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사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사피어는 1884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1939년 사망한 미국의 언어학자이자 인류학자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독일어 학위를 받았으며, 프란츠 보아스의 영향을 받아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연구에 몰두했다. 시카고 대학교, 예일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언어학과 인류학을 연결하는 연구를 선도했다. 사피어는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인간의 사고가 틀 지어진다"는 언어관을 발표했고, 이는 사피어-워프 가설로 발전했다. 주요 저서로는 《언어: 언어 연구 입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테르링구아 - 에드워드 손다이크
에드워드 손다이크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 심리학의 선구자이며, 행동주의와 학습 연구에 기여하고 효과의 법칙 등 학습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여 교육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인테르링구아 - 세계 인테르링구아 연합
- 이디시어학자 - 길라드 추커만
길라드 추커만은 언어 복고학을 창시하고 현대 히브리어를 혼성 언어인 '이스라엘어'로 칭하며, 소멸 위기 언어 부활에 힘쓰는 이스라엘 태생의 언어학자이다. - 이디시어학자 - 조슈아 피시먼
조슈아 피시먼은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한 미국의 사회언어학자로, 다언어 사용, 이중 언어 교육, 이디시어 연구 등에 기여했으며, 특히 언어 소멸 위기 진단 척도인 GIDS 개발로 언어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리투아니아 유대인 - 알 졸슨
리투아니아 출신 미국 가수 알 졸슨은 20세기 초 블랙페이스 연기로 유명했으며, 세계 최초 유성 영화 《재즈 싱어》 주연, 미군 위문 공연 등으로 활약했지만, 그의 블랙페이스 연기는 현대에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 리투아니아 유대인 - 헤르만 민코프스키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수론, 기하학, 수리물리학에 기여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수의 기하학을 창시하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4차원 시공간 개념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하여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드워드 사피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드워드 사피어 |
본명 | 에두아르트 자피어 () |
출생일 | 1884년 1월 26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라우엔부르크 (현 폴란드 렌보르크) |
사망일 | 1939년 2월 4일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국적 | 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언어학, 인류학 |
주요 관심사 |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분류, 사피어-워프 가설, 언어인류학 |
모교 | 컬럼비아 대학교 (AB, AM, PhD) |
박사 지도교수 | 프란츠 보아스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The Takelma Language of Southwestern Oregon |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09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The Takelma Language of Southwestern Oregon |
주요 저서 | 언어 (Language) |
경력 | |
직장 | 시카고 대학교 캐나다 문명 박물관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 대학교 |
재직 기간 | 시카고 대학교 교수 예일 대학교 교수 |
제자 | |
주요 제자 | 리팡구이 메리 하스 모리스 스와데시 케네스 파이크 해리 호이어 레슬리 A. 화이트 로버트 레드필드 스탠리 뉴먼 J. 데이비드 사피어 찰스 호켓 존 돌라드 |
2. 생애
1884년 1월 26일, 독일 제국의 라우엔부르크(현재의 폴란드령 렝보르크)에서 태어났다. 1904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독일어 학위를 받고 졸업했지만, 이후 언어학적 관심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연구로 이어졌다. 졸업 후 2년간 위슈람어|Wishram영어와 타켈마어|Takelma영어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기간 동안 프란츠 보아스에게 인류학을 배웠다.
시카고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언어학과 인류학을 연결하는 연구를 이끌었다. 그의 제자로는 리팡구이와 벤자민 워프가 있었다.
1921년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인간의 사고가 틀 지어진다"는 언어관을 발표했고, 이는 1940년대 벤자민 리 워프에 의해 발전되어 사피어-워프 가설로 불리게 되었다.
1939년 2월 4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54세.
