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치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치아는 304년 시라쿠사에서 순교한 기독교 성녀이다. 귀족 출신으로 기독교 신앙을 따랐으며, 결혼을 거부하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루치아는 신앙을 버리라는 요구를 거부하여 고문을 받았고, 결국 목에 칼을 맞고 순교했다. 그녀는 시력 보호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12월 13일 축일에 기념된다. 스칸디나비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루치아 축제가 열리며, 이탈리아에서는 루치아를 기리는 다양한 전통이 있다. 단테의 '신곡'에도 등장하며, 대중문화에서도 루치아는 빛과 구원을 상징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83년 출생 - 갈홍
    갈홍은 중국 동진 시대의 연금술사, 의학자, 종교 학자로서, 유학을 공부하며 신선 사상에 심취하여 의병을 일으키고 저서를 남겼으며, 개똥쑥을 이용한 말라리아 치료법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
  • 쉬라쿠사이인 - 케팔로스
    케팔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으로, 프로크리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에오스와의 인연, 암피트리온 원정 참여 등 다양한 신화적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문학과 오페라에서 재해석되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상징으로도 해석된다.
  • 쉬라쿠사이인 -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4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작가로, 로마 점성술에 대한 《수학에 대한 여덟 서》와 기독교를 옹호하는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를 저술했다.
  • 304년 사망 - 아녜스
    아녜스는 4세기 초 로마 제국에서 순교한 초기 기독교 성녀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정결을 서약하고 순교하여 순결, 정원사 등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으며, 매년 축일에는 교황이 축복한 어린 양털로 팔리움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 304년 사망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루치아
기본 정보
존칭 접두어성인
이름루치아
'성 루치아, 니콜로 디 세냐, 14세기 중반 시에나 회화, 1340년경. 성인은 최종적으로 처형된 단검이나 칼과 그녀의 상징인 램프를 들고 있다.'
칭호동정녀이자 순교자
출생일283년경
출생지시라쿠사, 시칠리아, 로마 제국
사망일304년
사망지시라쿠사, 시칠리아, 서로마 제국
공경 교파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오리엔트 정교회
루터교
시복일
시성일교황청 이전
주요 성지시라쿠사의 산타 루치아 알 세폴크로 성당 및 시라쿠사 대성당, 베네치아의 산 제레미아 성당
축일12월 13일
9월 16일 (1970년 이전 일반 로마 달력의 중복 축일)
상징끈; 눈; 접시에 담긴 눈; 눈가리개; 램프; 칼; 소 멍에에 매인 여성; 성 아가타, 성 로살리아, 성 아녜스, 성 바르바라, 성 카타리나, 성 테클라와 함께 있는 여성; 성 아가타 무덤 앞에 무릎을 꿇고 있는 여성
수호맹인; 순교자; 이탈리아 페루자; 몰타 므타르파; 전염병; 상인; 이탈리아 시라쿠사; 목 감염; 작가; 필리핀 사스무안, 팜팡가, 산타 루치아, 일로코스수르, 나르바칸, 일로코스수르
한국어 이름
로마자 표기루치아
라틴어 이름Sancta Lucia
기타 정보
셰익스피어 연극연극의 무대가 에페소스이고 시라쿠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은 루치아나의 이름이 빛과 관련된 연상 외에도 초기 근대 영국에서 잘 알려진 성녀인 시라쿠사의 성녀 루치아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글 지도

2. 생애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귀족 처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모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기독교에 귀의하였다. 루치아는 자신의 순결을 신에게 바치고 지참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려 했다. 그러나 어머니 에우티키아는 딸의 뜻을 모른 채 출혈 장애로 고통받으며 루치아를 부유한 이교도 가문의 젊은이와 결혼시키려 했다.

