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런드 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런드 힐은 영국의 교육자이자 우편 제도 개혁가로, 1795년 키더민스터에서 태어나 1879년 사망했다. 그는 교육 분야에서 헤이즐우드 학교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도입했으며, 남호주 식민 위원회 비서로 활동하며 비례대표제 도입에 기여했다. 힐은 1830년대 영국 우편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1페니 균일 우편 요금 제도를 제안했고, 이는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그는 우편 제도 개혁의 공로를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롤런드 힐은 1833년까지 교사로 활동한 후, '실용 지식 보급 협회'(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의 서기가 되었다. 1837년, 42세의 나이로 정부 조사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그의 가장 유명한 소책자인 『우편 제도 개혁: 그 중요성과 실용성』(''Post Office Reform: its Importance and Practicability'', 1837)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영국 우편 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했으며, 특히 국내에서 약 14.17g 무게까지의 편지에 대해 1페니의 균일한 우편 요금을 부과할 것을 요구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롤런드 힐(Rowland Hill)은 1835년부터 우편 제도 개혁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1] 그는 방대한 자료 연구를 바탕으로[2] 1837년 ''우체국 개혁의 중요성과 실현 가능성''(Post Office Reform its Importance and Practicability)이라는 팜플렛을 발간하여 재무부에 제출했다.[3][4]
2. 생애
그의 제안은 1840년 법안으로 통과되었고, 힐은 우체국에서 일하게 되었다. 이 개혁을 통해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이 탄생하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그는 1846년에 우정 차관(Postmaster General) 비서관이 되었고, 1854년에는 우정국장(Post Office) 비서관으로 승진했다. 1864년에 공직에서 은퇴했으며, 1879년 8월 27일 런던의 햄스테드에서 사망하여 하이게이트 묘지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출생지인 키더민스터에는 동상이 세워졌다. 또한 그가 1840년대에 거주했던 런던 토트넘의 브루스 성에는 현재 지방 역사 박물관이 있으며, 그와 관련된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다.
한편, 제임스 찰머스(James Chalmers)가 1879년에 출판한 『1837년의 페니 우편 제도: 발명인가 모방인가』(''The penny postage scheme of 1837: was it an invention or a copy?'')는 힐이 아닌, 페니 우편 제도의 또 다른 제안자로 알려진 론즈데일 백작 2세 윌리엄 로더에 관한 책이다.
힐은 1864년 앨버트 메달을 수상했으며, 영국 로열 메일이 제정한 롤런드 힐 상(Roland Hill Awards)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활동
롤런드 힐은 잉글랜드 우스터셔 주 키더민스터의 블랙웰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토머스 라이트 힐은 교육 및 정치 분야의 혁신가였으며, 조지프 프리스틀리, 톰 페인, 리처드 프라이스 등과 교류했다.[3]
힐은 버밍엄의 검사소에서 근무했으며, 여가 시간에는 풍경화를 그렸다.[4]
1827년, 그는 울버햄프턴 출신의 캐롤라인 피어슨과 결혼했으며, 그녀는 1881년 5월 27일에 사망했다. 그들은 세 딸(엘리너, 클라라, 루이за)과 아들 한 명(피어슨)을 두었다.[5]
1819년, 힐은 아버지의 학교 "힐 톱"을 버밍엄 중심부에서 옮겨, 버밍엄의 부유한 지역인 에지베스턴에 헤이즐우드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조지프 프리스틀리의 교육적 아이디어를 반영한 것이었다. 헤이즐우드는 떠오르는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공교육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으며, 학생 중심의 유용한 교육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학생들이 평생 자기 교육을 지속하며 "사회에 가장 유용하고 자신에게 가장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충분한 지식, 기술, 이해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힐이 직접 설계한 이 학교에는 과학 실험실, 수영장, 강제 공기 난방과 같은 혁신적인 시설이 포함되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대규모 학생들의 관리 및 자유로운 교육 계획''(1822, 종종 ''공교육''으로 인용됨)에서, 학교 규율의 주요 동력은 체벌 대신 친절이어야 하며, 두려움보다는 도덕적 영향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고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4][6]
헤이즐우드 학교는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프랑스 교육 지도자이자 편집자이며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의 전 비서였던 마르크 앙투안 쥘리앵이 방문하여, 1823년 6월 자신의 저널 ''레뷰 앙시클로페디크''에 학교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쥘리앵은 자신의 아들을 이 학교로 전학시키기도 했다. 헤이즐우드는 제레미 벤담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이를 계기로 1827년에는 런던 토트넘의 브루스 성에 학교 분교가 설립되었다.
