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는 프랑스 출신의 폴란드 왕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비로, 1645년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하여 폴란드 왕실에 입성했다. 브와디스와프 4세 사후에는 얀 2세 카지미에시와 재혼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스웨덴의 침공(대홍수) 시기에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이끌었으며, 폴란드 최초의 신문 창간과 문학 살롱 개설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왕권 강화를 위한 개혁 시도가 귀족들의 반발을 사 루보미르스키 반란을 겪기도 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건강 악화로 1667년 사망했으며, 남편 얀 2세 카지미에시는 그녀의 죽음 이후 왕위를 포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왕비 - 보나 스포르차
보나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작의 딸로, 지그문트 1세와의 결혼을 통해 폴란드 왕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비가 되었으며, 르네상스 문화 전파와 정치적 영향력 행사, 왕실 재정 강화, 외교 정책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는 이탈리아로 돌아간 후 암살 의혹을 받았다. - 폴란드의 왕비 - 체칠리아 레나타 폰 외스터라이히
체칠리아 레나타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딸이자 폴란드 왕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의 왕비로서,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가톨릭 옹호 정책을 펼치며 폴란드 궁정에 영향을 미쳤으나, 두 자녀의 요절과 자신의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 1667년 사망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1667년 사망 -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스위스 출신 이탈리아 바로크 건축가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로마에서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하학적 구성의 건축물들을 남겼으나, 잔 로렌초 베르니니와의 경쟁과 격정적인 성격으로 자살했다. - 1611년 출생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폴란드 그단스크 출신의 천문학자이자 맥주 양조업자였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하여 달 지형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고, 혜성 관측 및 궤도 이론 제시, 새로운 별자리 정의 등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여 그의 이름이 붙은 천체들이 존재한다. - 1611년 출생 -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1611년)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부용 공작과 엘리자베트 플란드리카 판 나사우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군인이자 원수로서, 네덜란드에서 군 경력을 시작해 30년 전쟁, 프롱드의 난, 네덜란드 전쟁 등에서 활약하며 프랑스 군사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 |
다른 이름 |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
왕족 정보 | |
직위 | 폴란드 왕비 리투아니아 대공비 |
배우자 |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 (1646년 결혼, 1648년 사별)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 (1649년 결혼) |
자녀 | 얀 지그문트 바사 마리아 안나 바사 |
가문 | 곤차가 가문 |
아버지 | 카를로 1세 곤차가 |
어머니 | 카트린 드 마이엔 |
생애 | |
출생일 | 1611년 8월 18일 |
출생지 | 프랑스, 뇌베르 |
사망일 | 1667년 5월 10일 |
사망지 | 폴란드, 바르샤바 |
매장지 | 폴란드, 크라쿠프, 바벨 대성당 |
통치 | |
브와디스와프 4세의 왕비 즉위 | 1645년 11월 5일 - 1648년 5월 20일 |
대관식 | 1646년 7월 15일 |
얀 2세 카지미에시의 왕비 즉위 | 1649년 5월 30일 - 1667년 5월 10일 |
2. 초기 생애와 결혼
1644년 체칠리아 레나타가 사망하자, 이듬해인 1645년 11월에 마리 루이즈 곤차가는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했다. 마리아는 결혼과 함께 루드비카 마리아로 개명했는데, 이는 폴란드에서 마리아라는 이름이 성모 마리아를 위해 사용하는 경건한 이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1646년부터 바르샤바에 거주했으나, 2년 만에 남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1649년, 미망인이 된 루드비카는 차기 국왕으로 선출된 얀 2세와 재혼했다.
2. 1. 프랑스에서의 성장
마리 루이즈 곤차가는 1611년 8월 18일 프랑스 네베르에서 만토바 공작 카를로 1세와 기즈의 카트린 사이에서 태어났다. 1627년 오를레앙 공작 가스통과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프랑스 국왕 루이 13세가 이 결혼을 강력히 반대하여 그녀를 뱅센 성에 감금한 후 작은 수도원에 가두었다.[1]1634년에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와 결혼하라는 첫 번째 제안을 받았지만, 브와디스와프는 결국 페르디난트 2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의 딸인 체칠리아 레나타 폰 오스트리아와 결혼했다.
