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 골드버그 장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복잡하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묘사한다. 이 용어는 1928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코믹한 효과를 위해 활용되었다. 유사한 개념은 다른 예술가와 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피타고라스 스위치'와 같은 변형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대회 형식으로도 진행되며,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표현은 간단한 작업을 복잡하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수행하는 장치를 자주 묘사한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의 만화 ''버츠 교수와 자동 냅킨''은 이러한 장치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 "루브 골드버그"라는 용어는 1928년경부터 복잡한 장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2]
이 표현은 복잡하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종종 묘사한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의 만화 중 하나인 ''버츠 교수와 자동 냅킨''은 이러한 장치의 대표적인 예시로, 여러 책 모음집에 재인쇄되었다.[1]
2. 역사
2. 1. 루브 골드버그
이 표현은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는 종종 간단한 작업을 복잡하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수행하는 장치를 만화로 그렸다. 대표적인 예로 골드버그의 ''버츠 교수와 자동 냅킨''이 있으며, 이 만화는 이후 여러 책 모음집에 재수록되었다.[1]
"루브 골드버그"라는 용어는 1928년경부터 복잡한 장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 1966년에는 ''랜덤하우스 영어 사전''에 "환상적으로 복잡하고 즉흥적인 외관을 가진" 또는 "교묘하게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않은"이라는 의미로 등재되었다.[3]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주변의 도구를 이용해 즉흥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 생물의 진화 과정과 유사점을 찾기도 한다.[4]
골드버그의 아이디어는 많은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코믹한 효과를 위해 차용되었다. 매우 단순한 작업을 위해 복잡한 장치를 만드는 모습이 웃음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화 ''구니스''의 정문 개폐 장치나 ''피위의 대모험''에 등장하는 아침 식사 기계가 대표적이다. ''어니스트는 감옥에 간다''에서는 주인공 어니스트 P. 워렐이 단순히 TV를 켜기 위해 자신이 만든 발명품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치티치티뱅뱅'', ''웨이팅...''의 엔딩 크레딧, ''다이빙 인투 머니 핏'', ''백 투 더 퓨쳐''와 같은 영화들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스타일의 장치가 등장했다.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의 주인공 월레스 역시 옷 입기와 같은 사소한 작업을 처리하거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한 기계를 자주 만들고 사용한다. 다만, 이 작품 속 장치들은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디오 게임 시리즈 ''더 인크레더블 머신''은 플레이어가 직접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드는 게임이다. 보드 게임 ''마우스 트랩'' 역시 이러한 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언급된다.
2. 2. 유사한 개념 및 예술가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의 등장인물 월레스는 옷 입기와 같은 사소한 작업을 위해 복잡한 기계를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는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또한, 키네틱 아트 조각가 조지 로즈의 작품 중 일부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세계 여러 나라에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와 유사한 개념이나 이를 활용한 예술가들이 존재한다.3. 특징
"루브 골드버그"라는 용어는 1928년경부터 복잡한 장치를 설명하는 데 인쇄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 1966년에는 ''랜덤하우스 영어 사전''에 "환상적으로 복잡하고 즉흥적인 외관을 가진" 또는 "교묘하게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않은"이라는 의미로 등재되었다.[3]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주변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즉흥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 그 제작 과정이 진화와 유사한 측면을 보이기도 한다.[4]
골드버그의 아이디어는 코믹한 효과를 위해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자주 활용되었다. 매우 단순한 작업을 불필요하게 복잡한 장치를 통해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영화 구니스의 정문 개폐 장치, 피위의 대모험에 등장하는 아침 식사 기계, 어니스트는 감옥에 간다에서 어니스트 P. 워렐이 TV를 켜기 위해 사용하는 발명품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치티치티뱅뱅, 웨이팅...의 엔딩 크레딧, 백 투 더 퓨쳐와 같은 영화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스타일의 장치가 등장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월레스와 그로밋의 주인공 월레스는 옷 입기와 같은 사소한 일상 작업을 위해 복잡한 기계를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는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디오 게임 시리즈 더 인크레더블 머신은 플레이어가 직접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드는 게임이며, 보드 게임 마우스 트랩 역시 이러한 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초기 사례로 언급된다.