1833년, 원래의 헤이즐우드 학교는 문을 닫았고, 교육 시스템은 새로운 브루스 성 학교에서 이어졌다. 힐은 1827년부터 1839년까지 이 학교의 교장을 맡았다.
2. 2. 남호주 식민지화 참여
영국 남호주 식민지화는 에드워드 기번 웨이크필드의 계획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영국의 인구 과밀과 과잉 인구가 많은 사회 문제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1832년 롤런드 힐은 네덜란드 모델을 바탕으로 한 팸플릿인 '홈 콜로니: 빈곤의 점진적 소멸과 범죄 감소 계획의 스케치'를 출판했다.[7]
힐은 1833년부터 1839년까지 남호주 식민 위원회의 비서로 활동하며, 오늘날의 애들레이드에 죄수를 받지 않는 정착촌을 성공적으로 건설하는 데 기여했다. 정치 경제학자 로버트 토렌스가 당시 위원회 의장이었다.[8] 1834년 남호주 법안에 따라, 이 식민지는 종교의 자유와 사회 발전, 그리고 시민 자유에 대한 헌신을 통해 영국 사회의 이상과 최고의 자질을 구현하도록 계획되었다.
힐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비례대표제를 열성적으로 지지했다. 그는 식민 위원회 위원으로서 위원회를 설득하여 애들레이드에 소수 대표를 보장하는 선거 제도를 마련하도록 했다. 비록 STV 방식은 아니었지만, 이때 사용된 시스템은 헤어 쿼터(Hare quota)를 기반으로 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공공 선거에 비례대표제가 적용된 사례로 평가받는다.[9]
힐이 작성한 위원회의 연례 보고서에는 이 새로운 시스템이 "인기 정부 하에서 다수가 소수에게 행사하는 임의적인 권력에 대해 적시에 대비하기 위해... [정족수 사용을 통해] 정당들이 선출 기관 [선거인단]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의회에서 대표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9]
롤런드 힐의 여동생인 캐롤라인 클라크와 그녀의 남편 프란시스, 그리고 그들의 대가족은 1850년에 남호주로 이주했다.[10]
3. 우편 제도 개혁
당시 영국 우편 제도는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1][12] 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리와 관계없이 무게에 따라 낮고 균일한 요금(구체적으로 1/2온스당 1페니)을 부과하고, 요금을 발송인이 미리 지불하는 선불제 도입을 제안했다. 선불 증명 방식으로는 접착식 우표 사용을 제시했다.[14]
힐의 개혁안은 초기 반대에 부딪혔으나 상업계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15] 1839년 정부 계약을 통해 추진되었다. 1840년 1월, 1페니 균일 요금제가 시행되었고,[16] 같은 해 5월에는 세계 최초의 접착식 우표인 페니 블랙(Penny Black)이 발행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근대적인 우편 시스템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1. 개혁 이전의 우편 제도
1830년대 영국의 우편 제도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당시 우편물의 최소 12.5%는 귀족, 고위 인사, 국회의원 등이 개인적인 프랭크를 이용하여 무료로 보내졌으며, 심지어 우편 관계자들이 편지를 검열하거나 정치적인 첩보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11] 이러한 특권과 부적절한 운영 방식으로 인해 우편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잘못 관리되고 있었으며, 낭비가 심하고 요금은 비쌌으며 배송 속도도 느렸다. 이는 당시 빠르게 성장하던 상업 및 산업 국가의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었다.[11]
