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드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 FC는 2010년 정문홍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단체이다. 스피릿 MC 폐쇄 이후 국내 최대 규모로 성장했으며, 일본과 중국 시장 진출을 통해 아시아에서도 큰 단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010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아마추어 리그와 여성부 리그를 도입하며 종합격투기 저변을 확대했다. 굽네치킨, 샤오미 등과 스폰서십을 통해 재정 기반을 다졌으며, 억대 연봉 제도 도입, 일본과 중국 대회 개최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힘썼다. 현재는 김대환이 대표를 맡고 있으며, 다양한 방송 매체를 통해 대회를 중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드 FC - 로드 FC 어워즈
    로드 FC 어워즈는 종합격투기 단체 로드 FC가 주최하는 시상식으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정리하고 선수와 관계자들의 노고를 치하하며 매년 주요 부문별 시상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 스피릿 MC
    스피릿 MC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운영된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여러 리그를 통해 데니스 강, 남의철, 이광희 등 격투가를 배출하며 한국 격투기 발전에 기여했으나, EliteXC에 인수된 후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 무신 (무술)
    무신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격투기 대회로, 태권도 출신 선수와 비 태권도 출신 선수 간의 대결을 주로 다루었으며, 미국에서 종합격투기 룰을 적용한 대회도 개최했다.
  • 종합격투기 단체 - 판크라스
    판크라스는 후나키 마사카츠와 스즈키 미노루가 1992년 설립한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캐치 레슬링 기반의 완전실력주의를 표방하며 인기를 얻었고, 규칙 개정과 체급 조정 등을 거쳐 현재는 FEN 판크라스 사업부로 운영되며 '킹 오브 판크라스' 챔피언 타이틀을 걸고 10각형 케이지 '데카곤'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 종합격투기 단체 -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WEC)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된 종합격투기 단체이며, 2006년 주파에 인수된 후 UFC에 합병되었고, 조제 알도 등 주요 선수들을 배출했다.
로드 FC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드 FC
원어Road Fighting Championship
로마자 표기Rodeu FC
로드 FC 로고
로드 FC 로고
창립일2010년 8월 23일
창립자정문홍
본부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대표김대환
부대표박상민
운영 지원 실장/매치 메이커권영복
기획실장/기획, 마케팅, 해외업무안덕기
종목종합격투기
웹사이트로드 FC 공식 웹사이트
리그 정보
현재 시즌2023년 로드 FC
소유주정문홍
사장김대환
박상민
본부 위치원주시, 대한민국

2. 역사

정문홍은 어린 시절 복싱, 무에타이, 합기도 등을 섭렵하고 2000년대 초반부터 일본에서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며 경험을 쌓았다.[23][24] 당시 국내 종합격투기계는 일본 단체들에 의존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었다.[23]

이에 정문홍은 국내 종합격투기 부흥을 위해 2010년 로드 FC를 설립했다.[3] 로드 FC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종합격투기 단체로 성장했으며,[4] 일본과 중국으로 확장하며 아시아 최대 단체 중 하나가 되었다.[5] 2010년 10월 23일 서울에서 첫 대회인 로드 FC 001: 부활이 개최되었다.[6]

2012년에는 아마추어 종합격투기 시스템을 조직하여 선수 육성에 힘썼고,[7] 2015년에는 일본과 중국에서 대회를 개최하며 해외 시장으로 영역을 넓혔다.[8] 2017년에는 여성 종합격투기 리그 로드 FC XX를 출범시켰고,[11] 12월에는 김대환 신임 대표가 취임했다.[11] 2018년에는 중국 스포츠 업계에서 "2018 중국 100대 스포츠 후원 이벤트" 15위에 선정되었다.[13]

2. 1. 2010년대 전반기 (2010 - 2015)

2000년대 후반, 프라이드, K-1 등 일본 격투기 단체들이 붕괴하면서 한국 종합격투기계는 침체기를 맞았다.[23] 이러한 상황에서 정문홍은 2010년 로드 FC를 설립하여 한국 종합격투기 부활을 이끌었다.[3] 2010년 10월 23일, 첫 번째 대회 Road FC 001: The Resurrection of Champions를 개최하며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23][24]

로드 FC는 아마추어 및 세미프로 선수들이 프로 대회로 전환하기 전에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아마추어 종합격투기 경쟁 시스템을 조직했다.[7]

2015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Road FC 024 in Japan을 개최하며 해외 시장에 진출했고,[8] 같은 해 12월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Road FC 027 in China를 개최하며 중국 시장에도 진출했다.[8]

2. 1. 1. 기원

2000년대 후반, 한국 종합격투기계는 프라이드, K-1 등 일본 격투기 단체들의 붕괴와 함께 침체기를 맞았다.[23] 많은 선수들이 해외를 떠돌거나 꿈을 접어야 하는 상황이었다.[23]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한국 종합격투기를 부활시키기 위해 정문홍 대표는 2010년 로드 FC를 설립하였다.[23][24] 2010년 8월 23일, 로드 FC라는 이름의 종합격투기 단체가 공식 출범했으며,[23] 두 달 뒤인 2010년 10월 23일, 국내 종합격투기의 부활을 알리는 역사적인 첫 번째 대회 Road FC 001: The Resurrection of Champions를 개최했다.[23][24]

2. 1. 2. 리얼리티 쇼의 성공과 주류로의 진출

UFC의 일등공신이 미국 방송 스파이크의 리얼리티 시리즈 TUF라면, 로드 FC의 일등공신은 국내 방송 XTM의 리얼리티 시리즈 주먹이 운다라고 할 수 있다. 로드 FC 두 번째 대회를 마친 후 정문홍 대표는 TV 시리즈가 홍보 수단으로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로드 FC만의 리얼리티 시리즈를 전개하기로 결정하게 된다.[23]

2011년 4월 첫 방영을 시작한 주먹이 운다 시리즈의 첫 번째 시즌은 종합격투기 8각 케이지 안에서 펼쳐지는 인생 최고의 승부를 꿈꾸는 남자들의 로망을 실현시켜 주고자 제작된 프로그램이었다. 심야 방송 프로그램임에도 첫 회부터 30대 남성 최고 시청률 1.34%(AGB닐슨 기준)를 기록하며 로드 FC가 주류로 진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후에도 주먹이 운다 시리즈는 2014년까지 총 4 시즌이 방영되면서 큰 인기를 끌었다. 김승연, 김형수, 김재훈, 권민석, 박형근, 심건오, 이정영, 홍영기, 차인호 등 실력과 스타성을 겸비한 많은 도전자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이름을 알렸고, 이후 로드 FC의 주축 선수로 성장해 나갔다.

