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마리 그리그뇽 드 몽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는 167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716년 선종한 로마 가톨릭 사제이다. 그는 가난한 이들을 위한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 《묵주 기도의 비밀》 등 저서를 통해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강조했다. 몽포르는 마리아 선교 수도회와 지혜의 딸 수도회를 설립했으며, 그의 영성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몽포르는 퐁샤토에서 대규모 칼바리아를 세우려 했으나 얀세니즘 세력의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다. 그는 4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현재 몽포르의 생가와 묘소는 순례지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기독교 성인 -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프랑스 사제이자 교육자인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며 현대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졌고, 사범학교 설립, 학년별 교육과정 도입 등 혁신적인 교육 정책으로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일에빌렌주 출신 - 장 랑글레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인 장 랑글레는 2세에 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파리 국립 고등 음악원에서 오르간을 전공하고 생 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오르간 음악과 종교 음악을 중심으로 254곡의 작품을 남겨 20세기 프랑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에빌렌주 출신 - 이자벨 르노
    프랑스 배우 이자벨 르노는 1984년 연기 수업을 시작하여 1991년 영화 데뷔 후, 다양한 작품 활동과 《완전한 사랑》의 수상 경력을 통해 폭넓은 연기 경력을 쌓았다.
루이마리 그리그뇽 드 몽포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聖ルイ・マリー・グリニョン・ド・モンフォール
聖ルイ・マリー・グリニョン・ド・モンフォール
존칭 접두사
이름루이-마리 그리니옹 드 몽포르
존칭 접미사TOSD
출생일1673년 1월 31일
사망일1716년 4월 28일 (43세)
축일4월 28일
공경 대상로마 가톨릭 교회
출생지프랑스 몽포르-쉬르-뫼
사망지생-로랑-쉬르-세브르
칭호고전 성모 신학자
사제
선교사
시복일1888년
시복자교황 레오 13세
시성일1947년 7월 20일
시성자교황 비오 12세
사목
서품 (가톨릭)1700년 7월
영성
관련 주제기독교 신비주의
신비주의 전통프랑스 학파
추가 정보
인용 웹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성 루이-마리 그리니옹 드 몽포르 시성 50주년 기념 서한

2. 유년 시절

몽포르쉬르뫼에 있는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의 생가


루이마리 그리뇽은 1673년 1월 31일 프랑스 브르타뉴의 몽포르쉬르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공증인이자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장바티스트 그리뇽이었고, 어머니는 잔느 로베르였다. 그는 18명의 자녀 중 살아남은 아이들 가운데 가장 맏이였다. 어린 시절 대부분은 아버지가 농장을 구입한 이펭디크에서 보냈는데, 이곳은 몽포르쉬르뫼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다. 12세가 되던 해, 그는 에 있는 예수회 대학인 성 토마스 베켓 대학교에 입학하였다.[1][27][37]

대학에서 공부하며 사제로서의 소명을 느끼기 시작했고, 정규 수업 외에도 개인적으로 철학과 신학 공부를 이어갔다. 특히 순회 설교자였던 아베 줄리앙 벨리에 신부의 이야기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그를 본받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가가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열망을 갖게 되었다.[2][3] 또한, 벨리에 신부를 비롯한 여러 사제들의 지도를 받으며 성모 마리아에 대한 깊은 신심을 키워나갔다.[2][3]

3. 신학생 시절

루도비코 마리아는 후원자를 통해 명성 높은 생쉴피스 신학교[38][28]에서 공부할 기회를 얻어 1693년 후반기에 파리로 갔다. 그러나 파리에 도착했을 때 후원자가 충분한 지원금을 마련해주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여러 하숙집을 전전하며 가난한 이들과 함께 지냈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소르본 대학교에서 신학 강의를 들었다. 파리에 도착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아 병을 얻어 입원하게 되었으나, 당시 치료법의 일종이었던 피 뽑기 치료 등을 겪으면서도 회복하였다.