성 아가타는 데키우스 박해 때 순교한 성녀로, 카타니아에 있는 그녀의 성당은 시라쿠사에서 가까워 많은 순례자들이 찾았다. 에우티키아는 병이 낫기를 바라며 카타니아로 순례를 떠났고, 그곳에서 성 아가타는 꿈에 나타나 루치아의 신앙 덕분에 어머니가 치유될 것이며 루치아는 시라쿠사의 영광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어머니의 병이 낫자 루치아는 재산의 상당 부분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도록 설득했다.[6]

루치아의 약혼자는 상속 재산과 보석이 나누어진다는 소식에 분노하여 시라쿠사 총독 파스카시우스에게 루치아를 고발했다. 파스카시우스는 루치아에게 황제의 형상에 제물을 바치라고 명령했으나, 루치아는 거부하고 매춘굴에 보내지는 형벌을 받게 되었다. 기독교 전통에 따르면, 루치아는 소 떼에 매달려도 움직이지 않았고, 주위에 나무 더미를 쌓아 불을 질러도 타지 않았다. 결국 루치아는 목에 칼을 맞고 순교했다.[6] [9]

15세기 이전 기록에는 루치아가 눈을 파내는 고문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없다. 후대 기록에 따르면, 루치아는 죽기 전 파스카시우스의 처벌과 박해의 종식,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의 최후를 예언했다.[6] 이에 분노한 파스카시우스는 루치아의 눈을 뽑으라고 명령했다. 다른 전승에서는 루치아가 스스로 눈을 뽑아 구혼자를 낙담시켰고, 시신 안치 때 눈이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고 한다.[7]

존 헨리 블런트는 루치아의 이야기를 다른 처녀 순교자들의 행적과 유사한 기독교적 로맨스로 보았다.[5]

''판사 앞에 선 루치아'', 로렌초 롯토 작, 1523–1532년

2. 1. 초기 생애와 기독교 신앙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귀족 처녀 루치아는 어릴 적부터 신앙심 깊은 부모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에 귀의하였다. 아버지의 이른 죽음 이후, 어머니 에우티키아는 딸의 장래를 걱정하여 귀족 청년과의 혼담을 승낙하였다. 그러나 루치아는 이미 그리스도에게 동정을 바치기로 서약한 상태였다. 어머니가 불치병에 걸리자, 루치아는 50년 전 순교한 성녀 아가타의 무덤에 기도하면 병이 낫는다는 소식을 듣고 어머니와 함께 참배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병세는 호전되었고, 루치아는 이 기회를 통해 자신의 동정 서원을 어머니에게 고백하고 허락을 받았다. 어머니는 놀랐지만, 신앙심이 깊었기에 결국 딸의 요청을 승낙하였다. [6]

야코벨로 델 피오레의 작품 ''성 아가타의 무덤에서 에우티키아와 루치아''


루치아는 결혼 준비로 마련한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결혼을 포기하였다. 이에 분개한 약혼자는 루치아가 그리스도인임을 시라쿠사의 집정관 파스카시우스에게 고발하였다. [6]

성 아가타는 데키우스 박해 때 순교했다. 카타니아에 있는 성 아가타의 성당은 시라쿠사에서 멀지 않은 거리에 있어 많은 순례자를 끌어들였고, 성 아가타의 중재를 통해 많은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에우티키아는 병이 낫기를 바라며 카타니아로 순례를 떠났다. 그곳에서 성 아가타는 꿈속에 루치아에게 나타나 그녀의 신앙 덕분에 어머니가 치유될 것이며, 루치아는 카타니아의 아가타처럼 시라쿠사의 영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머니가 치유되자 루치아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자신의 재산 상당 부분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도록 했다.[6]

에우티키아는 그 금액이 좋은 유산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루치아는 "주님을 위해 죽을 때 무엇을 주든지, 그것을 가져갈 수 없기 때문에 주는 것입니다. 건강할 때, 죽을 때 주려고 했던 것을 참된 구세주께 드리십시오."라고 반박했다.[8]

『루치아』는 라틴어로 빛을 의미하는 'Lux' 또는 'Lucid'에서 유래한 이름이다.[9]

2. 2. 어머니의 치유와 약혼 거부

시칠리아시라쿠사에서 태어난 귀족 처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모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에 귀의하였다. 아버지의 이른 죽음 이후, 어머니 에우티키아는 딸의 장래를 걱정하여 귀족 청년과의 혼담을 승낙하였다. 그러나 루치아는 이미 그리스도에게 동정을 바치기로 서약한 상태였다. 어머니가 불치병에 걸리자, 루치아는 성녀 아가타의 무덤에 기도하면 병이 낫는다는 소식을 듣고 어머니와 함께 참배하였다. 어머니의 병세가 호전되자, 루치아는 어머니에게 자신의 동정 서원을 고백하고 허락을 구했다. 어머니는 놀랐지만, 신앙심이 깊었기에 결국 딸의 요청을 승낙하였다.[6]

