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인력은 기독교에서 성인들의 기념일을 기록한 달력으로,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순교자들을 기리는 것에서 시작하여 점차 동정녀, 사목자, 교회 박사 등 다양한 칭호의 성인들을 기념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로마 일반 달력, 로마 순교자록, 각 교파별 달력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등 각 교파는 고유한 성인 목록과 기념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달력은 교회 축제와 결합하여 연중 날짜를 구성하며, 푸에르토리코에서는 과거 허리케인에 성인의 이름을 붙이는 관습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력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달력 - 콜리니력
콜리니력은 1897년 프랑스에서 발견된 고대 켈트족의 청동판 달력으로, 음력과 태양력을 조화시키기 위해 윤달을 사용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켈트족의 생활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 교회력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교회력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 로마 가톨릭 성인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로마 가톨릭 성인 - 아녜스
아녜스는 4세기 초 로마 제국에서 순교한 초기 기독교 성녀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정결을 서약하고 순교하여 순결, 정원사 등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으며, 매년 축일에는 교황이 축복한 어린 양털로 팔리움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성인력 | |
---|---|
개요 | |
종류 | 기독교 전례력 |
목적 | 성인, 순교자, 신성한 인물의 기념 중요한 기독교 날짜 기념 |
종교 | 기독교 |
특징 | |
주요 특징 | 성인들의 축일 지정 예수 그리스도 및 마리아의 주요 사건 기념 지역별 성인력 차이 존재 |
사용 교단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일부 개신교 교단 |
축일 유형 | |
등급 | 대축일 (Solemnity) 축일 (Feast) 기념일 (Memorial) 자유 기념일 (Optional Memorial) |
고정 축일 | 매년 같은 날짜에 기념 |
이동 축일 | 매년 날짜가 변동 (예: 부활절)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시작 순교자들의 기념에서 발전 |
발전 | 중세 시대에 성인 숭배와 함께 확대 교단별로 다양한 성인력 발전 |
주요 내용 | |
성인 | 교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신앙의 모범 지역별, 교단별로 인정하는 성인 상이 |
주요 축일 | 크리스마스 (예수 탄생) 부활절 (예수 부활) 성령강림대축일 성모 승천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 |
지역별 차이 | |
가톨릭 교회 | 보편 성인력 (Universal Calendar) 각 지역 및 수도회별 고유 성인력 |
동방 정교회 | 자체적인 성인력 보유 특정 성인 강조 |
성공회 | 자체적인 성인력 (Common Worship) 다양한 개신교 교단들과 일부 공유 |
개신교 | 일부 교단에서 성인력 참고 성인 숭배를 지양하는 경향 |
기타 | |
관련 문서 | 로마력 성인 목록 전례력 |
2. 역사
고대 후기와 중세 전반기에 걸쳐 인정받는 성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1년 중 매일 적어도 한 명의 성인이 기념되었다.[3]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일부 전통에서는 성인 기념일을 다른 날로 옮기거나 제외하기도 했다.[3] 그 결과, 일부 성인은 서로 다른 달력에서 서로 다른 축일을 가지게 되었다.[3] 예를 들어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는 3월 7일에 순교했지만, 이후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배정되어 트리엔트 미사전례서에서는 기념만 하게 되었다.[3] 1908년에는 하루 앞당겨졌으나,[3] 1969년 가톨릭 달력 개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축일이 1월 28일로 옮겨지면서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 성인의 축일은 다시 3월 7일로 돌아왔다.[3]
로마 일반 달력은 전체 교회에서 기념되는 성인들을 나열하지만, 각 날짜에 대한 성인들의 일부만 포함한다.[3] 더 완전한 목록은 로마 순교자록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곳에 있는 일부 성인은 지역적으로 기념될 수 있다.[3]
성인의 가장 초기 축일은 순교자들의 축일이었다.[4] 투르의 마르티누스는 최초의[5][6] 또는 적어도 최초의 순교자가 아닌 성인 중 한 명으로 존경받았다. "고백자"라는 칭호는 죽음이 아닌 삶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 성인들에게 사용되었다.[4] 순교자는 주님을 섬기는 동안 죽은 것으로, 고백자는 자연사한 사람들이다. 이후 동정녀, 사목자, 주교, 수도사, 사제, 설립자, 수도원장, 사도, 교회 박사와 같이 더 광범위한 칭호가 사용되었다.
트리엔트 미사전례서(Tridentine Missal)에는 순교자, 주교였던 고백자, 교회 박사, 주교가 아니었던 고백자, 수도원장, 동정녀, 비동정녀, 교회 봉헌,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축일을 위한 공통 전례문(common formulæ)이 있다. 비오 12세는 교황을 위한 공통 전례문을 추가했다. 1962년 교황 요한 23세의 로마 미사전례서(1962 Roman Missal of Pope John XXIII)는 사도의 공통 전례문을 생략하고 사도의 모든 축일에 적절한 미사를 배정했다. 현재의 로마 미사전례서(Roman Missal)에는 교회 봉헌, 성모 마리아, 순교자(선교 순교자와 동정녀 순교자를 위한 특별 전례문 포함), 사목자(주교, 일반 사목자, 교회 설립자, 선교사로 세분됨), 교회 박사, 동정녀, 그리고 (일반적인) 성인(수도원장, 수도사, 수녀, 수도자, 자비의 행위로 유명한 사람들, 교육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여성 성인을 위한 특별 전례문 포함)을 위한 공통 전례문이 있다.