우편 요금은 보내는 사람이 아닌 받는 사람이 지불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받는 사람은 편지 수령을 거부할 수 있었다. 이 점을 악용한 사기도 흔했는데, 예를 들어 편지 표면에 암호화된 정보를 적어 놓고 받는 사람이 내용을 확인한 뒤 요금을 내지 않기 위해 수령을 거부하는 식이었다. 또한, 모든 편지를 개별적으로 기록해야 했고, 우편 요금은 거리가 멀수록, 사용된 종이 매수가 많을수록 비싸지는 복잡한 체계를 따랐다.[12]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유 무역 옹호자였던 리처드 코브덴과 존 램지 맥컬로흐 같은 인물들은 당시 토리 정부의 특권적이고 보호주의적인 정책을 비판하며 우편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맥컬로흐는 1833년에 "안전하고 빠르고 저렴한 편지 운송이야말로 상업을 촉진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효율적인 우편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3]
롤런드 힐이 우편 시스템 개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에 대해서는, 약혼자로부터 온 편지를 비싼 요금 때문에 받지 못하는 가난한 젊은 여성을 목격했다는 일화가 전해지지만, 이는 실제 있었던 일이라기보다는 꾸며낸 이야기일 가능성이 있다.[12]
3. 2. 롤런드 힐의 개혁안
롤런드 힐(Rowland Hill)은 1835년에 우편 개혁에 대해 진지하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1] 1836년, 로버트 윌리스 국회의원은 힐에게 수많은 책과 문서를 제공했는데, 힐은 이를 "약 50kg의 자료"라고 묘사했다.[2] 힐은 이 문서들을 상세히 연구하여 1837년 초 '우체국 개혁의 중요성과 실현 가능성'(Post Office Reform its Importance and Practicability)이라는 제목의 팜플렛을 출판했다. 그는 1837년 1월 4일에 이 팜플렛의 사본을 당시 재무부 장관이었던 토마스 스프링 라이스에게 제출했다.[3] 이 초판은 "비공개 및 기밀"로 표시되어 일반 대중에게는 공개되지 않았다. 재무부 장관은 힐을 불러 회의를 열었고, 개선 사항 제안과 재고를 요청하며 추가 자료를 요구했다. 힐은 1837년 1월 28일에 요청받은 자료를 제출했다.[4]
1830년대 영국 우편 시스템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전체 우편물의 최소 12.5%가 귀족, 고위 인사, 국회의원의 개인 프랭크 하에 운송되었으며, 우편 관계자들은 검열과 정치적 첩보 활동을 수행하기도 했다. 근본적으로 우편 시스템은 관리 부실, 낭비, 높은 비용, 느린 속도 등의 문제를 겪고 있어, 점차 확대되는 상업 및 산업 국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11] 당시 우편 요금은 수신자가 지불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는데, 수신자는 편지 수령을 거부할 수 있었다. 이를 악용한 사기도 흔했는데, 예를 들어 편지 표지에 암호화된 정보를 적어놓고 수신자는 내용을 확인한 뒤 요금 지불을 피하기 위해 수령을 거부하는 식이었다. 모든 편지는 개별적으로 기록되어야 했고, 우편 요금은 거리와 편지에 사용된 종이 매수에 따라 복잡하게 계산되었다.[12] 이러한 상황에서 리처드 코브덴과 존 램지 맥컬로흐와 같은 자유 무역 옹호자들은 토리 정부의 특권 및 보호 정책을 비판하며 우편 시스템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맥컬로흐는 1833년에 "상업을 촉진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안전하고 빠르고 저렴한 편지 운송이다"라고 주장했다.[13]
힐이 1837년에 비공개로 배포한 팜플렛 '우체국 개혁: 중요성과 실현 가능성'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그는 거리와 관계없이 무게에 따라 "낮고 균일한 요금"을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 힐은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의 연구를 인용하며, 우편 시스템 비용의 대부분은 운송 자체가 아니라 출발지와 목적지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발송인이 우편 요금을 미리 지불하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선불 편지 시트나 접착식 우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에는 봉투가 흔하지 않았고 우편 요금이 종이 매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기 때문에, 편지 시트는 메시지와 주소를 한 장에 적어 접어 보내는 방식이었다. 힐은 구체적으로 무게 1/2온스당 1페니의 균일 요금을 제안했다.[14]