2. 1. 유년기 및 교육
에드워드 사피어는 1884년 1월 26일 독일 제국 포메라니아 라우엔부르크(현재 폴란드 렝보르크)에서 리투아니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52] 아버지 야코프 다비드 사피어는 하잔(유대교 회당의 성악가)으로서 음악을 통해 유대교와의 유대를 유지했지만, 사피어의 가족은 정통파 유대교는 아니었다. 사피어 가족은 포메라니아에 오래 머무르지 않았고 독일 국적을 취득하지 않았다. 에드워드 사피어의 모어는 이디시어였으며[52], 이후 영어를 사용했다. 1888년(4세) 영국 리버풀, 1890년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먼드로 이주했다. 리치먼드에서 남동생 맥스가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아버지의 실직으로 가족은 뉴욕 로어이스트사이드에 정착하여 가난하게 살았다. 어머니 에바 시걸 사피어가 가게를 열어 생계를 유지했고, 부모는 1910년 공식 이혼했다. 사피어는 주로 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했으며, 어머니는 교육을 통한 계층 상승을 강조하고 가족을 유대교에서 멀어지게 했다. 사피어는 아버지로부터 지식, 학문, 미학, 음악에 대한 관심을 물려받았다. 14세에 퓰리처 장학금을 받았으나, 명문 호리스 맨 고등학교 대신 드윗 클린턴 고등학교에 진학하고[51] 장학금은 대학 학비로 사용했다.[52]2. 2. 컬럼비아 대학교 시절
사피어는 190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 입학했고 퓰리처 장학금으로 학비를 충당했다. 당시 컬럼비아는 암암리에 유대인 입학생의 수를 정원의 12% 정도로 제한하지 않은 소수의 명문 사립대학 중 하나였다. 때문에 컬럼비아대 입학생의 40% 정도가 유대인이었다.[53] 사피어는 컬럼비아대 컬럼비아 칼리지에서 게르만어 문헌학 학사학위(1904년)와 석사학위(1905년)을 취득했고 1909년에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54]
사피어는 컬럼비아대 학부생 시절 8학기 동안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를 공부하는 등 언어 공부에 열중했다. 또한 2학년 때부터는 게르만어파에 집중하기 시작해 고트어, 고대 고지 독일어, 고대 색슨어, 아이슬란드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에 관한 수업을 끝마쳤다. 게르만어학 교수 윌리엄 헨리 카펜터를 통해 사피어는 전통적인 문헌학적 접근보다 과학적인 체계를 갖춰 나가고 있던 비교언어학의 방법론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산스크리트어 강의도 들었으며 유명 작곡가 에드워드 맥다월이 있었던 음악학부에서 음악도 공부했다(그러나 사피어가 에드워드 맥다월의 수업을 들었는지는 불확실하다). 학부 마지막 해에 사피어는 리빙스턴 패런드 교수의 “인류학 개론” 수업을 들었고 여기서 보아스가 주장한 인류학의 “4영역” 접근방식을 배웠다. 또한 프란츠 보아스의 고급 인류학 세미나도 수강했는데, 이 강의는 그의 진로를 완전히 바꿔놓게 된다.[55]
사피어는 대학교에 재학 중이었지만, 보아스가 수집한 아메리카 원주민과 이누이트 신화 번역을 포함하는 보아스의 미국 언어학 대학원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런 방식으로 사피어는 게르만 언어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으면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를 접하게 되었다. 로버트 로위는 나중에 사피어가 원주민 언어에 매료된 것은 보아스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사례를 사용하여 언어의 기본적인 본질에 대한 사피어의 모든 상식적인 가정을 반증했던 보아스와의 세미나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피어의 1905년 석사 논문은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언어 기원에 관한 논문''에 대한 분석이었으며, 게르만 언어학자에게는 전혀 익숙하지 않은 이누이트어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사례를 포함했다. 이 논문은 헤르더가 성경적 연대기를 유지하여 언어의 관찰 가능한 다양화를 허용하기에는 너무 얕다고 비판했지만, 그는 또한 헤르더와 함께 세계의 모든 언어가 동등한 미적 잠재력과 문법적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논문을 "언어의 가장 근본적인 속성을 결정하기 위해 현존하는 모든 다양한 언어 계통에 대한 매우 광범위한 연구"를 요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는데, 이는 현대 언어 유형론 연구의 거의 프로그램적 진술이자 매우 보아스적인 접근 방식이었다.[9]
1906년 그는 강좌를 마쳤는데, 지난 1년 동안 인류학 강좌에 집중하고 패런드와 함께 원시 문화, 보아스와 함께 민족학, 고고학, 그리고 베르톨트 라우퍼와 함께 중국 언어와 문화 강좌를 수강했다. 그는 또한 켈트어, 고대 작센어, 스웨덴어, 산스크리트어 강좌를 통해 인도유럽어 연구를 계속했다. 강좌를 마친 사피어는 박사 학위 현장 연구로 옮겨가 짧은 기간의 임명을 거치며 논문을 썼다.[10]
2. 3. 프란츠 보아스의 영향
비록 아직 학부생이었지만 사피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관한 프란츠 보아스의 대학원 세미나 참석을 허락받았다. 세미나 내용 중에는 보아스가 수집한 아메리카 원주민 및 이누이트족 신화의 번역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렇게 사피어는 게르만어학 석사과정을 밟으면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를 접하게 되었다.