이 달력 시스템은 주요 교회 축제와 이동 및 고정 축제와 결합하여 매우 인간적이고 개인적이면서도 종종 지역화된 방식으로 연도를 구성하고 날짜를 식별한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성인의 날로 날짜를 기록하는 전통을 계속하고 있다.
종교 개혁 이후, 기독교 교파가 분열되면서 성인 목록에도 차이가 생겼다. 이는 동일한 개인이 한 교회에서는 다르게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예로, 한 교회의 성인이 다른 교회에서는 이단자로 여겨질 수 있는데, 네스토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플라비아누스의 경우가 그렇다.
2. 1. 초기 기독교와 순교자 공경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그리스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교자들이 특별한 존경을 받았다. 이들은 "내 친구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4]는 말씀처럼 가장 큰 사랑을 실천한 이들로 여겨졌다. 투르의 마르티누스는 최초의[5][6] 순교자 아닌 성인 중 한 명으로, "고백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고백자는 죽음이 아닌 삶으로 신앙을 증거한 이들을 일컫는다. 순교자는 주님을 섬기는 동안 죽은 것으로 여겨지고, 고백자는 자연사한 사람들이다. 이후 동정녀, 사목자, 주교, 수도사, 사제 등 더 광범위한 칭호가 사용되었다.2. 2. 성인 칭호의 발전
고대 후기와 중세 전반기에 걸쳐 인정받는 성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일 년 중 매일 적어도 한 명의 성인이 기념되기에 이르렀다.[3]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일부 성인의 기념일이 조정되거나 제외되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성인에 따라 서로 다른 달력에서 다른 축일을 가지는 경우가 생겼다.[3] 예를 들어,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는 3월 7일에 순교했지만, 이 날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배정되었고, 1908년에는 하루 앞당겨졌다.[3] 1969년 가톨릭 달력 개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축일이 1월 28일로 옮겨지면서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의 축일은 다시 3월 7일로 돌아왔다.[3] 로마 일반 달력에는 각 날짜에 대한 성인들이 일부만 포함되어 있으며, 더 완전한 목록은 로마 순교자록에서 찾을 수 있다.[3]가장 초기에는 순교자들의 축일이 성인 축일의 기원이었다.[4] 순교자들은 그리스도를 위해 가장 큰 사랑을 보여준 것으로 존경받았다.[4] 투르의 마르티누스는 최초의[5][6] 순교자가 아닌 성인 중 한 명으로, "고백자"라는 칭호는 죽음이 아닌 삶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 성인들에게 사용되었다. 순교자는 주님을 섬기는 동안 죽은 것으로, 고백자는 자연사한 사람들이다. 이후 '동정녀', '사목자', '주교', '수도사', '사제', '설립자', '수도원장', '사도', '교회 박사' 등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며 성인의 범위가 넓어졌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성인 축일을 위한 공통 전례문(common formulæ)을 마련했다. 트리엔트 미사전례서에는 순교자, 주교였던 고백자, 교회 박사, 주교가 아니었던 고백자, 수도원장, 동정녀, 비동정녀, 교회 봉헌,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축일을 위한 공통 전례문이 있었다. 비오 12세는 교황을 위한 공통 전례문을 추가했다. 1962년 교황 요한 23세의 로마 미사전례서는 사도의 공통 전례문을 생략하고 사도의 모든 축일에 적절한 미사를 배정했다. 현재의 로마 미사전례서에는 교회 봉헌, 성모 마리아, 순교자, 사목자, 교회 박사, 동정녀 등을 위한 공통 전례문이 있다.
이러한 달력 시스템은 주요 교회 축제와 이동 및 고정 축제와 결합하여 연도를 구성하고 날짜를 식별한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성인의 날로 날짜를 기록하는 전통을 계속하고 있으며, 그들의 작품은 "성 마르티누스 축일"과 같이 "날짜가 표시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기독교 관할 구역이 신학적으로 갈라짐에 따라 성인의 목록이 달라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동일한 개인이 한 교회에서는 다르게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예로, 한 교회의 성인이 다른 교회에서는 이단자로 여겨질 수 있는데, 네스토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 1세, 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플라비아누스의 경우가 그렇다.