2. 2. 타로 카드 게임
1637년 빌르루앵의 수도원장 미셸 드 마롤레스는 네베르를 방문하여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와 타로 카드 게임을 했다. 루드비카는 게임에 몇 가지 새로운 규칙을 추가했는데, 마롤레스에게 자신의 규칙을 출판하라고 권유했고, 마롤레스는 이를 따랐다. 마롤레스의 기록은 가장 오래된 인쇄된 타로 게임 규칙 세트로 알려져 있다.[1]2. 3.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와의 만남
1640년, 루드비카 마리아는 자신이 주최하는 문학 살롱에 찾아온 얀 카지미에시(후의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를 만났다.3. 폴란드 왕비, 리투아니아 대공비
1644년 체칠리아 레나타가 사망하자, 줄 마자랭 추기경은 폴란드-리투아니아 바사 왕조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간의 동맹을 약화시키려 했다. 그는 브와디스와프 4세와 마리 루이즈의 결혼을 추진했다.[2]
프랑스와 다른 서유럽 국가들의 압력을 받아, 마리 루이즈 곤자가는 1645년 11월 5일 대리인을 통해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했고, 1646년 3월 10일 바르샤바에서 정식 결혼식을 올렸다. 폴란드 의회(세임)와 귀족들은 ''마리아''라는 이름이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만 사용된다는 이유로 그녀의 이름을 루드비카 마리아로 바꾸도록 했다.[2]
1648년 브와디스와프 4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루드비카 마리아는 과부가 되었다.[2] 이후 얀 2세 카지미에시가 왕으로 선출되었고, 1649년 5월 30일 루드비카 마리아와 결혼했다.[2] 얀 카지미에시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를 낳았지만,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얀 카지미에시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고, 의회에서 귀족의 권력을 줄이려고 했다. 지적이고 강한 성격을 가진 그녀는 얀 카지미에시를 여러 차례 지원하고 정치 및 군사 작전을 이끌었다. 브란덴부르크 외교관 호버베르크는 그녀가 "끊임없는 주장, 괴롭힘, 불평 및 기타 술책으로 불쌍한 국왕, 따라서 불운한 나라 전체를 통제했다"고 기록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농민들에게 동정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 스웨덴 제국, 러시아 차르국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를 강화하고자 했다.[2]
루드비카 마리아는 경제적, 정치적 계획을 가진 활동적인 여성이었다. 폴란드 귀족들은 여왕의 정치 간섭에 충격을 받았지만, 그녀는 "대홍수"로 알려진 스웨덴의 침공에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이끌어 스웨덴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상원의 투표 시스템을 변경하고 국왕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자 했지만, 상류층의 반란을 우려하여 실행하지 못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폴란드의 종교적 관용 정책에 반대했으며, 폴란드가 "이단자들의 안식처"라고 믿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귀족에게 뇌물과 거짓 약속을 이용했다. 그녀는 많은 프랑스 귀족 부인들을 폴란드 궁정으로 데려와 보이보드, 공작, 부유한 지주와 결혼시켜 상류층의 반란을 막으려 했다. 대표적인 예가 그녀의 친척 클라라 이자벨라 파코바이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프랑스 문화 패턴을 따랐고, 프랑스 옷을 입고 동전, 보석, 향수병 등을 수집했다.[2]
3. 1. 브와디스와프 4세와의 결혼
1644년 체칠리아 레나타가 사망한 후, 줄 마자랭 추기경은 폴란드-리투아니아 바사 왕조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간의 동맹을 약화시키려 했다. 마자랭은 브와디스와프 4세가 마리 루이즈와 결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프랑스 정부와 다른 서유럽 국가들의 압박을 받아 마리 루이즈 곤자가는 1645년 11월 5일 대리인을 통해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했다. 마리 루이즈와 브와디스와프 4세의 정식 결혼식은 1646년 3월 10일 바르샤바에서 거행되었다. 폴란드 의회(세임)와 귀족들은 그녀의 이름을 마리 루이즈에서 루드비카 마리아로 바꾸도록 강요했는데, 당시 '마리아'라는 이름은 폴란드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만 사용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2]
3. 2.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와의 재혼
1648년 5월 20일, 브와디스와프 4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루드비카 마리아는 과부가 되었다.[2] 얀 2세 카지미에시는 의회에 의해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출되었고, 1649년 5월 30일 루드비카 마리아와 결혼했다.[2] 얀 카지미에시와의 18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마리아 안나 테레사와 얀 지그문트 두 자녀를 낳았지만, 모두 유아기에 사망했다.4. 정치적 활동과 갈등
