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로맹 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로맹 가리는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영화 각본가, 외교관이다. 본명은 로만 카체프이며, 1956년 《하늘의 뿌리》, 1975년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 《자기 앞의 생》으로 두 차례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영화 《지상 최대의 작전》의 각본을 쓰고, 영화 《킬》을 연출하기도 했다. 1980년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으며, 유언을 통해 에밀 아자르가 자신의 필명임을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자살 - 이언 커티스
    이언 커티스는 1970년대 후반 활동한 영국 록 밴드 조이 디비전의 리드 싱어이자 작사가로, 버나드 섬너, 피터 훅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여 포스트 펑크 운동의 선두 주자로 활동하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간질, 우울증, 사생활 문제로 23세에 자살했다.
  • 1980년 자살 - 조엘 셰르크
    조엘 셰르크는 끈 이론이 양자 중력 이론임을 밝히고 11차원 초중력 이론을 정립하여 M이론의 기초를 다진 프랑스의 이론물리학자이다.
  • 리투아니아계 프랑스인 - 에마뉘엘 레비나스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윤리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유대교 사상에 기반한 철학을 펼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 리투아니아계 프랑스인 - 미셸 하자나비시우스
    미셸 하자나비시우스는 프랑스의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편집자로서, 《OSS 117》 시리즈와 무성 영화 《아티스트》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아티스트》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다.
  • 리투아니아 유대인 - 알 졸슨
    리투아니아 출신 미국 가수 알 졸슨은 20세기 초 블랙페이스 연기로 유명했으며, 세계 최초 유성 영화 《재즈 싱어》 주연, 미군 위문 공연 등으로 활약했지만, 그의 블랙페이스 연기는 현대에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 리투아니아 유대인 - 에드워드 사피어
    에드워드 사피어는 미국의 언어학자이자 인류학자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연구의 선구자이며 언어학과 인류학을 연결하는 학제적 연구를 주도했고, 특히 '사피어-워프 가설'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캐나다 지질조사국에서 인류학 부서를 설립하고 이끌었으며, 시카고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로맹 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맹 가리
1961년 가리의 모습
본명로만 카체프
출생일1914년 5월 21일
출생지빌뉴스, 빌나 현, 리투아니아
사망일1980년 12월 2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 (1935년부터)
시민권러시아 제국 및 폴란드 공화국 / 프랑스 (1935년부터)
직업외교관, 비행사, 작가
언어프랑스어, 영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이디시어
학력
모교엑상프로방스 법학대학
파리 법학대학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45–1979
장르소설
대표작《하늘의 뿌리》
자기 앞의 생
개인사
배우자레슬리 블랜치(1944–1961, 이혼)
진 세버그(1962–1970, 이혼)
자녀1명
수상
수상 경력공쿠르 상 (1956년, 1975년)
필명
필명로맹 가리
에밀 아자르
포스코 시니발디
샤탄 보가트

2. 작가 소개

1914년 러시아 제국 영토 빌나(이후 폴란드 제2공화국 영토 빌노, 현재는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수도 빌뉴스)에서 로만 카체프(Roman Kacew)[22]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14세 때 어머니와 함께 프랑스 니스로 이주하여 프랑스에 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 외무성에 근무하며, 불가리아, 스위스, 미국 각국 대사관 참사관과 로스앤젤레스 주재 영사를 역임했다.

1956년 로맹 가리 명의(『자유의 대지 천국의 뿌리』)와 1975년 에밀 아자르 명의(『앞으로의 일생』)로 두 차례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영화 배우 진 세버그와 결혼하여, 『페루의 새』 감독 등 영화계에서도 활약했다. 『레이디 L』 등 영화화된 작품도 많다.

1980년 12월 2일, 권총 자살했다. 자살 직전에 갈리마르사 담당자에게 자신의 죽음은 진 세버그의 자살과는 관계가 없으며, 에밀 아자르가 자신임을 기록한 문서를 보냈다. 문서의 마지막은 "아주 즐거웠다. 고맙다. 안녕"으로 맺어졌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14년 5월 21일 러시아 제국 빌나(현재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로만 레이보비치 카체프(Рома́н Ле́йбович Ка́цевru, Roman Kacewpl)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4] 그의 부모는 모두 리투아니아계 유대인이었다.[4][5] 아버지 아리에-레이브 카체프(1883-1942)는 트라카이 출신의 사업가였고,[4][5] 어머니 미나 오프친스카(1879-1941)는 Švenčionys 출신의 유대인 여배우였다.[1][3] 1925년 부부가 이혼한 후, 아버지는 재혼하였다.[4][5][6] 가리는 자신의 친부가 어머니와 함께 일했고 자신과 매우 닮은 유명 배우이자 영화 스타인 이반 모주킨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6]