병원에서 퇴원한 후, 그는 자신이 생쉴피스 소신학교(Little Saint-Sulpice영어)에 등록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1695년에 입학하였다. 생쉴피스 신학교는 프랑스 영성 학교(French school of spirituality영어)를 주창한 장자크 올리에가 설립한 곳이었다.

루도비코 마리아는 생쉴피스 신학교의 도서관 사서로 일하면서 영성에 대한 다양한 분야, 특히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성모 마리아의 역할에 대해 깊이 공부할 기회를 가졌다. 이때 얻은 지식은 훗날 그가 묵주 기도를 주제로 저술한 《묵주의 비밀》(Secret of the Rosary영어)에 영향을 미쳤다.

파리 신학생 시절, 루도비코 마리아는 천사들에 대한 깊은 신심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5] 그는 동료 신학생들에게 각자의 수호천사를 존경하고 애정을 표현하도록 권장했다.[39][5] 편지를 쓸 때는 받는 이의 수호천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인사말로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새로운 마을이나 도시에 들어갈 때마다 그곳의 천사들에게 경의를 표했다고 전해진다.[39][5]

이러한 천사 신심은 당시 그의 교육과 문화 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그를 가르쳤던 예수회 교사들은 천사 신심 전파에 열성적이었으며,[5] 생쉴피스 신학교에서 접한 베륄 추기경과 장자크 올리에 역시 천사에 대한 깊은 신심을 가진 인물들이었다.[39][5] 또한, 17세기와 18세기에는 천사와 같은 순수한 영들에 대한 경건 서적과 논문들이 많이 발간되던 시기였다.[39][5]

4. 사제 서품과 초기 활동

루도비코 마리아가 사제품을 받기 위해 공부했던 생쉴피스 성당.


1700년 6월, 루이마리 그리그뇽 드 몽포르는 사제 서품을 받고 낭트로 부임하였다.[38][4] 그는 복음 전파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껴 실망했으며, 한때 은수자가 될 생각도 하였다. 그러나 곧 가난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캐나다와 같은 해외 선교를 강하게 원했지만, 영적 지도자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사제 서품 5개월 후인 1700년 11월, 그는 도미니코회 제3회에 입회하였다.[40][6] 그는 묵주 기도에 대한 강론을 하고 묵주기도 신심 단체를 세우고자 노력했다. 또한 이때부터 성모 마리아의 보호 아래 가난한 이들과 피정에서 강론하는 사제들의 작은 모임을 구상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훗날 마리아의 선교 수도회 창설의 기초가 되었다.

이 무렵 몽포르는 푸아티에에 있는 한 병원의 담당 사제로 임명되었고,[7] 그곳에서 훗날 시복되는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를 만났다. 이 만남은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가 이후 34년 동안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혜의 딸 수도회 설립의 기초를 놓았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지역 교구장 주교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에 실망한 몽포르는 자신이 나아갈 길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로마로 순례를 떠나 교황 클레멘스 11세를 만났다.[2] 교황은 그의 소명을 알아보고 프랑스에서 할 일이 많을 것이라며 격려하고, 그에게 교황 파견 선교사(사도 선교사)라는 직함을 부여하여 돌려보냈다.[8][31]

로마에서 돌아온 몽포르는 몽생미셸에서 피정을 하며 영적으로 성찰하고 글을 쓰는 시간을 가졌다.[5][29] 이후 몇 년 동안 브르타뉴에서 낭트에 이르는 지역에서 활발히 전교 활동을 펼쳤다. 그의 선교사로서의 명성은 점차 높아져 '몽포르의 좋은 신부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퐁샤토에서는 수백 명의 사람들과 힘을 합쳐 거대한 칼바리아(그리스도 수난상)를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완공 후 축복식을 앞두고, 얀세니즘 추종자들의 압력[37]과 프랑스 국왕의 명령으로 칼바리아를 철거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이 소식을 들은 주교는 축복식을 금지했고, 몽포르는 크게 상심했다. 그는 축복 예식을 기다리던 군중에게 "우리는 이곳에 그리스도 수난상을 세우기를 원했습니다. 이제 그것을 우리 마음속에 세웁시다. 여러분 모두에게 하느님의 축복을 빕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27]

