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룸펜 부르주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룸펜 부르주아지는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초기에는 불가리아의 디미터 블라고예프가 사용했으며,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앙드레 군더 프랑크가 식민지 및 신식민지 엘리트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이 용어는 룸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의 특성을 결합하여, 자본주의 체제를 지지하며 외국의 착취를 돕는 계층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카렐 코시크는 룸펜 부르주아지를 "기능하는, 그러나 미온적이고 무력한 민주주의 내의 호전적이고 공개적으로 반민주적인 앙클라브"로 정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산주의 용어 - 인민 전선
    인민 전선은 다양한 정치 세력의 연합을 의미하며, 특히 공산주의 국가에서 공산당이 주도하는 연합체를 지칭하며, 코민테른의 파시즘 대항 정책, 동유럽 공산당의 연합 형태, 소련 해체 과정에서의 독립 추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 공산주의 용어 - 현실사회주의
    현실 사회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구권 국가들이 일당 독재, 계획 경제, 사회주의 이념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자신들의 정치, 경제 시스템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 신식민주의 -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지배 이후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현실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 문제, 지식 체계, 권력 관계를 연구하며, 이론적 비판과 과제도 함께 다룬다.
  • 신식민주의 - 워싱턴 합의
    워싱턴 합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워싱턴 D.C. 소재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및 체제 전환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 제시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패키지로, 적용 결과와 비판적 평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1950년대 신조어 - 로큰롤
    록앤롤은 1950년대 중반 시작된 국제적인 음악 스타일로, 가스펠, 블루스, 스윙 음악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알란 프리드, 엘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 빌 헤일리 등의 활약으로 대중화되어 십대 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 변화를 반영했으나 1950년대 후반 쇠퇴 후 록 음악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1950년대 신조어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룸펜 부르주아지
룸펜 부르주아지
룸펜 부르주아지의 모습
룸펜 부르주아지의 모습
개념
정의마르크스주의에서, 자신의 계급적 지위에서 몰락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최하층으로 전락한 부르주아지.
어원독일어: Lumpenbürgertum (룸펜뷔르거툼)
특징안정적인 직업이나 수입 없이, 일시적인 이익을 좇아 살아감.
기회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사회적 비판 능력이 결여됨.
자신의 과거 계급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허황된 환상을 쫓기도 함.
비판계급적 낙인찍기라는 비판 존재.
사회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개인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지적 존재.
사회적 함의
정치적 악용특정 집단이나 계층을 비난하고 공격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사회 문제 은폐룸펜 부르주아지의 문제점을 부각시켜, 사회 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회피할 수 있음.
같이 보기
관련 개념룸펜 프롤레타리아트
쁘띠 부르주아지
금수저
흙수저

2. 초기 용례

"룸펜 부르주아지"라는 용어는 디미터 블라고예프가 처음 사용했고, 이후 벨라 쿤 등 여러 인물들이 사용하였다. C. 라이트 밀스가 이 용어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10] 실제로는 1940년대에 이미 루카치와 쾨슬러의 저서에 등장했다.[11][12]

E. 프랭클린 프레이저는 1955년에 출판된 "흑인 부르주아지"(1957)에서 이 용어를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13] 그는 특히 20세기 초 미국 남부와 북부에서 발전한 흑인 소유 사업의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다.

2. 1. 디미터 블라고예프 (1906)

"룸펜 부르주아지"라는 용어는 1906년 불가리아의 마르크스주의자 디미터 블라고예프가 그의 저서 "불가리아 사회주의의 역사에 대한 기여"에서 처음 사용했다.[6]

2. 2. 벨라 쿤 (1920)

1920년 헝가리 공산주의자 벨라 쿤(필명 블라지우스 콜로즈바리 사용)은 오스트리아에서 "룸펜부르주아지"라는 용어를 사용했다.[7] 1920년대에는 수많은 오스트리아 및 독일 사회주의 출판물에서도 이 용어를 찾아볼 수 있다.[8]

2. 3. 죄르지 루카치와 아서 쾨슬러 (1940년대)

1940년대에 "룸펜 부르주아지" 또는 "룸펜-부르주아지"라는 용어는 이미 루카치[11]쾨슬러[12]의 저서에 등장하였다.

2. 4. C. 라이트 밀스 (1951)

C. 라이트 밀스는 《화이트 칼라: 미국 중산층》(1951)에서 '룸펜 부르주아지'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고 기록했다.[10] 그러나 1940년대에 "룸펜 부르주아지" 또는 "룸펜-부르주아지"라는 용어는 이미 루카치[11]쾨슬러[12]의 저서에 등장했다.

