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스타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론 스타》는 1996년에 개봉한 영화로, 텍사스 국경 도시를 배경으로 인종, 세대, 문화 간의 경계를 탐구하며 역사 수정주의, 신화 만들기와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는 작품이다. 셰리프 샘 디즈가 아버지의 과거를 조사하면서 드러나는 가족의 비밀과 지역 사회의 갈등, 그리고 알라모 전투를 둘러싼 신화 해체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얽혀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존 세일즈 감독의 연출과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로 호평을 받았으며,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영화 - 그린 마일 (영화)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99년 영화 《그린 마일》은 1935년 루이지애나 교도소를 배경으로, 교도관 폴이 사형수 존 커피를 만나 그의 무죄를 의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존 커피의 초능력과 교도소 내 갈등, 폴의 삶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룬 감동과 긴장감을 주는 드라마이다. -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영화 - 미스 에이전트 2
《미스 에이전트 2》는 유명해진 FBI 요원 그레이시 하트가 대변인직을 맡게 되면서 미인 대회 우승자 납치 사건을 새로운 파트너 샘 풀러와 함께 라스베이거스에서 수사하며 FBI 내부 갈등, 미디어 영향력, 파트너십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이지만, 비평가들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았다. - 텍사스주에서 촬영한 영화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코맥 매카시의 소설을 원작으로 1980년 텍사스 서부를 배경으로 200만 달러를 훔친 사냥꾼과 그를 쫓는 살인마, 사건을 수사하는 보안관의 이야기를 그린 코엔 형제 연출의 2007년 개봉 영화이다. - 텍사스주에서 촬영한 영화 - 슈퍼 사이즈 미
모건 스퍼록 감독이 맥도날드 음식만 섭취하는 30일간의 실험을 통해 패스트푸드의 유해성과 사회적 영향을 고발하고 미국 사회의 비만 문제와 패스트푸드 업계의 책임을 규명하며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의 윤리적 문제를 제기하는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근친상간을 소재로 한 영화 - 록키 호러 픽쳐 쇼
《록키 호러 픽쳐 쇼》는 1975년 리처드 오브라이언의 록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트랜스베스타이트 과학자 프랭크-N-퍼터 박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기괴하고 섹슈얼한 이야기를 다루며, 심야 상영을 통해 컬트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하여 장기간 상영 기록과 코스프레, 관객 참여형 상영으로 유명하고 음악 또한 큰 인기를 얻었다. - 근친상간을 소재로 한 영화 - 올드보이
올드보이는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15년간 감금되었다 풀려난 오대수가 자신을 가둔 이우진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론 스타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드라마 미스터리 멜로/로맨스 |
감독 | 존 세일즈 |
제작 | R. 폴 밀러 매기 렌지 |
각본 | 존 세일즈 |
출연 | 론 캐나다 크리스 쿠퍼 클리프턴 제임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프랜시스 맥도먼드 조 모턴 엘리자베스 페냐 매튜 맥커너히 |
음악 | 메이슨 다링 |
촬영 | 스튜어트 드라이버그 |
편집 | 존 세일즈 |
제작사 |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컬럼비아 픽처스 리오 둘세 |
배급사 |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
개봉일 | 1996년 3월 14일 미국: 1996년 6월 21일 칸: 1996년 5월 10일 |
상영 시간 | 135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300만 ~ 500만 달러 |
흥행 수입 | 1300만 달러 |
2. 줄거리
텍사스 리오그란데 강변의 국경 마을 프론테라에서, 두 명의 비번 미국 육군 상사가 오래된 사격장에서 인간 해골과 함께 리오 카운티 보안관 배지, 그리고 .45 구경 권총 탄두를 발견한다. 현재 보안관인 샘 디즈는 이 사건의 조사를 시작한다. 법의학 분석 결과, 유골은 샘의 아버지 버디 디즈 이전에 보안관을 지냈던 악명 높고 부패했던 찰리 웨이드의 것으로 밝혀진다. 웨이드는 1957년, 카운티 자금 1만달러와 함께 의문스럽게 실종되었다. 샘의 아버지 버디는 웨이드의 부패에 맞서 그를 몰아낸 영웅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고, 이러한 명성 덕분에 보안관으로 선출될 수 있었다.
프론테라는 테하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국 원주민, 백인 등 다양한 인종이 섞여 사는 곳이지만, 인종 차별이 만연하며 백인이 더 이상 다수를 차지하지 않는 지역이다. 샘은 최근 사망한 아버지 버디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보안관직을 맡게 되었지만, 십 대 시절 아버지에게 반항심을 느끼고 마을을 떠났다가 2년 전에야 돌아왔다. 그는 마을 사람들이 아버지의 명성에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
마을에서는 버디의 이름을 따 법원을 확장하고 개명하려 하며, 새 교도소 건설이 제안된다. 샘은 시장 홀리스 포그(버디의 전 부관)나 지역 식당 주인 메르세데스 크루즈 같은 지역 유지들이 아버지의 명성을 이용해 사익을 추구한다고 의심한다. 샘은 십 대 시절 메르세데스의 딸 필라 크루즈와 사랑에 빠졌지만, 양쪽 부모의 강한 반대로 헤어져야 했다.
현재, 이혼한 샘과 과부가 된 필라(현재 지역 교사)는 우연히 다시 만나 관계를 시작한다. 하지만 이번에도 메르세데스는 강하게 반대하고, 필라는 어머니가 샘이 백인이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지역 미군 기지 사령관으로 델모어 페인 대령이 부임한다. 그는 지역 나이트클럽 주인이자 흑인 커뮤니티의 지도자인 오티스 "빅 오" 페인의 아들이다. 델모어는 어린 시절 아버지가 가족을 버렸다는 이유로 아버지와 오랫동안 소원하게 지냈다. 오티스의 클럽에서 기지 병사가 연루된 총격 사건이 발생하자(이 장면은 할아버지를 몰래 염탐하러 클럽에 숨어든 델모어의 아들이 목격한다), 델모어는 아버지를 찾아가 클럽을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하겠다고 위협한다. 오티스는 자신의 클럽이 흑인 병사들이 유일하게 환영받는 장소라고 반박한다.