1915년 러시아 중부로 추방된 후, 1920년까지 모스크바에 머물렀다.[7] 그 후 빌뉴스를 거쳐 바르샤바로 이주했다. 가리가 14살 때, 어머니와 함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불법적으로 프랑스 니스로 이민을 갔다. 이후 프랑스에 귀화했다. 가리는 엑상프로방스와 파리에서 법학을 공부했다.[8] 그는 부르주 근처 아보르 공군 기지와 살롱드프로방스에서 프랑스 공군에서 비행기 조종법을 배웠다.[8]

2. 2. 군 복무와 외교관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프랑스 점령 이후, 로맹 가리는 영국으로 건너가 자유 프랑스군의 일원으로 합류하여 유럽과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활동하였다.[26] 프랑스 공군 로렌 비행중대 대위로 참전했으며,[26][9] 이때 로맹 가리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0년 2월 1일 하사로 임명되었고, 블로흐 MB.210에서 가볍게 부상을 입기도 했지만, 휴전에 실망하여 영국으로 건너가 자유 프랑스에 합류했다. 브리스톨 블레넘기를 조종하며 아프리카 전역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부소위로 진급했으며, 보스턴 III기를 훈련받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다. 자유 프랑스 공군의 런던 지부에서 대위로 전쟁을 마쳤으며, 25번 이상의 성공적인 출격에 참여하여 65시간 이상의 비행 시간을 기록했다.[9]

전쟁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샤를 드 골 장군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비롯한 많은 훈장을 받았다.[26] 특히 해방 동지훈장과 레지옹 도뇌르 사령관 훈장을 받았다.[9]

종전 후, 가리는 프랑스 해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 1946년부터 1947년까지 불가리아에서 근무했고, 1948년부터 1949년까지 파리,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스위스에서 근무했다.[10] 1951년부터 1954년까지는 뉴욕유엔 프랑스 대표부에서 일했으며,[10] 이 기간 동안 피에르 테이야르 드 샤르댕과 자주 교류하며 그의 영향을 받았다. 1955년에는 런던으로, 1956년부터 1960년까지는 로스앤젤레스 주재 프랑스 총영사로 근무했다.[10] 파리로 돌아온 후, 1961년 외무부에서 해고될 때까지 보직 없이 지냈다.

2. 3. 소설가로서의 삶

로맹 가리는 1935년 2월 15일 문예지 그랭구아르에 단편 〈폭풍우〉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2차 세계대전 참전 중 첫 장편소설 《유럽의 교육》을 집필했고, 1945년 출간과 함께 프랑스 비평가상을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다. 1956년에는 《하늘의 뿌리》로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1962년에는 단편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로 미국에서 최우수 단편상을 받았다.

그는 1974년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 《그로칼랭》을 출간하여 평단의 찬사를 받았고, 1975년에는 《자기 앞의 생》으로 두 번째 공쿠르 상을 수상했다. 공쿠르상은 본래 한 작가에게 한 번만 주어지지만, 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이례적으로 두 번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12] 당시 가리의 조카 아들인 폴 파블로비치가 에밀 아자르 행세를 했으며, 이후 가리의 유고인 《에밀 아자르의 삶과 죽음》을 통해 동일인임이 밝혀졌다.

'포스코 시니발디'라는 이름으로 〈비둘기를 안은 남자〉(1958), '샤탕 보가트'라는 이름으로 《스테파니의 얼굴들》(1962)을 발표하기도 했다. 가명으로 쓴 작품을 포함하여 소설, 수필, 회고록 등 30권이 넘는 작품을 발표했다. 마지막 작품은 1980년에 출간된 《연》이다.

