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즈비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즈비 제국은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존재했던 아프리카의 국가로, 현재의 짐바브웨 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다. 1683년 포르투갈의 침략을 격퇴하고 금광 지배권을 유지했으며, 창가미레 돔보가 무타파 제국에서 독립하여 건설했다. 로즈비 제국은 짐바브웨 고원을 지배했던 쇼나 부족 국가들로 이루어졌으며, 강력한 전사 국가로 성장하여 주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경제는 소 사육, 농업, 금 채굴에 기반을 두었고, 내부 및 외부 무역이 활발했다. 18세기 후반부터 정치적 불안정과 가뭄, 그리고 응구니 부족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19세기 중반에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아프리카 - 테케 소왕국
    테케 소왕국은 안지쿠 지역에서 건국되어 콩고 왕국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으며, 은툼바 초의 후손이 왕위를 세습하다 1892년 멸망했다.
  • 17세기 아프리카 - 로앙고 왕국
    로앙고 왕국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현재의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앙골라 일부에 걸쳐 존재했던 국가로, 왕을 중심으로 정치, 종교적 권위가 확립되었고 노예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이 잦았으며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의 후손들이 군왕 보위를 세습하다 1883년 멸망했다.
  • 18세기 아프리카 - 테케 소왕국
    테케 소왕국은 안지쿠 지역에서 건국되어 콩고 왕국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으며, 은툼바 초의 후손이 왕위를 세습하다 1892년 멸망했다.
  • 18세기 아프리카 - 로앙고 왕국
    로앙고 왕국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현재의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앙골라 일부에 걸쳐 존재했던 국가로, 왕을 중심으로 정치, 종교적 권위가 확립되었고 노예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이 잦았으며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의 후손들이 군왕 보위를 세습하다 1883년 멸망했다.
  • 19세기 아프리카 - 스텔라랜드
    1882년 게리트 야코부스 판 니에르케르크가 세운 보어인 공화국 스텔라랜드는 '별의 땅'이라는 뜻으로 브리버그를 수도로 15,500km2의 면적을 차지했으나, 고센국과 합병 후 영국과의 갈등으로 1885년 영국령 베추아날란드에 병합되었다.
  • 19세기 아프리카 - 테케 소왕국
    테케 소왕국은 안지쿠 지역에서 건국되어 콩고 왕국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으며, 은툼바 초의 후손이 왕위를 세습하다 1892년 멸망했다.
로즈비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현지 이름로즈비
일반 명칭로즈비
상태왕국
정부 형태절대 군주제
역사
부투아 왕국 정복1660년
존속 기간1480년 ~ 1866년
이전 국가부투아 왕국
무타파 제국
계승 국가므트와카지
지도
로즈비 제국의 범위와 부트와 주변의 중심지를 보여주는 지도
로즈비 제국의 범위와 부트와 주변의 중심지를 보여주는 지도
수도다난곰베
공용어쇼나어 (칼랑가)
종교무시크교
통치자
직책창가미레
초대 창가미레창가미레 돔보 ()
마지막 창가미레창가미레 토웨치피 (1831년–1866년)
통계
연도1700년
면적240,000 제곱마일 (621,600 제곱킬로미터)
인구1,000,000명

2. 역사

로즈비 제국은 무타파 제국 아래에서 사람들이 독립된 권리를 부여받아 세워진 나라로, 줄루족 주도로 세워진 쿠마로 부족국과 비교되기도 한다. 무타파 제국은 점차 로즈비 제국에 대한 통제권을 잃어갔고, 로즈비 제국은 점점 더 독립적인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다수의 학자들은 로즈비 제국이 무타파 제국을 계승하지 않았다는 견해를 보인다.

많은 이야기와 로즈비 제국에 관한 신화들은 돔보를 치쿠라 와드옘뷰로 지칭한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를 다른 부족의 지도자들과 혼동한 것이라고 추정한다. 로즈비 제국의 지도자들로는 치리사 므후루와 치쿠요 치사마렝가 등이 거론된다.

2. 1. 초기 역사와 기원

1683년, 포르투갈 민병대가 아프리카 내륙의 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로즈비 제국을 침공했다. 그러나 창과 방패로 무장한 로즈비군은 포르투갈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고, 로즈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금광 지배권을 유지했다.[12] 당시 로즈비 제국은 창가미레 돔보와 그의 아들 캄브군 돔보가 이끌었으며, 현재의 짐바브웨 남서부에 위치한 부투아 왕국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로즈비족은 짐바브웨 고원을 지배했던 여러 쇼나 부족 국가들로부터 형성되었다. 그들은 포르투갈인들을 고원 중심부에서 몰아냈고, 이후 유럽인들은 동부 고원의 한 교역소에 명목상의 주둔만 유지했다.