힐의 제안은 처음에는 정부와 우체국 내부의 반대에 부딪혔다. 상원의 휘그당 소속 우체국장인 리치필드 경은 힐의 계획을 "엉뚱하고 비현실적"이라고 비난했으며, 우체국 서기였던 휘그당의 윌리엄 리더 마벌리 역시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완전히 추정에 의존하는 터무니없는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상인, 무역업자, 은행가들은 기존 시스템이 부패하고 무역을 저해한다고 여겨 힐의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이들은 "상업 위원회"를 결성하여 힐의 개혁안 채택을 강력히 추진했다. 결국 1839년, 힐은 새로운 우편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2년 계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1839년부터 1842년까지 힐은 런던 Bayswater의 1-2 Orme Square에 거주했으며, 이곳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LCC 명판이 설치되어 있다.[15]
개혁안은 단계적으로 시행되었다. 1839년 12월 5일, 균일한 4페니 우편 요금이 도입되어 우편 요금이 4펜스로 인하되었고,[16] 1840년 1월 10일에는 우표나 편지 시트가 발행되기도 전에 1페니 균일 요금제가 시행되었다. 그 결과, 유료 국내 서신의 양은 1839년 11월과 1840년 2월 사이에 120%나 급증했다. 이러한 초기 증가는 기존의 "무료 우편" 특권과 사기 행위가 사라진 영향도 컸다.
1840년 초에는 윌리엄 멀레디가 디자인한 선불 편지 시트, 즉 멀레디 봉투가 배포되었다. 그러나 이 봉투는 복잡한 디자인 때문에 대중의 조롱을 받았고 인기를 얻지 못했다. 문구 제조업자들의 반발도 심했는데, 이들은 멀레디 봉투가 자신들의 생계를 위협한다고 여겨 풍자를 조장하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멀레디 봉투를 공식 우편에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폐기해야 했다.
반면, 1840년 5월에 발행된 세계 최초의 접착식 우표인 페니 블랙(Penny Black)은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이 새겨진 이 우표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디자인도 우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우표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천공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3. 3. 개혁의 실행과 결과
힐의 우편 개혁안은 기존 체제에 익숙했던 일부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다. 상원에서는 당시 우체국장이었던 휘그당 소속의 리치필드 경(Lord Lichfield)이 힐의 제안을 "엉뚱하고 비현실적인 계획"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우체국 서기였던 윌리엄 리더 마벌리(William Leader Maberly) 역시 "사실에 전혀 근거하지 않고 완전히 추정에 의존하는 터무니없는 계획"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하지만 상인, 무역업자, 은행가 등 상업계 인사들은 기존 우편 시스템의 비효율성과 부패가 무역 활동을 저해한다고 보고 힐의 개혁안을 적극 지지했다. 이들은 "상업 위원회"를 결성하여 개혁안 채택을 위해 노력했다. 결국 1839년, 힐은 새로운 우편 시스템 도입 및 운영을 위한 2년 계약을 정부와 체결하게 되었다.[15]
개혁의 첫 단계로, 1839년 12월 5일부터 균일한 4페니 우편 요금제가 시행되어 우편 요금이 4펜스로 인하되었다.[16] 이후 1840년 1월 10일에는 아직 우표나 선불 편지지가 인쇄되기도 전에 요금이 1페니로 추가 인하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요금 인하와 선불제 도입은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1839년 11월과 1840년 2월 사이 유료 국내 우편물의 양은 120%나 급증했는데, 이는 기존의 프랭크 제도가 폐지되고 우편 요금 회피를 위한 사기 행위가 줄어든 결과이기도 했다.