샘은 처음부터 웨이드 실종에 대한 공식 발표를 믿지 않았다. 홀리스를 비롯한 지역 유지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는 30여 년 전 사건을 끈질기게 파헤쳐 웨이드 살해로 이어진 진실을 추적한다. 웨이드는 지역의 흑인 및 멕시코계 미국인 커뮤니티를 공포로 몰아넣으며 사업주들에게 돈을 갈취하고, 무고한 사람들을 함정에 빠뜨려 "체포 저항"을 빌미로 살해하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웨이드는 자신에게 뇌물을 바치지 않고 국경 너머로 사람들을 인신매매하던 메르세데스의 남편 엘라디오 크루즈를 부관 홀리스 앞에서 살해했다.
조사를 계속하던 샘은 아버지가 약 30년간 보안관으로 재임하며 숨겨왔던 비밀들을 발견한다. 버디 역시 부패했으며, 뇌물을 받고 개인적인 건설 프로젝트에 노동 교도소 수감자들을 동원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버디는 호수를 만들기 위해 작은 마을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고, 그 대가로 홀리스와 함께 호숫가 부지를 챙겼다. 또한, 샘은 버디의 옛 서류 상자에서 메르세데스가 버디에게 보낸 연애편지들을 발견하며 오랜 불륜 관계였음을 알게 된다.
마침내 샘은 홀리스와 오티스를 불러 웨이드 살해 사건에 대해 추궁한다. 웨이드는 오티스의 나이트클럽에서 비밀 도박장을 운영하는 것을 발견하고 분노하여 오티스에게 갈취한 돈을 요구했다. 웨이드가 오티스를 죽이려 하자, 부관이었던 홀리스가 웨이드를 총으로 쏘았고, 바로 그때 버디가 현장에 도착했다. 세 사람은 웨이드의 시신을 사격장에 묻고, 그의 실종을 위장하기 위해 카운티 자금 1만달러를 빼돌렸다. 그 돈은 남편 엘라디오를 잃고 궁핍해진 메르세데스에게 식당을 차리도록 주었다. 이후 버디와 메르세데스는 연인 관계가 되었다. 진실을 알게 된 샘은 웨이드 살해 사건을 덮기로 결정한다. 홀리스는 사람들이 버디가 보안관 자리를 위해 웨이드를 죽였다고 생각할까 봐 걱정하지만, 샘은 "'버디는 전설이야. 그는 감당할 수 있어.'"라고 답한다.
샘은 필라에게 버디와 메르세데스가 함께 있는 오래된 사진을 보여주며, 엘라디오가 필라가 태어나기 18개월 전에 사망했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이는 버디가 필라의 친아버지라는 충격적인 진실이었다. 오랜 기만과 그 결과에 두 사람 모두 충격을 받지만, 필라가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그들은 근친상간 관계임을 알면서도 만남을 이어가기로 결정한다.
2. 1. 주요 등장인물
- 샘 디즈 (크리스 쿠퍼 분): 프론테라의 현재 보안관이자 버디 디즈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명성에 가려진 채 살아가며 자신만의 길을 찾으려 노력한다. 마을에서 발견된 유골이 악명 높았던 전임 보안관 찰리 웨이드의 것임을 알게 되면서, 아버지 세대의 숨겨진 비밀과 찰리 웨이드 살인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십대 시절 필라 크루즈와 사랑하는 사이였으나 양쪽 부모의 반대로 헤어졌고, 현재 다시 만나 관계를 이어간다.
- 버디 디즈 (매튜 매커너히 분): 샘의 아버지이자 프론테라의 전설적인 전임 보안관. 부패한 찰리 웨이드를 몰아낸 영웅으로 존경받지만, 실제로는 뇌물 수수, 노동 교도소 착취 등 어두운 과거를 숨기고 있다. 메르세데스 크루즈와 오랜 불륜 관계였으며, 그녀의 딸 필라 크루즈의 친아버지라는 사실이 영화 후반부에 밝혀진다.
- 찰리 웨이드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분): 버디 디즈 이전의 악명 높은 부패 보안관. 인종차별과 폭력으로 프론테라의 멕시코계 미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를 공포에 떨게 했으며, 주민들에게서 돈을 갈취하고 살인을 일삼았다. 1957년 거액의 공금과 함께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홀리스 포그와 오티스 페인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유골이 발견되면서 영화의 사건이 시작된다.
- 필라 크루즈 (엘리자베스 페냐 분): 샘의 오랜 연인이자 지역 학교 교사. 멕시코계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어머니 메르세데스 크루즈와의 관계, 그리고 샘과의 사랑 사이에서 고민한다. 어머니가 샘과의 관계를 반대하는 이유를 인종 문제로 생각했지만, 나중에 자신이 버디 디즈의 딸이라는 충격적인 가족의 비밀을 알게 된다. 샘과 근친상간 관계임을 알면서도 관계를 지속하기로 한다.
- 메르세데스 크루즈 (미리암 콜론 분): 필라 크루즈의 어머니이자 지역 식당 주인. 과거 버디 디즈와 불륜 관계였으며, 남편 엘라디오 크루즈가 찰리 웨이드에게 살해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버디, 홀리스 포그, 오티스 페인이 찰리 웨이드에게서 빼앗은 돈으로 식당을 열 수 있었다. 딸 필라와 샘의 관계를 과거부터 현재까지 강하게 반대한다.
- 홀리스 포그 (클리프턴 제임스 분): 프론테라의 현 시장이자 버디 디즈의 부관이었던 인물. 버디의 명성을 이용해 지역 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 한다. 과거 찰리 웨이드의 악행을 지켜봤으며, 웨이드가 오티스 페인을 죽이려 하자 그를 총으로 쏘아 살해했다. 이후 버디, 오티스와 함께 웨이드의 시신을 유기하고 사건을 은폐했다.