창가미레는 현재의 짐바브웨 지역을 자신의 지배 아래 두면서, 로즈비 제국이라는 정치적 조직을 형성하였다. 로즈비 제국의 사람들은 강력한 전사 국가의 사람들, 로즈비 혹은 발로즈위 사람들이라 일컬여졌다.[13] 그들은 다낭곰베에 수도를 세웠다.

무타파 제국의 행정력은 제국 전체를 통제하는 데 실패하기 시작했고, 조공국들은 더 많은 독립성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구르우즈와 부족의 지도자였던 창가미레 돔보는 무타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이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려 하였을 때 창가미레 돔보가 이들에 대한 반란 활동을 주도하였다. 당시 로즈비 왕국의 영향권은 오늘날의 짐바브웨를 넘어서, 서쪽으로는 보츠와나, 남쪽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동부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당시 로즈비 제국의 지도자 창가미레 돔보는 원래 무타파 제국의 목동 출신으로, 포르투갈인들을 몰아냄으로써 지지자들과 추종자들을 거느리게 되었으며, 무타파 제국에서 지역을 분리하여 독립된 국가를 세울 수 있었다. 구전에 따르면 창가미레 돔보는 초자연적인 힘을 행사하였다고 한다. 그는 흰 소를 빨간색 소로 바꿀 수 있었다고 한다. 그의 초자연적인 능력은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창가미레를 존경하고 추종하는 세력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창가미레라는 이름은 그를 계승하는 모든 왕에게 부여되는 명예의 상징이었다.

2. 2. 창가미레 돔보와 제국의 확장

구르우스와 부족의 지도자 창가미레 돔보는 무타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이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려 하자, 창가미레 돔보는 이들에 대한 반란을 주도하였다.[12] 당시 로즈비 왕국의 영향권은 오늘날의 짐바브웨를 넘어서, 서쪽으로는 보츠와나, 남쪽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동부 지역까지 확장되었다.[13]

창가미레 돔보는 원래 무타파 제국의 목동 출신이었으나, 포르투갈인들을 몰아냄으로써 지지자들과 추종자들을 거느리게 되었으며, 무타파 제국에서 지역을 분리하여 독립된 국가를 세울 수 있었다. 구전에 따르면 창가미레 돔보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졌다고 한다. 그는 흰 소를 빨간색 소로 바꿀 수 있었다고 한다. 그의 초자연적인 능력은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창가미레를 존경하고 추종하는 세력들이 많아졌다. '창가미레'라는 이름은 그를 계승하는 모든 왕에게 부여되는 명예로운 칭호였다.[4]

2. 3. 정치 체제와 사회 구조

로즈비 제국의 행정 체계는 계급을 중시했다. 왕위는 남성에게만 기회가 주어졌고, 왕은 로즈비 제국에서 정치, 종교, 군사, 경제, 법, 사회적으로 가장 높은 결정권자이자 제국의 모든 토지를 주도적으로 분배하는 주체였다.[13] 왕은 제국을 자신이 임명한 주(州) 관리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와 함께 통치했는데, 위원회에는 왕비, 왕세자, 왕세자의 가장 고위 아내, 섭정, 종교 지도자, 군사 지휘관 및 고위직 신하들도 포함되었다.[13] 로즈비 제국은 오늘날 짐바브웨에서 세워진 국가들 중 가장 강력한 제국으로 기록된다.[13]

2. 4. 쇠퇴와 멸망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 로즈비 제국은 연방제 국가의 특성으로 인한 정치적 긴장, 내부 혁명, 바망와토의 공격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1795년 ~ 1800년, 1824년 ~ 1829년의 가뭄은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5] 포르투갈과의 무역 감소로 금 채굴 및 무역 전통이 쇠퇴하고 중앙 정부의 힘이 약해졌다.[5]

1830년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역에서 발생한 여러 사건으로 인한 응구니 부족들의 북쪽 이동과 침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음팡가, 응와나, 마세코, 즈왕겐다바의 공격은 격퇴되었지만 많은 피해를 입혔다. 스와지 여왕 니아마자나나의 공격으로 수도 마냥가가 함락되고 로즈비 맘보 치리삼후루가 살해되었다. 치리삼후루의 아들 토웨치피는 부헤라 지역으로 망명하여 로즈비 맘보의 지위를 유지했다.[6]