5. 로마 순례와 교황의 격려

지역 교구장 주교들의 반대에 실망한 루도비코 마리아는 자신이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교황에게 묻기 위해 로마로 순례 여행을 떠났다.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그의 소명, 즉 하느님께서 맡기신 진정한 사명을 알아보고, 프랑스에서 할 일이 아직 많다고 격려하며 그에게 교황 파견 선교사라는 직함을 부여하고 돌려보냈다.[31]

로마 순례에서 돌아온 몽포르는 몽 생 미셸 수도원에서 피정을 하며 묵상에 잠겼다. 그는 이곳에서 대천사 성 미카엘에게 하느님을 위해 영혼들을 얻고, 하느님의 은총 안에 머무르며, 악마와 죄에 맞서 싸울 은총을 간구하며 기도했다.[29] 이 피정 기간은 몽포르에게 깊이 생각하고, 명상하며, 저술할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6. 전교 활동과 퐁샤토 사건

지역 교구장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루도비코 마리아는 로마로 가서 교황 클레멘스 11세에게 조언을 구했다. 교황은 그의 소명을 인정하고 '교황 파견 선교사'라는 직함을 부여하며 프랑스에서의 활동을 격려했다.[31]

이후 몇 년간 루도비코 마리아는 브르타뉴에서 낭트에 이르는 지역에서 전교 활동에 헌신했다. 그의 열정적인 활동은 점차 널리 알려져 '몽포르의 좋은 신부님'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특히 퐁샤토(Pontchateau)에서는 수천 명의 사람들과 함께 거대한 그리스도 수난상을 세우는 대규모 작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완공 후 축복식을 앞두고, 당시 교계 내에서 논란이 있던 얀센주의자들의 반발과 압력에[37] 프랑스 국왕이 결국 철거 명령을 내렸다. 이 소식을 접한 주교 역시 축복식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27] 예식을 기다리던 수천 명의 군중 앞에서 루도비코 마리아는 “우리는 이곳에 그리스도 수난상을 세우기를 원했습니다. 이제 그것을 우리 마음속에 세웁시다. 여러분 모두에게 하느님의 축복을 빕니다.”라고 말하며 외적인 상징물보다는 내적인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7. 저술 활동과 영성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의 지혜의 딸 수녀회 서원식을 집전하는 루도비코 마리아.


낭트 등지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치는 바쁜 와중에도 루도비코 마리아는 틈틈이 시간을 내어 저술 활동에 매진했다. 이때 《성모님께 드리는 참된 신심》,[9][32][33] 《묵주기도의 비밀》, 《성모의 비밀》[10][34] 등 중요한 종교 서적들을 저술했다. 또한, 자신이 설립을 도운 마리아 자매회(마리아 선교회)와 지혜의 딸 수녀회의 규칙들을 작성했으며, 신자들이 쉽게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찬미가를 작곡했다.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을 집필하기 직전에는 도미니코회 제3회원이 되었다.[41][31] 그의 선교 활동과 저술은 많은 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방데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그의 열정적인 설교는 많은 사람에게 환호를 받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다소 이상하게 여겨져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한 번은 독살 시도까지 당했으며,[1][27] 이로 인해 치명적인 상태는 아니었지만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 그럼에도 그는 굴하지 않고 설교와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학교 설립 등 자신의 사명을 계속 수행했다.