1840년 초에는 윌리엄 멀레디(William Mulready)가 디자인한 선불 편지 시트(letter sheet)가 배포되었다. 그러나 이 멀레디 편지지(Mulready stationery)는 대중의 외면을 받고 조롱거리가 되었다. 기존 문구 제조업자들은 멀레디 편지지가 자신들의 생계를 위협한다고 여겨 비판적인 풍자를 퍼뜨렸고, 결국 정부는 공식 우편에 일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 많은 양을 폐기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레디 편지지는 기계로 인쇄된 삽화가 있는 봉투라는 개념을 선보이며 이후 상업적인 다이렉트 메일 산업 발전의 단초를 제공한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기도 한다.
멀레디 편지지의 실패와 달리, 1840년 5월에 발행된 세계 최초의 접착식 우표인 페니 블랙은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옆모습을 우아하게 담아낸 이 우표는 대중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후 우표를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는 천공 방식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지며 오늘날 우표의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롤런드 힐의 개혁은 단순히 우편 요금을 낮춘 것을 넘어, 근대적인 우편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저렴하고 균일한 요금제와 우표를 이용한 선불 방식은 이후 전 세계 우편 서비스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25] 비록 개혁 초기에는 우체국 수입 감소로 인해 1839년 수준의 재정을 회복하기까지 약 30년의 시간이 걸렸지만[25], 장기적으로는 상업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영국에서 균일 페니 우편 제도는 20세기까지 유지되었으며, 한때 1페니(1d)로 최대 113g의 우편물을 보낼 수 있었다.
4. 개혁 이후 활동 및 유산
1841년 영국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고 로버트 필 내각이 들어서자, 롤런드 힐은 1842년 7월 우체국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잠시 런던-브라이튼 철도의 이사 및 회장으로 활동했다.
1846년 휘그당의 존 러셀 내각이 출범하면서 힐은 다시 공직에 복귀하여 우체국장관 비서로 임명되었고, 1854년부터 1864년까지 우체국 비서로 재직했다. 이러한 공로로 1860년 바스 훈장 기사 사령관(KCB) 작위를 받았으며,[36]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힐은 1879년 8월 27일 햄스테드 자택에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하이게이트 묘지의 가족 묘에도 기념비가 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출생지 키더민스터에 동상이 세워졌고, 햄스테드와 토트넘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생겼다. 왕립 예술 협회는 1893년 햄스테드의 로열 프리 병원에 그를 기념하는 파란색 명판을 설치했다.[19] 토트넘의 브루스 성 박물관에는 그와 관련된 전시품이 있으며, 로열 메일은 그의 공로를 기려 1864년 앨버트 메달을 수여하고 롤런드 힐 상(en)을 제정했다. 한편, 제임스 찰머스는 페니 우편 제도의 고안자가 힐이 아닌 윌리엄 로더, 제2대 론스데일 백작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4. 1. 철도 사업 참여