므질리카지는 토웨치피에게 복종을 요구했으나, 토웨치피는 거부하고 저항했다. 토웨치피는 1866년에 항복했으며,[7] 1873년경 사망하여 마방웨 언덕에 묻혔다.[8]

3. 경제와 기술

로즈비 제국의 경제는 소 사육, 농업, 금 채굴에 기반을 두었다. 수수와 기장을 재배했으며, 자급자족 농업에 크게 의존했다. 가축 사육은 중요했으며, 양, 염소, 소, 닭을 길렀다. 많은 가축을 소유한 사람들은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다. 광업은 주요 산업이었고 남성들이 담당했다. 내부 및 외부 무역은 중요했으며, 특히 아랍인 상인들과의 교역에서 상아, 구리, 금을 총, 소금, 구슬, 조개껍데기와 교환했다.

로즈비 왕들은 석조 건축 전통을 부활시켜 '짐바브웨'로 알려진 인상적인 도시들을 건설했다. 다색 도자기도 상징적이었다. 로즈비 군대는 창, 방패, 활과 화살로 무장한 정교한 군사 전략가였다. 19세기 줄루족 지도자 샤카가 채택하기 수년 전에 소뿔 대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4]

3. 1. 경제 기반

로즈비 제국의 경제는 소 사육, 농업, 금 채굴에 기반을 두었다. 수수와 기장 등의 작물을 재배했으며, 자급자족 농업에 크게 의존했다. 가축 사육이 중요했으며, 양, 염소, 소, 닭을 길렀다. 가축 소유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의미했다. 광업은 주요 산업이었으며 남성들이 담당했다. 내부 및 외부 무역은 중요했으며, 특히 아랍인 상인들과의 교역에서 상아, 구리, 금을 총, 소금, 구슬, 조개껍데기와 교환했다.[4]

3. 2. 무역

로즈비 제국은 소 사육, 농업, 금 채굴을 경제 기반으로 삼았고, 내부 및 외부 무역도 중요하게 여겼다. 특히 아랍인 상인들과 활발하게 교역했으며, 상아, 구리, 금을 주고 총, 소금, 구슬, 조개껍데기 등을 받았다.

3. 3. 기술

로즈비 왕들은 석조 건축 전통을 부활시켜 남서부 전역에 '짐바브웨'로 알려진 인상적인 도시들을 건설했다.[4] 다색 도자기도 상징적이었다.[4]

4. 군사

로즈비 군은 창, 방패, 활과 화살로 무장하였다. 포르투갈 기록에 따르면, 로즈비는 정교한 군사 전략가였다. 그들은 19세기에 위대한 줄루족 지도자 샤카가 채택하기 수년 전에 소뿔 대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했다.[4]

5. 역대 통치자

이름재위 기간
창가미레 1세~ 1494년
창가미레 2세1494년 ~ 1530년
창가미레 툼바레1530년경 ~ 1660년경
창가미레 돔보1695년 ~ 1720년
창가미레 자라레1695년경/1700년경
창가미레 네가모1700년경 ~ 1710년
치리사무루1712년경 ~ 1788년
창가미레 다파1790년경 ~ 1824년
창가미레 바스위1825년경
창가미레 치리사무루 2세1828년경 ~ 1836년
창가미레 토웨치피 자라레1838년 ~ 1866년



존 스튜어트의 《아프리카 국가와 통치자》(1989)에서 이름과 날짜를 가져옴.[9]

참조

[1] 서적 The Zimbabwe Culture: Origins and Decline of Southern Zambezian States Rowman & Littlefield - Altamira Press 2001
[2] 서적 Lost Lands and Forgotten People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1978
[3] 서적 A History of African Societies to 18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 뉴스 Rozvi http://www.britannic[...] 2007-05-09
[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Routledge 2013-07-04
[6] 논문 Ndebele raiders and Shona power 1974-10
[7] 논문 The Rozvi in Search of Their Past https://www.jstor.or[...] 1983
[8] 웹사이트 National Monuments Management Programme http://www.nmmz.co.z[...] 2022-07-29
[9]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10] 서적 The Zimbabwe Culture: Origins and Decline of Southern Zambezian States Rowman & Littlefield - Altamira Press 2001
[11] 웹사이트 The installation of the lozwi king at emawabeni https://www.sundayne[...]
[12] 서적 A History of African Societies to 18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3] 뉴스 Rozvi http://www.britannic[...] 2007-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