[56] 로버트 라우이는 나중에 사피어가 원주민 언어에 매료된 것은 보아스가 세미나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예시를 통해 언어의 기본적인 본질에 대한 사피어의 모든 상식적인 가정을 반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9] 사피어의 1905년 석사학위논문은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언어의 기원에 대한 논고〉를 분석한 것이었는데, 게르만어학자에게는 전혀 익숙하지 않은 이누이트어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 가져온 예시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헤르더가 성경 말씀대로 언어의 역사를 지나치게 짧게 잡아 현존하는 언어들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지만, 헤르더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모든 언어는 미적 성취의 가능성과 문법적 복잡성 면에서 동등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언어의 가장 근본적인 속성을 결정하기 위해 현존하는 모든 다양한 언어 계통에 대한 매우 광범위한 연구"를 요구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했는데, 이는 현대 언어유형론 연구의 거의 프로그램적 진술이자 매우 보아스적인 접근 방식이었다.[56]1906년에 그는 교과 학습을 모두 마쳤다. 이 해에 그는 인류학 과목을 수강하고 패런드의 원시 문화 세미나, 보아스의 민속학 세미나, 베르톨트 라우퍼의 고고학과 중국어 및 중국 문화 세미나 등을 들었다. 또한 켈트어파, 고대 색슨어, 스웨덴어, 산스크리트어 과목을 들으며 인도유럽어학 공부를 이어나갔다.[57]
2. 4. 초기 현장 연구

사피어의 첫 현지 조사 연구는 1905년 여름 위시람 친누크어에 대한 것으로, 미국 민족학국에서 자금을 지원했다. 현장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대한 이 첫 번째 경험은 프란츠 보아스에 의해 면밀히 감독되었는데, 보아스는 사피어가 국을 위해 민족학적 정보를 수집하는 데 특히 관심이 있었다. 사피어는 1909년에 출판된 위시람 텍스트를 한 권 수집했으며, 보아스보다 친누크어의 음성 체계에 대해 훨씬 더 정교한 이해를 얻었다.[11] 1906년 여름에는 타켈마어와 샤스타 코스타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사피어의 타켈마어 연구는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이 되었고, 1908년에 통과되었다. 이 논문은 훗날 사피어가 음소를 공식화하는 기초가 될 음성 패턴에 대한 원어민의 직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등 사피어 연구의 몇 가지 중요한 경향을 예고했다.[11]
1907–1908년에 사피어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자리를 제안받았는데, 그곳에서 보아스의 첫 번째 제자인 앨프레드 크로버가 캘리포니아 주 조사에서 캘리포니아 원주민 언어를 문서화하는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었다. 크로버는 사피어에게 거의 사멸된 야나어를 연구하도록 제안했고, 사피어는 연구를 시작했다. 사피어는 먼저 이 언어의 몇 안 되는 화자 중 한 명인 베티 브라운과 함께 연구했다. 나중에는 야나어의 또 다른 방언을 구사하지만 야나 신화에 대한 지식이 중요한 지식의 원천이었던 샘 배트위와 함께 연구를 시작했다. 사피어는 야나어가 문법적으로나 어휘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화법을 구별하는 방식을 설명했다.[12]
크로버와 사피어의 협업은 사피어가 광범위한 분류 문제에 초점을 맞춰야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완성이 필요하다는 행정적 압력을 무시하고 상세한 언어적 설명에 대한 자신의 관심사를 주로 따랐다는 사실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사피어는 할당된 해에 연구를 마치지 못했고, 크로버는 그에게 더 긴 임명을 제안할 수 없었다.
버클리에 머물 수 없다는 것에 실망한 사피어는 다른 연구에 최선을 다했고, 1910년까지 야나 자료를 출판할 준비를 하지 못했으며[13], 이는 크로버에게 깊은 실망을 안겨주었다.[14]
사피어는 캘리포니아를 일찍 떠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펠로우십을 받게 되었고, 그곳에서 민족학과 미국 언어학을 가르쳤다. 펜실베이니아에서 그는 보아스의 또 다른 제자인 프랭크 스펙과 긴밀히 협력했으며, 1909년 여름에는 카토바어에 대한 연구를 함께 수행했다.[15] 같은 해 여름, 사피어는 제자인 J. 앨든 메이슨과 함께 유타로 갔다. 원래는 호피어를 연구할 예정이었으나 콜로라도 강 누믹어인 남부 파이유트어를 연구하게 되었고, 완벽한 정보 제공자임을 입증한 토니 틸로해시와 함께 연구하기로 결정했다. 틸로해시가 자신의 언어의 음성 패턴에 대해 강한 직관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피어는 음소가 언어의 구조적 수준에 존재하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로 화자에게 심리적인 현실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틸로해시는 사피어의 좋은 친구가 되었고, 뉴욕과 필라델피아에 있는 그의 집을 방문했다. 사피어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틸로해시가 알고 있는 많은 남부 파이유트어 노래를 필사했다. 이 생산적인 협력은 1930년에 출판된 남부 파이유트어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고,[16] 사피어가 쇼쇼니 언어를 나우아 언어와 연결하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우토-아즈텍어족을 확립할 수 있게 했다. 사피어의 남부 파이유트어에 대한 설명은 언어학자들에게 "분석적 탁월함의 모델"로 알려져 있다.[17]
펜실베이니아에서 사피어는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는 속도보다 더 빨리 연구할 것을 권유받았다. 그의 "남부 파이유트어 문법"은 보아스의 ''미국 인디언 언어 핸드북''에 출판될 예정이었고, 보아스는 출판 자금이 남아있는 동안 예비 버전을 완성하도록 촉구했지만, 사피어는 품질을 타협하고 싶지 않았고, 결국 ''핸드북''은 사피어의 논문 없이 출판되어야 했다. 보아스는 그의 제자를 위해 안정적인 임명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 노력했고, 그의 추천에 따라 사피어는 캐나다 지질 조사국에 고용되었는데, 그들은 그가 캐나다에서 인류학을 제도화하는 것을 이끌어주기를 원했다.[18] 당시 몇 안 되는 미국의 연구 대학에서 일할 희망을 포기한 사피어는 이 임명을 수락하고 오타와로 이주했다.
