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초 캄페지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초 캄페지오는 밀라노 출신의 추기경이자 외교관으로, 1517년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교회법 전문가로 활동했으며, 잉글랜드의 보호 추기경으로 임명되어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에 관여했다. 캄페지오는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재판을 맡았으나, 교황의 입장을 옹호하며 재판을 연기했고, 이후 잉글랜드와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그는 교황 특사로 아우구스부르크 회의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1539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39년 사망 - 김근사
김근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묘사화 이후 김안로의 측근으로 권력의 핵심이 되어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부정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몰락한 간신으로 평가받는다. - 1539년 사망 - 이사벨라 데스테
이사벨라 데스테는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 후원자이자 만토바 후작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의 부인이며, 정치적 역할과 문화적 후원을 통해 이탈리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팔레스트리나 주교 추기경 - 교황 마르티노 5세
교황 마르티노 5세는 교회 대분열 종식 후 교황으로 선출되어 교황권 회복과 교회 재건에 힘썼으며, 유럽의 여러 문제에 대응하고 로마 르네상스를 촉발하며 교황령 재건에 기여했다. - 팔레스트리나 주교 추기경 - 교황 니콜라오 4세
교황 니콜라오 4세는 1288년부터 1292년까지 재임한 191대 교황으로, 프란치스코회 수사 출신으로 외교적 역할 수행, 교황령 안정, 시칠리아 왕위 계승 문제 개입, 십자군 원정 장려, 선교사 파견 등 기독교 세계 확장에 힘썼다. - 알바노 주교 추기경 - 조반니 살비아티
조반니 살비아티는 교황 레오 10세의 외조카로, 추기경, 교황청 서기장, 주교 등을 역임했으며, 코냐크 동맹 전쟁에서 평화 협상을 체결하고 프랑수아 1세의 석방을 협상했으며, 예술가와 작곡가를 후원하다가 1553년 라벤나에서 사망했다. - 알바노 주교 추기경 - 라파엘레 리아리오
교황 식스토 4세의 종손인 라파엘레 리아리오는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족벌주의 정책 수혜자로서 파치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교황청 내 외교관 및 고문으로 활동하며 미켈란젤로를 후원하는 등 로마 르네상스 전성기 도래에 기여했고 그의 궁전은 칸첼레리아 궁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로렌초 캄페지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렌초 캄페지오 |
출생일 | 1474년 11월 7일 |
출생지 | 밀라노, 밀라노 공국 |
사망일 | 1539년 7월 19일 (64세)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매장지 |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대성당, 로마 산티 마르타 에 베르나르디노, 볼로냐 |
국적 | 이탈리아 |
부모 | 조반니 자카리아 캄페지오와 도로테아 테발디니 |
배우자 | 프란체스카 과스타빌라니 |
자녀 | 5명 |
종교 | |
종교 | 가톨릭 |
직책 | |
직함 | 사비나 교구의 추기경 주교 잉글랜드의 추기경 보호자 |
임명일 | 1537년 11월 28일 |
임기 종료일 | 1539년 7월 19일 |
이전 | 보니파시오 페레로 |
이후 | 안토니오 산세베리노 |
서품 | 해당 정보 없음 |
서품자 | 해당 정보 없음 |
성별 | 1518년 4월 6일 |
성별자 | 해당 정보 없음 |
추기경 임명 | 1517년 7월 1일 |
추기경 임명자 | 레오 10세 |
계급 | 추기경 사제 (1517년–1534년) 추기경 주교 (1534년–1539년) |
이전 직책 | 펠트레 주교 (1512년–1520년) |
기타 정보 | |
분야 | 이탈리아 추기경 및 정치인 |
2.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1474년 캄페지오는 밀라노의 귀족 가문에서 다섯 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1] 1500년 볼로냐 대학교에서 교회법과 시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프란체스카 구아스타빌라니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 1509년 아내가 사망하자 1510년 교황 율리오 2세에 의해 서품되어 성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1][2]
2. 1. 법학자 및 외교관으로서의 경력
캄페지오는 초기에는 법학을 공부하여 1499년에 학위를 취득하려 했다.[2] 1511년과 1513년부터 1517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막시밀리안 1세에게 교황 사절로 파견되었다.[3] 막시밀리안 1세는 1512년에 캄페지오에게 펠트레 교구를 주었고, 캄페지오는 1520년까지 이 직을 유지했다. 1513년에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찾기 위해 독일로 파견되었다.3. 추기경 시절
1517년 7월 1일, 교황 레오 10세는 캄페지오를 추기경으로 서임했으며, 막시밀리안 1세는 그를 신성 로마 제국의 보호 추기경으로 삼았다.[1] 1518년 3월 3일 레오 10세의 평화 정책의 일환으로 잉글랜드 왕국에 파견되어 런던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1]
1523년 1월 22일, 캄페지오는 잉글랜드의 보호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잉글랜드의 사정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추기경회의의 주교 서임 문제에는 개입하였다. 1522년 교황 하드리아노 6세가 선출된 후 로마 교황청에서 근무했다.