일본에서는 기계 문명에 대한 야유보다는 시각적인 화려함, 정교함, 그리고 재미를 중시하는 엔터테인먼트적 측면이 강조된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제작되었다.
4. 다양한 매체에서의 등장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에서 유래한 이 복잡하고 우회적인 장치는 그의 만화뿐만 아니라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광고 등 다양한 대중문화 매체에서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주로 아주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비현실적으로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모습을 코믹하게 그리거나, 기계 문명에 대한 풍자를 담기 위해 사용된다.
찰리 채플린의 1936년 영화 모던 타임스에 등장하는 자동 급식기는 이러한 장치를 풍자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초기 사례로 꼽힌다.[15][16] 이후 ''구니스''(1985), ''피위의 대모험''(1985), ''백 투 더 퓨처''(1985) 등 여러 영화에서 기발하고 코믹한 장치로 등장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클레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월레스와 그로밋''이나 일본 NHK의 교육 프로그램 ''피타고라스 스위치''의 '피타고라 장치'처럼 TV 프로그램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장치의 영향을 받은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비디오 게임 ''더 인크레더블 머신'' 시리즈나 보드 게임 ''마우스 트랩''은 플레이어가 직접 장치를 만들거나 경험하게 하는 대표적인 예시다. 또한, 미국의 록 밴드 OK Go의 'This Too Shall Pass' 뮤직비디오나 혼다 자동차의 'Cog' 광고처럼 창의적인 방식으로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사례도 있다.
이러한 장치를 직접 만들고 경쟁하는 대회들도 활발하게 열리고 있다. 미국 퍼듀 대학교의 연례 루브 골드버그 장치 대회[9], MIT 박물관이 후원하는 "추수감사절 다음 금요일"(FAT) 대회[5], 카네기 과학 센터의 체인 반응 장치 대회[6] 등이 대표적이며, 사이언스 올림피아드의 '미션 파서블'(Mission Possible) 종목[8] 등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4. 1. 영화
골드버그의 아이디어는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매우 단순한 작업을 위해 복잡한 장치를 만드는 코믹한 효과를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구니스''(1985)의 정문 개폐 장치나 ''피위의 대모험''(1985)의 아침 식사 기계 등이 있다. ''어니스트는 감옥에 간다''(1990)에서는 어니스트 P. 워렐이 단순히 TV를 켜기 위해 자신의 발명품을 사용한다. ''치티치티뱅뱅''(1968), ''웨이팅...''의 엔딩 크레딧, ''머니 피트''(1986), ''백 투 더 퓨쳐''(1985)와 같은 다른 영화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스타일의 장치가 등장했다.기계 문명에 대한 풍자라는 루브 골드버그가 의도한 목적으로 이 장치를 등장시킨 작품으로는 찰리 채플린의 1936년 영화 『모던 타임스』의 자동 급식기가 특히 유명하다[15][16]。 그 이후에도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고 있다.
- 톰과 제리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1955년): 톰이 복잡한 장치의 쥐덫을 제작한다.
- 치티 치티 뱅뱅 (1968년): 괴짜 발명가인 주인공 캐랙테커스 포츠가 과장된 공정으로 아침 식사를 만드는 장치를 선보인다.
- 슈퍼맨 3 (1983년): 장치가 아닌 거리의 사람들에 의한 연쇄 반응 예시. 드레스를 입은 여성에게 반해 기둥에 부딪힌 남자를 시작으로 연쇄적인 소동이 벌어진다.
- 피위의 대모험 (1985년): 영화 초반에 주인공 피위 허먼이 화려하고 다채로운 장치로 아침 식사를 만든다. 팬케이크를 굽는 프라이팬의 기세가 너무 강해 팬케이크가 천장에 붙어버린다.