성 베드로 대성당의 루이 드 몽포르 동상


몽포르 영성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오직 하느님: 그의 좌우명으로, 저술에서 150번 이상 반복된다.
  • 성육신: 말씀의 성육신을 절대적인 중심 현실로 보았다.[12]
  •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사랑: 그의 영성에서 마리아는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 십자가에 대한 충실함: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십자가를 따르는 삶을 강조했다.
  • 선교 열정: 복음 전파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지녔다.[13]


특히 그의 마리아 신심은 '몽포르의 성모 신심'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수와 마리아의 불가분성을 강조한다. 그는 "마리아 안에서 예수께 봉헌"하는 것을 그리스도와 온전히 일치하고 결합하는 특별한 길로 보았다. 그는 "... 모든 피조물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가장 일치하는 존재는 성모 마리아, 그분의 거룩한 어머니께 대한 신심이며, 영혼이 성모님께 더 많이 봉헌될수록 예수 그리스도께 더 많이 봉헌될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모든 물을 모으시어 바다(mare)라 부르셨습니다. 그분은 자신의 모든 은총을 모으시어 마리아(Maria)라 부르셨습니다.[14]"라는 비유를 통해 마리아에게 부여된 특별한 은총을 설명하며, "마리아는 예수께 다가가는 가장 안전하고, 쉽고, 짧고, 가장 완벽한 길"이라고 강조했다.[15]

몽포르가 제시한 '완전 봉헌'은 단순히 신심 행위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무가치함 인식, 마리아의 믿음 참여, 순수한 사랑의 선물, 하느님과 마리아에 대한 무한한 신뢰, 마리아의 영과의 소통, 예수의 모습으로 변화, 그리스도께 더 큰 영광을 돌리는 일곱 가지 요소와 결과를 포함하는 전인적인 과정이다. 이는 내적으로 자신을 마리아와 예수를 위한 종으로 여기고 모든 행동을 "마리아와 함께, 마리아 안에서, 마리아를 통해, 마리아를 위하여" 행하는 것과, 외적으로 마리아 협회 등록, 마리아 관련 수도회 가입, 마리아의 특권 전파 및 존중, 마리아를 기리는 자선 실천 등을 포함한다.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의 사상과 영성은 후대 여러 교황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16][17] 19세기 교황 비오 9세는 그의 마리아 신심을 가장 훌륭하고 수용할 만한 형태로 여겼으며, 교황 레오 13세는 몽포르 방식의 마리아 봉헌 실천에 대사를 부여하고, 자신의 사제 금경축일에 맞춰 1888년 몽포르를 시복했다. 20세기 교황 비오 10세는 자신의 회칙 《Ad diem illum》 작성에 몽포르의 저술이 영향을 미쳤음을 인정했다.[18] 교황 비오 11세 역시 젊은 시절부터 몽포르의 신심을 실천했다고 밝혔으며, 교황 비오 12세는 몽포르를 성인으로 선포하며 그를 "마리아를 통해 예수님께로 이끄는 안내자"라고 칭했다. 특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젊은 신학생 시절 몽포르의 저서를 여러 번 읽고 큰 영적 유익을 얻었다고 회고하며, "하느님-삼위일체의 뜻을 거스르지 않고서는 주님의 어머니를 내 삶에서 제외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19] 그의 교황 좌우명 "Totus Tuus"(온전히 당신의 것)는 몽포르의 마리아 봉헌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은 것이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자신의 사도 서한 《Rosarium Virginis Mariae》와 회칙 《Redemptoris Mater》에서도 몽포르의 사상과 저술, 모범을 로마 가톨릭 마리아 영성의 중요한 증인으로 언급했다.[20]

몽포르는 영성가이자 저술가였을 뿐만 아니라 시인이기도 했다. 그는 선교 활동 중에 2만 구절이 넘는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이는 주로 마을 교회나 가난한 이들의 집에서 불렸다. 그의 찬송가는 영감을 받아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것과 교훈적인 내용을 담아 신중하게 작곡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몽포르 사후, 그의 정신을 이어받은 마리아 자매회는 이 찬송가들을 복음 전파의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했다.[21] 또한 그는 최소 세 점의 마리아와 아기 예수 조각상을 직접 조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8. 지혜의 딸 수도회 설립