2. 3. 중세 시대의 성인 공경 확산과 지역화
고대 후기와 중세 전반기에 걸쳐, 인정받는 성인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거의 매일 한 명 이상의 성인을 기념하게 되었다.[3]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성인의 기념일이 다른 날로 이동되거나 제외되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3]나 토마스 아퀴나스처럼 같은 성인이 다른 달력에서 다른 축일을 가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로마 순교자록에는 더욱 완전한 성인 목록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지역적으로 기념되기도 한다.[4]순교자들은 "내 친구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라는 가르침에 따라 그리스도를 위해 가장 큰 사랑을 보여준 것으로 존경받았다. 투르의 마르티누스 성인은 최초의[5][6] 또는 적어도 최초의 순교자가 아닌 성인 중 한 명으로 존경받았다고 한다. "고백자"라는 칭호는 죽음이 아닌 삶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 그러한 성인들에게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동정녀, 사목자, 주교, 수도사, 사제, 설립자, 수도원장, 사도, 교회 박사와 같이 더 광범위한 칭호가 사용되었다.
트리엔트 미사전례서(Tridentine Missal)에는 순교자, 주교였던 고백자, 교회 박사, 주교가 아니었던 고백자, 수도원장, 동정녀, 비동정녀, 교회 봉헌,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축일을 위한 공통 전례문(common formulæ)이 있다. 비오 12세는 교황을 위한 공통 전례문을 추가했다. 1962년 교황 요한 23세의 로마 미사전례서(1962 Roman Missal of Pope John XXIII)는 사도의 공통 전례문을 생략하고 사도의 모든 축일에 적절한 미사를 배정했다. 현재의 로마 미사전례서(Roman Missal)에는 교회 봉헌, 성모 마리아, 순교자, 사목자, 교회 박사, 동정녀, 그리고 (일반적인) 성인을 위한 공통 전례문이 있다.
이 달력 시스템은 주요 교회 축제와 이동 및 고정 축제와 결합하여 매우 인간적이고 개인적이면서도 종종 지역화된 방식으로 연도를 구성하고 날짜를 식별한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성인의 날로 날짜를 기록하는 전통을 계속하고 있다. 다른 기독교 관할 구역이 신학적으로 갈라짐에 따라 성인의 목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는 동일한 개인이 한 교회에서는 다르게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예로, 한 교회의 성인이 다른 교회에서는 이단자로 여겨질 수 있는데, 네스토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 1세, 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플라비아누스의 경우가 그렇다.
2. 4. 종교 개혁 이후의 변화
고대 후기와 중세 전반기에 걸쳐 인정받는 성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1년 중 매일 적어도 한 명의 성인이 기념되었다.[3]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일부 전통에서는 성인 기념일을 다른 날로 옮기거나 제외하기도 했다.[3] 그 결과, 일부 성인은 서로 다른 달력에서 서로 다른 축일을 가지게 되었다.[3] 예를 들어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는 3월 7일에 순교했지만, 이후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배정되어 트리엔트 미사전례서에서는 기념만 하게 되었다.[3] 1908년에는 하루 앞당겨졌으나,[3] 1969년 가톨릭 달력 개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축일이 1월 28일로 옮겨지면서 페르페투아와 펠리시타스 성인의 축일은 다시 3월 7일로 돌아왔다.[3]로마 일반 달력은 전체 교회에서 기념되는 성인들을 나열하지만, 각 날짜에 대한 성인들의 일부만 포함한다.[3] 더 완전한 목록은 로마 순교자록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곳에 있는 일부 성인은 지역적으로 기념될 수 있다.[3]
성인의 가장 초기 축일은 순교자들의 축일이었다.[4] 투르의 마르티누스는 최초의[5][6] 또는 적어도 최초의 순교자가 아닌 성인 중 한 명으로 존경받았다. "고백자"라는 칭호는 죽음이 아닌 삶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 성인들에게 사용되었다.[4] 순교자는 주님을 섬기는 동안 죽은 것으로, 고백자는 자연사한 사람들이다. 이후 동정녀, 사목자, 주교, 수도사, 사제, 설립자, 수도원장, 사도, 교회 박사와 같이 더 광범위한 칭호가 사용되었다.
트리엔트 미사전례서(Tridentine Missal)에는 순교자, 주교였던 고백자, 교회 박사, 주교가 아니었던 고백자, 수도원장, 동정녀, 비동정녀, 교회 봉헌,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축일을 위한 공통 전례문(common formulæ)이 있다. 비오 12세는 교황을 위한 공통 전례문을 추가했다. 1962년 교황 요한 23세의 로마 미사전례서(1962 Roman Missal of Pope John XXIII)는 사도의 공통 전례문을 생략하고 사도의 모든 축일에 적절한 미사를 배정했다. 현재의 로마 미사전례서(Roman Missal)에는 교회 봉헌, 성모 마리아, 순교자(선교 순교자와 동정녀 순교자를 위한 특별 전례문 포함), 사목자(주교, 일반 사목자, 교회 설립자, 선교사로 세분됨), 교회 박사, 동정녀, 그리고 (일반적인) 성인(수도원장, 수도사, 수녀, 수도자, 자비의 행위로 유명한 사람들, 교육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여성 성인을 위한 특별 전례문 포함)을 위한 공통 전례문이 있다.