- 백 투 더 퓨처 (1985년): 영화 초반에 발명가 에밋 브라운 박사("닥")의 집에서 등장한다.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어 아침 식사가 만들어지지만, 온수기에 용기가 세팅되지 않았거나 토스트가 새까맣게 타는 등 제대로 기능하는 것은 개의 먹이 주기 장치뿐이었다.
- 구니스 (1985년): 발명을 좋아하는 소년 데이터 왕의 집 초인종을 누르면 복잡한 장치가 작동하여 문을 열어준다.
- 바질, 위대한 생쥐 탐정 (1986년): 악당 라티건 교수의 함정에 걸린 주인공 쥐들은 총, 도끼, 모루, 활 등이 조합된 거대한 쥐덫 처형 장치에 구속된다. 주인공 바질은 장치의 트릭을 이용하여 처형 장치에서 탈출한다.
- 머니 피트 (1986년): 개조 공사 중인 집에서 발을 헛디딘 것이 계기가 되어 불운이 연쇄적으로 겹치면서 공사용 발판이 전부 무너진다.
- 나 홀로 집에 (1990년): 주인공 케빈 맥콜리스터가 집에 침입한 도둑들을 격퇴하기 위해 집 안의 물건들을 이용한 여러 함정 장치를 만든다.
- 블로운 어웨이 (1994년): 영화 후반부에 배에 설치된 초대형 폭탄의 기폭 장치로 사용된다. 다만, 이는 폭탄 테러범이 도주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이었다.
- 플러버 (1997년): 과학자인 주인공 필립 브레이너드 교수가 복잡한 장치로 아침 식사를 만든다.
- 로봇 (2005년): 주인공 로드니 카퍼바텀이 로봇 시티로 향할 때, 구체형 탈것을 탄다. 이 탈것은 핀볼처럼 사출되어 파이프, 슬라이드, 해머 등의 기믹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하는 복잡한 운송 시스템을 이용한다.
- 데스티네이션 시리즈: 피할 수 없는 죽음의 운명에 갇힌 인물들이 일상 속 사소한 사건들이 연쇄적으로 이어져 발생하는 기이하고 끔찍한 사고로 죽음을 맞이한다. 이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처럼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인과관계의 연쇄로 묘사된다.
- 나우 유 씨 미 2: 마술사기단 (2016년): 마술 쇼에서 복잡한 장치의 마지막 단계가 단두대와 연결되어 등장인물의 목이 절단되는 것처럼 보이는 마술을 선보인다.
클레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월레스와 그로밋''의 주인공 월레스는 옷 입기와 같은 수많은 사소한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복잡한 기계를 많이 만들고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에 대한 영감은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에게서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4. 2. TV 프로그램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여러 TV 프로그램에서 코믹한 효과나 특정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등장했다.영국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에서 주인공 월레스는 옷 입기와 같은 사소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힌 기계 장치를 만들어 사용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이는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의 작업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요리 경쟁 TV 프로그램 ''푸드 네트워크 챌린지''에서는 2011년 방영된 에피소드에서 참가자들이 설탕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과제를 수행하기도 했다.[7]
미국 드라마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찾아볼 수 있다. ''엘리멘터리: 홈즈 앤 왓슨''이나 ''X파일'' 제145화 "골드버그 (The Goldberg Variation)" 에피소드 등이 그 예이다. "골드버그" 에피소드에서는 등장인물이 아이의 장난감을 이용해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드는 장면이 나온다.
일본의 다양한 TV 프로그램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장치나 이와 유사한 연쇄 반응 장치가 소재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 NHK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피타고라스 스위치''에 등장하는 '피타고라 장치' 코너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함께 과학 원리를 전달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 애니메이션 ''타임 보칸 24'' 제15화 "피타고라스는 〇〇의 천재였다!"에서는 "피타고라스 스위치"를 패러디한 장면이 등장한다.
- 특촬물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제10화 "무적의 카운터"에서는 주변의 건물이나 공사용 중장비 등이 마치 하나의 거대한 루브 골드버그 장치처럼 연쇄적으로 작동하여 최종적으로 악당 몬스터를 물리치는 독특한 연출을 보여주었다.