성 아가타는 데키우스 박해 중 52년 전에 순교했는데, 카타니아에 있는 그녀의 성당은 시라쿠사에서 멀지 않은 거리에 있어 많은 순례자들을 끌어들였다. 에우티키아는 병이 낫기를 바라며 카타니아로 순례를 떠났고, 그곳에서 성 아가타는 꿈속에 루치아에게 나타나 그녀의 신앙 덕분에 어머니가 치유될 것이며, 루치아는 시라쿠사의 영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머니가 치유되자 루치아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재산의 상당 부분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도록 했다.[6]

루치아는 결혼 준비로 마련한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결혼하지 않았다. 이에 분개한 약혼자는 루치아가 그리스도인이라는 사실을 시라쿠사의 집정관 파스카시우스에게 고발하였다.

에우티키아는 그 금액이 좋은 유산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루치아는 "주님을 위해 죽을 때 무엇을 주든지, 그것을 가져갈 수 없기 때문에 주는 것입니다. 건강할 때, 죽을 때 주려고 했던 것을 참된 구세주께 드리십시오."라고 반박했다.[8]

상속 재산과 보석이 나누어지고 있다는 소식이 루치아의 약혼자에게 전해지자, 그는 시라쿠사의 총독 파스카시우스에게 루치아를 고발했다.

2. 3. 박해와 순교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귀족 처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모의 영향으로 기독교에 귀의하였다. 아버지의 이른 죽음 후, 어머니 에우티키아는 딸을 귀족 청년과 약혼시켰으나, 루치아는 이미 그리스도에게 동정을 서약한 상태였다. 어머니의 불치병을 계기로 성녀 아가타의 무덤에서 기적을 체험한 루치아는 동정 서약을 고백하고 약혼을 파기,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었다.[6]

분노한 약혼자는 루치아를 그리스도인으로 고발, 집정관 파스카시우스에게 넘겼다. 루치아는 신앙을 굽히지 않아 매음굴로 보내질 위기에 처했으나, 성령의 힘으로 몸이 무거워져 움직일 수 없었다. 불에 태워져도 타지 않는 기적이 일어났지만, 결국 형리에 의해 목에 칼을 맞고 순교하였다.[6] [9] 다른 전승에서는 두 눈을 도려내는 고문을 당했다고도 한다.[7]

존 헨리 블런트는 루치아의 이야기가 다른 처녀 순교자들의 행적과 유사한 기독교적 로맨스로 보았다.[5]

후대의 기록에 따르면 루치아는 죽기 전 파스카시우스의 몰락과 박해의 종식을 예언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막시미아누스의 최후를 예고했다. 분노한 파스카시우스는 루치아의 눈을 뽑아버리라고 명령했다. 다른 버전에서는 루치아가 스스로 눈을 뽑아 구혼자를 낙담시켰다고도 하며, 시신을 안치할 때 눈이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고 한다.[7]

3. 루치아 공경

루치아는 가톨릭교회, 잉글랜드 교회, 감리교회, 루터교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의 성인력에서 12월 13일에 기념된다.[12][13][14]

로마 일반력에는 이전에는 9월 16일에 성 루치아와 게미니아누스의 기념일이 있었으나, 이는 12월 13일 루치아의 축일과 중복되었다. 또한 성 루치아의 순교기에 언급된 게미니아누스는 허구의 인물로 보이며,[1] 1월 31일 축일을 가진 게미니아누스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1969년에 삭제되었다.

3. 1. 초기 공경

산 제르미아(베네치아)의 성 루치아 제단


루치아에 대한 가장 초기의 숭배 증거는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카타콤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올로 오르시 지역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에우스키아의 무덤 비석이다. 에우스키아는 300년대 후반이나 400년대 초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한 25세 여성이었다.[10] 6세기까지 그녀의 이야기는 널리 퍼져서 라벤나의 산타폴리나레누오보 성당의 처녀 행렬[11]과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의 사제서[5]에 등장한다. 그녀는 고대 로마 순교자 명단에도 기록되어 있다.[6] 성 알드헬름(영국, 709년 사망)과 후대의 베다 수도사(영국, 735년 사망)는 그녀의 인기가 이미 영국으로 퍼져 영국에서는 종교개혁까지 2등급 성일(경작과 같은 일만 허용되는 날)로 지켜졌다고 증언한다.[7]