- 오티스 "빅 오" 페인 (론 캐나다 분): 지역 나이트클럽 주인이자 프론테라 흑인 커뮤니티의 리더. 과거 찰리 웨이드에게 갈취당하고 살해 위협을 받았으나, 홀리스 포그와 버디 디즈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 찰리 웨이드 살인 사건의 은폐에 가담했으며, 아들 델모어 페인과는 과거의 가정 문제로 인해 갈등 관계에 있다. 그의 클럽은 흑인 병사들이 유일하게 환영받는 장소이다.
- 델모어 페인 (조 모튼 분): 오티스 페인의 아들이자 지역 미군 기지의 사령관인 대령. 어린 시절 아버지가 가족을 버린 일 때문에 아버지와 오랫동안 소원하게 지냈다. 아버지의 클럽에서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오티스와 대립하며 클럽을 "출입 금지" 구역으로 만들겠다고 위협한다.
3. 주제
이 영화는 다양한 주제를 복합적으로 엮어내며, 특히 '경계'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4][5] 영화의 배경인 텍사스의 국경 도시 프론테라(스페인어로 "경계"를 의미[11])는 멕시코-미국 국경이라는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앵글로, 흑인, 테하노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인종 및 문화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장벽들을 상징한다. 영화는 이러한 문자적, 비유적 경계들을 넘나드는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경계의 의미를 탐구하고 해체하려 시도한다.[11][5]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아우르는 서사를 통해,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에 어떻게 복잡하게 얽혀 있는지를 보여준다. 각 공동체 내부와 공동체 간의 미묘한 차이와 복합적인 정체성 문제 또한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11][6][7]
"선한 사람"과 "나쁜 사람"을 나누는 도덕적 경계 역시 주요 탐구 대상이다. 주인공 샘 디즈는 존경받는 보안관이었던 아버지 버디를 둘러싼 신화[8] 이면의 진실을 파헤치면서, 인물의 단순한 선악 구도를 넘어선 복잡한 인간상을 마주하게 된다.[8] 세대 간의 갈등과 이해, 그리고 가족 내에 숨겨진 비밀과 화해의 과정 역시 중요한 축을 이룬다.[9]
또한, 영화는 역사 수정주의와 신화 만들기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텍사스 역사, 그중에서도 알라모 전투와 같은 사건이 어떻게 특정 집단의 관점에서 영웅적으로 각색되고, 소수자들의 기여는 어떻게 배제되는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다.[11] 감독 존 세일스는 미국 문화가 본래 다문화적이었음에도 지배적인 문화가 역사를 독점해왔음을 지적하며, 이러한 신화 해체를 영화의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10][8] 영화의 마지막 대사인 "알라모를 잊어라"는 이러한 역사적 신화와 인물들을 옭아매는 과거의 장벽들로부터 벗어나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11]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 속 역사 교육 논쟁 장면이 오늘날 미국 사회의 비판적 인종 이론을 둘러싼 논쟁을 예견한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1][12] 이는 영화가 다루는 주제들이 과거의 문제일 뿐 아니라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 사회적 쟁점들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13]
3. 1. 경계
이 영화는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 모두에서 '경계'라는 개념을 탐구하고 해체한다.[4][5] 영화의 배경은 텍사스의 국경 도시인 프론테라인데, 이 도시 이름 자체가 스페인어로 "경계"를 의미한다.[11] 이곳은 멕시코-미국 국경에 위치하며, 영화는 메르세데스와 엘라디오가 멕시코에서 텍사스로 국경을 넘는 것과 같은 문자적인 월경(越境)과 함께, 인종적, 세대적, 문화적 의미에서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묘사한다.[11][5]프론테라에는 앵글로계, 아프리카계 미국인, 테하노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인종 및 문화 집단 사이에 보이지 않는 장벽, 즉 인종 차별이 존재한다. 영화는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에 어떻게 서로 얽혀 있는지를 보여주며, 특정 공동체 내부와 공동체 간의 미묘한 차이와 다양성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흑인 커뮤니티의 지도자인 오티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면서 동시에 원주민의 후손이기도 하다.[11] 필라는 자신이 완전한 테하노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백인의 피가 섞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테하노 커뮤니티 자체도 멕시코, 치카노, 멕시코계 미국인, 스페인, 히스파노, 미국 및 원주민 등 다양한 조상을 가진 복합적인 집단으로 그려진다.[6] 멕시코에서 온 이민자인 메르세데스조차 수년간 자신의 뿌리를 외면하고 스스로를 "스페인 사람"으로 여기며 다른 멕시코 이민자들을 업신여기는 모습을 보인다.[11][7]
"선한 사람"과 "나쁜 사람"을 나누는 도덕적 경계 역시 복잡하게 그려진다. 주인공 샘은 존경받는 보안관이었던 아버지 버디 디즈를 둘러싼 과장된 신화[8] 이면에 감춰진 부패와 부도덕한 거래의 진실을 파헤치면서, 아버지가 자신이 경멸했던 만큼 전적으로 나쁘지도 않았고, 동시에 사람들이 떠받드는 전설만큼 완벽하게 선하지도 않았음을 깨닫는다.[8] 샘과 아버지 버디, 오티스와 아들 델모어, 메르세데스와 딸 필라를 갈라놓았던 세대 간의 경계는 등장인물들이 부모 세대에 대한 숨겨진 진실을 알게 되고 서로의 상처를 이해하면서 점차 허물어진다.[9]