1644년 체칠리아 레나타가 사망하자, 줄 마자랭 추기경은 폴란드-리투아니아 바사 왕조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간의 동맹을 약화시키려 했다. 이들은 프랑스의 경쟁자이자 잠재적인 위협이었기 때문이다. 마자랭은 마리 루이즈가 과부가 된 국왕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프랑스와 다른 서유럽 국가들의 압박을 받아 마리 루이즈 곤차가는 1645년 11월 5일 대리인을 통해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했다. 정식 결혼식은 1646년 3월 10일 바르샤바에서 거행되었다. 폴란드 의회(세임)와 귀족들은 결혼을 성사시키기 위해 그녀의 이름을 마리 루이즈에서 루드비카 마리아로 바꾸도록 강요했다. 당시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만 사용되는 이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2]
1648년 5월 20일, 브와디스와프 4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마리 루이즈는 과부가 되었다. 얀 2세 카지미에시는 의회에 의해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출되었고, 1649년 5월 30일 그녀와 결혼했다. 얀 카지미에시와의 18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마리아 안나 테레사, 얀 지그문트 두 자녀를 낳았지만 유아기에 사망했다.[2]
4. 1. 정치적 영향력
루드비카 마리아는 남편 얀 2세 카지미에시의 정치적 견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의회에서 귀족의 권력을 줄이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다. 지적이고 끈기 있으며 강한 성격을 가진 그녀는 얀 카지미에시를 여러 번 지원했을 뿐만 아니라 정치 및 군사 작전에서 그를 이끌었다.[2] 브란덴부르크 외교관 호버베르크는 그녀가 "끊임없는 주장, 괴롭힘, 불평 및 기타 술책으로 불쌍한 국왕, 따라서 불운한 나라 전체를 통제했다"고 언급했다.마리 루이즈는 하인, 농민, 하류층에 동정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 스웨덴 제국, 러시아 차르국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강화하기로 결심했다.[2]
그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위한 야심찬 경제적, 정치적 계획을 가진 활동적이고 정력적인 여성이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여왕의 정치 개입에 충격을 받았지만, 그녀는 "대홍수" 동안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이끌어 스웨덴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폴란드 상원의 투표 시스템을 변경하고 국왕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자 했지만, 상류층과 부유층의 반란을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다. 마리 루이즈는 연방의 종교적 관용 정책에 반대했으며 폴란드가 "이단자들의 안식처"라고 믿고 그들을 화형시키고 싶어했다.
마리 루이즈는 귀족에게 뇌물과 거짓 약속을 이용했다. 그녀는 프랑스에서 많은 귀족 부인들을 폴란드-리투아니아 궁정으로 데려왔고, 그들은 보이보드, 공작 및 부유한 지주와 결혼하여 상류층이 정부에 반란을 일으키기로 결정할 경우 방어막 역할을 할 의무가 있었다. 또한 프랑스 문화 패턴을 따랐고 연방에 새로운 프랑스 관습을 도입했다. 그녀는 프랑스 옷만 입고 동전, 보석, 향수병과 같은 작은 기념품을 수집했는데, 이는 루이 13세와 루이 14세 통치 기간에 흔한 관행이었다.[2]
4. 2. 귀족과의 갈등
폴란드-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여왕의 정치 개입에 불만을 품고, 외국 여성이 정치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루드비카 마리아는 "대홍수"라 불리는 스웨덴의 침공에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이끌어 스웨덴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그녀는 폴란드 상원의 투표 제도를 바꾸고 국왕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려 했으나, 이는 상류층과 부유층의 반란을 일으켜 연방 경제를 파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그녀는 연방의 종교적 관용 정책에 반대하며 폴란드를 "이단자들의 안식처"라 비판하고, 그들을 화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루드비카 마리아는 귀족들에게 뇌물을 주고 거짓 약속을 하는 등 권모술수를 사용했다. 또한, 프랑스 귀족 부인들을 폴란드-리투아니아 궁정에 데려와 보이보드, 공작, 부유한 지주 등과 결혼시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이들은 상류층이 정부에 반란을 일으킬 경우 방패막이 역할을 할 의무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그녀의 친척이자 총애를 받은 클라라 이자벨라 파코바가 있다. 루드비카 마리아는 프랑스 문화 양식을 적극적으로 따랐으며, 연방에 새로운 프랑스 관습을 도입했다. 그녀는 프랑스 옷만 입고 동전, 보석, 향수병 등 작은 기념품을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루이 13세와 루이 14세 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관행이었다.[2]
5. 스웨덴 침공 ("대홍수") 시기의 역할
대홍수라 불리는 스웨덴 침공 시기에 루드비카 마리아는 뛰어난 결단력과 용기를 보여주었다.[2] 그녀는 스웨덴에 맞서 싸우는 폴란드인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에 도움을 요청하는 외교 활동도 펼쳤다.