3. 2. 중세 시대의 공경 확산



루치아에 대한 가장 초기의 숭배 증거는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카타콤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올로 오르시 지역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에우스키아의 무덤 비석이다. 에우스키아는 300년대 후반이나 400년대 초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한 25세 여성이었다.[10] 6세기까지 그녀의 이야기는 널리 퍼져서 라벤나의 산타폴리나레누오보 성당의 처녀 행렬[11]과 그레고리오 1세의 사제서[5]에 등장한다. 그녀는 고대 로마 순교자 명단에도 기록되어 있다.[6] 성 알드헬름(영국, 709년 사망)과 후대의 베다 수도사(영국, 735년 사망)는 그녀의 인기가 이미 영국으로 퍼져 영국에서는 종교개혁까지 2등급 성일(경작과 같은 일만 허용되는 날)로 지켜졌다고 증언한다.[7]

루치아는 12월 13일 가톨릭교회, 잉글랜드 교회, 감리교회, 루터교회의 성인력에 기념된다.[12][13][14]

수도사 젬블루의 시게베르트 (1030~1112)는 11세기 중반 순교기를 저술하여 메츠에서의 루치아 지역 신앙을 지지했다.[15]

로마 일반력에는 이전에 9월 16일에 성 루치아와 게미니아누스의 기념일이 있었다. 이것은 12월 13일 그녀의 축일과 중복되고, 성 루치아의 순교기에서 언급된 게미니아누스는 허구의 인물로 보이며,[1] 1월 31일 축일을 가진 게미니아누스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1969년에 삭제되었다.

3. 3. 유해 논란

젬블룩스의 시게베르트는 저서 ''성 루치아에 관한 설교(sermo de Sancta Lucia)''에서 성 루치아의 유해가 시칠리아에 400년 동안 보존되어 있다가, 스폴레토 공작 파롤드 2세가 시칠리아 섬을 점령하고 유해를 이탈리아 압루초주 코르피니움(Corfinium)으로 옮겼다고 기록했다.[6] 972년 황제 오토 1세는 유해를 메츠로 옮겨 성 빈센트 교회에 안치했다. 성녀의 팔뼈 일부는 슈파이어 교구의 루이트부르크 수도원으로 옮겨졌는데, 시게베르트는 이 사건을 시로 기념했다.[6]

이후 유해의 역사는 명확하지 않다.[6] 움베르토 베니니(Umberto Benigni)는 스테파노 2세(768년)가 사라센의 침입으로부터 안전을 위해 성 루치아의 유해를 콘스탄티노플로 보냈다고 주장했다.[16] 1204년 프랑스가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했을 때, 프랑스인들은 도시에서 성 루치아에게 속한 것으로 여겨지는 유해를 발견했고, 베네치아 총독 엔리코 단돌로(Enrico Dandolo)는 이 유해를 베네치아의 성 조지 수도원에 안치했다.[17] 1513년 베네치아인들은 성녀의 머리를 프랑스의 루이 12세(Louis XII of France)에게 선물했고, 루이 12세는 이를 부르주 대성당에 안치했다. 그러나 다른 기록에 따르면, 머리는 로마에서 부르주로 옮겨졌는데, 이는 유해가 코르피니움에 있던 시기에 로마로 옮겨졌기 때문이라고 한다.[6]

유해의 일부는 시칠리아, 특히 시라쿠사에 보존되어 고대부터 전해 내려온다. 나머지 유해는 베네치아에 남아 있는데, 1861년 새로운 기차역을 건설하기 위해 산타 루치아 교회가 철거되면서 산 제레미아 교회(San Geremia)로 옮겨졌다. 1981년 11월 7일, 도둑들이 머리를 제외한 모든 뼈를 훔쳤으나, 경찰은 5주 후인 성녀의 축일날 유해를 회수했다. 시신의 다른 부분들은 로마, 나폴리, 베로나, 리스본, 밀라노뿐만 아니라 독일과 프랑스에도 있다.[17]

3. 4. 주요 상징

프란체스코 델 코사(Francesco del Cossa)의 성 루치아(c. 1430 – c. 1477)


