의 능력을 조사하던 회의론자가 비슷한 상황에서 죽은 것을 언급하며 조사를 망설이지만, 버클리는 실버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독단적으로 조사에 뛰어든다.[1]

버클리가 실버를 쫓을수록 전자 기기가 폭발하고 죽은 새가 나타나는 등 불가사의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버클리는 점점 더 실버의 초능력을 믿게 된다. 그러나 버클리의 조수는 버클리가 대학 조사단에서 수집한 실험 영상을 면밀히 조사하여 실버가 대중을 속이는 기법을 알아낸다. 동시에 버클리는 실버의 공연장에서 실버의 거짓을 밝혀내고 실버는 망연자실한다.[1]

결국 버클리는 실제로 초자연적인 힘을 소유한 것은 자신이며 실버를 조사하면서 일어났던 모든 설명 불가능한 사건들 역시 자신이 한 것임을 드러낸다. 버클리는 자신이 초자연 현상 폭로자로 일해 온 것은 자신과 같은 사람이나 다른 설명을 찾기 위함이었다고 밝힌다. 버클리는 실버의 얼굴에 동전을 던졌고, 그는 본능적으로 그것을 잡아 관객에게 자신이 볼 수 있다는 것을 드러냈다.[1]

3. 등장인물


  • '''톰 버클리''' (킬리언 머피): 물리학자이자 매더슨 교수의 조수이다. 초자연 현상을 믿지 않으며, 과학적 방법으로 진실을 밝히려 한다. 실버를 조사하면서 점차 알 수 없는 일들을 겪게 된다.[1]
  • '''마가렛 매더슨''' (시고니 위버): 심리학 교수이자 초자연 현상 연구자이다. 오랜 경험으로 초능력 사기꾼들의 속임수를 간파한다. 과거 실버와 대결에서 패배한 후, 다시 그를 조사하는 것을 망설인다.[1]
  • '''사이먼 실버''' (로버트 드 니로): 전설적인 초능력자이다. 30년 만에 은퇴를 번복하고 대중 앞에 다시 나타난다. 그의 능력은 영화의 주요 미스터리 중 하나이다.[1]
  • '''샐리 오웬''' (엘리자베스 올슨): 매더슨 교수 연구팀의 학생이다.[1]
  • '''폴 섀클턴 박사''' (토비 존스): 매더슨 교수가 소속된 대학의 학자이다. 실버의 초능력에 대한 조사를 제안한다.[1]
  • '''모니카 핸슨''' (조엘리 리처드슨)[1]
  • '''벤''' (크레이그 로버츠)[1]
  • '''레오나르도 팔라디노''' (레오나르도 스바라글리아)[1]

4. 제작

코르테스는 1년 반 동안 초자연 현상 지지자와 회의론자 양쪽 모두의 관점에서 초능력 문제를 연구하며 각본을 썼다. 그는 양측 모두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증거는 배제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 그는 또한 《레드라이트》가 단순히 영화일 뿐, 이 문제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1] 그러나 그는 개인적으로 귀신, 악마 등 심령현상은 믿지 않는다.[1] 자연법칙을 거스를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그의 관점이다.[1] 반면 초능력과 같은 초자연현상은 과학이 아직 밝혀내지 못한 현상이라며 심령현상과 구분한다.[1] 그는 회의론적 심리학자인 마가렛 매더슨 역을 구상할 때, 시고니 위버에게 확답을 받지 못한 상태였음에도 그녀를 염두에 두고 각본을 썼다고 한다.[1] 다행히 시고니 위버는 대본을 읽은 후 프로젝트 참여를 결정했다.[1]

로버트 드 니로는 배역을 위해 초능력자들을 만나 연구했고, 이 현상에 무언가 있다는 것을 조심스럽게 믿게 되었다고 한다.[1] 초능력자들이 그에게 말해준 정보는 오로지 그 자신만이 알 수 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1] 그는 "그들이 그런 정보를 알 방법이 없었는데도 말하더군요. 그래서 초능력으로 뭔가를 알아냈다고 밖에는 답할 수 없습니다. 그게 뭔지는 모르겠지만요."라고 말했다.[1]

5.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9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30%의 신선도와 4.9/10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으며, 평론가들은 "인상적인 출연진의 재능을 예측 가능한 미스터리로 낭비해 버린 《레드 라이트》에는, 관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투시 능력이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16]

메타크리틱에서는 22개의 리뷰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36점을 받았으며, 긍정적인 평가는 3개, 엇갈린 평가는 10개, 부정적인 평가는 9개였다.[17]

6.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Red Lights영어는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한국 사회에 특정한 직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는 아니다. 이 영화는 주로 심리 스릴러와 미스터리 장르에 속하며, 과학과 초자연 현상 사이의 긴장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 주는 구체적인 의미를 찾기보다는, 보편적인 인간 심리와 믿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참조

[1] 웹사이트 Red Lights https://www.imdb.com[...] 2018-07-01
[2] 웹사이트 Red Lights (2012) https://www.boxoffic[...] 2021-06-08
[3] 웹사이트 Red Light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6-14
[4] 간행물 Look into Red Lights The Brooklyn Company 2012-08
[5] 간행물 Q & A: Robert De Niro Bauer Media 2012-07
[6] 웹사이트 Robert De Niro Sees Red Lights From Buried's Rodrigo Cortes https://empireonline[...] 2010-10-14
[7] 웹사이트 Barcelona http://www.filmaps.c[...] filmaps 2011
[8] 웹사이트 Red Lights (2012) https://www.rottento[...] 2019-10-17
[9] 웹사이트 Red Lights (2012) Reviews https://www.metacrit[...] 2019-10-17
[10] 뉴스 Male Psychic Meets Female Ghostbusters https://www.nytimes.[...] 2012-07-12
[11] 뉴스 Review: Red Lights https://www.slantmag[...]
[12] 뉴스 Review: ‘Red Lights’ Invites You To Stop, Look & Listen https://www.indiewir[...] 2012-07-11
[13] 뉴스 Movie Review: Red Lights Will Make You Believe in Bad Movies https://www.vulture.[...] 2012-07-13
[14] 웹사이트 Red Lights (2012)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ザ・ナンバーズ (ウェブサイト)|The Numbers 2021-09-29
[15] 웹사이트 レッド・ライト https://www.wowow.co[...] WOWOW 2021-09-29
[16] 웹사이트 Red Lights 2021-09-29
[17] 웹사이트 Red Lights 2021-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