로드 FC 028 영건스 대회에 출전한 주먹이 운다 출신의 김형수가 승리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2. 1. 3. 굽네치킨과의 메인 스폰서 계약

2011년 7월, 굽네치킨과의 메인 스폰서 계약은 로드 FC의 재정적 안정에 큰 도움을 주었다. 굽네치킨의 홍경호 대표는 로드 FC의 제1회 및 2회 대회를 현장에서 관람하고 로드 FC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여, 로드 FC 본사가 있는 강원도를 직접 방문해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25] 이후 로드 FC의 대회 대진과 장소 협찬 등이 수월해졌다.[25]

2. 1. 4. 영건스 리그 런칭

2011년, 로드 FC는 ''Road FC 004: Young Guns'' 대회에서 UFC처럼 메인카드와 언더카드로 나누어 진행하는 방식을 처음 실시했다.[26] 미래를 위해 언더카드의 명칭을 영건스(Young Guns)로 변경하고 대회 개념을 갖게 했으며, 몇 번째 대회인가를 나타내는 숫자도 뒤에 붙였다. 영건스 대회는 신예 파이터들에게 경쟁심을 고취시키고 부족한 국내 종합격투기 선수층을 두텁게 하고자 하는 로드 FC의 노력이었다.[27]

2. 1. 5. 아마추어 리그 도입

로드 FC는 아마추어 및 세미프로 선수들에게 로드 FC 프로 무대에 출전할 기회를 제공하고 종합격투기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 하부 리그를 도입했다. 2012년 3월 11일 호남권에서 인투리그를 시작했고,[28] 2012년 4월 8일 수도권에서 센트럴리그를 시작했으며,[29] 약 3년 후인 2015년 5월 31일에는 영남권에 어택리그를 도입했다.[30] 이 하부 리그들은 루키리그, 세미프로리그, 하비리그 등으로 다시 나뉘며,[31] 프로 무대와 동일한 케이지와 규칙으로 시합이 진행된다(단, 루키 리그는 안전을 위해 헤드 기어와 정강이 보호대 착용).[28] 3연승을 거두거나 경기력을 인정받으면 로드 FC 프로 무대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28]

2. 1. 6. 가수 박상민, 부대표 취임

가수 박상민은 로드 FC의 발전을 위해 부대표직을 수락했다. 당초 정문홍 대표는 선수들이 주인공이 되는 대회를 만들고자 연예인 초청 행사를 기획하지 않았고, 자비로 대회장을 찾던 박상민과도 3회 대회까지 인사조차 나누지 않았다. 하지만 박상민은 오히려 정문홍 대표의 진정성을 느끼고 도움을 주고 싶어 했다.[32]

박상민은 스폰서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고, 재차 제의했지만 또 거절당했다. 섭섭함을 느낀 박상민은 '형'이라는 호칭을 앞세워 마지막으로 제의했고, 정문홍 대표는 진정성을 느껴 부대표 자리를 권했다. 이후 박상민은 7회 대회부터 부대표직을 수행하며 로드 FC 흥행에 힘쓰고 있다. 대회는 물론, 선수들을 자비로 후원하고, 봉사활동과 기부 등 로드 FC의 다양한 사회환원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32][33]

2. 1. 7. 억대 연봉 제도 도입

로드 FC는 국내 격투 브랜드 최초로 억대 연봉 제도를 도입하여 선수들의 훈련 환경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과거 선수들은 많지 않은 대전료 때문에 운동에만 전념하지 못하고 부업을 겸해야 했으며, 이는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고, 심지어 운동을 포기하는 선수도 적지 않았다.

2015년 7월, 정문홍 대표는 ''Road FC 024: In Japan'' 일본 대회를 앞두고 도쿄 치바현 선루트 프라자 도쿄에서 열린 공식 기자회견에서 억대 연봉 제도에 관해 처음 밝혔다. 정문홍 대표는 "UFC만이 꿈의 리그는 아니다. 이번 대회부터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에게 억대 연봉을 지급하겠다. 올해 안에 로드 FC에서도 최소 10명 이상의 억대 연봉 선수가 나올 것이다. 또한 앞으로 타이틀전을 하는 선수들과 그 이상의 유명세를 보여준 선수들까지도 억대 연봉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선수들에게 동기 부여를 제공했다.[34][35][36]

초대 로드 FC 페더급 챔피언 최무겸은 로드 FC 최초의 억대 연봉 수혜자이다.


로드 FC의 최영기 고문 변호사는 선수들의 구체적인 계약 조건과 대전료 등을 검토하며, "국내 선수들이 UFC와 계약하고 몇 백만 원을 받고 시작하는 것보다 더 많은 대전료를 받게 하는 것이 목표다. 로드 FC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갈 수 있게 좋은 여건을 만들어주고 싶다. 우리는 자국 선수뿐 아니라 외국 선수, 로드 FC에 소속된 모든 선수들을 보호하겠다"고 전했다.[34][35][36]

2. 1. 8. 일본 대회 개최

로드 FC는 2015년 7월, 일본 도쿄에서 ''Road FC 024: In Japan'' 대회를 개최하며 해외 진출을 시작했다.[8] 이는 한국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해외에서 경기를 개최한 사례였다.[37]

일본 격투기 전문 매거진 '공가투토기'는 2015년 7월호에 로드 FC의 일본 진출, 지난 대회 톱 10, 일본인 파이터의 로드 FC 승리 순간 리뷰 등 3가지 기사를 상세히 다루었다.[37]

현지 업계 관계자들은 로드 FC의 일본 대회를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38] 사에키 시게루 딥 대표는 "대회 현장에 일찍 와서 준비 과정부터 지켜봤다. 첫 해외 진출인 이번 대회를 성공시키려는 용기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사카이 마사카즈 판크라스 대표는 "로드 FC는 퍼포먼스가 탄탄하다. 과연 한국 최고의 격투기 단체이다. 여러 가지 과제는 있겠지만 일본에서 대회를 개최한 자체만으로 의미가 깊다. 이후 로드 FC와 협력 등에 관해 이야기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마에다 아키라 링스 대표는 "1만 명 수용 대회장에서 대회를 열기는 쉽지 않다. 로드 FC는 갖은 어려움을 견디며 이번 대회를 열었다. 이런 자세를 일본의 격투기 프로모터들도 배워야 한다"고 평가했다.