영화는 또한 역사 수정주의, 신화 만들기,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신화가 어떻게 불편한 진실을 가리는 데 이용되는지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누가 역사를 해석할 권리를 가지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버디 디즈라는 인물에 대한 상반된 평가와, 고등학교 교실에서 교사와 학부모들이 어떤 버전의 텍사스 역사를 가르쳐야 하는지를 두고 논쟁하는 장면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예를 들어, 알라모 전투의 역사 기록에서는 데비 크로켓이나 짐 보위 같은 앵글로계 인물들의 영웅적 행위는 찬양받는 반면, 멕시코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여는 종종 무시되거나 주변부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11] 감독 존 세일스는 "론 스타가 말하고자 하는 것 중 하나는 미국 문화가 항상 여러 문화의 혼합체였다는 점"이라며, "하지만 많은 곳에서 지배적인 문화가 역사를 쓰게 된다"고 지적하며 영화가 역사 수정주의 개념을 다루기를 원했다고 밝혔다.[10][8]
신화의 해체라는 주제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인 "알라모를 잊어라(Forget the Alamo)"에 집약되어 있다. 이는 알라모 전투에서 텍사스인들이 멕시코군에게 패배한 것을 기리는 유명한 구호인 "알라모를 기억하라(Remember the Alamo)"를 정면으로 뒤집는 것이다. 이 대사는 알라모 이야기 뒤에 숨겨진 신화 만들기와 더불어, 샘과 필라를 갈라놓았던 인종적 장벽과 근친상간이라는 혈연적 장벽마저 해체하려는 의지를 상징한다.[11] 크리테리온 채널의 도미노 르네 페레즈는 "알라모는 역사적 장소이자 상징으로서 텍사스 신화 만들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세일스의 영화는 신화를 세우기보다는 버디 디즈의 신화 뒤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을 드러내는 데 더 가깝다. 필라와 샘이 '잊으려는' 결심은 그 어떤 역사에도 얽매이지 않는 그들만의 미래를 쓰려고 시도하면서 그 유산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11]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 초반, 교실에서 학부모들이 교사에게 역사 교육 방식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장면이 오늘날 미국의 정치 환경, 특히 비판적 인종 이론을 둘러싼 논쟁과 관련하여 놀라운 선견지명을 보여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1][12] 실제로 2021년 텍사스 주는 학생들이 미국 문화 및 역사와 관련하여 인종 및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 배우는 방식과 범위를 제한하는 법률(텍사스 하원 법안 3979)을 통과시킨 바 있다.[13]
3. 2. 역사 수정주의와 신화 만들기
영화의 다른 주제로는 역사 수정주의, 신화 만들기, 그리고 신화가 어떻게 불편한 진실을 가리는 데 사용되는지 등이 있다. 누가 역사를 해석할 수 있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버디 디즈에 대한 상반된 이야기, 그리고 부모와 교사가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텍사스 역사의 적절한 버전에 대해 논쟁하는 교실 장면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알라모 전투의 역사적 기록에서는 데비 크로켓과 짐 보위와 같은 앵글로 인물들의 영웅적인 행위가 종종 찬사를 받는 반면, 멕시코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헌은 주변부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다.[11] 감독 존 세일스는 영화가 역사 수정주의라는 개념을 다루기를 원했다고 말하며 "제게 있어 '론 스타'가 말하고자 하는 것 중 하나는, 미국 문화가 항상, 항상 여러 문화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곳에서 지배적인 문화가 역사를 쓰게 됩니다."라고 언급했다.[10][8]신화의 해체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인 "알라모를 잊어라"에 담겨 있다. "알라모를 기억하라"는 알라모 전투에서 텍사스인들이 멕시코인들에게 패배한 것을 기리는 유명한 전투 구호이다. "잊어라"라는 대사는 알라모 이야기 뒤에 숨겨진 신화 만들기와 필라와 샘을 분리하는 장벽, 즉 인종적 장벽과 혈연적 장벽을 해체하려는 의지를 나타낸다.[11] 크리테리온 채널의 에세이에서 도미노 르네 페레즈는 "알라모는 역사적 장소이자 상징으로서 텍사스 신화 만들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세일스의 영화는 신화를 세우기보다는 신화, 즉 버디 디즈의 신화 뒤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을 드러내는 데 더 가깝습니다. 필라와 샘이 잊으려는 결심은 그 어떤 역사에도 얽매이지 않는 그들만의 미래를 쓰려고 시도하면서 그 유산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분석했다.[11]
작가들은 부모들이 교사에게 도전하는 영화 초반의 교실 장면이 현대 정치 환경과 비판적 인종 이론에 대한 논란과 관련하여 선견지명이 있는 의미를 갖는다고 언급했다.[11][12] 2021년, 텍사스주는 학생들이 미국 문화 및 역사와 관련하여 인종 및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 배우는 방식과 범위를 제한하는 법률을 통과시키기도 했다.[13]
3. 3. 인종 갈등과 화해
리오그란데강 유역의 텍사스 국경 마을인 프론테라는 테야노,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국 원주민, 백인 등 다양한 인종 집단이 섞여 살지만, 백인이 더 이상 다수가 아닌 상황 속에서 인종 차별이 만연한 곳이다.[11][5] 이 영화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여러 인종 및 문화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과 갈등, 그리고 화해의 가능성을 탐구한다.과거 보안관이었던 찰리 웨이드는 지역의 흑인 및 멕시코 커뮤니티를 공포에 떨게 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사업주들에게 돈을 갈취하고, 무고한 이들을 함정에 빠뜨려 "체포 저항"이라는 명목으로 살해하는 등 잔혹한 인종차별적 폭력을 행사했다. 웨이드에게 뇌물을 주지 않고 인신매매를 하던 멕시코계 인물 엘라디오 크루즈를 살해한 사건은 그의 악랄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웨이드의 뒤를 이은 버디 디즈는 겉으로는 존경받는 인물이었지만, 그의 시대 역시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가 존재했다. 그는 노동 교도소를 개인적인 건설 프로젝트에 이용하고, 특정 커뮤니티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는 등 권력을 남용한 사실이 드러난다.[8] 이는 겉으로 보이는 영웅적인 모습 뒤에 숨겨진 추악한 진실과 권력의 부패를 보여준다.