루치아라는 이름은 라틴어 "lux"(빛)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잔이나 접시에 눈이 그려진 문장은 시력 보호자로서 그녀에 대한 대중적 신앙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9][20] 성 루치아는 그림에서 종종 금색 접시에 자신의 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고딕 미술에서는 눈 두 개가 담긴 접시를 들고 있거나, 순교와 악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종려가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7] 램프, 단검, 칼 또는 두 마리의 소도 성 루치아를 상징하는 이미지이다.[18]

3. 5. 예술 작품에서의 표현



루치아는 그 이름이 빛을 의미하는 라틴어 "lux"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시력 보호자로 여겨져, 잔이나 접시에 눈이 그려진 문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19][20] 그림에서 성 루치아는 종종 금색 접시에 자신의 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고딕 미술에서는 눈 두 개가 담긴 접시를 들고 있으며, 순교와 악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종려가지를 함께 들고 있기도 하다.[7] 다른 상징으로는 램프, 단검, 칼, 또는 두 마리의 소가 있다.[18]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루치아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지옥편'' 제2곡에서는 "복되신 여인"(성모 마리아)이 베아트리체에게 보낸 사자로 등장하여, 베아트리체가 단테를 돕기 위해 베르길리우스를 보내도록 이끈다. 헨리 팬쇼우 토저는 루치아를 "계몽의 은총"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한다.[21] 로버트 포그 해리슨과 레이첼 자코프는 루치아의 중개자 역할이 베르길리우스가 단테의 용기를 북돋아 지옥 여정을 시작하도록 격려하는 장면을 강화한다고 설명한다.

''연옥편'' 9.52–63에서는 루치아가 잠든 단테를 연옥 입구로 데려간다. 빛을 상징하는 루치아의 등장은 ''지옥편'' 2에서의 등장과 연결되며, 두 경우 모두 단테를 어둠에서 벗어나게 한다. 루치아의 빛 상징성은 단테가 ''연옥편'' 9의 이 저녁 장면을 새벽의 시각으로 이야기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그녀는 단테를 문자 그대로의 어둠에서 새로운 날로, 그리고 은유적인 어둠에서 구원으로 이끌어낸다.[22]

''천국편'' 32에서 단테는 루치아를 신비로운 장미 속에서 아담의 맞은편에 배치한다. 루치아는 계몽의 은총, 자비, 심지어 정의를 상징하는 인물로도 해석될 수 있다.[23]

4. 축일과 기념 행사

루치아의 라틴어 이름 ''Lucia''는 빛을 뜻하는 라틴어 ''lux''에서 유래했다. 여러 전통에서 성 루시아는 겨울 어둠 속의 빛을 가져오는 존재로 묘사되며, 그의 축일은 12월 13일이다.[3]

성 루시아는 시라쿠사(시칠리아)와 이탈리아 페루자의 수호성인이다. 안과의사, 작가, 칼 제작자, 유리공, 노동자, 순교자, 농민, 안장 제작자, 판매원, 스테인드글라스 작업자, 사진측량사 등 다양한 직업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또한 출혈, 이질, 안질환, 인후염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기도의 대상이기도 하다.[18]

카리브해 섬 세인트루시아는 성 루치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헝가리에서는 성 루치아 축일에 작은 화분에 밀을 심는 관습이 있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녹색 새싹이 나타나는데, 이는 죽음에서 나오는 생명의 징후를 보여준다.

필리핀에서도 성 루치아 축일을 기념한다. 마가라오 카마리네스 수르의 바랑가이 산타 루치아에서는 축일 9일 전부터 노베나를 올리고, 성 루치아 이미지 행렬을 한다. 중서부 세부의 아스트리아스 마을 산타 루치아 바랑가이에서도 많은 신자들이 성 루치아를 기념한다.

4. 1. 스칸디나비아의 루시아 축제

스웨덴의 성 루치아 행렬


여배우 솔베이그 헤덴그란이 성 루치아 역을 맡은 사진


성 루치아 축일은 대림절 기간인 12월 13일에 열린다. 달력 개정 이전에는 이 날이 1년 중 가장 짧은 낮인 동지와 일치했기 때문에, 빛의 축제로 여겨졌다.[7]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서는 성 루치아 축일이 특히 두드러진다. 전통적으로 어린 소녀는 흰 드레스와 붉은 리본(순교의 상징)을 입고, 머리에는 촛불 왕관이나 화환을 쓴다.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일부 지역에서는 루치아 또는 성 스테파노나 생강 과자 사람처럼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소녀와 소년들이 노래를 부르며 행렬을 한다. 이러한 축하 행사는 학교, 교회, 사무실, 병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열리며, 전통적으로 사프란 번과 생강 과자 쿠키를 먹는다.[28]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은 성 루치아 축일을 생생하게 기념하면 긴 겨울 동안 충분한 빛을 받으며 살 수 있다고 믿는다.[29]