2. 5. 오타와 시절 (1910-1925)
사피어는 1910년부터 1925년까지 캐나다 지질조사국의 인류학 부서를 설립하고 이끌었으며, 캐나다 최초의 전업 인류학자 중 한 명이었다.[66] 그는 부모님을 오타와로 모셔왔고, 리투아니아 유대인 혈통인 플로렌스 델슨과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다. 빌뉴스의 명망 높은 유대인 중심지 출신이었던 델슨 가족은 사피어 가족을 시골뜨기로 여겼으며, 사피어가 생소한 학문 분야에서 쌓은 경력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 사피어와 델슨 부부는 허버트 마이클, 헬렌 루스, 필립, 이렇게 세 자녀를 두었다.[66]2. 5. 1. 캐나다 지질조사국
캐나다 지질조사국의 인류학 부서장으로서 사피어는 캐나다 원주민의 문화와 언어를 기록할 계획에 착수했다. 그의 첫 현장연구는 밴쿠버섬에서 누트카어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인류학 부서에는 사피어 외에 마리위스 바르보와 할란 I. 스미스가 있었다. 사피어는 민속학적 기술에 있어 언어학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라틴어를 모르는 채 가톨릭교회의 역사를 논하거나 독일어를 모르는 채 독일 민요를 연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원주민 언어를 모르면서 원주민 문화를 연구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67] 당시에 잘 알려진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 언어는 보아스가 기술한 콰키우틀어, 침시안어, 하이다어가 전부였다. 사피어는 원주민 언어에 대한 지식을 모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유럽 언어를 기술할 때와 같은 수준으로 원주민 언어를 기술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사피어는 보아스적 인류학의 높은 잣대를 도입함으로써, 본인들이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 아마추어 민속학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사피어는 아마추어 인류학자들과 정부 소속 인류학자들의 노력에 만족하지 못했고 주요 대학 중 한 곳에서 인류학 과정을 개설하여 인류학 분야의 전문성을 끌어올리려고 노력했다.[68]사피어는 프랭크 스펙, 폴 라딘, 알렉산더 골든와이저의 도움을 받았다. 이들은 바르보와 함께 동부 삼림지대의 오지브와족, 이로쿼이족, 휴런족, 와이언도트족을 연구했다. 사피어는 매켄지 계곡과 유콘강 지역의 애서배스카어파 언어 연구를 시작했지만 충분한 도움을 구하기가 어려웠다. 사피어는 주로 누트카어와 북서해안 언어들에 집중했다.[69]
캐나다에 있는 동안 사피어는 스펙과 함께 원주민 권리 옹호자로 활동했다. 그들은 원주민 공동체에 대한 의료 지원 개선을 공개적으로 주장했고, 이로쿼이족이 보호구역에서 도둑맞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물관에 전시돼 있던 왐품 띠 열한 개를 반환받도록 도와주었다. (결국 이 띠들은 1988년에 반환되었다.) 사피어는 또 서해안 부족들의 포틀래치 행사를 금지하는 캐나다 법률의 제정을 취소하라고 요구했다.[23]
2. 5. 2. 이시와의 연구 (1915)

1915년, 사피어는 캘리포니아로 돌아왔다. 그의 야나어 지식이 긴급히 필요했기 때문이다. 크로버는 야나어와 가까운 관계인 야히어의 마지막 화자인 이시와 접촉했고, 야히어를 기록할 사람이 급하게 필요했다. 이시는 백인과 만나지 않고 성장했으며, 야히어 외에 다른 언어는 구사하지 못했고, 야히족의 유일한 생존자였다. 크로버 가족에 입양되었지만, 결핵으로 몸져누워 오래 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사피어와 함께 작업했던 야나어 화자 샘 바트위는 이시의 야히어를 알아듣지 못했고, 크로버는 이시와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은 사피어뿐이라고 생각했다. 사피어는 샌프란시스코로 가서 1915년 여름 동안 이시와 함께 작업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단일 언어 화자와 작업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고안해야 했다. 이시에게서 얻은 정보는 야나어 방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이시는 1916년 초에 병으로 숨졌고, 크로버는 이시가 회복하지 못한 데에는 사피어의 엄격한 작업 방식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사피어는 이시와의 작업을 이렇게 평했다. “내가 이시와 한 작업은 내가 한 일 중 가장 시간이 많이 들고 가장 골치 아픈 일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일이 가능했던 것은 오로지 이시의 변함없는 익살 덕분이었다. 때로는 그것조차 나를 몹시 안달하게 했지만 말이다.”[70]