보수당이 1841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로버트 필 경이 다시 총리로 취임하면서, 롤런드 힐은 격렬한 논란 속에 1842년 7월 우체국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그는 곧 런던-브라이튼 철도의 이사로 임명되었고, 1843년부터 1846년까지는 이사회 회장직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힐은 런던에서 브라이튼까지의 철도 요금을 인하하고 노선을 확장했으며, 특별 관광 열차를 도입하여 승객들의 통근 편의를 증진시키는 등 철도 서비스 개선에 기여했다.1844년에는 에드윈 채드윅, 존 스튜어트 밀, 라이언 플레이페어, 닐 아르노트 박사 등과 함께 정치 경제 문제를 논의하는 모임인 "Friends in Council"을 결성했다.[17] 또한 데이비드 리카도 등이 설립한 영향력 있는 정치 경제 클럽의 회원이 되기도 했다.[8] 이 시기 힐은 존 스튜어트 밀과 함께 비례대표제를 지지했다.[18]
4. 2. 정부 복귀 및 서훈
보수당이 1841년 영국 총선에서 승리하고 로버트 필 경이 집권한 후, 롤런드 힐은 논란 속에 1842년 7월 우체국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그는 런던-브라이튼 철도 이사로 임명되었고, 1843년부터 1846년까지는 이사회 회장을 맡아 런던-브라이튼 간 요금 인하, 노선 확장, 특별 관광 열차 도입, 통근 편의 증진 등 공익적인 개혁을 추진했다.1844년에는 에드윈 채드윅, 존 스튜어트 밀, 라이언 플레이페어, 닐 아르노트 박사 등 다른 진보적 사상가들과 함께 "Friends in Council"이라는 모임을 결성하여 정치 경제 문제를 논의했다.[17] 또한 데이비드 리카도 등이 설립한 영향력 있는 정치 경제 클럽의 회원이 되어[8] 밀과 함께 비례대표제를 지지하는 등[18] 사회 개혁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1846년, 곡물법 폐지 문제로 보수당이 분열되고 러셀 경이 이끄는 휘그 정부가 들어서면서 힐은 다시 공직에 복귀했다. 그는 우체국장관 비서로 임명되었고, 1854년부터 1864년 은퇴할 때까지 우체국 비서로 재직하며 우편 제도 개혁을 완성해나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힐은 1860년 바스 훈장 기사 사령관(KCB) 작위를 받았다.[36] 또한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로부터 명예 학위를 수여받았다.
4. 3. 사망 및 기념

롤런드 힐은 1879년 8월 27일, 당시 거주하던 런던 햄스테드의 바트람 하우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으며, 하이게이트 묘지에는 그의 가족 묘와 기념비가 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기념물이 세워졌다. 출생지인 우스터셔 키더민스터에는 동상이 있으며, 1893년 왕립 예술 협회는 햄스테드의 로열 프리 병원에 그를 기념하는 파란색 명판을 설치했다.[19] 또한 햄스테드와 토트넘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오늘날 토트넘의 브루스 성(Bruce Castle)에는 지역 역사 박물관이 있으며, 힐이 1840년대에 거주했던 이곳에는 그와 관련된 전시품이 마련되어 있다. 로열 메일은 그의 업적을 기려 롤런드 힐 상(en)을 제정했다.
4. 4. 유산
롤런드 힐은 현대 우편 제도의 아버지로 평가받으며, 그가 제안한 균일 페니 우편 제도는 전 세계 우편 서비스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개혁은 1840년에 법제화되어 페니 블랙 우표의 탄생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20세기까지 영국에서 유지되며 상업과 통신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물이 세워졌다. 그의 출생지인 키더민스터에는 동상이 있으며, 그가 1840년대에 살았던 토트넘의 브루스 성에는 현재 지방 역사 박물관이 있어 힐과 관련된 전시품을 볼 수 있다. 또한 햄스테드의 로열 프리 병원에는 1893년에 왕립 예술 협회가 설치한 파란색 명판이 그를 기념하고 있다.[19] 햄스테드와 토트넘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도 있다.
로열 메일은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1864년에 앨버트 메달을 수여했으며, 우표 수집 및 우편 혁신을 장려하기 위해 롤런드 힐 상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도움이 필요한 우편 노동자와 그 가족을 지원하는 롤런드 힐 기금도 그의 이름을 따서 설립되었다.