4. 2. 이탈리아의 루치아 축제

성 루치아는 시라쿠사(시칠리아) 시의 수호성인이다. 12월 13일에는 성 루치아의 유물이 담긴 은으로 만든 성 루치아 동상이 거리를 행진한 후 시라쿠사 대성당으로 돌아온다.[25] 시칠리아인들은 기근이 그녀의 축일날 곡물을 가득 실은 배가 항구에 들어오면서 끝났다는 전설을 기억한다. 이곳에서는 12월 13일에 빵 대신 통곡물을 먹는 것이 전통이다. 이것은 보통 쿠치아[26]라는 요리의 형태를 취하는데, 이는 끓인 밀알을 리코타 치즈와 꿀과 섞어 먹거나, 때로는 콩을 넣은 짭짤한 수프로 먹기도 한다.[27]

성 루치아에 대한 특별한 헌신은 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주, 에밀리아-로마냐주, 베네토주,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주,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주(북부)와 시칠리아주, 칼라브리아주(남부), 그리고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인 달마티아에서 행해진다. 이 축제는 시칠리아에서 유래한 가톨릭 축일이다. 매년 12월 13일에는 수제 파스타와 기타 다양한 이탈리아 요리로 구성된 큰 전통적인 잔치가 열리며, 밀알, 버터, 설탕, 초콜릿, 우유로 만든 쿠치아라는 특별한 디저트가 제공된다. 부드러운 밀의 큰 알갱이는 그녀의 눈을 상징하며 1년에 단 한 번만 즐길 수 있는 간식이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성 루치아가 12월 12일과 13일 사이에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온다. 전통적으로 루치아의 당나귀를 위해 집 밖에 건초 한 다발을 놓고, 루치아가 모든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준 긴 밤 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집 안에 음식을 준비한다. 작은 마을에서는 12일 저녁에 성 루치아가 마을의 주요 거리를 다니면서 수레에서 사탕을 나눠주는 행렬이 열린다. 행렬에는 항상 당나귀가 함께 한다.

4. 3. 기타 지역의 기념

성 루시아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시라쿠사의 수호성인이다.[18] 시라쿠사의 두오모 광장에 있는 산타 루치아 알라 바디아 교회에는 예전에 카라바조의 그림 ''성 루시아의 매장''이 소장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시라쿠사의 산타 루치아 알 세폴크로 교회에 있다. 그녀는 에콰도르 해안 도시 올론(Olón)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며, 이 도시에서는 12월 13일 축일에 이르는 일주일간의 축제가 열린다. 또한 콜롬비아 Guane, Santander 마을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카리브해 섬 세인트루시아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시라쿠사(시칠리아) 시의 수호성인인 성 루시아의 축일은 12월 13일이다. 이날 성 루시아의 유물이 담긴 은으로 만든 성 루시아 동상이 거리를 행진한 후 시라쿠사 대성당으로 돌아온다.[25] 시칠리아인들은 기근이 그녀의 축일날 곡물을 가득 실은 배가 항구에 들어오면서 끝났다는 전설을 기억하며, 12월 13일에 빵 대신 통곡물을 먹는 것이 전통이다. 이것은 보통 쿠치아[26]라는 요리의 형태를 취하는데, 끓인 밀알을 리코타 치즈와 꿀과 섞어 먹거나, 때로는 콩을 넣은 짭짤한 수프로 먹기도 한다.[27]

성 루시아에 대한 특별한 헌신은 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주, 에밀리아-로마냐주, 베네토주,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주,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주(북부)와 시칠리아주, 칼라브리아주(남부), 그리고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인 달마티아에서 행해진다. 이 축제는 시칠리아에서 유래한 가톨릭 축일이다. 매년 12월 13일에는 수제 파스타와 기타 다양한 이탈리아 요리로 구성된 큰 전통적인 잔치가 열리며, 밀알, 버터, 설탕, 초콜릿, 우유로 만든 쿠치아라는 특별한 디저트가 제공된다. 부드러운 밀의 큰 알갱이는 그녀의 눈을 상징하며 1년에 단 한 번만 즐길 수 있는 간식이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성 루치아가 12월 12일과 13일 사이에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온다. 전통적으로 루치아의 당나귀를 위해 집 밖에 건초 한 다발을 놓고, 루치아가 모든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준 긴 밤 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집 안에 음식을 준비한다. 작은 마을에서는 12일 저녁에 성 루치아가 마을의 주요 거리를 다니면서 수레에서 사탕을 나눠주는 행렬이 열린다.