2. 5. 3. 이후의 삶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캐나다 지질조사국의 인류학 부서 예산이 삭감되고 학계 분위기가 악화되었다. 사피어는 쿠친어와 잉갈릭어 화자와 함께 아타바스카어 연구를 계속했지만, 나데네어족 언어 간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에 더 몰두하며 이론가가 되었다.[25] 그는 미국 동료들로부터 고립감을 느꼈다. 1912년부터 플로렌스는 폐농양과 우울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사피어의 어머니 에바는 플로렌스와 사이가 좋지 않아 플로렌스와 에드워드 모두에게 부담을 주었다. 사피어의 부모는 이혼했고, 아버지는 정신병으로 필라델피아로 이주해야 했으며, 에드워드는 그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플로렌스는 우울증과 폐농양으로 장기간 입원했고, 1924년 수술 후 감염으로 사망하여 사피어가 캐나다를 떠나는 계기가 되었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제안하자 그는 기꺼이 수락했다.캐나다에서 사피어는 북미 언어학계의 선두 주자로 부상했다. 이 시기 주요 저술로는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시간적 관점』(1916)이 있는데, 역사 언어학을 사용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선사 시대를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언어: 언어 연구 입문』(1921)은 사피어가 구상한 언어학 분야를 일반 독자에게 소개했다. 그는 원주민 언어 표기법 표준화에 관한 미국 인류학 협회 보고서 작성에도 참여했다.
오타와에서 그는 프랑스계 캐나다 민요를 수집, 출판하고 시집을 냈다.[26] 시에 대한 관심으로 루스 베네딕트와 친밀한 우정을 맺었다. 사피어는 베네딕트에게 "수호령" 논문을 칭찬하는 편지를 썼다가, 베네딕트가 필명으로 시를 출판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편지로 서로의 작품을 비평하고, 같은 출판사에 제출했지만 거절당했다. 둘은 심리학, 개인 성격과 문화적 패턴의 관계에 관심이 있었고, 서로를 정신분석했다. 그러나 사피어는 베네딕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지 못했고, 보수적인 성 이데올로기는 여성 학자로서 베네딕트의 어려움과 충돌했다. 둘은 친했지만, 세계관과 성격 차이로 우정이 깨졌다.[27]
캐나다를 떠나기 전, 사피어는 마거릿 미드와 짧은 연애를 했다. 미드는 컬럼비아에서 베네딕트의 제자였다. 그러나 결혼과 여성 역할에 대한 사피어의 보수적 생각은 미드에게도 혐오스러웠고, 미드가 사모아로 현장 연구를 떠나자 둘은 헤어졌다. 미드는 사모아에서 사피어의 재혼 소식을 듣고 그와 주고받은 편지를 불태웠다.[28]
2. 6. 시카고 대학교 시절 (1925-1931)
시카고에서 사피어는 학문적, 개인적으로 활력을 되찾았다. 그는 지식인들과 어울리고, 강연을 하고, 시와 음악 모임에 나갔다.[75] 시카고에서 그가 처음으로 지도한 대학원생은 리팡구이였다.[75] 1926년에 사피어가 재혼하기까지 사피어 가정은 할머니인 에바가 이끌어 나갔다. 사피어의 두 번째 아내인 진 빅토리아 맥클래너건은 그보다 열여섯 살 어렸다. 그녀는 오타와에서 학생일 때 사피어를 처음 만났지만, 그 뒤 시카고 대학교의 아동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었다. 1928년 두 사람은 아들 폴 에드워드 사피어를 낳았다.[76] 둘째 아들 J. 데이비드 사피어는 서아프리카 언어, 특히 졸라어군 언어를 전문으로 하는 언어학자 겸 인류학자가 되었다. 또 사피어는 사회학의 시카고 학파의 일원으로서, 그리고 심리학자 해리 스택 설리번과의 친분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다.2. 7. 예일 대학교 시절 (1931-1939)