2. 1. 9. 중국 대형 기업 샤오미와의 메인 스폰서 계약

로드 FC는 치후360, 샤오미 등 중국 대형 기업과 메인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여 글로벌화의 초석을 다졌다. 국내 프로 스포츠 사상 처음으로 중국 대형 기업의 후원을 받는 대회사가 된 것이다.[39] 2018년에는 샤오미(Xiaomi), 넷이즈(Netease), 판다 TV, COK, 레드불(Red Bull) 등과 같은 인지도가 높은 회사 및 브랜드가 로드 FC를 후원했다.[13]

2. 2. 2010년대 후반기 (2016 - )

2015년 로드 FC는 일본 도쿄 아리아케 아레나에서 로드 FC 24 in Japan을 개최하며 일본 시장에 진출했다. 같은 해 12월 26일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로드 FC 27 in China를 개최, 중국 국영 방송사 CCTV와 3년 방송 계약을 체결했다.[8][9] 이 대회는 CCTV5에서 생중계된 최초의 종합격투기 이벤트로, 3,50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했다.[10]

2018년 1월 13일, 베이징에서 열린 "2018 중국 100대 스포츠 후원 이벤트 시상식"에서 로드 FC는 전체 15위에 올랐다. 2017년 65위에서 50계단 상승한 결과다. 로드 FC의 주요 후원사로는 샤오미(Xiaomi), 넷이즈(Netease), 판다 TV, COK, 레드불(Red Bull), 마스터 콩 푸드(Master Kong Foods), 오리온 식품(Orion Foods), 정관장 헬스(Zheng Guanzhuang Health), 창푸징 헬스(Chang Fujing Health), 팡다 자동차(Pang Da Auto), 성룡 와인(Jackie Chan Wine), 레후아 부동산(Lehua Real Estate) 등이 있다.[13]

2. 2. 1. 중국 대회 개최

2015년 12월 25일, 로드 FC는 중국 상하이에서 첫 중국 대회인 로드 FC 027을 개최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했다.[40] 2016년에는 베이징(로드 FC 030), 창사(로드 FC 032), 스좌장(로드 FC 034)에서 총 3번의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들은 중국 공영방송인 CCTV를 통해 중계되었으며, 동시간대 시청률 5위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7월 창사 대회는 중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아오르꺼러와 밥샵의 경기로 인해 프라임타임에 방송되어 5.45%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동시간대 3위에 올랐다. 이는 8천만 명 이상이 로드 FC 경기를 시청했다는 것을 의미한다.[40]

2017년에는 사드 갈등으로 인해 중국 내 한국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로드 FC도 상반기에 예정되었던 중국 대회 2~3개가 잇따라 취소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10월 28일, 스좌장일보 창립 7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로드 FC가 초청받아 약 10개월 만에 중국에서 다섯 번째 대회인 로드 FC 044가 스좌장시에서 개최되었다.[40]

2. 2. 2. 여성 종합격투기 활성화

로드 FC는 2017년 여성부 리그 '로드 FC XX'를 런칭했다. 3월 11일, 로드 FC 037 XX를 통해 첫 대회를 서울 그랜드 힐튼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했고, 12월 23일에는 로드 FC 045 XX를 개최하여 여성 종합격투기 활성화에 힘을 쏟았다.[11]

2. 2. 3. WFSO(세계격투스포츠협회) 출범

로드 FC는 종합격투기 저변 확대를 위해 WFSO(세계격투스포츠협회)를 출범하고, 유소년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

2. 2. 4. 제 2대 대표 김대환 취임

2017년 11월 30일, 정문홍 대표의 뒤를 이어 김대환 전 로드 FC 및 UFC 해설위원이 로드 FC의 제2대 대표로 취임한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45] 김대환 신임 대표는 인터뷰에서 "법인 지분 변동은 없다. 회사 소유주는 바뀌지 않는다"라면서 "정문홍 전 대표는 오래전부터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꿈꿔왔다. 종합격투기를 좋아하는 만큼 일이다 보니 때로는 너무 싫어지는 것에 대한 회의감이 컸다"라고 밝혔다.[45] 취임식은 12월 23일, 그랜드 힐튼 서울에서 열리는 로드 FC 송년의 밤 행사에서 진행되었다.

김대환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종합격투기 및 격투 스포츠 해설자 중 한 명이었다.[12] 그는 오랜 기간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코치였으며, 종합격투기 업계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였다.[12]

3. 규칙

로드 FC의 규칙은 기본적으로 미국 네바다주 체육 위원회의 종합격투기 통합 규칙을 따르면서 자체적으로 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음 규칙은 로드 FC가 공지한 규정 변경 및 신설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로드 FC는 전 세계 종합격투기 규칙을 사용한다. 8각형 케이지를 사용하며, 경기는 5분 3라운드(타이틀 매치는 무승부일 경우 연장 1라운드)로 진행된다.
  • 2014년 1월, 그라운드 포지션 정의가 4점 포지션에서 3점 포지션으로 변경되었고, 그라운드 포지션에서만 허용되던 팔꿈치 공격이 전면 허용되었다.[20]
  • 2015년 1월부터 그라운드에서 아래에 있는 선수가 위에 있는 선수의 안면을 킥하는 행위가 허용되었다.[21]
  • 2015년 5월 2일 "로드 FC 023"부터 모든 상황에서의 팔꿈치 공격은 금지되었다.[22]

3. 1. 라운드

비 챔피언십 경기는 5분 2~3라운드로 치러지고, 1분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일반적으로 메인카드는 3라운드, 언더카드 영건스 시리즈는 2라운드로 치러지며, 여자부 경기는 메인카드, 언더카드에 관계없이 2라운드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다.[47]

챔피언십 경기는 남자부, 여자부에 관계없이 라운드 당 5분, 3라운드로 치러지고, 1분간의 휴식 시간이 있다. 챔피언십 경기에서 무승부일 경우 연장 1라운드가 추가된다.[47]

3. 2. 복장

모든 선수는 승인된 반바지를 착용해야 하며, 상의, 도복, 긴 바지는 착용할 수 없다. 여자 선수는 배꼽이 드러나는 상의를 착용하며, 예외적인 복장이 허용될 수 있다. 남자 선수도 문신이 심한 경우 예외적으로 복장을 착용할 수 있다.[47]

3. 3. 신체 테스트

로드 FC는 선수들의 안전과 공정한 경기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신체 테스트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여성 선수는 반드시 임신 테스트를 받아야 하며,[47] 모든 선수는 대회사가 실시하는 메디컬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질병이 있는 선수는 출전이 불가능하다.[47] 또한, 로드 FC 심판위원회의 요구가 있을 시 선수는 도핑검사를 받을 의무와 책임이 있다.[47]

3. 4. 케이지

9M * 9M 사이즈의 팔각 케이지 안에서 최무배와 루카스 타니가 시합을 하고 있다.