라로셸의 교구장 주교는 몽포르에게 깊은 인상을 받고 그에게 라로셸에서 학교를 개설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었다. 몽포르는 당시 푸아티에의 종합병원을 운영하며 자신을 따르던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1715년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와 카타리나 브루네는 푸아티에를 떠나 라로셸로 가서 학교를 개설하였으며, 짧은 시간 안에 400명의 학생을 모집하였다.[35]

1715년 8월 22일, 마리아 루도비카 트리셰와 카타리나 브루네는 라로셸 출신의 마리 발레우, 마리 레니에와 함께 라로셸의 주교로부터 몽포르의 영적 지도 아래 수도 서원을 하고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인가를 받았다. 몽포르는 수도회 창설식을 주재하면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소임을 맡은 여러분은 이제 스스로 지혜의 딸들( Daughters of Wisdom|지혜의 딸들eng )이라고 부르십시오.”라고 말했다.[38][4][28] 이렇게 설립된 지혜의 딸 수도회는 이후 국제적인 수도회로 발전하였으며,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 설립자인 루도비코 마리아 성인의 동상을 안치하는 데 기여했다.[11]

9. 죽음과 유산

과로와 병으로 급격하게 수척해진 루이마리는 1716년 4월 생로랑쉬르세브르에서 마지막 설교를 하였다. 그의 마지막 설교는 하느님 지혜의 성육신과 예수의 온유함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 설교 후 병을 얻어 같은 해 4월 28일에 43세의 나이로 선종하였다. 이는 사제 서품 16년째 되던 해였다.[35][1] 수천 명의 군중이 그의 장례 미사와 매장을 위해 모였으며, 그의 무덤에서 수많은 기적이 일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로부터 정확히 43년 후인 1759년 4월 28일, 몽포르의 동역자였던 마리 루이즈 트리셰 역시 생로랑쉬르세브르에서 선종하여 몽포르 옆에 안장되었다.

몽포르는 생전에 마리아회, 지혜의 딸 수녀회, 성 가브리엘 형제회를 설립했다. 특히 지혜의 딸 수녀회는 1715년 라 로셸에서 마리 루이즈 트리셰와 함께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학교를 열면서 시작되었으며, 짧은 시간 안에 400명의 학생을 받았다.[4] 이 수녀회는 국제적인 조직으로 성장하였고, 성 베드로 대성당에 몽포르의 ''창립자 조각상''이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11] 몽포르가 설립한 이들 수도회는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23]

그는 또한 『성모님께 드리는 참된 신심』,[9] 『마리아의 비밀』,[10] 『묵주기도의 비밀』 등 여러 중요한 저서를 남겼으며, 많은 찬송가를 작곡하기도 했다. 그의 전도 활동은 특히 방데 지역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몽포르의 출생지인 몽포르쉬르뫼의 생가와 그가 묻힌 생로랑쉬르세브르의 생 루이마리 드 몽포르 대성당은 매년 약 25,000명의 순례자가 찾는 주요 순례지가 되었다. 1996년 9월 19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생로랑쉬르세브르를 방문하여 몽포르와 트리셰의 무덤 앞에서 기도하였다.