1931년부터 1939년 사망할 때까지 사피어는 예일 대학교에서 인류학과 학과장으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예일대로부터 “문화가 인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 인류학, 언어학, 심리학을 결합한 학제간 연구 프로그램을 창설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77] 사피어는 독립된 학과로서 인류학과를 창설하는 과제를 명시적으로 부여받았지만, 사피어의 보아스적 접근과 상극인 윌리엄 그레이엄 섬너의 “진화사회학”을 따르는 시카고대 사회학과, 그리고 인간관계연구소의 두 인류학자 클라크 위슬러와 G. P. 머독은 이를 달가워하지 않았다.[77] 사피어는 예일대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그는 그곳에서 569명에 달하는 교수진 중 4명뿐인 유대인 중 한 사람으로서, 중견 교수들이 학문적 문제를 논하는 교수 클럽 가입을 거절당했다.[78]예일대에서 사피어가 가르친 대학원생들 중에는 모리스 스와데시, 벤저민 리 워프, 메리 하스, 찰스 호켓, 해리 호이저 등이 있었다. 이들 중 몇몇은 그가 시카고에서 함께 데려왔다.[79] 사피어는 젤리그 해리스라는 이름의 젊은 셈어학자를 자신의 지적 후계자로 여기게 되었다. 해리스는 정식으로 사피어의 지도 학생이었던 적이 없지만 말이다. (해리스는 얼마 동안 사피어의 딸과 교제했다.)[80] 1936년에 사피어는 미시시피주 인디아놀라의 흑인 공동체에 대한 인류학자 호텐스 파우더메이커의 연구 제안서를 두고 인간관계연구소와 충돌했다. 사피어는 보다 사회학적인 존 돌라드의 연구 대신 파우더메이커의 연구가 연구비를 지원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피어는 결국 패배했고 파우더메이커는 예일 대학교를 떠나야 했다.
1937년 여름 앤아버의 미국 언어학회 언어연구소에서 강의하는 동안, 사피어가 몇 년 전에 진단받은 심장 질환이 악화되기 시작했다.[81] 1938년에 그는 예일대를 휴직해야 했고, 그동안 벤저민 리 워프가 수업을 대신하고 G. P. 머독이 학생들 중 일부를 지도했다. 1939년에 사피어가 죽은 뒤 G. P. 머독이 인류학과 학과장이 되었다. 보아스의 문화인류학 패러다임을 경멸했던 머독은 인류학, 심리학, 언어학을 통합하려던 사피어의 노력을 대부분 없던 일로 만들었다.[82]
3. 인류학적 사상
사피어의 인류학적 사상은 당대 학계에서 고립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문화가 인간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을 찾기보다, 사회를 이루는 개인들의 인격이 어우러져 문화적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로 인해 사피어는 개인의 심리에 관심을 가졌으며, 문화에 대한 그의 관점은 동시대인들보다 더 심리학적이었다.[83][84][40][41]
사피어의 문학적 흥미와 인류학 이론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개인의 미적 감성과 창의성이 학습된 문화적 전통과 상호작용하여 독특하고 새로운 시적 형식을 만들어낸다는 그의 문학 이론은, 개인과 문화적 패턴이 변증법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그의 인류학 이론과 유사하다.[85][42]
4. 연구한 언어
사피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특히 애서배스카어파 언어들에 매료되었다. 그는 데네어를 두고 "아메리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언어이며, 가장 매혹적이다"라고 표현했다.[86] 사피어는 위슈람 치누크어, 나바호어, 누트카어, 콜로라도강 느므어, 타켈마어, 야나어와 그 문화를 연구했다. 토니 틸로해시와의 남부 파이유트어 연구는 음소 개념에 큰 영향을 준 1933년 논문으로 이어졌다.[87]
사피어는 언어학 전반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서 《언어》는 유형론에 따른 언어의 분류, 언어 부동 현상,[88] 언어·인종·문화 간의 자의적 연결 등을 다루었다. 그는 미국 내 이디시어 연구의 선구자였으며, 국제보조어 운동에 참여하여 국제 보조어 협회(IALA)의 초대 연구 담당자를 역임했다. 1930년부터 1931년까지 협회를 이끌었고, 1927년부터 1938년까지 협회의 언어 연구 자문 위원회에 속해 있었다.[90]
5. 주요 출판물
에드워드 사피어는 언어학, 인류학 분야에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저서:''' 저서 목록 참고.