한편, 1879년에 제임스 찰머스가 출판한 『1837년의 페니 우편 제도: 발명인가 모방인가』(''The penny postage scheme of 1837'')라는 책은 힐이 아닌 윌리엄 로더, 제2대 론스데일 백작을 페니 우편 제도의 고안자로 주장하며 논란을 제기하기도 했다.
힐은 1879년에 런던 햄스테드의 자택 바트람 하우스에서 사망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하이게이트 묘지에 있는 그의 가족 묘에도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참조
[1]
서적
[2]
뉴스
The Penny Post revolutionary who transformed how we send letters
https://www.bbc.co.u[...]
BBC
2019-08-14
[3]
웹사이트
Joseph Priestley and his Influence on Education in Birmingham
http://www.search.re[...]
Revolutionary Players
2004-02-28
[4]
웹사이트
Sir Rowland Hill – a social reformer
http://midgleywebpag[...]
[5]
웹사이트
Rowland Hill
https://www.nndb.com[...]
NNDB
2019-07-27
[6]
웹사이트
Sir Rowland Hill
http://www.answers.c[...]
Answers.com
2009-07-29
[7]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on Rowland Hill
http://www.bookrags.[...]
Bookrags.com
2009-07-29
[8]
문서
[9]
서적
Proportional Representation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Economic Sophisms: Series 2, Chapter 12. See II.12.25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The London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1-09-09
[16]
웹사이트
Glossary of Stamp Collecting Terms
http://www.askphil.o[...]
AskPhil.org – Collectors Club of Chicago
2009-04-17
[17]
웹사이트
Biography of Edwin Chadwick
http://www.ph.ucla.e[...]
DNB
2009-07-29
[18]
문서
Newman, Hare-Clark in Tasmania
[19]
웹사이트
Hill, Sir Rowland, K.C.B. (1795–1879)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2-10-23
[20]
서적
Papers from the Education Doctoral Research Conference 2015
University of Birmingham
2016-03
[21]
문서
Walks in the Black Country and its Green Border-Land
Sampson Low, Son, and Marston
[22]
서적
The Parliaments of England, from 1st George I., to the Present Time. Vol II: Oxfordshire to Wales Inclusive
https://books.google[...]
Simpkin, Marshall, & Co.
1845
[23]
간행물
Hill, Edwin (1793–1876)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
[24]
간행물
Hill, Rosamond Davenport (1825–1902)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5]
웹사이트
Rowland Hill's Postal Reforms
http://postalheritag[...]
[26]
웹사이트
Sir Rowland Hill (1795–1879)
http://www.pmsa.org.[...]
Public Monument and Sculpture Association
2013-10-24
[27]
웹사이트
Sir Rowland Hill (1795–1879)
http://www.pmsa.org.[...]
Public Monument and Sculpture Association
1990-05-01
[28]
웹사이트
Roland Hill Shopping Centre
https://www.192.com/[...]
2020-07-18
[29]
웹사이트
Rowland Hill, Statue, King Edward St.
http://www.pmsa.org.[...]
Public Monument and Sculpture Association
2013-10-24
[30]
웹사이트
People Buried or Commemorated – Rowland Hill
http://www.westminst[...]
Westminster Abbey
2009-07-29
[31]
웹사이트
Sir Rowland Hill
http://www.pmsa.org.[...]
Public Monument and Sculpture Association
2013-10-24
[32]
웹사이트
What Are the Rowland Hill Awards?
http://www.ukphilate[...]
British Philatelic Trust
2007-05-14
[3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British Philatelic Trust
http://www.ukphilate[...]
British Philatelic Trust
2009-07-29
[34]
웹사이트
Rowland Hill Fund
http://www.cwu.org/r[...]
Communication Workers Union
2009-07-29
[35]
간행물
The Rowland Hill Memorial Fund of Ireland
An Post
2006-06
[36]
저널
The Edinburgh Gazette
https://www.thegazet[...]
2016-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