- 드라마 ''MIU404'' 제3화에서는 주인공 형사가 주변의 사물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간단한 장치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인간이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이나 운명에 대해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 이 외에도 애니메이션 ''닌자라'' 제1화 "완성! 닌자 검!", ''레이튼 미스터리 탐정사 ~카트리의 수수께끼 파일~'' file4 "카트리에일과 세기의 대괴도", ''명탐정 코난'' 제1111화 및 제1112화 "루브 골드버그 머신" 에피소드 등 다수의 작품에서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소재로 다루었다.
TV 광고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장치가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된 사례가 있다. 2003년 영국에서 방영된 혼다 자동차의 'Cog' 광고는 실제 혼다 어코드의 부품들을 정교하게 배열하여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구성했고, 마지막에는 완성된 자동차가 움직이는 장면으로 마무리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4. 3. 게임
더 인크레더블 머신은 플레이어가 일련의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직접 만드는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다. 이 게임은 각 스테이지마다 주어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부품들을 이용해 복잡한 장치를 설계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보드 게임 중에서는 마우스 트랩이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초기의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이 외에도 루브 골드버그 장치의 개념을 활용하거나 직접 등장시킨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
- 코로파타: 더 인크레더블 머신과 유사하게 장치를 조립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게임으로, 어린 소녀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 고스트 트릭: 게임 플레이 중 한 장면에서 루브 골드버그 장치가 등장하며, 이야기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 게임 내에서 사건의 트릭으로 루브 골드버그 장치가 사용되며, 장치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기도 한다.
4. 4. 광고
미국의 록 밴드 OK Go는 그들의 두 번째 프로모션 비디오인 'This Too Shall Pass'에서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사용했다.4. 5. 기타
이 표현은 복잡하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종종 묘사한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의 만화 ''버츠 교수와 자동 냅킨''은 나중에 엽서책 ''루브 골드버그의 발명품!''과 하드커버 ''루브 골드버그: 발명품''을 포함한 여러 책 모음에 재인쇄되었으며, 두 책 모두 메이너드 프랭크 울프가 루브 골드버그 아카이브에서 편집했다.[1]
"루브 골드버그"라는 용어는 1928년경부터 복잡한 장치를 설명하는 데 인쇄물로 사용되었으며,[2] 1966년에는 ''랜덤하우스 영어 사전''에 "환상적으로 복잡하고 즉흥적인 외관을 가진" 또는 "교묘하게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않은"이라는 의미로 등재되었다.[3] 루브 골드버그 장치는 주변 도구를 가지고 손대면서 파생된 장치이기 때문에 진화 과정과 유사점을 찾기도 한다.[4]
골드버그의 많은 아이디어는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매우 단순한 작업을 위해 그러한 복잡한 장치를 만드는 코믹한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영화 ''구니스''의 정문 개폐 장치나 ''피위의 대모험''에 나오는 아침 식사 기계가 대표적이다. ''어니스트는 감옥에 간다''에서는 주인공 어니스트 P. 워렐이 자신의 발명품을 사용하여 단순히 TV를 켜는 장면이 나온다. ''치티치티뱅뱅'', ''웨이팅...''의 엔딩 크레딧, ''다이빙 인투 머니 핏'', ''백 투 더 퓨쳐''와 같은 다른 영화에서도 루브 골드버그 스타일의 장치가 등장했다.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의 주인공 월레스는 옷 입기와 같은 수많은 사소한 작업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러한 기계를 많이 만들고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영감은 영국의 만화가 W. 히스 로빈슨에게서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인크레더블 머신''은 플레이어가 일련의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드는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다. 보드 게임 ''마우스 트랩'' 역시 이러한 장치의 초기 실질적인 예로 언급되어 왔다.
기계 문명에 대한 풍자라는 루브 골드버그가 의도한 목적으로 이 장치를 등장시킨 작품으로는 찰리 채플린의 1936년 영화 『모던 타임스』의 자동 급식기가 특히 유명하다.[15][16] 그 이후에도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고 있다.