- '''논문 및 기고문:''' 논문 및 기고문 목록 참고.
5. 1. 저서
연도 | 제목 | 비고 |
---|---|---|
1907 | 《헤르더의 "언어의 기원"》(Herder's "Ursprung der Sprache") | |
1908 | 〈산스크리트어 asru, 아베스타어 asru, 그리스어 dakru의 어원 연구〉 | 스피겔 기념 논문집 수록 |
1909 | 《위시람 텍스트, 와스코 이야기와 신화 포함》(Wishram texts, together with Wasco tales and myths) | |
1910 | 《야나 텍스트》(Yana Texts) | |
1915 | 《나스강 인디언의 사회 조직 개요》(A sketch of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Nass River Indians) | |
1915 | 《밴쿠버 섬 살리시어족 언어인 코목스어의 명사 중복》(Noun reduplication in Comox, a Salish language of Vancouver island) | |
1916 |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속의 시간적 관점, 방법론 연구》(Time Perspective in Aboriginal American Culture, A Study in Method) | |
1917 | 《꿈과 조롱》(Dreams and Gibes) | |
1921 | 《언어: 언어 연구 입문》(Languag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speech) | |
1939 | 《누트카 텍스트: 이야기와 민족지적 서술, 문법적 주석과 어휘 자료 포함》(Nootka Texts: Tales and ethnological narratives, with grammatical notes and lexical materials) | 모리스 스와데시와 공저 |
1949 | 《언어, 문화, 개성 연구 선집》(Selected writings in language, culture and personality) | |
2002 | 《문화의 심리학: 강좌》(The psychology of culture: A course of lectures) |
5. 2. 논문 및 기고문
에드워드 사피어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담은 논문 및 기고문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저널 |
---|---|---|
1907 | "상부 치누크족의 언어와 신화에 관한 예비 보고서" (Preliminary report on the language and mythology of the Upper Chinook) | American Anthropologist |
1910 | "유트어의 몇 가지 근본적인 특징" (Som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te language) | Science |
1911 | "누트카 언어와 문화의 몇 가지 측면" (Some aspects of Nootka language and culture) | American Anthropologist |
1911 | "미국 언어에서의 명사 통합 문제" (The problem of noun incorporation in American languages) | American Anthropologist |
1913 | "남부 파이우트어와 나우아틀어, 우토-아즈테칸 연구" (Southern Paiute and Nahuatl, a study in Uto-Aztekan) | Journal de la Société des Américanistes |
1915 | "누트카어의 비정상적인 유형의 언어" (Abnormal Types of Speech in Nootka) | Memoir (Geological Survey of Canada) |
1915 | "밴쿠버 섬의 살리시어인 코목스어의 명사 중복" (Noun Reduplication in Comox, a Salish Language of Vancouver Island) | Memoir (Geological Survey of Canada) |
1915 | "나스 강 인디언의 사회 조직 개요" (A Sketch of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Nass River Indians) | Museum Bulletin (Geological Survey of Canada) |
1915 | "나데네어: 예비 보고서" (The Na-dene languages: a preliminary report) | American Anthropologist |
1916 | "원주민 아메리카 문화의 시간적 관점: 방법 연구" (Time Perspective in Aboriginal American culture: A Study in Method) | Memoir (Geological Survey of Canada) |
1917 | "초유기적 존재가 필요한가?" (Do we need a superorganic?) | American Anthropologist |
1924 | "문법학자와 그의 언어" (The grammarian and his language) | The American Mercury |
1924 | "문화, 진정한 것과 가짜인 것" (Culture, Genuine and Spurious) |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1925 | "국제 보조 언어 문제에 관한 각서" (Memorandum on the problem of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 The Romanic Review |
1925 | "언어의 음성 패턴" (Sound patterns in language) | Language |
1931 | "국제 보조 언어의 기능" (The function of an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 | Romanic Review |
1936 | "나바호족의 북부 기원을 시사하는 내부 언어학적 증거" (Internal linguistic evidence suggestive of the Northern origin of the Navaho) | American Anthropologist |
1944 | "등급 매기기: 의미론 연구" (Grading: a study in semantics) | Philosophy of Science |
1947 | "일반 언어학과 미국 원주민 언어학의 관계" (The relation of American Indian linguistics to general linguistics) | Southwestern Journal of Anthropology |
참조
[1]
백과사전
Edward Sapir
http://www.britannic[...]
2024-01-31
[2]
서적
Edward Sapir
www.credoreference.c[...]