5. 1. 스웨덴에 대한 저항
대홍수 시기 마리 루이즈는 뛰어난 근면함과 용감함, 용모, 끈기, 결단력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최전선에서 목숨을 걸고 싸웠으며, 바르샤바를 떠나 실레시아로 피신한 후에도 승리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군대를 지휘하여 침략자들에게 맞서 싸웠다. 그녀는 스웨덴에 저항하는 모든 시민들과 적극적으로 접촉했다. 또한, 다른 유럽 통치자들과 군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광범위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원을 얻기 위해, 얀 2세 카지미에시 사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왕위를 넘겨주는 것조차 주저하지 않았다. 스웨덴과의 평화 조건 설정, 즉 올리바 조약 체결에도 참여하고 노력했다.[2]5. 2. 왕권 강화 시도와 반발
마리 루이즈의 뛰어난 근면함, 용감함, 용모, 끈기, 그리고 결단력은 스웨덴 침공 당시에 특히 두드러졌다. 그녀는 최전선에서 목숨을 걸고 싸웠으며, 바르샤바를 떠나야 했지만 승리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실레시아로 가서 침략자들에 맞서 싸우도록 군대를 지휘했다. 그녀는 스웨덴에 저항하는 모든 시민들과의 접촉을 긴밀하게 유지했다. 또한 마리는 다른 유럽 통치자들과 군주들로부터 도움을 받기 위한 광범위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원을 얻기 위해 그녀는 얀 2세 카지미에시가 죽은 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왕위를 넘겨주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그녀는 올리바 조약을 통해 스웨덴과의 평화 조건 설정에도 참여하고 노력했다.[2]침공 기간 동안 여왕은 인기의 절정에 달했지만, 왕권 강화와 ''vivente rege''(라틴어로 "국왕의 재위 기간 동안")를 목표로 하는 개혁 초안이 발표된 후 빠르게 지나갔다. 처음에는 그녀는 궁정 주변에 모인 세력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고, 귀족의 공공적 수용을 개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선전 활동을 시작했다. 동시에 그녀는 조카인 안 앙리에트 드 바이에른이 다음 선출될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의 아내가 되도록 결정했다. 안 앙리에트 드 바이에른의 남편은 콩데 공 앙리 쥘이 될 예정이었다. 이는 부유한 계층과 귀족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는데, 그들은 그녀가 잉글랜드, 스웨덴, 동맹국인 오스트리아, 러시아에 적대적인 프랑스 정치에 코먼웰스를 끌어들였다고 비난했다.
처음에는 성공이 확실했다. 왜냐하면 다수의 상원 의원들이 그녀의 계획을 지지했고 예지 세바스티안 루보미르스키와 더 광범위한 귀족 대중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농민과 하위 계층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그들의 태도는 ''"Bij Francuzów bij, wziąwszy dobry kij, wal Francuzów wal, wbijaj ich na pal!"'' (프랑스인을 쳐라, 프랑스인을 꿰어라...)라는 말과 운율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궁정과 반대 세력 사이에서 결정하기 위해 말다툼이 아니라 전쟁터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소위 루보미르스키 국회는 루보미르스키에게 불명예를 선고하고 그의 재산을 몰수하라고 명령했다. 다음 국왕과 대공으로 선출될 것이라고 믿었던 자부심 강한 귀족은 화해 제안을 거부하고 얀 2세 카지미에시 국왕에게 공개적으로 도전했다. 1665년 루보미르스키는 루보미르스키 반란을 선포했고, 그의 군대가 코먼웰스에 진입했다. 1666년 7월 13일, 그는 몽트비에서 국왕 자신이 이끄는 왕립군과 맞섰다. 루보미르스키의 군대가 승리했다.
전투 후, 왕립 폴란드군의 정예 연대가 반란군에 의해 처형되었다(총 4,000명에 가까운 가장 경험 많은 병력을 잃었다). 7월 31일, 레고비체 마을에서 국왕과 루보미르스키가 협정을 체결했다. 얀 2세 카지미에시와 마리 루이즈는 개혁 계획을 포기해야 했고 반란군에게 사면을 선언해야 했다. 반면 루보미르스키는 사과 서한에 서명했다.