1524년 12월 2일, 1518년에 이미 약속되었던 솔즈베리 교구를 넘겨받았다.[1] 1523년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선출된 후 캄페지오의 권력은 한층 더 커졌으며, 1524년 1월 9일 뉘른베르크 의회의 교황 특사로 임명되었다.[1]
3. 1. 교황청 개혁 노력
캄페지오는 교황 하드리아노 6세를 위해 교황청 관료 기구의 급진적 개혁을 제안하는 《교회의 타락한 상태에 관하여》(De depravato statu ecclesiae)를 저술했다.[5]3. 2. 교구장 경력
1523년 12월 2일,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캄페지오를 볼로냐 교구장으로 임명하였다.[1] 1530년 9월 2일에는 카를 5세에 의해 우에스카의 스페인 주교구를 받았으며,[1] 이는 1534년 6월 17일 크레타섬의 교구장이 될 때까지 유지되었다(1536년까지).[1] 1532년에는 캄페지오의 아들 잔 바티스타가 마요르카의 주교로 서임되었다.[1]1531년 5월 20일 헨리 8세는 교황 특사였던 캄페지오를 내쫓았다.[1] 1533년 8월에 그는 솔즈베리로부터의 수익을 차단당하고, 1534년 3월 21일에는 의회의 결의에 따라 해당 교구의 소유권을 박탈당하였다.[1]
4. 헨리 8세의 이혼 문제
1527년 5월 6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군대가 로마를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 이로 인해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산탄젤로 성에 피신했다가 오르비에토로 도망쳤다.[6] 같은 해, 헨리 8세는 왕비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교황에게 요청했다.[7] 캐서린은 카를 5세의 이모였기 때문에, 교황은 정치적으로 매우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 1528년 1월, 헨리 8세는 다시 특사를 로마로 보내 혼인 무효 허락을 요청했고,[8] 교황은 이전과 같은 애매한 태도를 보였지만, 교황 특사를 재판장으로 하는 이혼 소송 진행은 허락했다. 1528년 6월 8일, 캄페지오는 교황 특사로 지명되어 잉글랜드로 파견되었다.[8]
4. 1. 교황 특사 임명
1528년 6월 8일, 교황 클레멘스 7세는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사건을 다룰 교황 특사로 캄페지오를 잉글랜드에 파견했다.[8] 캄페지오는 교황을 대리하는 전권을 위임받았으며, 토머스 울지 추기경과 함께 재판을 주재할 예정이었다. 캄페지오는 잉글랜드 정세에 대처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이미 교황이 허락한 혼인의 정당성을 지지하여 합법적이라고 판단한 상태였다. 헨리 8세와 울지는 캄페지오가 자신들의 의견을 지지해줄 것으로 기대했다.4. 2. 런던 도착과 재판
1528년 9월 29일, 캄페지오는 런던에 도착하여 잉글랜드 왕의 혼인 무효 문제를 다루는 특별 법원의 판사가 되었다. 1529년 5월 31일, 런던 블랙브라이어스에서 교황청 법정이 열렸다.[9]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아라곤의 캐서린의 조카인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 황제의 영향력 아래 있었기 때문에,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신청을 들어주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당시 법정의 주요 쟁점은 헨리 8세와 캐서린의 혼인을 위해 과거 교황 율리오 2세가 내렸던 관면의 유효성에 관한 것이었다. 캐서린은 캄페지오에게 자신의 소유물에서 혼인 무효에서 벗어나게 해준다는 교황의 관면장을 보여주었다.[9]
4. 3. 재판 연기와 좌절
캄페지오는 1528년 9월 29일 교황 특사 자격으로 런던에 도착하여,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문제를 다루는 특별 법원의 판사가 되었다.[9] 1529년 5월 31일 런던 블랙브라이어스에서 교황청 법정이 열렸다.[9] 이 법정에서 주요 쟁점은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캐서린의 혼인을 위해 과거 교황 율리오 2세가 내렸던 관면의 유효성에 관한 것이었다. 캐서린은 캄페지오에게 자신의 소유물에서 혼인 무효에서 벗어나게 해준다는 교황의 관면장을 보여주었다.캄페지오는 헨리 8세와 캐서린의 혼인이 유효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1529년 7월 23일, 캄페지오는 재판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선언했다.[9] 이는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의 압력과 교황청의 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신청을 들어주기 어려웠다.
5. 잉글랜드와의 관계 단절과 이후 활동
1531년 5월 20일, 헨리 8세는 캄페지오를 추방했다.[1] 1533년 8월, 캄페지오는 솔즈베리 교구 수입이 차단되었고, 1534년 3월 21일 잉글랜드 의회는 캄페지오의 교구 소유권을 박탈했다.[1]
5. 1. 아우구스부르크 회의
1530년 아우구스부르크 회의에서 캄페지오는 교황 특사로 참여하여 필리프 멜란히톤과의 교섭을 수행하였다.[1]6. 사망
1539년 7월 25일 캄페지오는 예순일곱 살의 나이로 로마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에 안장되었다.[1]
6. 1. 가족
캄페지오는 가족의 미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두 아들과 두 형제, 조카 한 명을 모두 주교로 만들었다.[1] 그의 아들 잔 바티스타는 1532년 마요르카의 주교로 서임되었다.[1]참조
[1]
간행물
[2]
웹사이트
England Under The Tudors: Cardinal Campeggio. Biography of Lorenzo Campeggio (1464-1532)
https://www.luminari[...]
2024-09-29
[3]
웹사이트
Lorenzo Campeggio {{!}} Pope, Papal Legate, Diploma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29
[4]
간행물
[5]
학술지
Lorenzo Campeggis Promemoria ad Hadrianum Papam VI. de depravato statu Romanae Ecclesiae (1522) im religions-, gattungs- und literaturgeschichtlichen Kontext
https://brill.com/vi[...]
2015-07-29
[6]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01
[7]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1
루비박스
2007-09-20
[8]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1
루비박스
2007-09-20
[9]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1
루비박스
2007-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