로드 FC는 첫 대회부터 7M * 7M 사이즈의 팔각 케이지를 사용했으나, 로드 FC 005 대회를 기점으로 9M * 9M 사이즈의 팔각 케이지를 사용하고 있다.[48] 케이지는 8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바닥에서 1.2 미터 높이의 연단 위에 설치된다. 케이지 벽은 검은 비닐로 덮인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으며, 높이는 1.8 미터이다. 벽 상단과 8개 구획 사이에는 발포제를 채워 넣었다. 또한 두 개의 출입구가 마주 보고 있다. 매트에는 스폰서 로고와 그림이 있으며, 이벤트마다 변경된다.

3. 5. 경기 결과

로드 FC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서브미션''': 선수가 매트나 상대의 몸을 손바닥으로 두세 번 이상 두드리거나, 말로 항복을 선언할 때
  • '''녹아웃 (KO)''': 정당한 타격으로 선수가 쓰러져 의식이 없거나 즉시 경기를 계속할 수 없을 때
  • '''테크니컬 녹아웃 (TKO)''': 주심이 선수가 경기를 더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때. 다음 세 가지 경우가 있다.
  • 심판 중단 (레퍼리 스톱): 선수가 자신을 방어할 수 없거나, 주심의 경고에도 방어 개선이 없을 때
  • 의사 중단 (닥터 스톱): 과도한 출혈이나 부상으로 더 이상 경기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할 때
  • 코너 중단 (코너 스톱): 선수의 세컨드가 타월을 던지는 등 패배 의사를 표시할 때
  • '''심판 판정''': 점수에 따라 판정이 나뉜다.
  • 만장일치 판정(승): 3명의 부심 모두 A 선수의 우세로 채점 (3:0)
  • 스플릿 판정(승): 2명의 부심은 A, 1명의 부심은 B 선수의 승리로 채점 (2:1)
  • 다수결 판정(승): 2명의 부심은 A 선수, 1명의 부심은 무승부로 채점 (2:0)
  • 테크니컬 판정(승): 비고의성 반칙으로 인한 부상 발생 시, 충분한 라운드 진행 후 그 시점까지의 점수로 판정
  • 만장일치 무승부: 3명의 부심 모두 무승부로 채점 (0:0)
  • 스플릿 무승부: 부심 1은 A, 부심 2는 B, 부심 3은 무승부로 채점 (1:1)
  • 다수결 무승부: 1명의 부심은 A, 2명의 부심은 무승부로 채점 (1:0)
  • 테크니컬 무승부: 비고의성 반칙으로 인한 부상 발생 시, 충분한 라운드 진행 후 그 시점까지의 점수로 무승부 판정
  • '''실격''' (DQ): 고의적인 반칙으로 인해 선수가 경기를 지속할 수 없을 때, 반칙을 가한 선수에게 패배 선언
  • '''기권''' (Retirement): 경기 중 상대 공격을 받고 등을 돌리거나, 부상 등으로 포기 의사를 표시할 때
  • '''몰수''' (Forfeit): 부상 등의 이유 없이 의도적으로 경기를 포기하거나 기권할 때
  • '''무효 경기''' (NC): 비고의성 반칙으로 인해 경기 지속이 불가능하거나, 판정 결과 불만족, 금지된 행위(약물 등)가 경기 결과에 영향을 준 경우

3. 6. 판정 기준

로드 FC는 출범 이후부터 라운드별 1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기는 "10포인트 머스트 시스템"을 사용해 오고 있었으나, ''Road FC 027: In China'' 대회부터 경기 전체를 아울러 총점을 매기는 독자적인 "언리미티드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했다.[49] 이것은 지속적으로 상대와의 접촉을 피하는 행동에 대하여 과감하게 포인트를 삭감, 소극적인 경기를 막고 좀 더 화끈한 경기를 유도하려는 의도였다. 채점을 담당하는 부심은 기존과 같이 세 명으로 하며 각 부심의 기준에 따라 점수 부여를 한다.[50]

언리미티드 포인트 시스템의 채점 방식 예
채점 부심1라운드 점수2라운드 점수3라운드 점수총점승자 판정
9-68-69-1026-222-0
11-45-54-920-182-0
10-27-56-1123-182-0



'''득점 기준'''


  • 1점 포인트 - 유효타격 (펀치/킥/니킥), 테이크 다운, 풀 마운트/백 마운트 포지션, 그라운드 장악, 심판이 인정한 서브미션 시도 (기브 업 사인), 어그레시브[51]
  • 5점 포인트 - 상대방을 그로기에 빠지게 한 타격 및 테이크 다운[52]


'''감점 기준'''

  • 경기력에 피해가 있을 정도의 고의성이 짙은 반칙 혹은 반복적인 미고의성 반칙에는 옐로우카드 제시와 함께 5점이 감점된다.[53]
  • 포인트만을 위해 소극적인 경기 운영 시에는 두 차례의 구두 경고 후 블루카드 제시와 함께 2점이 감점된다. 경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지루한 경기 운영 시에는 계속해서 블루카드가 주어진다.[54]


'''무승부 기준'''

  • 판정으로 승부를 가릴 때 두 선수의 합계 점수의 차이가 3점 이내(이하)일 경우[55]

3. 7. 반칙

로드 FC는 여러 반칙 행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네바다주 체육 위원회의 반칙 규정을 따르지만 잔인한 규정은 제외하고 있다.[47][56][57]