소설가로서의 성공 외에도, 영화 《지상 최대의 작전》의 각본을 쓰고, 당시 아내였던 진 세버그가 출연한 영화 《킬!》(1971)의 공동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15] 1979년에는 제2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이었다.[16]

2. 4. 사생활과 말년

로맹 가리는 1944년 보그의 편집장인 레슬리 블랜치와 결혼했으나 1961년 이혼했다.[17] 1962년에는 24세 연하의 배우 진 세버그와 재혼하여 아들 알렉상드르 디에고 가리를 낳았으나, 1970년 이혼했다.[17] 진 세버그는 FBI의 감시와 정치적 공격을 받으며 로맹 가리와 갈등을 겪었다.[17] 가리는 세버그가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것을 알게 되자 결투를 신청했지만, 이스트우드는 거절했다.[18] 세버그는 1979년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17]

로맹 가리와 그의 첫 번째 부인 레슬리 블란치를 기리는 명판, 로크브륀 카프 마르탱, 코트다쥐르. 그들은 1950년부터 1957년까지 그곳에 살았다.


1980년 12월 2일, 가리는 파리에서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하면서, 세버그의 죽음과는 관계없다는 유서를 남겼다.[19] 그는 유언을 통해 에밀 아자르가 자신의 필명임을 밝혔다.[19] 가리는 페르 라셰즈 묘지에서 화장되었고, 그의 유해는 로크브륀 카프 마르탱 근처의 지중해에 뿌려졌다.[20]

3. 작품 소개

불가리아어 번역본으로 출판된 로맹 가리의 작품들.


로맹 가리 명의로 출판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유럽의 교육》(Éducation européenne) (1945) - 비평가상을 수상했다.
  • ''Tulipe'' (1946)
  • 《커다란 탈의실》(Le Grand Vestiaire) (1949)
  • 《낮의 색깔들》(Les Couleurs du jour) (1952)
  • 《하늘의 뿌리》(Les Racines du ciel) (1956) - 1956년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 《레이디 L》(Lady L) (1958)
  • 새벽의 약속》(La Promesse de l'aube) (1960)
  • ''Johnie Cœur'' (1961)
  • ''Gloire à nos illustres pionniers'' (1962)
  •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1962) - 미국 최우수 단편상을 수상했다.
  • 《스키 범》(The Ski Bum) (1965)
  • ''Pour Sganarelle'' (1965)
  • ''Les Mangeurs d'étoiles'' (1966)
  • 《젱기스콘의 춤》(La Danse de Gengis Cohn) (1967)
  • ''La Tête coupable'' (1968)
  • 《흰 개》(Chien blanc) (1970)
  • ''Les Trésors de la mer Rouge'' (1971)
  • 《유로파》(Europa) (1972)
  • ''The Gasp'' (1973)
  • 《마법사들》(Les Enchanteurs) (1973)
  • ''La nuit sera calme'' (1974)
  • 《당신의 티켓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Au-delà de cette limite votre ticket n'est plus valable) (1975)
  • 《여인의 빛》(Clair de femme) (1977)
  • ''La Bonne Moitié'' (1979)
  • ''Les Clowns lyriques'' (1979)
  • 《연》(Les Cerfs-volants) (1980)
  • ''Vie et Mort d'Émile Ajar'' (1981)
  • ''L'Homme à la colombe'' (1984)
  • ''Un humaniste'' (단편)
  • ''L'Affaire homme'' (2005)
  • ''L'Orage'' (2005)
  • 《마지막 숨결》(2005, 미완성)


로맹 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도 여러 작품을 썼다.[11] 그는 자신의 사촌의 아들인 폴 파블로비치를 섭외하여 아자르로 위장시켜 대중 앞에 내세웠고, 자신은 아자르 작품의 진짜 작가로서 숨어 있었다.[11]

  • 《따뜻한 포옹》(1974) (장-미셸 폴롱 삽화, 영화화 《따뜻한 포옹》(1979))
  • 자기 앞의 생》(1975) - 공쿠르상 수상. 영화화 《마담 로자》(1977). "모모"로 번역(1978). 《우리 앞의 삶》(1986)으로 재출간. 영화화 《앞으로의 인생》(2020).
  • 《가짜》(1976)
  • 《솔로몬 왕의 고뇌》(1979) - ''킹 솔로몬''으로 번역 (1983).


가리는 또한 Shatan Bogat와 Fosco Sinibaldi라는 필명으로도 출판했다.[11]

로맹 가리는 《비둘기를 안은 남자》(1958)를 출간했다.

로맹 가리는 1974년 《스테파니의 얼굴들》을 출간했다.