이 달력 시스템은 주요 교회 축제와 이동 및 고정 축제와 결합하여 매우 인간적이고 개인적이면서도 종종 지역화된 방식으로 연도를 구성하고 날짜를 식별한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성인의 날로 날짜를 기록하는 전통을 계속하고 있다.
종교 개혁 이후, 기독교 교파가 분열되면서 성인 목록에도 차이가 생겼다. 이는 동일한 개인이 한 교회에서는 다르게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예로, 한 교회의 성인이 다른 교회에서는 이단자로 여겨질 수 있는데, 네스토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플라비아누스의 경우가 그렇다.
3. 각 교파별 성인 목록
- 가톨릭교회의 성인력
- 정교회의 성인력(Eastern Orthodox liturgical calendar)
-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인력(Calendar of saints (Church of England))
가톨릭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로마 일반 달력을 사용하며, 각 지역 교회나 수도회는 고유한 성인 달력을 가질 수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축일의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데,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로마 전례 형태에서는 축일의 순위가 대축일, 축일 또는 기념일(의무 또는 임의)로 나뉜다.[7] 한국 가톨릭 교회는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 등 103위의 한국 순교 성인을 특별히 공경하며, 9월 20일을 한국 순교 성인 대축일로 지낸다. 5월 29일은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이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교회마다 성인 축일의 순위가 다르다.[7] 러시아 정교회의 경우, 대축일, 중축일, 소축일 등으로 구분하며, 각 축일은 전례력에 따라 통야기도, 다중찬송(Polyeleos), 대영광송 등으로 불린다.[7] 단순 축일과 이중 축일 사이에도 구분이 있으며, 이중 축일에서는 각 축일의 찬송가와 독서 순서가 전례서인 티피콘에 엄격하게 명시되어 있다.[7]
잉글랜드 성공회(성공회 공동체의 모교회)는 주요 축일, 주요 성일, 축제일, 소축제일, 그리고 기념일 등으로 구분한다.[7] 한국 성공회는 한국인 성인을 포함한 고유의 성인 달력을 사용한다.
루터교회는 축제일, 소축제일, 헌신의 날, 기념일을 기념한다.[8]
3. 1.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로마 일반 달력을 사용하며, 각 지역 교회나 수도회는 고유한 성인 달력을 가질 수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축일의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데,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로마 전례 형태에서는 축일의 순위가 대축일, 축일 또는 기념일(의무 또는 임의)로 나뉜다.[7] 한국 가톨릭 교회는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 등 103위의 한국 순교 성인을 특별히 공경하며, 9월 20일을 한국 순교 성인 대축일로 지낸다. 5월 29일은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이다.3. 2.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교회마다 성인 축일의 순위가 다르다.[7] 러시아 정교회의 경우, 대축일, 중축일, 소축일 등으로 구분하며, 각 축일은 전례력에 따라 통야기도, 다중찬송(Polyeleos), 대영광송 등으로 불린다.[7] 단순 축일과 이중 축일 사이에도 구분이 있으며, 이중 축일에서는 각 축일의 찬송가와 독서 순서가 전례서인 티피콘에 엄격하게 명시되어 있다.[7]3. 3. 성공회
잉글랜드 성공회(성공회 공동체의 모교회)는 주요 축일, 주요 성일, 축제일, 소축제일, 그리고 기념일 등으로 구분한다.[7] 한국 성공회는 한국인 성인을 포함한 고유의 성인 달력을 사용한다.3. 4. 루터교회
루터교회는 축제일, 소축제일, 헌신의 날, 기념일을 기념한다.[8]4. 날짜별 성인 목록
4. 1. 1월
- 1월 7일: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
- 1월 15일: 성녀 니노
- 1월 16일: 성 마르첼로
- 1월 20일: 교황 파비아노.
- 1월 21일: 로마의 성녀 아녜스.
- 1월 22일: 성 빈첸시오 부제 순교자.
- 1월 25일: 성 바오로의 회심.
- 1월 28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 1월 31일: 성 요한 보스코.
4. 2. 2월
- 2월 3일: 성 블라시오, 성 안스가리오
- 2월 5일: 성녀 아가타
- 2월 6일: 성 바오로 미키와 나가사키의 순교자.
- 2월 8일: 성 베드로 이네우스, 성 마인골드,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 성 바오로, 성 루키우스, 성 키리아쿠스, 성 유벤시오, 성녀 엘플레다, 성 이사야, 성 쿠트만
- 2월 12일: 성 모데스토, 성 율리아노, 성 암모니오.
- 2월 14일: 성 발렌티노.
- 2월 16일: 성 포르피리오.
- 2월 19일: 성 콘라도.
- 2월 24일: 성녀 아델라.
- 2월 27일: 성 율리아노.
