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W. 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W. 홀리(Robert W. Holley)는 미국의 생화학자로, 운반 RNA(tRNA)를 분리하고 알라닌 tRNA의 배열과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를 통해 단백질 합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코넬 대학교에서 유기화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코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를 수행했다. 1964년 tRNA의 전체 구조를 밝혀냈고, 이 업적으로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1965년 향류분배법을 이용한 염기배열 1차 구조 법칙을 밝혀내 천연핵산분자정보 해독에 기여했으며, 알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 미국국립과학원상 분자생물학 부문 등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배너 (일리노이주) 출신 - 로저 이버트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선타임스》의 영화 평론가이자 '스니크 프리뷰'와 '앳 더 무비스' 진행자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 퓰리처상 비평 부문 최초 수상 및 블로그 활동을 통해 영화에 대한 열정을 보여준 미국의 영화 평론가, 저널리스트, 시나리오 작가이다.
  • 어배너 (일리노이주) 출신 - 필립 워런 앤더슨
    필립 워런 앤더슨은 응집물질물리학의 선구자로서 앤더슨 국소화 등 고체물리학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고, 대칭성 깨짐 이론에 기여했으며, 자기적 및 무질서계 전자 구조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고, 창발 개념 제시로 복잡계 과학 발전에도 기여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 미국의 과학 저술가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 미국의 과학 저술가 - 마틴 가드너
    마틴 가드너는 유희수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수학 게임" 칼럼을 통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퍼즐을 소개한 미국의 과학 저술가이자 수학자, 철학자, 마술사이며, 유사과학 비판가로서 회의주의 운동을 주창했다.
  • 일리노이 대학교 동문 - 리처드 해밍
    리처드 해밍은 정보 이론과 오류 정정 부호 분야에 기여하고 해밍 거리, 해밍 부호 등의 개념을 도입한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일리노이 대학교 동문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로버트 W. 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버트 윌리엄 홀리
로마자 표기Robert William Holley
출생일1922년 1월 28일
출생지미국 일리노이주 어배너
사망일1993년 2월 11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 게이토스
국적미국
로버트 홀리
로버트 W. 홀리
연구 분야
분야생화학
소속 기관
소속 기관소크 연구소
학력
출신 대학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코넬 대학교
학위미국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생화학과 학사
미국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주요 업적
주요 업적전이 RNA
수상 내역
수상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1965)
전미 과학 아카데미 분자 생물학상 (1967)
노벨 생리학·의학상(1968)
노벨상 수상 연도1968년
노벨상 수상 이유유전 정보 해독과 단백질 합성에서의 역할 규명
기타
참고 자료http://www.ars.usda.gov/is/timeline/RNA.htm
http://nobelprize.org/medicine/laureates/1968/holley-bio.html
https://www.mun.ca/biology/scarr/C_holley_expt.html
https://www.nytimes.com/1997/12/28/us/dr-elizabeth-keller-79-dies-biochemist-helped-rna-study.html
http://www.jbc.org/content/240/5/2122.full.pdf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147/3664/1462
http://nobelprize.org/medicine/laureates/1968/holley-lecture.pdf

2. 생애

로버트 W. 홀리(Robert W. Holley영어)는 1938년 일리노이주 어바나에서 태어나 어바나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42년 졸업 후,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서 유기화학 연구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코넬 대학교 의과대학의 빈센트 뒤 비뇨 밑에서 2년간 일하며 세계 최초로 페니실린의 화학 합성에 성공했다. 1947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코넬 대학교에 남아 1948년 유기화학 조교수, 1962년 정교수가 되었다. 1955년부터 1956년까지 안식년 동안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제임스 보너와 함께 RNA 연구를 시작했다.

홀리는 운반 RNA(tRNA)를 분리하고, 아미노산 알라닌을 단백질까지 운반하는 알라닌 tRNA의 배열과 구조를 결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1964년 tRNA의 전체 구조를 밝혀내어 전령 RNA(mRNA)로부터 단백질 합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발견을 했다. 이는 최초로 배열이 해독된 RNA였다. 이 발견으로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하르 고빈드 코라나마셜 워런 니런버그도 단백질 합성 연구로 같은 해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홀리 연구팀이 사용한 방법은 이후 다른 tRNA 구조를 밝히는 데 사용되었고, 미생물, 식물, 인간 바이러스 연구에도 활용되었다.

1968년, 홀리는 캘리포니아주 라호야에 있는 솔크 연구소의 연구원이 되었다.

3. 연구 업적

1965년 향류분배법(向流分配法) 구조 염기배열의 1차구조 법칙을 밝힘으로 인하여 천연핵산분자정보 해독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3. 1. 향류분배법과 염기배열 결정

4. 수상

로버트 W. 홀리는 1965년 향류분배법(向流分配法) 구조 염기배열의 1차구조 법칙을 밝힘으로 인하여 천연핵산분자정보 해독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 공로로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 1965년 알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
  • 1967년 미국국립과학원상 분자생물학 부문
  •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참조

[1] 웹사이트 Probing the Mystery of Life http://www.ars.usda.[...]
[2] 웹사이트 Robert W. Holley – Biography http://nobelprize.or[...]
[3] 웹사이트 Who was the mysterious and possibly dangerous man we call ......Robert W. Holley (1922–1993) ? https://www.mun.ca/b[...]
[4] 뉴스 Dr. Elizabeth Keller, 79, Dies; Biochemist Helped RNA Study (Published 1997) https://www.nytimes.[...] 1997-12-28
[5] 논문 Nucleotide Sequences In The Yeast Alanine Transfer Ribonucleic Acid http://www.jbc.org/c[...] 1965-05-01
[6] 논문 Structure Of A Ribonucleic Acid. 1965-03-19
[7] 웹사이트 Holley's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