  • 박치기, 머리로 들이받는 행위
  • 모든 종류의 눈 찌르기 행위
  • 물어뜯는 행위
  •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행위
  • 입, 코 등 구멍에 손가락을 넣는 행위
  • 모든 종류의 로블로
  • 찢어진 상처에 손가락을 넣는 행위
  • 작은 관절에 대한 기술
  • 척추나 후두부 가격 (래빗 펀치)
  • 팔꿈치를 이용한 모든 공격 행위
  • 모든 종류의 목구멍 가격, 한도를 넘은 목 조르기
  • 살을 할퀴거나 꼬집고 비트는 행위
  • 쇄골을 잡는 행위
  • 상대의 허리를 발뒤꿈치로 차는 행위
  • 상대의 머리나 목을 캔버스에 내리꽂는 행위 (파일드라이버)
  • 상대를 링이나 펜스 밖으로 던지는 행위
  • 상대의 바지나 글러브를 잡는 행위
  • 상대에게 침이나 기타 분비물을 뱉거나 뿌리는 행위
  • 상대의 부상을 유발시키는 스포츠맨답지 않은 행위
  •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이용, 철장이나 펜스를 잡는 행위
  • 펜스 안에서 상대에게 과도한 도발과 욕설 사용
  • 휴식 시간에 상대를 공격하는 행위
  • 심판의 보호를 받고 있는 상대를 공격하는 행위
  • 벨(혹은 버저) 소리가 라운드 종료를 알린 뒤 상대를 공격하는 행위
  • 심판의 지시를 악의, 또는 고의적으로 무시하는 행위
  • 한도를 넘을 정도로 상대와의 접촉을 피하거나 고의적으로 끊임없이 마우스피스를 뱉거나 부상을 가장하는 행위
  • 코너에서 방해하는 행위
  • 경기 도중에 타월을 던지는 행위 (경기 도중 타월을 던지면 기권으로 인정함)
  • 무기를 사용하는 행위
  • 심판을 공격하는 행위
  • 선수가 케이지나 펜스 밖으로 나가는 행위
  • 그라운드 상태에 있는 상대의 머리를 차는 행위 (사커 킥. 머리를 제외하고는 허용한다.)
  • 그라운드 상태에 있는 상대의 머리를 무릎으로 가격하는 행위 (니 킥. 머리를 제외하고는 허용한다.)
  • 그라운드 상태의 상대를 발로 밟는 행위 (스탬핑. 풋 스탬핑. 핸드 스탬핑도 포함. 머리를 제외하고는 허용한다.)


로드 FC는 2014년 1월에 규칙을 개정하여 그라운드 포지션의 정의를 4점 포지션에서 3점 포지션으로 변경했다.[20] 2015년 1월부터 그라운드에서 아래에 있는 선수가 위에 있는 선수의 안면을 킥하는 행위가 허용되었다.[21] 팔꿈치 공격은 2015년 5월 2일 "로드 FC 023"부터 모든 상황에서 금지되었다.[22]

4. 체급/현 챔피언

로드 FC는 헤비급을 제외한 남성부 8개 체급(플라이급, 밴텀급, 페더급, 라이트급, 웰터급, 미들급, 라이트헤비급, 무제한급)과 여성부 3개 체급(아톰급, 스트로급, 무제한급)에서 챔피언제를 실시한다. 헤비급은 무제한급에 포함되며, 웰터급과 라이트헤비급은 추후 챔피언십이 실시될 예정이다. 여성부 스트로급과 무제한급은 아직 챔피언이 없어 추후 챔피언십이 예정되어 있으며, 플라이급, 밴텀급 등 상위 체급도 단계적으로 챔피언제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다. 2018년에는 무제한급에 그랑프리 제도가 도입되면서 기존 챔피언십 제도는 폐지됐다.

4. 1. 체급

로드 FC는 남성부 9개 체급, 여성부 5개 체급을 운영하고 있다. 남성부는 플라이급에서 무제한급까지, 여성부는 아톰급에서 무제한급까지 운영한다. 체중은 상한 기준에서 0.5kg 초과를 허용한다.

체급명상한 기준성별
킬로그램 (kg)파운드 (lb)
아톰급48105.8여자
스트로급52114.6여자
플라이급57125.7남자 / 여자
밴텀급61.5135.6남자 / 여자
페더급65.5144.4남자 / 여자
라이트급70154.3남자
웰터급77169.8남자
미들급84185.2남자
라이트헤비급93205.0남자
헤비급120264.6남자
무제한급--남자 / 여자


4. 2. 현 챔피언

로드 FC는 남자부 6개 체급, 여자부 1개 체급에서 챔피언을 배출했다.

부문성별챔피언획득 날짜총 보유일방어 횟수다음 경기
아톰급여자함서희2017년 6월 10일2TBD
플라이급남자공석----
밴텀급남자김민우2019년 2월 23일1TBD
페더급남자이정영2018년 11월 3일1TBD
라이트급남자만수르 바르나위2019년 5월 18일0TBD
미들급남자황인수2022년 4월 8일-0TBD


5. 로드 FC 대회

로드 FC는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다음과 같이 다양한 대회를 개최해왔다.

대회명개최 연월일경기장개최지
ROAD FC 030 in China2016년 4월 16일베이징 공인 체육관 베이징시
ROAD FC 0292016년 3월 12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282016년 1월 31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27 in China2015년 12월 26일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상하이시
ROAD FC 0262015년 10월 9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252015년 8월 22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24 in Japan2015년 7월 25일아리아케 콜로세움 도쿄도 고토구
ROAD FC 0232015년 5월 2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222015년 3월 21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21: Champions Day2015년 2월 1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202014년 12월 14일올림픽홀 서울
ROAD FC 0192014년 11월 9일올림픽홀 서울
ROAD FC 0182014년 8월 30일그랜드 힐튼 서울 서울
ROAD FC 0172014년 8월 17일올림픽홀 서울
ROAD FC 0162014년 7월 27일박정희 체육관 구미시
ROAD FC 0152014년 5월 31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142014년 2월 9일올림픽홀 서울
ROAD FC 0132013년 10월 12일박정희 체육관 구미시
ROAD FC 0122013년 6월 22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112013년 4월 13일올림픽홀 서울
ROAD FC 010 in Busan2012년 1월 24일벡스코 부산
ROAD FC 009: Beatdown2012년 9월 15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08: Bitter Rivals2012년 6월 16일치악체육관 원주시
ROAD FC 007: Recharged2012년 3월 24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06: The Final Four2012년 2월 5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05: Night of Champions2011년 12월 3일장충체육관 서울
ROAD FC 004: Young Guns2011년 10월 3일그랜드 힐튼 서울 서울
ROAD FC 003: Explosion2011년 7월 24일그랜드 힐튼 서울 서울
ROAD FC 002: Alive2011년 4월 16일그랜드 힐튼 서울 서울
ROAD FC 001: The Resurrection of Champions2010년 10월 23일섬유센터 이벤트홀 서울