4. 3. 3월
천주의 성 요한은 3월 8일이다. 성 파치아노와 성 도미니꼬 사비오는 3월 9일이다. 3월 12일에는 성녀 세라피나가 있다. 성 아리스토불로는 3월 15일이다. 성 요셉은 3월 19일이다. 성 세바스티아노는 3월 20일이다. 성 에바프로디도는 3월 22일이다. 3월 27일은 성 암필로키오이다. 성 아모스는 3월 31일이다.4. 4. 4월
4월 4일에는 성 이시도르, 4월 6일에는 성녀 플라토니스, 4월 7일에는 성 헤제시포, 4월 8일에는 성 아신크리토, 4월 10일에는 성 에제키엘, 4월 11일에는 성녀 젬마 갈가니, 4월 15일에는 성녀 바실리사와 성녀 아나스타시아, 4월 18일에는 성 칼로체로와 성 코레보, 4월 20일에는 성 마르첼리노, 4월 25일에는 성 마르코, 4월 26일에는 교황 아나클레토와 교황 마르첼리노, 4월 29일에는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를 기념한다.4. 5. 5월
- 5월 1일: 성 예레미야.
- 5월 3일: 알패오의 아들 성 야고보, 성 필립보.
- 5월 10일: 성 욥.
- 5월 12일: 성녀 젬마(솔모나의) (Gemma fo Solmona).
- 5월 14일: 성 마티아.
- 5월 15일: 성 세쿤도, 성 에우프라시오, 성 인달레시오.
- 5월 29일: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 5월 30일: 성녀 잔 다르크.
4. 6. 6월
- 6월 3일: 성 다비노. 성녀 클로틸다.
- 6월 8일: 성 막시미노.
- 6월 9일: 성 에프렘.
- 6월 11일: 성 바르나바.
- 6월 16일: 성녀 루갈다(루트가르다).
- 6월 20일: 성 노바토.
- 6월 22일: 성 존 피셔.
- 6월 24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 6월 29일: 초대 교황 성 베드로 사도 대축일, 성 바오로 사도와 성 베드로 사도 대축일
4. 7. 7월
- 7월 1일: 성 도미시아노, 성 아론
- 7월 2일: 성 마르티니아노
- 7월 3일: 성 토마스, 성녀 무스티올라
- 7월 4일: 호세아, 하깨
- 7월 5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 7월 8일: 성 라이문도, 성 아퀼라
- 7월 9일: 중국의 순교자
- 7월 11일: 성 베네딕토
- 7월 12일: 성녀 베로니카, 성 요한 이베리안
- 7월 13일: 성 에즈라, 성 요엘, 성 실라
- 7월 15일: 성 보나벤투라
- 7월 20일: 성 엘리야
- 7월 21일: 성 다니엘, 브린디씨의 성 라우렌시오
- 7월 22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성 다비오, 성녀 신티케
- 7월 25일: 제베대오의 아들 성 야고보
- 7월 26일: 성 요아킴, 성녀 안나
- 7월 29일: 성녀 플로라
- 7월 31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4. 8. 8월
- 8월 4일은 성녀 페르페투아의 날이다.
- 8월 11일은 성녀 클라라의 날이다.
- 8월 15일은 성모 마리아의 날이다.
- 8월 20일은 성 베르나르도의 날이다.
- 8월 23일은 리마의 로사의 날이다.
- 8월 24일은 성 바르톨로메오의 날이다.
- 8월 26일은 성 세쿤도의 날이다.
- 8월 28일은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의 날이다.
4. 9. 9월
- 9월 1일: 성 프리스코.
- 9월 3일: 성 그레고리오 1세.
- 9월 5일: 성녀 마더 데레사.
- 9월 6일: 성 즈가리야, 성 오네시포로, 성녀 베가.
- 9월 7일: 성녀 그리모니아, 성 네모리오.
- 9월 8일: 성 네스타보, 성 네스토르.
- 9월 9일: 성 고르고니오.
- 9월 10일: 성 네메시아노.
- 9월 11일: 성 프로토, 성 히야친토.
- 9월 12일: 성 귀도.
- 9월 16일: 성 고르넬리오.
- 9월 17일: 성녀 골룸바,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성녀 힐데가르드.
- 9월 20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 9월 21일: 성 요나, 성 마태오.
- 9월 23일: 성 리노.
- 9월 25일: 성 클레오파스.
- 9월 26일: 성 고스마.
- 9월 27일: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 9월 29일: 가브리엘, 라파엘, 미카엘.
- 9월 30일: 성 예로니모.