인종 간의 갈등은 개인적인 관계에도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 주인공 샘 디즈와 멕시코계 미국인 필라의 사랑은 과거 버디와 필라의 어머니 메르세데스에 의해 강하게 반대받았으며, 현재에도 메르세데스는 샘이 백인이라는 이유로 그들의 관계를 완강히 반대한다. 또한, 흑인 커뮤니티의 중심인물인 오티스 페인의 아들이자 미군 대령인 델모어 페인은 아버지의 클럽에서 벌어진 사건을 계기로 갈등하며, 오티스는 자신의 클럽이 흑인 병사들이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임을 항변한다.
영화는 문자적, 비유적 의미에서의 '경계'라는 개념을 해체하려 시도한다.[4][5] 멕시코-미국 국경이라는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프론테라 내부에 존재하는 앵글로, 흑인, 테야노 커뮤니티 간의 인종적, 문화적 장벽을 보여준다.[11] 메르세데스와 엘라디오처럼 국경을 넘는 이들의 모습과 함께, 인종, 세대, 문화를 넘나드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경계의 의미를 탐구한다.[11][5]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아우르는 서사를 통해,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에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보여준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면서 동시에 미국 흑인 원주민의 후손인 오티스[11], 자신이 테야노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백인 혼혈임을 알게 되는 필라[6], 멕시코 이민자이면서도 그 유산을 부정하고 다른 멕시코 이민자들을 경시하는 메르세데스[11][7] 등 인물들의 복잡한 정체성은 공동체 내외부의 미묘한 차이와 경계를 드러낸다.
선과 악의 경계 역시 모호해진다. 샘은 아버지 버디를 둘러싼 신화를 파헤치면서 그가 단순한 영웅도, 절대적인 악당도 아니었음을 깨닫는다.[8] 샘과 버디, 오티스와 델모어, 메르세데스와 필라 사이의 세대 간 갈등과 장벽은 부모 세대에 대한 진실이 밝혀지고 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점차 허물어진다.[9]
다른 주제로는 역사 수정주의, 신화 만들기, 그리고 신화가 불편한 진실을 가리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등이 있다. 누가 역사를 해석할 수 있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버디에 대한 상반된 이야기, 그리고 부모와 교사가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텍사스 역사의 적절한 버전에 대해 논쟁하는 교실 장면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알라모 전투의 역사적 기록에서, 데비 크로켓과 짐 보위와 같은 앵글로 인물들의 영웅적인 행위가 종종 찬사를 받는 반면, 멕시코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헌은 주변부로 밀려난다.[11] 감독 존 세일스는 영화가 역사 수정주의라는 개념을 다루기를 원한다고 말하면서 "제게 있어 '론 스타'가 말하고자 하는 것 중 하나는, 미국 문화가 항상, 항상 여러 문화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곳에서 지배적인 문화가 역사를 쓰게 됩니다."라고 언급했다.[10][8]
신화의 해체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 "알라모를 잊어라"에 담겨 있다. "알라모를 기억하라"는 알라모 전투에서 텍사스인들이 멕시코인들에게 패배한 것을 기리는 유명한 전투 구호이다. "잊어라"라는 대사는 알라모 이야기 뒤에 숨겨진 신화 만들기와 필라와 샘을 분리하는 장벽, 즉 인종적 장벽과 혈연적 장벽을 해체한다.[11] 크리테리온 채널의 에세이에서 도미노 르네 페레즈는 "알라모는 역사적 장소이자 상징으로서 텍사스 신화 만들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세일스의 영화는 신화를 세우기보다는 신화, 즉 버디 디즈의 신화 뒤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을 드러내는 데 더 가깝습니다. 필라와 샘이 잊으려는 결심은 그 어떤 역사에도 얽매이지 않는 그들만의 미래를 쓰려고 시도하면서 그 유산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적었다.[11]
작가들은 부모들이 교사에게 도전하는 오프닝 교실 장면이 현대 정치 환경과 비판적 인종 이론에 대한 논란과 관련하여 선견지명이 있는 의미를 갖는다고 언급했다.[11][12] 2021년, 텍사스는 학생들이 미국 문화 및 역사와 관련하여 인종 및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 배우는 방식과 범위를 제한하는 텍사스 하원 법안 3979를 통과시켰다.[13]
3. 4. 가족의 비밀과 화해
영화의 중심에는 여러 가족 관계와 그 안에 숨겨진 비밀, 그리고 이로 인한 갈등과 화해의 과정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주인공 샘 디즈와 그의 아버지 버디 디즈, 오티스 페인과 그의 아들 델모어 페인 대령, 그리고 메르세데스 크루즈와 그녀의 딸 필라 사이의 관계가 중요하게 다뤄진다.샘 디즈는 아버지 버디가 사망한 후 고향 프론테라의 보안관으로 부임하지만, 십 대 시절 폭군 같았던 아버지에 대한 혐오감으로 인해 오랫동안 마을을 떠나 있었다. 그는 마을 사람들이 아버지 버디를 영웅처럼 떠받드는 것에 대해 냉소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버디의 이름으로 추진되는 지역 사업에도 회의적이다. 샘은 과거 십 대 시절 필라와 사랑에 빠졌으나, 아버지 버디와 필라의 어머니 메르세데스의 강한 반대로 헤어져야 했다. 현재 다시 만난 샘과 필라는 서로에게 남은 감정을 확인하고 관계를 다시 시작하려 하지만, 여전히 메르세데스의 반대에 부딪힌다. 필라는 메르세데스가 샘이 백인이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지역 군사 기지 사령관으로 부임한 델모어 페인 대령은 어린 시절 자신과 어머니를 버리고 바람을 피웠던 아버지 오티스 페인과 오랫동안 소원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오티스가 운영하는 나이트클럽에서 소속 병사가 연루된 총격 사건이 발생하자, 델모어는 아버지를 찾아가 그의 업소를 "출입 금지" 구역으로 만들겠다고 위협하며 오랜 갈등이 표면화된다. 오티스는 자신의 업소가 흑인 병사들이 유일하게 환영받는 곳이라고 항변한다.