헝가리의 관습은 성 루치아 축일에 작은 화분에 밀을 심는 것이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녹색 새싹이 나타나 죽음에서 나오는 생명의 징후를 보여준다.

이 날은 필리핀에서도 기념된다. 마가라오 카마리네스 수르의 바랑가이 산타 루치아의 주민들은 축일 9일 전에 성 루치아를 위한 노베나를 올린다. 성 루치아의 이미지 행렬은 9일 동안 매일 아침 포블라시온 또는 마을 중앙에서 열리며, 비콜 지방의 다른 지역에서 온 신자들을 끌어들인다. "고조스"로 알려진 성인에 대한 찬송가와 아베 마리아의 스페인어 버전은 새벽 행렬 중에 낭송되며, 그 뒤를 이어 미사가 거행된다. 중서부 세부의 아스트리아스 마을 산타 루치아 바랑가이에서는 수천 명의 신자들이 그녀의 본당을 방문하여 성인됨을 기념하고 존경했다. 그녀는 맹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축일은 아팔릿 팜팡가의 수카드 바랑가이에서도 전통적인 9일간의 노베나 이후에 기념된다.

참조

[1]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2] 서적 Women in Shakespeare: A Dictionary
[3] 웹사이트 About Saint Lucy St. Lucy Catholic Parish http://www.stlucy-ca[...] 2020-07-15
[4] 웹사이트 Saint Lucy https://web.archive.[...] 2015-12-13
[5] 서적 The Annotated Book of Common Prayer
[6] 웹사이트 St. Lucy http://www.newadvent[...]
[7] 웹사이트 Saint Lucy's Church: The Mother Italian Church of The Diocese of Scranton. Home to All! Ministered to by Saint Frances Xavier Cabrini http://www.stlucy-ch[...]
[8] 웹사이트 Ælfric's Lives of Saints https://web.archive.[...] 2013-10-24
[9] 서적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1997
[10] 서적 St Lucy of Syracuse: A Biography 2024
[11] 서적 St Lucy of Syracuse: A Biography 2024
[1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3]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14] 서적 Evangelical Lutheran Worship Leaders Desk Edition Augsburg Fortress
[15] 서적 Acta Sanctae Luciae Ed. Tino Licht. (Editiones Heidelbergenses, vol. 34.)
[16] 웹사이트 Syracuse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7] 뉴스 Santa Lucia of the gondoliers brought home to Sicily after a millennium https://www.independ[...] 2004-12-17
[18] 웹사이트 Memorial of St. Lucy, virgin and martyr - December 13, 2013 - Liturgical Calendar https://www.catholic[...] 2020-07-15
[19] 서적 The Illustrated World Encyclopedia of Saints
[20] 서적 Lives of the Saints
[21] 웹사이트 Dante: La Divina Commedia: Notes on Inferno : Henry Fanshawe Tozer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https://archive.org/[...] 2020-07-15
[22] 서적 Lectura Dantis: Purgatori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서적 The Divine Comedy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Struggling Against the Dark http://www.slate.com[...] Slate 2012-12-11
[25] 서적 Saints In Rome and Beyond
[26] 웹사이트 Saint Lucy – Sicily's Most Famous Woman http://www.bestofsic[...] Best of Sicily Magazine
[27] 웹사이트 Lussekatter and Cuccia for St. Lucy's Day http://blogs.smithso[...] Smithsonian Magazine 2010-12-10
[28] 웹사이트 Luciatåg – en levande tradition i ständig förändring https://www.isof.se/[...] Institutet för språk och folkminnen
[29] 웹사이트 Swedish Lucia For Dummies https://vimeo.com/55[...] Swedish Institute
[30] 웹사이트 St. Lucy's School http://stlucys.org/
[31] 웹사이트 Laudate 聖人カレンダー http://www.pauline.o[...] 聖パウロ女子修道会 2015-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