5. 3. 루보미르스키 반란
예지 세바스티안 루보미르스키의 반란은 1665년에 일어났다. 1666년 7월 13일, 몽트비 전투에서 루보미르스키 군대가 승리하였다.[2] 이 전투에서 왕립 폴란드군은 4,000명에 가까운 정예 병력을 잃었다.1666년 7월 31일, 레고비체 마을에서 국왕과 루보미르스키는 협정을 체결하였다. 얀 2세 카지미에시와 마리 루이즈는 개혁 계획을 포기하고 반란군에게 사면을 선언해야 했으며, 루보미르스키는 사과 서한에 서명했다.[2]
6. 죽음과 유산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는 보나 스포르차와 함께 근세 시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중요한 왕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비 중 한 명이었다. 특히 대홍수 시기 스웨덴 군대를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러나 완고한 성격과 개혁을 위한 야심찬 계획은 그녀의 죽음을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
6. 1. 건강 악화와 죽음

경제 안정화를 위한 노력과 그로 인한 정치적 재앙은 루드비카 마리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여왕은 열, 심한 체중 감소, 끊임없는 기침, 그리고 코피를 앓았다.[2] 죽음을 앞두고, 그녀는 중요한 의회 회의에 참석 중이던 남편 얀 2세 카지미에시를 부르지 말라고 하인과 경비병에게 명령했다. 1667년 5월 10일 바르샤바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에 안치되었다.[2] 얀 2세 카지미에시는 아내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깊은 슬픔에 잠겼고, 1년 후 왕위를 포기했다.[2]
6. 2. 유산
폴란드 최초의 신문인 ''메르쿠리우스 폴스키''(1661년)를 창간했다.[3] 1654년에는 성모 방문 수도회의 폴란드 최초 수도원을 설립했다.[3] 티토 리비오 부라티니를 지원했는데, 그는 "비행기"를 설계하기도 했으며 1650년대 초부터 폴란드에 살았던 이탈리아의 박식가였다.[3] 프랑스에서 살롱을 운영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폴란드 최초의 문학 살롱을 열었다.[4] 훗날 폴란드의 국왕이 되는 얀 3세 소비에스키의 후원자였으나, 폴란드의 법률 시스템 개혁 시도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4]마리 카시미르 루이즈 드 라 그랑주 다르퀴앵과의 관계에 대한 소문이 있었으나, 간통을 통해 태어났다는 소문은 확인되지 않았다.[5] 마리 루이즈는 마리 카시미르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정치적인 문제를 교육했으며, 로버트 니스벳 베인에 따르면 그 과정에서 그녀를 망쳤다고 한다. 마리 루이즈는 앙기엥 공작을 폴란드로 데려오려는 계획을 포기한 후, 자신의 두 제자(결혼이 성사됨) 소비에스키와 그들의 결혼에 희망을 걸었다.[5][6]
6. 3. 평가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는 보나 스포르차와 함께 근세 시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중요한 왕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비 중 한 명이었다. 특히 "대홍수" 시기 스웨덴 군대를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러나 완고한 성격과 개혁을 위한 야심찬 계획은 그녀의 죽음을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그녀는 폴란드 최초의 신문인 ''메르쿠리우스 폴스키''(1661년)와 성모 방문 수도회의 폴란드 최초 수도원을 설립했다(1654년).[3] 프랑스에서 살롱을 운영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폴란드 최초의 문학 살롱을 열기도 했다.[4] 또한, 차기 국왕이자 대공인 얀 3세 소비에스키의 후원자로서 폴란드 법률 시스템 개혁을 시도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Early 17th Century French Tarot (according to the Abbé de Marolles, 1637)"
https://www.pagat.co[...]
2023-10-24
[2]
웹사이트
Ludwika Maria Gonzaga – ambitna żona dwóch Wazów
http://www.wilanow-p[...]
2017-04-09
[3]
웹사이트
Tito Livio Burattini (1617–1682)
https://web.archive.[...]
[4]
서적
The 17th and 18th Centuries: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Volume 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5]
서적
Chronicles of the chateaux of the Loire
https://books.google[...]
Roger
1928
[6]
서적
Slavonic Europe a Political History of Poland and Russia from 1447 to 1796
https://archive.org/[...]
CUP Archive
1908
[7]
서적
On Bits And Pieces: Along With Crooked Lines Cycle 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