샘은 오래된 사격장에서 발견된 유골이 아버지의 전임자이자 악명 높았던 보안관 찰리 웨이드의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1957년 웨이드의 실종 사건을 재조사하기 시작한다. 당시 웨이드는 카운티 자금 1만달러과 함께 사라졌으며, 사람들은 버디가 부패한 웨이드에 맞서 그를 몰아냈다고 믿어왔다. 그러나 샘은 조사를 통해 웨이드가 지역 흑인 및 멕시코 커뮤니티를 공포에 떨게 하고, 갈취와 살인을 일삼았으며, 메르세데스의 남편 엘라디오 크루즈를 살해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웨이드는 사업주들로부터 돈을 갈취하고 희생자들을 함정에 빠뜨려 "체포 저항"을 이유로 총살하는 등 수많은 살인을 저질렀다.
더 나아가 샘은 아버지 버디 역시 깨끗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버디는 오랜 기간 보안관으로 재임하며 부패와 뇌물 수수, 노동 교도소를 이용한 사적 이익 추구 등 숨겨진 비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버디의 오랜 정부가 메르세데스 크루즈였다는 사실도 밝혀진다.
샘은 결국 웨이드 살해의 진실을 알게 된다. 웨이드가 오티스를 살해하려던 순간, 당시 부보안관이었던 홀리스 포그가 웨이드를 총으로 쏘았고, 버디가 이를 목격하고 사건을 은폐했다. 그들은 웨이드가 가져간 것으로 알려진 1만달러을 실제로는 자신들이 챙겨, 남편을 잃고 궁핍해진 메르세데스에게 식당을 차릴 자금으로 주었다. 버디와 메르세데스는 이후 연인 관계가 되었다. 샘은 이 모든 진실을 알게 된 후, 웨이드의 살해 사건을 미결로 남겨두기로 결정하며 "버디는 빌어먹을 전설이야; 그는 그걸 처리할 수 있어."라고 말한다.
가장 충격적인 비밀은 필라의 출생과 관련되어 있다. 샘은 버디와 메르세데스가 함께 찍은 오래된 사진을 필라에게 보여주며, 필라의 법적 아버지인 엘라디오 크루즈가 필라가 태어나기 18개월 전에 사망했음을 지적한다. 이는 버디가 필라의 생부임을 의미하며, 샘과 필라는 이복남매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오랜 시간 이어진 속임수와 그 결과에 충격을 받지만, 필라가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두 사람은 근친상간 관계임을 인지하면서도 로맨틱한 관계를 지속하기로 결정한다.[9]
이러한 가족들의 비밀과 화해 과정은 영화의 주요 주제인 경계의 해체와 연결된다. 샘과 버디, 오티스와 델모어, 메르세데스와 필라를 나누던 세대 간의 경계는 등장인물들이 부모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되고 긴장된 관계를 회복하려 노력하면서 점차 허물어진다.[9] 또한, "선한 사람" 버디의 신화 뒤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이 드러나면서 도덕적 경계 역시 복잡해진다.[8] 샘은 자신이 경멸했던 아버지가 생각했던 것만큼 전적으로 나쁘지도, 사람들이 믿는 전설만큼 완벽하게 선하지도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아버지에 대한 이해에 도달한다.[8]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샘과 필라가 "알라모를 잊어라"고 말하는 것은, 과거의 신화와 역사의 무게, 그리고 그들을 갈라놓았던 인종적, 혈연적 장벽에서 벗어나 그들만의 미래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상징한다.[11]
4. 제작
존 세일스 감독은 과거 텍사스 국경 지역 방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이 영화를 기획했다.[14] 주요 촬영은 텍사스 남서부 국경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15] 특히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장면 전환에서 독특한 패닝 기법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5][12][14] 영화의 음악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지역의 다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17]
4. 1. 기획
존 세일스는 1978년 이전에 자신이 각본을 쓴 영화에 카메오로 출연하기 위해 텍사스 국경 지역을 방문했다. 이후 샌안토니오에서 앨라모를 방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텍사스 국경에 관한 영화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되었다. 그는 이 영화가 "웨스턴의 요소가 있지만, 탐정 소설에 더 가까웠다"고 설명했으며, 이 각본은 "내가 각본을 쓰고 즉시 제작 자금을 지원받은 드문 경우 중 하나였다"고 언급했다.[14]4. 2. 캐스팅
- 크리스 쿠퍼 - 셰리프 샘 디즈 역
- 테이 스트라선 - 어린 샘 디즈 역
- 엘리자베스 페냐 - 필라 크루즈 역
- 바네사 마르티네즈 - 어린 필라 크루즈 역
-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 찰리 웨이드 역
- 클리프턴 제임스 - 호리스 포그 시장 역
- 제프 모나한 - 어린 호리스 포그 역
- 미리암 콜론 - 메르세데스 크루즈 역
- 아젤리아 멘데스 - 어린 메르세데스 크루즈 역
- 조 모턴 - 델모어 "델" 페인 대령 역
- 론 캐나다 - 오티스 페인 역
- 가브리엘 카세우스 - 어린 오티스 페인 역
- 매튜 매커너히 - 버디 디즈 역
- 프랜시스 맥도먼드 - 바니 역
- 토니 플라나 - 레이 역
- 제시 보리고 - 대니 역
- 리처드 코카 - 엔리케 역
- 카르멘 드 라발라데 - 캐롤린 역
- 스티븐 멘딜로 - 클리프 역
- 토니 아먼돌라 - 추초 몬토야 역
- 제임스 보리고 - 어린 추초 몬토야 역
- 라타냐 리처드슨 - 프리실라 워스 역
- 고든 투투시스 - 웨슬리 버드송 역
- 비아트리스 빈데 - 미니 블레드소 역
- 찬드라 윌슨 - 아테나 역
- 레오 버메스터 - 코디 역
세일즈는 《론 스타》 이전에 리처드 링클레이터의 《청춘 영화》에서 가장 큰 역할을 맡았던 신인 매튜 매커너히를 주요 배역으로 캐스팅했다. 그는 "크리스 크리스토퍼슨과 연기할 만한 존재감을 지녔지만, 스타로서의 무게감은 없는 배우가 필요했다."[14]
4. 3. 촬영
촬영은 텍사스 남서부와 리우그란데강을 따라 주로 델리오, 이글 패스, 라레도 마을에서 현지 촬영으로 진행되었다.[15]감독 존 세일스는 과거 회상 장면에서 현재 장면으로 시각적으로 전환할 때 일반적인 컷 편집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패닝 기법을 활용하여 하나의 카메라 숏 안에서 장면 전환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연출했다.[5][12][14] 이를 통해 장면 전환이 "마치 시간이나 [강]처럼 흐르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의도했다.[16] 예를 들어, 현재 시점의 샘이 과거 피날과 함께 거닐었던 바로 그 장소에서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이 있다. 이 장면에서 카메라는 현재의 샘을 비추다가 같은 장소에서 패닝하여 23년 전, 15세였던 자신과 14세였던 필라 사이에 벌어졌던 과거의 모습을 보여준다.[16]