로맹 가리의 작품들은 한국어로도 번역, 출판되었다. 초기에는 '로오만 갸리'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3. 1. 로맹 가리 명의

로맹 가리 명의로 출판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유럽의 교육》(Éducation européenne) (1945) - 비평가상을 수상했다.
  • ''Tulipe'' (1946)
  • 《커다란 탈의실》(Le Grand Vestiaire) (1949)
  • 《낮의 색깔들》(Les Couleurs du jour) (1952)
  • 《하늘의 뿌리》(Les Racines du ciel) (1956) - 1956년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 《레이디 L》(Lady L) (1958)
  • 《새벽의 약속》(La Promesse de l'aube) (1960)
  • ''Johnie Cœur'' (1961)
  • ''Gloire à nos illustres pionniers'' (1962)
  •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1962) - 미국 최우수 단편상을 수상했다.
  • 《스키 범》(The Ski Bum) (1965)
  • ''Pour Sganarelle'' (1965)
  • ''Les Mangeurs d'étoiles'' (1966)
  • 《젱기스콘의 춤》(La Danse de Gengis Cohn) (1967)
  • ''La Tête coupable'' (1968)
  • 《흰 개》(Chien blanc) (1970)
  • ''Les Trésors de la mer Rouge'' (1971)
  • 《유로파》(Europa) (1972)
  • ''The Gasp'' (1973)
  • 《마법사들》(Les Enchanteurs) (1973)
  • ''La nuit sera calme'' (1974)
  • 《당신의 티켓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Au-delà de cette limite votre ticket n'est plus valable) (1975)
  • 《여인의 빛》(Clair de femme) (1977)
  • ''La Bonne Moitié'' (1979)
  • ''Les Clowns lyriques'' (1979)
  • 《연》(Les Cerfs-volants) (1980)
  • ''Vie et Mort d'Émile Ajar'' (1981)
  • ''L'Homme à la colombe'' (1984)
  • ''Un humaniste'' (단편)
  • ''L'Affaire homme'' (2005)
  • ''L'Orage'' (2005)
  • 《마지막 숨결》(2005, 미완성)


3. 2. 에밀 아자르 명의

로맹 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도 여러 작품을 썼다.[11] 그는 자신의 사촌의 아들인 폴 파블로비치를 섭외하여 아자르로 위장시켜 대중 앞에 내세웠고, 자신은 아자르 작품의 진짜 작가로서 숨어 있었다.[11]

  • 《따뜻한 포옹》(1974) (장-미셸 폴롱 삽화, 영화화 《따뜻한 포옹》(1979))
  • 자기 앞의 생》(1975) - 공쿠르상 수상. 영화화 《마담 로자》(1977). "모모"로 번역(1978). 《우리 앞의 삶》(1986)으로 재출간. 영화화 《앞으로의 인생》(2020).
  • 《가짜》(1976)
  • 《솔로몬 왕의 고뇌》(1979) - ''킹 솔로몬''으로 번역 (1983).


가리는 또한 Shatan Bogat와 Fosco Sinibaldi라는 필명으로도 출판했다.[11]

3. 3. 포스코 시니발디 명의

로맹 가리는 《비둘기를 안은 남자》(1958)를 출간했다.

3. 4. 샤탕 보가트 명의

로맹 가리는 1974년 《스테파니의 얼굴들》을 출간했다.

3. 5. 번역 출판된 주요 작품 (한국어)



로맹 가리의 작품들은 한국어로도 번역, 출판되었다. 초기에는 '로오만 갸리'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4. 수상 경력

로맹 가리는 1945년 《유럽의 교육》으로 비평가상을 수상했다. 1956년에는 《하늘의 뿌리》로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1962년에는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로 미국 최우수 단편상을 수상했다. 1975년에는 에밀 아자르라는 가명으로 발표한 《자기 앞의 생》으로 다시 한번 공쿠르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5. 영화 활동

로맹 가리는 1958년 《천국의 뿌리》 각색에 참여하면서 할리우드에 진출했다. 1962년에는 《지상 최대의 작전》의 각본을 썼다. 1968년에는 《페루의 새들》을 바탕으로 각본, 연출을 맡았으며 아내인 진 세버그를 주인공으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1971년에는 '킬'이라는 영화의 시나리오를 직접 집필하고 감독하였지만 흥행에 실패하고 영화계를 떠났다.