4. 10. 10월
- 10월 1일: 성녀 소화 데레사
- 10월 4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 10월 5일: 성녀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 10월 7일: 성녀 유스티나
- 10월 11일: 교황 요한 23세
- 10월 13일: 성 에드워드
- 10월 15일: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
- 10월 16일: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 10월 18일: 성 루가
- 10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10월 23일: 성 도미시오
- 10월 28일: 성 시몬, 성 타데오
- 10월 30일: 성녀 도로테아
- 10월 31일: 성 나르치소, 성 암플리아토
4. 11. 11월
11월 1일에는 모든 성인 대축일이 있다.11월 2일에는 성 마르치아노, 성녀 바야, 성녀 브리지다, 성 빅토리노, 성 아가피오, 성 존 보디, 성 테오도토, 성 토비아, 성 파비아가 있다.
11월 3일에는 성 룸왈드, 성 마르티노 데 포레스, 성녀 실비아, 성 아미코, 성녀 알페, 성 엘레리오, 성녀 위니프레다, 성녀이다, 성 후베르토가 있다.
11월 4일에는 성 가롤로 보로메오, 성녀 모데스타, 성 비탈리스, 성녀 아그리콜라, 성 에메리코, 성 요안니치오, 성 클라로, 성녀 프란치스카 앙부와즈, 성 피에리오가 있다.
11월 5일에는 성 갈라시오노, 성 고미다스, 성 레토, 성 마르티노 데 포레스, 성녀 베르틸라, 성 실바노, 성녀 에피스테마, 성녀 엘리사벳, 성 즈가리야, 성 피비시오가 있다.
11월 6일에는 성 노니오 알바레스 데 페레이라, 성 데메트리아노, 성 레오나르도, 성녀 마르가리타, 성 멜라니오, 성 세베로, 성 아티코, 성 윈녹, 성 일티드가 있다.
11월 7일에는 성 라베라노, 성녀 마르가리타 콜론나, 성녀 마리아 도미니카, 성녀 마치아, 성 안토니오 발디누치, 성 엔겔베르토, 성 윌리브로드, 성녀 제르트루다, 성녀 카리나, 성녀 테살로니카, 성 플로렌시오, 성 헤르쿨라노가 있다.
11월 8일에는 성 가스토리오, 성 고드프리, 성 데우스데디트, 성 티실리오, 성 윌리하드, 성 제르바디오, 성 치비가 있다.
11월 9일에는 성 반느, 성녀 소파트라, 성녀 에우스티올라, 성 우르시노, 성 조지 네퍼가 있다.
11월 10일에는 성녀 님파, 성 레스피치오, 성 레오 1세, 성 안드레아 아벨리노, 성 에드 막 브릭, 성 유스토, 성녀 테오티스타, 성 트리포, 성 티베리오, 성 프로보가 있다.
11월 11일에는 성 메나스, 성 멘나스, 성 베라노, 성 테오도로 스투티테스가 있다.
11월 12일에는 성 닐로, 성 디다코, 성 디에고, 성 라이네리오, 성 레나토, 성 리비노, 성 마카르, 성 에밀리아노 쿠쿠라투스, 성 에보디오, 성 요사팟, 성 이메리오, 성 쿠니베르토, 성 쿠미아노가 있다.
11월 13일에는 성 니콜라오 1세, 성 데비니코, 성 드리텔모, 성녀 막셀렌다, 성 브리시오, 성 스타니슬라오 코스트카, 성 아르카디오, 성 아포, 성녀 콜룸바, 성녀 프란치스카 하비에르 카브리니, 성 호모보노가 있다.
11월 14일에는 성 그레고리오 팔라마스, 성 니콜라오 타벨리츠, 성 두브리치오, 성녀 베네란다, 성 세라피온, 성 시도니오, 성 필로메노, 성 히파치오가 있다.
11월 15일에는 성 데시데리오, 성 레오폴드, 성 말로, 성 아비보, 성 알베르토, 성 핀탄이 있다.
11월 16일에는 성 그라시아, 성 나자리오, 성 루도비코 모르비올리, 성녀 루치아, 성녀 멕틸다, 성 아판, 성 에드문도, 성 에우체리오, 성 엘피디오, 성녀 제르트루다, 성 피덴시오가 있다.
11월 17일에는 성 나마시오, 성 디오니시오, 성 로코 론잘레스, 성녀 빅토리아, 성녀 살로메, 성 아니아노, 성 아치스클로, 성 알페오, 성녀 엘리자베트, 성 자케오, 성 후고, 성녀 힐다가 있다.
11월 18일에는 성 로마노, 성녀 로즈 필리핀 뒤센느, 성 막시모, 성 부르지노, 성 아만도, 성 오도, 성 페르고, 성 헤시치오가 있다.
11월 19일에는 성 나르세스 1세, 성녀 멕틸다, 성 세베리노, 성 아나스타시오 2세, 성녀 에르멘부르가, 성 엑수페리오, 성 크리스피노, 성 펠리치아노, 성 폰시아노가 있다.
11월 20일에는 성 네르세스, 성 다시오, 성녀 막센시아, 성 바치오, 성 베니뇨, 성 베른바드, 성 솔루토르, 성 심플리치오, 성 아가피오, 성 아나톨리오, 성 아드벤토르, 성 암브로시오 트라베르사리, 성 에드문도, 성 옥타비오, 성 테스페시오가 있다.