4. 4. 음악
사운드트랙은 주크 조인트 음악, 콘unto, 컨트리 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여 리오 카운티의 문화적 용광로를 강조한다.[17]5. 평가
영화 《론 스타》는 개봉 이후 상업적 성공과 함께 비평가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추정 제작비 300만달러~450만달러로 만들어져 북미에서 1300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기록하며 제작비 대비 준수한 성과를 거두었다.[2][8]
비평적으로는 존 세일즈 감독의 섬세한 각본과 연출,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 그리고 텍사스-멕시코 국경 지역을 배경으로 인종, 역사, 정체성 등 복잡한 사회적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 점이 특히 호평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높은 신선도를 기록했으며,[19] 로저 이버트를 비롯한 여러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세일즈 감독의 대표작이자 1990년대 미국 독립 영화의 중요한 성취로 평가했다.[24]
이러한 작품성을 인정받아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르는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거나 후보로 지명되었다.[30] 특히 각본과 배우 엘리자베스 페냐의 연기는 다수의 상을 통해 주목받았다.[34][35]
5. 1. 박스 오피스
추정 예산 300만달러~450만달러로 제작되었으며, 1996년 6월 21일 북미 극장 개봉을 통해 최종적으로 1300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기록했다.[2][8]5. 2. 비평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4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신선도 91%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8.6점이다. 사이트의 평가 요약은 "영리하고 흡입력 있는, ''론 스타''는 작가 겸 감독 존 세일즈에게, 그리고 90년대 독립 영화 전반에 있어 경력의 정점을 보여준다."이다.[19] 메타크리틱에서는 22명의 평론가로부터 100점 만점에 78점을 받아 "대체적으로 호평"을 받았다.[20]개봉 당시 ''뉴욕 타임스''의 자넷 매슬린은 영화의 분위기와 연기를 높이 평가하며 "간결하고 의미 있는 만남으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세일즈의 영화에서 항상 기대할 수 있는 훌륭하고 사려 깊은 연기가 많이 담겨 있다"고 썼다.[21] 매슬린은 특히 크리스토퍼슨, 캐나다, 제임스, 모턴, 콜론의 연기를 언급하며 "영화 속 모든 등장인물들은 살아 숨 쉬는 인물들이다"라고 덧붙였다.[21]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투란은 이 영화의 성공 요인이 "스릴러 형식이 제공하는 긴장감과 서사적 추진력과 세일즈의 [사회적] 관심사를 얼마나 잘 통합하는가에 있다"고 썼다.[22] 시네아스트의 영화 평론가 데니스 웨스트와 조앤 M. 웨스트는 "''론 스타''는 국경과 매우 가까이에서 생활한 결과, 프론테라의 많은 시민들이 직면한 개인적인 심리적 경계를 놀랍도록 묘사한다"고 칭찬했다.[23]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만점인 별 4개를 주며 극찬했다. 그는 ''론 스타''를 "위대한 미국 영화"이자 "우리가 현재 어떻게 살고 있는지 열린 눈으로 진지하게 바라보려고 시도하는 몇 안 되는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또한 영화가 치카노, 흑인, 백인, 인디언 등 다양한 인종이 공존하는 마을을 배경으로 그들의 공통된 역사와 관계를 깊이 있게 보여주며, 세일즈의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24]
당시 ''오스틴 아메리칸-스테이츠맨''에 글을 썼던 앤 혼데이는 이 영화를 "엄청난 스케일과 예리한 통찰력의 작품"이자 "[세일즈]의 17년간의 경력 중 가장 훌륭한 영화"라고 평가했다.[25] ''워싱턴 포스트''의 작가 할 힌슨은 "신중하게 제작된, 거침없는 문학적 성과"라고 묘사했다.[26]
2004년, ''시애틀 포스트-인텔리전서''의 윌리엄 아놀드는 이 영화가 "세일즈의 걸작으로 널리 여겨진다"며, "차이나타운이 70년대를 성공적으로 포착했던 것처럼 90년대의 시대정신을 포착했다"고 선언했다.[27]
2020년, 앤 혼데이는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역대 최고의 정치 영화 34편" 목록에서 ''론 스타''를 10위로 선정했다.[28] 그녀는 이 영화를 세일즈의 대표작으로 꼽으며, "텍사스-멕시코 국경을 배경으로 한, 동시에 서사적이고 섬세하게 그려진 세대 간, 시간 이동 살인 미스터리인 '론 스타'는 역사, 서사, 권력의 조류 변화를 인종과 이민이라는 렌즈를 통해 심문하지만, 그 복잡성을 희생하지는 않는다. 처음 나왔을 때 시의적절했고, 오늘날에는 그 어느 때보다 더 적절하게 느껴진다"고 쓰며 영화의 현재적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28]
2024년, 새로운 4K 복원판 재개봉에 맞춰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에 별 다섯 개 만점을 주며 "사려 깊고 복잡하며 성숙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영화를 쿠엔틴 타란티노나 코엔 형제의 스타일과는 다른, "90년대 할리우드의 과소평가된 독립 영화 제작과 신화 제작의 흐름"이라고 불렀다.[29]
5. 3. 수상
이 영화는 존 세일스의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30] 또한 벨기에 영화 평론가 협회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으며,[31] 텍사스 영화 평론가 협회상에서 최우수 감독상과 최우수 각본상을 받았다. 각본은 미국 작가 조합상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각본상,[32]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 후보에도 올랐다.[33]배우 엘리자베스 페냐는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조연상[34]과 장편 영화 부문에서 뛰어난 여배우에게 수여되는 BRAVO상을 수상했다.[35] 이 외에도 영화는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남우주연상 (크리스 쿠퍼),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작품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각본상 등 3개 부문 후보에 지명되었다.[34]