6. 기타

6. 1. 로맹 가리를 다룬 작품


  • 2019년 영화 《세베르그》에서 이반 아탈이 로맹 가리를 연기했다.
  • 로맹 가리의 자전적 소설 『새벽의 약속』은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다.
  • * 1970년 줄스 다신 감독의 미국·프랑스 영화 《새벽의 약속》에서는 Assi Dayan영어이 가리 역을 맡았다.
  • * 2017년 Éric Barbier프랑스어 감독의 프랑스·벨기에 영화 《엄마와의 약속, 250통의 편지》에서는 피에르 니네가 가리 역을 연기했다.

6. 2. 로맹 가리의 영향

로맹 가리의 이름은 국립행정학교(2003–2005), 릴 정치대학(2013), 릴 지역 행정 연구소(2021–2022), 스트라스부르 정치대학(2001–2002)의 졸업 기수, 파리 15구에 있는 로맹 가리 광장(2006년), 니스 유산 도서관에 명명되었다. 예루살렘 프랑스 문화원 또한 로맹 가리의 이름을 사용한다.

2019년 5월 16일, 그의 작품은 미레유 사코트의 편집으로 라 플레야드 문고에 두 권으로 출간되었다.

2007년에는 소설 『새벽의 약속』의 9살 어린 영웅이 이웃 발렌티나를 유혹하기 위해 신발을 먹으려는 모습을 묘사한 로물다스 킨타스의 조각상, «갈로슈를 신은 소년»이 공개되었다. 이 조각상은 소설가가 살았던 바사나비치우스 앞, 빌뉴스에 설치되었다.

그가 공부했던 엑스-마르세유 법학 및 정치학부의 푸이용 건물에는 그의 이름을 새긴 현판이 부착되어 있다.

2022년, 드니 메노셰는 아나이스 바르보-라발레트가 각색한 1970년 가리의 저서 영화 『화이트 독(Chien blanc)』에서 가리를 연기했다.[21]

참조

[1] 뉴스 A Chameleon on Show http://www.forward.c[...] 2011-01-21
[2] 웹사이트 Romain Gary et la Lituanie http://www.baltelati[...]
[3] 서적 Romain Gary, le Caméléon Les éditions Folio Gallimard 2004
[4] 웹사이트 Romain Gary http://agora.qc.ca/t[...] 2016-06-21
[5] 서적 Romain Gary: the man who sold his shadow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뉴스 Romain Gary: A Short Biography http://theharvardadv[...]
[7] 문서 Passports of mother Mina Kacew and nurse-maid Aniela Voiciechowics
[8] 웹사이트 Romain Gary: The greatest literary conman ever? http://www.bbc.com/c[...]
[9] 웹사이트 Ordre de la Libération http://www.ordredela[...] 2013-02-11
[10] 서적 Romain Gary: A Tall Story 2010
[11] 뉴스 Gary won '75 Goncourt under Pseudonym 'Ajar' https://www.nytimes.[...] 1981-07-02
[12] 서적 Vie et mort d'Émile Ajar Gallimard – NRF 1981-07-17
[13] 서적 Écrivains franco-russes Rodopi
[14] 서적 Les grandes impostures littéraires: canulars, escroqueries, supercheries, et autres mystifications Écriture
[15] 웹사이트 Romain Gary https://www.imdb.com[...] 2023-05-30
[16] 웹사이트 Berlinale 1979: Juries http://www.berlinale[...] 2010-08-08
[17] 간행물 Paris Match No.3136
[18] 뉴스 Romain Gary: au revoir et merci https://www.telegrap[...] 2010-11-12
[19] 문서 Romain Gary Mercure de France-Lacombe 1987
[20] 서적 Guide des tombes d'hommes célèbres Le Cherche Midi 2008
[21] 웹사이트 «Chien blanc»: le goût du risque d'Anaïs Barbeau-Lavalette https://www.journald[...] 2022-11-02
[22] 서적 "Romain Gary: The Man Who Sold His Shadow" Univ of Pennsylvania Pr 2002
[23] 서적 ユリシーズの涙 みすず書房 2000-12
[24] 웹사이트 A Chameleon on Show http://www.forward.c[...] 2011-01-21
[25] 웹사이트 ROMAIN GARY: A SHORT BIOGRAPHY http://www.theharvar[...] 2010
[26] 웹사이트 http://www.ordredela[...]
[27] 서적 Romain Gary: A Tall Story 2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