11월 21일에는 성 루포, 성모 마리아의 자헌, 성녀 아멜베르가, 성 젤라시오 1세, 성 헬리오도로, 성 힐라리오가 있다.
11월 22일에는 성 마우로, 성 사비니아노, 성녀 아피아, 성녀 체칠리아, 성녀 트리지디아, 성 프라그마시오, 성 필레몬이 있다.
11월 23일에는 성녀 라실다, 성녀 루크레치아, 성 바울리노, 성 파데르니아노, 성 시지니오, 성 암필로치오, 성녀 윌프레투다, 성 클레멘스 1세, 성 펠리치타가 있다.
11월 24일에는 성 레오파르디노, 성 마리노, 성 프로타시오, 성녀 에안프레다, 성 크리소고노, 성 클레센시아노, 성 트루도, 성 포르시아노, 성녀 플로라, 성녀 피르미나가 있다.
11월 25일에는 성 귀도, 성 라바노, 성 메르쿠리오, 성 아달베르토, 성녀 유쿤다, 성녀 임마가 있다.
11월 26일에는 성 레오나르도 카사노바, 성 바솔로, 성 벨리노, 성 본시오, 성 스틸리아노, 성 시리치오, 성 실베스테르 고졸리니, 성 콘라드가 있다.
11월 27일에는 성 발레리아노, 성 버질, 성 베르나르디노, 성녀 빌힐다, 성 요사팟, 성 쿤가르, 성 페르고, 성 프란치스코 안토니오 파사니가 있다.
11월 28일에는 성녀 가타리나 라부레, 성 그레고리오 3세, 성 루포, 성 소스테네스, 성 스테파노, 성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 성 후밀리스가 있다.
11월 29일에는 성 라드보드, 성 레뎀토, 성 블라시오, 성 사투르니노, 성녀 일루미나타, 성 프레데릭, 성 필로메노가 있다.
11월 30일에는 성녀 마우라, 성 사포르, 성 아르놀도, 성 안드레아, 성녀 유스티나, 성 조시모, 성 피르미노가 있다.
4. 12. 12월
12월 1일에는 성 나훔, 성녀 나탈리아, 성 디오도로, 성 로가토, 성 마리아노, 성 아제리코, 성 안사노, 성 에바시오, 성 엘리지오, 성 올림피아데스, 성 제라르도 카뇰리, 성녀 칸디다, 성 투드알, 성 후고 파링돈이 기념된다.12월 2일에는 성 논노, 성녀 마르타나, 성녀 비비안나, 성 실바노, 성녀 아드리아, 성 크로마시오가 기념된다.
12월 3일에는 성 가시아노, 성 클라우디오, 성녀 마냐, 성 솔라, 성녀 아탈리아, 성 에리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성녀 힐라리아가 기념된다.
12월 4일에는 성 마루타스, 성 멜레시오, 성녀 바르바라, 성녀 베르토아라, 성 시몬 엠포, 성녀 아다, 성 안노, 성 오스문도, 성 요한이 기념된다.
12월 5일에는 성 니체시오, 성 달마시오, 성 바소, 성녀 바실리사, 성 비리노, 성 사바, 성 시지람노, 성 존 알몬드, 성 카를 스텝, 성녀 크리스피나, 성 펠리노가 기념된다.
12월 6일에는 성 다티바, 성녀 디오니시아, 성 테르시오, 성녀 레온시아, 성 마요리코, 성 페드로 파스쿠알, 성녀 아셀라, 성 에밀리아노, 성 제라르도, 성녀 제르투르다, 성녀 힐데군다가 기념된다.
12월 7일에는 성녀 세레나, 성 세르보, 성 아가토, 성 아니아노, 성 암브로시오, 성 에우티키아노, 성 폴리카르포가 기념된다.
12월 8일에는 성녀 군틸다, 성 로마릭, 성녀 릴리안, 원죄 없이 잉태된 성모 마리아, 성 소프로니오, 성 에우카리오가 기념된다.
12월 9일에는 성녀 고르고니아, 성 레스티투토, 성녀 레오카디아, 성녀 발다, 성녀 발레리아, 성 부독, 성 시로, 성 프란치스코 안토니오 피사니, 성 필로테오, 성 후안 디에고, 성 히파르코가 기념된다.
12월 10일에는 성 그레고리오 3세, 성 멘나스, 성 멜키아데, 성 에우그라포, 성녀 에우랄리아, 성 에우스타시오 화이트, 성 존 로버트, 성녀 율리아, 성 제멜로, 성 카르포포로, 성 폴리도르 플라스딘, 성 헤르모제네스가 기념된다.
12월 11일에는 성 다마소 1세, 성 바르사바, 성 사비노, 성 예로미노 라누치, 성 우골리노 마갈로티, 성 젠시아노, 성 푸쉬아노, 성 프랑코가 기념된다.