대회명개최 연월일경기장개최지
ROAD FC KOREA 3: Korea vs. Brazil2014년 4월 6일더케이호텔 서울
ROAD FC KOREA 2: Korea vs. Japan2014년 3월 9일올림픽공원 올림픽홀 서울
ROAD FC KOREA 12014년 1월 18일그랜드 힐튼 서울 서울


5. 1. 제작진

로드 FC CEO는 전 UFC 및 로드 FC 해설가이자 전 종합격투기 선수 출신 김대환이다.[45] 전 로드 FC CEO인 로드 FC 창립자 정문홍은 로드 FC 회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선수들의 경기들을 성사시키는 메치메이커는 운영 지원 담당 권영복과 마케팅 기획 담당 권정음이 담당하고 있다.

중계진은 현 로드 FC 주관방송사 MBC 스포츠플러스 소속으로 K-1의 전성기 시절부터 국내 해설을 맡으며 맹활약한 이동기 해설위원과 야구와 종합격투기를 넘나들며 스탠다드한 진행으로 인정받고 있는 정병문, 김수환 캐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최슬기, 임지우, 이은혜는 라운드 회수를 알려주고 대회 홍보를 담당하는 현 로드 FC 라운드 걸들이다.[58]

대회장에서 선수 소개, 경기 결과 발표, 진행 등을 담당하는 링 아나운서는 국내 최고의 목소리라고 칭호를 받는 신용문과 세계적인 목소리라고 칭호를 받는 제프 휴스턴, 레니 하트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의 몸 상태를 파악하며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는 링 닥터는 로드 FC 출범 때부터 원주 정병원의 정우문 원장이 담당하고 있다.[59]

선수들이 케이지에 올라가기 전 바세린을 발라주고, 복장을 체크하고, 케이지 위 또는 아래에서 판정을 하는 현 심판진은 심판장을 맡고 있는 박상준을 비롯해 신승열, 임태욱, 장덕영, 김철, 송기덕, 정호원, 권미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60]

6. 방송 매체

로드 FC 001은 케이블 방송 케이스타를 통해 녹화중계됐다.[62] 로드 FC 002 대회부터는 케이블 방송 XTM(2011~2012년), 수퍼 액션(2013~2016년)을 통해 국내 종합격투기 사상 최초로 HD 화질로 생중계 됐고,[63][64] 2016년 12월 10일 개최된 로드 FC 035 대회부터는 케이블 방송 MBC 스포츠플러스를 통해 생중계 되고 있다.[65] 2018년부터는 SPOTV를 통해 생중계 되고 있다.

국내 포털 사이트 다음 스포츠(2013년~)와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 TV 스포츠(2013년~), 중국의 인터넷 방송 YY LIVE(2015년~), 일본의 인터넷 방송 니코니코 생방송(2015년~) · 아베마 TV(2015년~)의 중계방을 통해서도 함께 생중계 되고 있다. 그 외 전 세계를 대상으로는 유튜브 로드 FC 공식 채널(2017년~)을 통해서 영어해설 중계방송이 이뤄지고 있다.

역대 주관방송사와 중계진은 다음과 같다.

#주관 방송사방송 기간해설캐스터
5SPOTV2018년 로드 FC 047 ~이교덕박찬웅
4MBC 스포츠플러스2017년 로드 FC 035 ~ 2018년 로드 FC 046이동기, 천창욱정병문, 김수환
3수퍼액션2013년 로드 FC 012 ~ 2016년 로드 FC 034김대환김수환
2XTM2011년 로드 FC 002 ~ 2013년 로드 FC 011김대환최상용
1케이스타2010년 로드 FC 001김지훈성승헌


7. 연예인 출신 선수

로드 FC 첫 대회에서는 개그맨 이승윤이 데뷔하여 화제를 모았다. 이승윤은 박종우와의 대결에서 패했지만, 그의 도전과 열정은 박수받기에 충분했다.[66]

연예인 2호 파이터는 윤형빈이다. 윤형빈은 ''Road FC 014'' 대회 스페셜 메인이벤트에서 일본의 츠쿠다 다카야를 맞아 1라운드 TKO로 꺾는 결실을 맺었다.[68]

연예인 3호 파이터는 김보성이다. 김보성은 로드 FC 035 대회에서 곤도 데츠오를 맞았으나, 오른쪽 눈 부상으로 경기를 포기했다. 하지만 김보성의 진정성은 팬들에게 깊이 전달되었고, 많은 응원의 메시지를 받았다.[69]

로드 FC에 발을 들인 연예인들은 종합격투기의 저변 확대와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순번명단결과경기일대회명상대방식라운드시간비고
3김보성2016년 12월 10일로드 FC 035곤도 데츠오TKO (눈 부상)12:35웰터급 매치
2윤형빈2014년 2월 9일로드 FC 014츠쿠다 다카야KO (펀치)14:18라이트급 매치
1이승윤2010년 10월 23일로드 FC 001박종우TKO (닥터 스톱)24:12페더급 매치


8. 사회 환원 사업

로드 FC는 출범 후부터 현재까지 사회 환원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오고 있다. 민간단체 프렌딩과 함께 1318 청소년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만큼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청개구리 장학금'을 시행하여 학교 폭력 예방에 힘썼고,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홍100퍼센트 프로젝트(100세 살기 운동)'도 실시해 왔다.