Encyclopedia of Cognitive Science
[3]
서적
Edward Sapir: Culture, Language, and the Individual
Altamira
[4]
뉴스
DeWitt Clinton's Remarkable Alumni
http://cityroom.blog[...]
The New York Times
2009-07-21
[5]
서적
Darnell 1990
[6]
서적
Darnell 1990
[7]
서적
Darnell 1990
[8]
서적
Darnell 1990
[9]
서적
Darnell 1990
[10]
서적
Darnell 1990
[11]
서적
Darnell 1990
[12]
서적
Darnell 1990
[13]
서적
Yana Text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Darnell 1990
[15]
서적
Darnell 1990
[16]
학술지
The Southern Paiute language
[17]
서적
Darnell 1990
[18]
서적
Darnell 1990
[19]
서적
Darnell 1990
[20]
서적
Darnell 1990
[21]
학술지
The Canadian Winter' of Edward Sapir
[22]
서적
Darnell 1990
[23]
서적
Darnell 1990
[24]
서적
Darnell 1990
[25]
서적
Darnell 1990
[26]
문서
Dreams & Gibes
[27]
서적
Darnell 1990
[28]
서적
Darnell 1990
[29]
서적
California Indian Languag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서적
Darnell 1990
[31]
서적
Darnell 1998
[32]
학술지
Jews, Multiculturalism, and Boasian Anthropology
[33]
학술지
Sapir and the Training of Anthropological Linguists
[34]
문서
Sapir's biographer (p.c. to Bruce Nevin)
[35]
웹사이트
Edward Sapir
https://www.amacad.o[...]
2023-05-25
[36]
웹사이트
Edward Sapir
http://www.nasonline[...]
2023-05-25
[3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25
[38]
논문
Edward Sapir
1939-04-01
[39]
논문
Camelot at Yale: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of the Sapirian Synthesis, 1931–39
1998
[40]
문서
Moore 2009
[41]
논문
Edward Sapir's Anthropology: Style, Structure, and Method
1966
[42]
논문
Sapir's Poetic Experience
1984
[43]
문서
Krauss 1986:157
[44]
논문
La réalité psychologique des phonèmes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phonemes)
1933
[45]
논문
Drift, Slope, and Slant: Background of, and Variations upon, a Sapirian Theme
1981-09-01
[46]
서적
International Languages: a matter for Interlingua
British Interlingua Society
1990
[47]
논문
Words without grammar: linguists and the international languag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Pergamon
1995
[48]
웹인용
Edward Sapir
http://www.britannic[...]
[49]
웹사이트
Edward Sapir
www.credoreference.c[...]
2005
[50]
서적
Edward Sapir: Culture, Language, and the Individual
Altamira
2009
[51]
뉴스
DeWitt Clinton's Remarkable Alumni
http://cityroom.blog[...]
The New York Times
2009-07-21
[52]
문서
Darnell 1990:1-4
[53]
문서
Darnell 1990:5
[54]
문서
Darnell 1990:11-12, 14
[55]
문서
Darnell 1990:7-8
[56]
문서
Darnell 1990:9-15
[57]
문서
Darnell 1990:13-14
[58]
문서
Darnell 1990:23
[59]
문서
Darnell 1990:26
[60]
서적
Yana Text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10
[61]
문서
Darnell 1990:24-29
[62]
문서
Darnell 1990:29-31
[63]
논문
The Southern Paiute language
1930
[64]
문서
Darnell 1990:34
[65]
문서
Darnell 1990:42
[66]
문서
Darnell 1990:44-48
[67]
문서
Darnell 1990:50
[68]
논문
The Canadian Winter' of Edward Sapir
1991
[69]
문서
Darnell 1990:74-79
[70]
문서
Darnell 1990:81
[71]
서적
[72]
문서
Dreams & Gibes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California Indian Languages
[76]
서적
[77]
서적
[78]
저널
Jews, Multiculturalism, and Boasian Anthropology
[79]
저널
Sapir and the Training of Anthropological Linguists
[80]
문서
사피어의 전기 작가의 보고
[81]
저널
Edward Sapir
[82]
저널
Camelot at Yale: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of the Sapirian Synthesis, 1931-39
[83]
서적
[84]
저널
Edward Sapir's Anthropology: Style, Structure, and Method
[85]
저널
Sapir's Poetic Experience
[86]
서적
[87]
저널
La réalité psychologique des phonèmes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phonemes)
[88]
저널
Drift, Slope, and Slant: Background of, and Variations upon, a Sapirian Theme
[89]
서적
International Languages: a matter for Interlingua
British Interlingua Society
[90]
저널
Words without grammar: linguists and the international languag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Pergam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