2008년에는 미국 영화 연구소의 AFI's 10 Top 10 목록에서 서부 영화 부문 후보로 선정되기도 했다.[36]
6. 홈 미디어
2023년, 크리테리온 컬렉션은 세일즈와 촬영 감독 스튜어트 드라이버그의 감수를 거쳐 ''론 스타''의 4K 디지털 복원판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37] 이 복원판은 2024년 1월 16일에 블루레이 디스크로 출시되었다. 이 특별판에는 드라이버그와의 새로운 인터뷰와 세일즈와 영화 제작자 그레고리 나바의 대담이 포함되어 있다.[9]
참조
[1]
서적
John Sayles: An Unauthorized Biography of the Pioneer Indy Filmmaker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0-05-19
[2]
웹사이트
Lone Star (1996)
https://www.the-numb[...]
2018-04-19
[3]
웹사이트
Interviews with Cast and Director of Lone Star (1996)
https://texasarchive[...]
2019-11-17
[4]
뉴스
Borders dissolve in the Texas classic, 'Lone Star
https://www.tpr.org/[...]
2024-07-16
[5]
뉴스
Director John Sayles on the Making of 'Lone Star'
https://texashighway[...]
2024-07-16
[6]
웹사이트
Understanding and Celebrating Tejano History
https://liberalarts.[...]
Texas A&M University
2024-07-16
[7]
웹사이트
The Women of Lone Star
https://citedatthecr[...]
2024-07-16
[8]
웹사이트
Borderlines
https://filmmakermag[...]
The Gotham Film & Media Institute
2023-12-15
[9]
웹사이트
Lone Star
https://www.criterio[...]
2023-12-15
[10]
웹사이트
John Sayles interviewed for "Lone Star"
https://www.artsbeat[...]
2024-07-16
[11]
웹사이트
''Lone Star'': Past Is Present
https://www.criterio[...]
2024-07-16
[12]
뉴스
Interview: John Sayles on Capturing Past and Present in ''Lone Star''
https://www.slantmag[...]
2024-07-16
[13]
뉴스
Republican bill that limits how race, slavery and history are taught in Texas schools becomes law
https://www.texastri[...]
2024-07-16
[14]
뉴스
'I recently went back to the Texas border – and urinated on the wall': how we made Lone Star
https://www.theguard[...]
Guardian Media Group
2024-04-09
[15]
웹사이트
The Border Towns of 'Lone Star'
https://gov.texas.go[...]
State of Texas, Office of the Governor
2023-12-15
[16]
웹사이트
We're So Short on Time: John Sayles on Lone Star
https://www.rogerebe[...]
2024-07-16
[17]
웹사이트
Lone Star Original Soundtrack
https://www.allmusic[...]
2024-07-16
[18]
뉴스
Master of the Possible: Director John Sayles Exhibits a Determined Vision
https://www.latimes.[...]
2024-07-16
[19]
웹사이트
Lone Star
https://www.rottento[...]
2024-07-17
[20]
웹사이트
Lone Star
https://www.metacrit[...]
2024-07-17
[21]
뉴스
FILM REVIEW;Sleepy Texas Town With an Epic Story
https://www.nytimes.[...]
2014-08-19
[22]
뉴스
Human Relations the Star of Sayles' 'Lone' Mystery
https://www.latimes.[...]
1996-06-21
[23]
간행물
Lone Star by R. Paul Miller, Maggie Renzi, John Sayles
1996-Summer
[24]
웹사이트
Lone Star
https://www.rogerebe[...]
2024-07-17
[25]
뉴스
'Lone Star' shines brightly
1996-06-28
[26]
뉴스
'Lone Star': Stagnant Sayles
https://www.washingt[...]
2014-08-19
[27]
뉴스
John Sayles' timely political lampoon aims squarely at George W. Bush
http://www.seattlepi[...]
2014-08-19
[28]
뉴스
The 34 best political movies ever made
2024-07-16
[29]
뉴스
Lone Star review – John Sayles’s powerful crime drama is an extraordinary relic of 90s film-making
https://www.theguard[...]
Guardian Media Group
2024-08-22
[30]
웹사이트
The 69th Academy Awards {{!}} 1997
https://www.oscars.o[...]
2024-07-17
[31]
웹사이트
Cinéma - Lundi 12 janvier 1998
http://archives.leso[...]
2024-07-17
[32]
웹사이트
Film in 1997 {{!}} BAFTA Awards
https://awards.bafta[...]
2024-07-17
[33]
웹사이트
Lone Star
https://goldenglobes[...]
2024-07-17
[34]
웹사이트
1997 Nominees and Winners
https://s3.amazonaws[...]
2024-07-17
[35]
웹사이트
1996 NCLR Bravo Award Winners
http://www.almaaward[...]
2024-07-17
[36]
웹사이트
AFI's 10 Top 10 Nominees
http://connect.afi.c[...]
2016-08-19
[37]
웹사이트
Criterion Announces January Releases
https://www.blu-ray.[...]
2023-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