- 『미래 씨』(신타니 아키히로의 만화): 제9화 "뇌"에서, 수수께끼 기계라는 이름으로 장치의 수제 세트가 발렌타인데이 선물 풍습으로 정착되어 있다.
- 『유리성』 살인사건: 키타야마 타케쿠니의 추리 소설. 오각별 배치로 쌓인 대량의 책과 절단된 머리에 의한 기묘한 장치가 등장한다.
- HEMA: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 표시된 상품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인터랙티브 요소에 활용되었다.
5. 대회
1987년 초, 인디애나 퍼듀 대학교는 전국 엔지니어링 형제회인 세타 타우(Theta Tau)의 파이 지부에서 주최하는 연례 전국 루브 골드버그 장치 대회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세타 타우의 엡실론 지부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유사한 연례 대회를 시작했다.
1997년경부터 키네틱 아트 예술가 아서 갠슨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MIT 박물관이 후원하는 연례 "추수감사절 다음 금요일"(FAT) 대회의 사회자를 맡는다. 이 대회에서 참가팀들은 넓은 체육관 주변에 배치된 테이블 위에 정교한 루브 골드버그 스타일의 연쇄 반응 장치를 만든다. 각 장치는 앞뒤 장치와 끈으로 연결되며, 처음 끈을 당기면 일련의 사건들이 시작된다. 이 과정은 클로즈업으로 비디오 촬영되어 대형 스크린에 생중계된다. 모든 연쇄 반응이 끝나면 다양한 부문과 연령대별로 상이 수여된다. MIT 박물관 웹사이트에서는 여러 해 동안의 대회 비디오를 볼 수 있다.[5]
체인 반응 장치 대회[6]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카네기 과학 센터에서 열리는 연례 행사이다. 고등학교 팀들이 참가하여, 매년 바뀌는 간단한 작업을 20단계 이상(크기, 시간, 안전 등에 대한 추가 제약 포함)으로 수행하는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제작한다.
TV 프로그램 ''푸드 네트워크 챌린지''에서는 2011년 참가자들이 설탕으로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과제를 받았다.[7]
사이언스 올림피아드에는 '미션 파서블'(Mission Possible)[8]이라는 행사가 있으며, 학생들이 특정 작업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루브 골드버그와 유사한 장치를 제작한다.
루브 골드버그 회사 자체에서도 연례 루브 골드버그 장치 대회를 개최한다.[9]
참조
[1]
서적
Rube Goldberg: Inventions
Simon & Schuster
[2]
뉴스
THE PLAY; 'Rain or Shine,' Joe Cook
1928-02-10
[3]
서적
Rube Goldberg: His Life and Work
Harper and Row
[4]
간행물
Evolution of a family of molecular Rube Goldberg contraptions.
2019
[5]
웹사이트
Friday After Thanksgiving: Chain Reaction
http://web.mit.edu/m[...]
2011-05-06
[6]
웹사이트
Chain Reaction Contraption Contest
http://www.chainreac[...]
2014-12-13
[7]
웹사이트
Food Network Challenge: Sugar Inventions
http://www.foodnetwo[...]
2015-09-18
[8]
웹사이트
Mission Possible
http://www.soinc.org[...]
2013-12-30
[9]
웹사이트
Rube Goldberg – Home of the Official Rube Goldberg Machine Contests
https://www.rubegold[...]
2018-01-11
[10]
웹사이트
Die Weltmaschine des Franz Gsellmann
http://www.weltmasch[...]
2011-05-06
[11]
서적
The World of Leonardo: 1452–1519
Time-Life Books
[12]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Heath Robinson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27
[14]
웹사이트
The Great Egg Race
https://www.bbc.co.u[...]
BBC
2024-03-27
[15]
Youtube
Charlie Chaplin - Feeding Machine - Modern Times
https://www.youtube.[...]
Charlie Chaplin
2020-03-07
[16]
서적
ぼくの映画オモチャ箱
晶文社
[17]
웹사이트
進め!!コロコロからくり装置王選手権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23-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