9. 1. 한국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

태국 방콕의 어섬션 칼리지 건물에 있는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 조각상


마타라의 주님과 성모의 봉사자회와 같이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의 영성을 따르는 단체들이 있다.[13] 또한 몽포르는 교육 분야에서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데, 싱가포르의 성 가브리엘 중학교 및 몽포르 중학교, 태국의 어섬션 칼리지, 미국 뉴욕주 마운트 버논의 몽포르 아카데미 등 여러 학교가 그를 수호성인으로 삼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9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2-21
[2] 논문 The Life and Legacy of St Louis Marie Grignion de Montfort https://www.research[...] 2015-08
[3] 간행물 Louis Marie Grignion de Montfort, Apôtre de la Dévotion Mariale
[4] 웹사이트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http://www.americanc[...] Franciscan Media
[5] 웹사이트 Jesus Living in Mary: Handbook of the Spirituality of St. Louis de Montfort http://www.ewtn.com/[...] Montfort Publications 1994
[6] 서적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Queenship Publishing 2008
[7] 문서 Hôtel-Dieu in Nantes
[8] 서적 Heart of Catholicism: Essential Writings of the Church from St. Paul to John Paul II 1997
[9] 서적 A treatise on the true devotion to the blessed virgin https://books.google[...] 1863
[10] 웹사이트 Secret of Mary http://www.catholict[...]
[11] 웹사이트 Founder Statue in St Peter's Basilica http://www.stpetersb[...]
[12] 웹사이트 Letter of Pope John Paul II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anonization of Sain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https://www.vatican.[...] 1997-06-21
[13] 웹사이트 St. Louis Marie Grignion de Montfort (1673 – 1716) http://www.ssvmusa.o[...] Servants of the Lord and the Virgin of Matará
[14] 서적 A Treatise on the True Devotion to the Blessed Virgin Burns and Lambert 1863
[15] 웹사이트 What is a Marian Consecration? St. Louis de Montfort's Total Consecration to Jesus through Mary https://www.thescott[...]
[16] 서적 Mary's Pope Rowman & Littlefield Press 2000
[17] 서적 The Legacy of John Paul II Intervarsity Press 2007
[18] 서적 Die Magd des Herrn 1947
[19] 뉴스 Pope Reveals Mary's Role In His Life http://www.zeitun-eg[...] Zenit 2000-10-15
[20] 웹사이트 Redemptoris Mater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87-03-25
[21] 웹사이트 Jesus Living in Mary http://www.ewtn.com/[...] EWTN
[22] 웹사이트 Statues by Montfort in All About Mary https://udayton.edu/[...] International Marian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Dayton
[23] 웹사이트 Montfortian Religious Family http://www.montfort.[...]
[24] 웹사이트 Various Interpretations Of Montfort's Personality in Jesus Living in Mary: Handbook of the Spirituality of St. Louis de Montfort http://www.ewtn.com/[...] Montfort Publications 1994
[25] 문서 聖グリニョンド・モンフォール著『聖母マリアへのまことの信心』山下房三郎(トラピスト会司祭)訳1980年発行 https://kerubim.juge[...]
[26] 웹사이트 Letter of Pope John Paul II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anonization of Sain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http://www.vatican.v[...] 1997-06-21
[27] 웹사이트 S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2-21
[28] 웹사이트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http://www.americanc[...] Franciscan Media
[29] 웹사이트 Jesus Living in Mary: Handbook of the Spirituality of St. Louis de Montfort http://www.ewtn.com/[...] Montfort Publications 1994
[30] 서적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Queenship Publishing 2008
[31] 서적 Heart of Catholicism: Essential Writings of the Church from St. Paul to John Paul II 1997
[32] 웹사이트 True Devotion to Mary online http://www.catholict[...]
[33] 웹사이트 Original Translation of Fr. Faber https://books.google[...]
[34] 웹사이트 Secret of Mary online http://www.catholict[...]
[35] 웹사이트 Los Misioneros Monfortianos ULTIMOS AÑOS http://www.montfort.[...] 2017-04-22
[36] 웹인용 Letter of Pope John Paul II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anonization of Sain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http://www.vatican.v[...] 1997-06-21
[37] 웹사이트 S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9.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http://www.newadvent[...] Poulain, Augustin 2013-02-21
[38] 웹사이트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http://www.americanc[...] Foley O.F.M., Leonard
[39] 웹인용 "Jesus Living in Mary: Handbook of the Spirituality of St. Louis de Montfort" http://www.ewtn.com/[...] Montfort Publications, Litchfield, CT, 1994 2014-10-12
[40] 서적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Queenship Publishing 2008
[41] 서적 Heart of Catholicism: Essential Writings of the Church from St. Paul to John Paul II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