12월 12일에는 과달루페의 복되신 성모마리아, 성 비첼린, 성 시네시오, 성녀 아가타, 성녀 아브라, 성녀 에드부르가, 성 에피마코, 성 코렌틴, 성 핀니안이 기념된다.
12월 13일에는 성 아우베르토, 성 안토니오 그라시, 성 안티오코, 성 에우스트라시오, 성 오레스테스, 성녀 오틸리아, 성 요세, 성 조반니 마리노니, 성 토마스 홀랜드가 기념된다.
12월 14일에는 성 니카시오, 성 니콜라오 팍토르, 성 마트로니아노, 성 베난시오 포르투나토, 성 보나벤투라 부오나코르시, 성 아넬로, 성녀 에우트로피아, 성 헤론, 십자가의 성 요한이 기념된다.
12월 15일에는 성 막시미노, 성 눈시오 술르리지오, 성녀 니노, 성 레오나르도 무리알도, 성녀 마리아 디 로사, 성녀 마리아 마르가리타 두비유, 성 빈첸시오 로마노, 성 우르비시오, 성 플로렌시오가 기념된다.
12월 16일에는 성 나발리스, 성 미사엘, 성 아나니아, 성녀 아델라이다, 성 아도, 성 아자리아, 성녀 알비나, 성 에우세비오가 기념된다.
12월 17일에는 성 라자로, 성 막센시올로, 성녀 베가, 성녀 비비나, 성 스투르미, 성녀 올림피아, 성 플로리아노가 기념된다.
12월 18일에는 성 데시데라토, 성 루포, 성 비네발도, 성 빅투로, 성 아욱센시오, 성 위느발드, 성 조시모, 성 플라난이 기념된다.
12월 19일에는 성 네메시오, 성 다리오, 성 디모테오, 성 리베르토, 성 마니로, 성 아나스타시오 1세, 성 우르바노 5세, 성 윌리암, 성녀 테아, 성녀 파우스타가 기념된다.
12월 20일에는 성 암몬, 성 우르시치노, 성 필로고니오가 기념된다.
12월 23일에는 성 세르불로, 12월 25일에는 주님 성탄 대축일, 12월 26일에는 성 스테파노, 12월 27일에는 성 요한 사도가 기념된다.
12월 31일에는 성녀 멜라니아, 성 바르바시아노, 성 실베스테르 1세, 성 심플리치아노, 성 아탈로, 성 조티코, 성 폰시아노, 성 피니아노, 성녀 힐라리아가 기념된다.
5. 기타
5. 1. 열대 저기압과의 관련성
표준화된 명명법이 도입되기 전,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열대 폭풍이나 허리케인이 상륙한 날짜에 해당하는 가톨릭 성인의 이름을 따서 비공식적으로 명명하는 관습이 있었다.[9] 예를 들어, 1780년 산 칼릭스토 허리케인(북대서양 분지에서 기록상 가장 치명적인 허리케인, 10월 14일이 축일인 교황 성 칼릭스투스의 이름을 땀),[9] 1867년 산 나르시소 허리케인(성 나르시수스, 축일 10월 29일),[9] 1899년 산 시리아코 허리케인(성 키리아쿠스, 8월 8일),[9][10] 1928년 산 펠리페 허리케인(성 유제니아의 아버지인 성 필립, 9월 13일),[9] 1932년 산 시프리아노 허리케인(성 키프리아누스, 9월 26일)이 있다.[9]이러한 관행은 미국 기상국(현재 국립기상청)이 공식적인 여성 이름을 발표하고 사용하기 시작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었다.[9] 푸에르토리코에서 이러한 비공식 명명 체계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두 경우는 1956년(허리케인 베티, 성녀 클라라의 이름을 따서 현지에서 산타 클라라로 불림)과 1960년(허리케인 도나, 성 로렌초 주스티니아니의 이름을 따서 산 로렌조로 불림)이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feast – definition of feast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Relics and Reliquaries – Treasures of Heaven
https://web.archive.[...]
2012-08-01
[3]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4]
성경
[5]
웹사이트
Commemoration of St. Martin of Tours
http://allsaintsbroo[...]
All Saints Parish
[6]
웹사이트
Saint Martin of Tours
http://www.encyclope[...]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2007
[7]
웹사이트
Saint Charles Borromeo Catholic Church of Picayune, MS – General Norms for the Liturgical Year and the Calendar
https://web.archive.[...]
2008-08-13
[8]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 Liturgy
Fortress Press
2012
[9]
보고서
Huracanes y tormentas que han afectado a Puerto Rico
https://web.archive.[...]
Estado Libre Asociado de Puerto Rico, Agencia Estatal para el Manejo de Emergencias y Administración de Desastres
2018-10-12
[10]
웹사이트
San Ciriaco Hurricane
https://web.archive.[...]
2018-10-12
[11]
웹사이트
教皇フランシスコの就任ミサ説教
http://www.cbcj.ca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