2016년부터는 '사랑 나눔 프로젝트'라는 슬로건으로 정문홍, 박상민 부대표, 챔피언, 현역 파이터, 체육관 관장, 로드걸, 관계자 등이 모두 모여 사회 환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6년 첫 해에는 '사랑의 연탄 나눔 봉사', '사랑 나눔 헌혈 행사', '전통시장 활성화', '심향영육아원과 함께 하는 작은 운동회', '소아암 어린이 돕기'까지 5개의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32][33]

9. 교류 단체

로드 FC는 판크라스, 딥, 라이진 FF, 디 아웃사이더, 글래디에이터, ACF, 워도그 케이지 파이트, 그라찬 등 일본 단체들과 선수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또한 러시아의 MFP, 필리핀의 URCC 등과도 교류하고 있다.[1]

다음은 로드 FC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는 단체들이다.[2]

국가단체
대한민국카이저
일본ACF
일본
일본글래디에이터
일본그라찬
일본링스/더 아웃사이더
일본워독 케이지 파이트
일본ZST
중국슈퍼스타 파이트
중국WBK
중국CMSL
중국CFK
미국인빅타 FC
대만Rro FC


10. 협찬 & 스폰서

로드 FC는 초창기 정문홍 대표의 사비로 운영되었으나, 2011년 굽네치킨과의 스폰서 계약을 시작으로 재정적 자립을 이루기 시작했다. 굽네치킨 홍경호 대표는 로드 FC의 가능성을 보고 전폭적인 후원을 결정했다.[25] 이후 로드 FC는 대회 운영에 있어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굽네치킨을 비롯하여, 다음 스포츠, MBC 스포츠플러스 등 다양한 기업 및 단체의 후원을 받고 있다.

'''국내'''

기업/기관비고
굽네치킨 (지앤푸드)
NGO 프렌딩
다음 스포츠중계방
더 포커스[70]
가마로강정
무척신통한의원지정병원
MBC 스포츠플러스주관 방송사
바인그룹 ⊃ 동화세상에듀코[71]
슈피겐코리아
스카이씨엔에스
아프리카TV 스포츠중계방
안성축협
아시아나항공
아쿠아쿨
IBS국제경호기획
이사미 서울
우포의 아침
유튜브 코리아중계방
원주 정병원메인 지정병원
에이펙스 성형외과지정병원
외가천리사업단
정군비어
GS안과지정병원
지연치과지정병원
지웨이
주짓수코리아
제일정형외과병원지정병원
제주미인
충주세계무술축제
코아종합건설
홍익 궁중전통육개장 (홍익육개장)
킹콩부대찌개
크리스피
KH인터네셔널
타이거석재
툴레 백팩
싸이프레스 게르마늄



중국에서는 샤오미, 중국중앙텔레비전, 텐센트 등 대형 기업 및 방송사의 후원을 통해 국제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62][63][64]

'''중국'''

기업/기관비고
넷이즈
오리온
레드불
레후아 부동산
마스터 콩
바이두
북경 대학교
상티산업
샤오미메인 스폰서
정관장
진잉 미디어
재키 찬 와인
중스 스포츠 엔터 유한공사
치후360
텐센트
클래시 오브 킹즈
판다TV
팡다 자동차 무역유한회사
중국중앙텔레비전국외 방송사
후난위성텔레비전
후난 스제인 찐잉 미디어
화아오중티


참조

[1] 웹사이트 Road Less Traveled: Korea's Newest MMA Promotion Takes a Different Path http://www.bloodyelb[...] 2014-09-13
[2] 웹사이트 Road Fighting Championship - RFC (Moon Hong Jung) - MMA Promoter Page http://www.tapology.[...] 2017-01-16
[3] 웹사이트 Road FC Head Moon Hong Jung Talks Development of Korean and Asian MMA - Bloody Elbow http://www.bloodyelb[...] 2014-09-13
[4] 웹사이트 (Yonhap Feature) S. Korean MMA promotions eye global presence http://english.yonha[...] 2017-01-16
[5] 웹사이트 MMA and the possible looming battle for Asia ? {{pipe}} FSA - FightSport Asia http://fightsportasi[...] 2014-09-13
[6] 웹사이트 Road FC 1: The Resurrection of Champions - MMA Event Page http://www.tapology.[...] 2017-01-16
[7] 웹사이트 Road FC: Into League 1 - MMA Event Page http://www.tapology.[...] 2017-01-16
[8] 웹사이트 Fighters ready for Road FC 027 in China https://www.koreatim[...] 2015-12-17
[9] 웹사이트 Road FC Strategic Cooperation Conference and Launch Ceremony to announce CCTV broadcast, multimedia scheme http://adcombat.com/[...] 2016-01-25
[10] 웹사이트 Road Fc Sets Second China Show In Beijing {{pipe}} Rough http://rough.asia/ne[...] 2017-01-16
[11] 웹사이트 ROAD FC http://roadfc.com/ma[...] 2018-02-17
[12] 웹사이트 ROAD FC http://roadfc.com/ma[...] 2018-02-17
[13] 웹사이트 ROAD FC http://roadfc.com/ma[...] 2018-02-16
[14] 웹사이트 Road FC Enters the Chinese Market, Partners with Country's Tech Giants http://fightland.vic[...] 2017-01-16
[15] 웹사이트 Road FC国际综合格斗大赛 http://www.yy.com/c/[...] 2017-01-16
[16] 웹사이트 ROAD FC http://roadfc.com/ma[...] 2018-02-17
[17] 뉴스 ROAD FC to air on KIX TV starting April 4th - Asia MMA http://roadfc.com/ma[...] Asia MMA 2018-02-16
[18] 웹사이트 Road FC updates: live English commentary, Girl's Day, Openweight Tournament Semifinals http://www.fightbook[...] 2017-01-16
[19] 웹사이트 ROAD FC scraps 10-point must system, implements 'Unlimited Points System' - FIGHT VIDEO FORUM http://fight.mmashar[...] 2018-02-16
[20] 문서 http://mmaplanet.jp/[...]
[21] 문서 http://roadfc.co.kr/[...]
[22] 문서 http://roadfc.co.kr/[...]
[23] 뉴스 '팀 포스' 정문홍, "한국 격투기에 새로운 세상을 열겠다" http://sports.news.n[...] 엑스포츠뉴스 2010-07-12
[24] 뉴스 방승환, 김대원 영입 팀포스, ‘조용한 혁명’ 준비 https://news.naver.c[...] www.moozine.net 2009-05-25
[25] 뉴스 로드FC, 자발적 지원군 쇄도 '탄탄대로 달린다' http://sports.news.n[...] 2018-01-24
[26] 뉴스 로드FC, 장충체육관 성공리 입성 http://sports.news.n[...] 스포츠월드 2011-12-04
[27] 뉴스 종합격투기 신예들의 대격돌, ‘로드FC 영건스’를 주목하라 http://sports.news.n[...] 스포츠경향 2016-04-26
[28] 뉴스 로드FC 남부리그 성황리 개최 '아마추어지만 비장해' http://sports.news.n[...] 엠파이트 2012-03-12
[29] 뉴스 로드FC, 셀트럴리그 도입 '4월 8일 1회 개최' http://sports.news.n[...] 엠파이트 2012-03-05
[30] 문서 제1회 로드FC 아마추어 어택리그(경상지역) http://cafe.daum.net[...] 이종격투기 2015-05-06
[31] 뉴스 로드FC “영건 키운다”…2개월마다 아마추어리그 개최 http://sports.news.n[...] 2018-01-29
[32] 뉴스 가수 박상민, 로드FC 부대표된 사연…알고보니 http://sports.news.n[...] 2018-01-26
[33] 뉴스 가수 박상민, 로드FC 임원(부대표)로 선임돼 http://sports.news.n[...] 2018-01-26
[34] 웹인용 최홍만 날카로운 신경전! 로드FC 일본’ 계체량 전원통과 {{!}} RANK5 http://rank5.kr/arch[...] 2018-01-22
[35] 뉴스 '토종 브랜드' 로드FC, 억대 연봉 시대 열렸다!..'최홍만 포함' http://sports.news.n[...] 2018-01-22
[36] 뉴스 "'토종 브랜드' 로드FC, 억대 연봉 시대 열렸다!..'최홍만 포함'" http://sports.news.n[...] 2018-01-22
[37] 웹사이트 "'로드FC 024 IN JAPAN', 일본 내 격투기 전문 잡지에 소개" http://stoo.asiae.co[...] 스포츠투데이 2015-06-02
[38] 뉴스 로드FC 일본대회…현지업계 "성공작" 호평일색 http://sports.news.n[...] 헤럴드경제 2015-07-29
[39] 뉴스 로드FC, ‘인터넷 게임 1위’ 치후 360(Qihoo 360)과 메인 스폰서 계약 http://sports.news.n[...] 2018-01-24
[40] 뉴스 로드FC는 세계적 격투기 브랜드가 될 수 있을까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6-12-29
[41] 뉴스 로드FC의 2017년, ‘ROAD TO A-SOL’부터 ‘걸스데이’까지 http://sports.news.n[...] 뉴스엔 2016-12-21
[42] 뉴스 "'이제는 여성 파이터 시대' 로드FC XX (Double X) 출전 선수 확정" http://sports.news.n[...] 스포츠동아 2017-02-02
[43] 뉴스 로드FC “영건 키운다”…2개월마다 아마추어리그 개최 http://sports.news.n[...] 2018-01-29
[44] 뉴스 "[로드FC]정문홍대표, '제3회 WFSO (세계격투스포츠협회)에서 미래의 꿈을~'" http://sports.news.n[...] 2018-01-29
[45] 뉴스 정문홍 로드FC 前 대표 파이터 복귀 추진 http://sports.news.n[...] MK스포츠 2017-12-01
[46] 뉴스 정문홍 대표 “로드FC 中 진출, 글로벌 스포테인먼트의 시작” https://news.naver.c[...] 2018-01-24
[47] 웹사이트 2015 '굽네치킨 로드FC 021' 룰변경 공지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01-28
[48] 뉴스 로드FC 5, 장충흥행이 남긴 '성과와 옥의 티' http://sports.news.n[...] 에파이트 2011-12-09
[49]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0]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1]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2]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3]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4]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5] 웹사이트 New Wave MMA ROAD FC, 채점 기준&경기 운영방식 변경…중국대회부터 적용 http://roadfc.co.kr/[...] 로드 FC 2015-12-08
[56] 웹사이트 '''로드FC 코리아 001 경기룰 변경에 대한 공지문''' http://roadfc.co.kr/[...] roadfc.co..kr 2014-01-03
[57] 웹사이트 로드 FC 023 기존 운영 규정 일부 개정 http://roadfc.co.kr/[...] roadfc.co.kr 2015-04-06
[58] 뉴스 ‘로드걸 선발대회 우승자’ 임지우 “항상 노력하는 로드걸이 될게요” http://sports.news.n[...] 2018-01-30
[59] 뉴스 "'격투기를 사랑한 의사'… 링닥터를 아시나요?" http://medipana.com/[...] 2018-01-30
[60] 뉴스 "[ROAD FC ZOOM-人] ‘케이지 위의 판사’ ROAD FC 심판들의 A to Z" http://sports.news.n[...] 2018-01-30
[61] 웹사이트 ROAD FC 100만불 토너먼트, 세계 최강자를 가리는 대장정이 시작된다! http://roadfc.co.kr/[...] 로드 FC 2017-01-09
[62] 뉴스 서두원·데니스강 출격 ‘로드FC 002’, 사상 최초 HD 생중계 http://entertain.nav[...] 경향신문 2011-04-14
[63] 뉴스 "'더 알차졌다' 로드FC 2회 대회 눈길" http://sports.news.n[...] 엠파이트 2011-04-05
[64] 뉴스 싸늘했던 국내 MMA에 '낭만' 찾아오나? http://sports.news.n[...] 엠파이트 2011-06-15
[65] 뉴스 로드FC, MBC스포츠플러스와 중계권 계약 http://sports.news.n[...] 2018-01-29
[66] 뉴스 "'로드FC 대표 사임' 정문홍 응원한 이승윤 누구? 데뷔전서 KO패한 개그맨 파이터 - 스포츠Q(큐)" http://www.sportsq.c[...] 스포츠Q(큐) 2018-01-29
[67] 뉴스 송가연 "윤형빈, 이렇게 열심히 할 줄 몰랐다"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4-02-04
[68] 뉴스 윤형빈, 지옥 끝에서 '파이터' 되다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8-01-28
[69] 뉴스 ‘눈 부상’ 로드FC 김보성, 콘도 테츠오에 1R 패배 http://sports.news.n[...] 2018-01-29
[70] 뉴스 現-前 ROAD FC 밴텀급 챔프 3인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17-04-29
[71] 뉴스 ROAD FC, 2016 송년의 밤 행사로 1년 총결산…최고 선수의 영예는 권아솔 http://sports.news.n[...] 로드 FC 2016-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