3.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사용 (1970년대)

룸펜 부르주아지라는 용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로 사용된다.[3][4] 앙드레 군더 프랑크는 이 신조어를 룸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에서 따와 만들었다고 언급했다.[2]

3. 1. 앙드레 군더 프랑크

이 용어는 라틴 아메리카 맥락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3][4] 이 용어의 기원에 대해 글을 쓴 앙드레 군더 프랑크는 신조어 '룸펜 부르주아지'를 룸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에서 따와 만들었다고 언급했다.[2] 그러나 프랑크는 라틴 아메리카의 식민지 및 신식민지 엘리트가 여러 측면에서 유럽 부르주아지와 유사했지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차이점은 전자의 정신이 마르크스주의 룸펜 프롤레타리아트, 즉 카를 마르크스의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 묘사된 "모든 계급의 쓰레기"와 유사하다는 점이었는데, 이들은 자본주의 체제를 지지하도록 조작하기 쉽고 종종 범죄에 의존했다.[3] 식민지 엘리트들은 범죄 활동에 연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착취자들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해를 끼쳤다.[3][5] 외국의 식민 세력은 식민지에서 발견되는 자원과 상품을 획득하려 했고, 이는 현지 엘리트들이 이 시스템에 통합됨으로써 용이해졌는데, 이들은 부유한 식민지 구매자와 가난한 현지 생산자 사이의 중개자가 되었다.[5] 그 후 현지 엘리트들은 식민지에서 잉여 생산물을 수집하는 것을 감독하는 시스템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고, 나머지 상품이 해외에서 판매되기 전에 자신들의 몫을 챙겼다.[5] 프랑크는 이 경제 시스템을 '룸펜 발전'[5]이라고 칭했고, 이에 영향을 받는 국가들을 '룸펜 국가'라고 칭했다.[4]

3. 2. 룸펜 발전과 룸펜 국가

이 용어는 라틴 아메리카 맥락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3][4] 프랑크는 이 신조어 ''룸펜 부르주아지''를 룸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에서 따와 만들었다고 언급했다.[2] 그러나 프랑크는 라틴 아메리카의 식민지 및 신식민지 엘리트가 여러 측면에서 유럽 부르주아지와 유사했지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차이점은 전자의 정신이 마르크스주의 룸펜 프롤레타리아트, 즉 마르크스의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 묘사된 "모든 계급의 쓰레기"와 유사하다는 점이었는데, 이들은 자본주의 체제를 지지하도록 조작하기 쉽고 종종 범죄에 의존했다.[3] 식민지 엘리트들은 범죄 활동에 연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착취자들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해를 끼쳤다.[3][5] 외국의 식민 세력은 식민지에서 발견되는 자원과 상품을 획득하려 했고, 이는 현지 엘리트들이 이 시스템에 통합됨으로써 용이해졌는데, 이들은 부유한 식민지 구매자와 가난한 현지 생산자 사이의 중개자가 되었다.[5] 그 후 현지 엘리트들은 식민지에서 잉여 생산물을 수집하는 것을 감독하는 시스템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고, 나머지 상품이 해외에서 판매되기 전에 자신들의 몫을 챙겼다.[5] 프랑크는 이 경제 시스템을 ''룸펜 발전''[5]이라고 칭했고, 이에 영향을 받는 국가들을 ''룸펜 국가''라고 칭했다.[4]

4. E. 프랭클린 프레이저 (1955)

E. 프랭클린 프레이저는 1955년에 출판된 프랑스어 원문을 번역한 "흑인 부르주아지"(1957)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그는 흑인 인종 정치에 의미 있는 변화를 주기 위해 "흑인 사업의 신화"에 매달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들을 묘사했다.[13] 그는 특히 20세기 초 미국 남부와 북부 모두에서 발전하고 확장된 흑인 소유 사업의 발전에 초점을 맞추었다.

5. 카렐 코시크 (1997)

체코의 철학자 카렐 코시크는 1997년 자신의 논문 ''[http://www.sds.cz/docs/prectete/epubl/kko_lavd.htm 룸펜 부르주아지와 더 높은 정신적 진리] ''에서 "룸펜 부르주아지"를 "기능하는, 그러나 미온적이고 무력한 민주주의 내의 호전적이고 공개적으로 반민주적인 앙클라브"로 정의했다.

6. 한국 사회에서의 룸펜 부르주아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룸펜 부르주아지' 문서의 '한국 사회에서의 룸펜 부르주아지'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남겨둡니다.)

참조

[1] 서적 School Reform in a Global Socie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6
[2] 서적 Havana: The Making of Cuban Culture https://books.google[...] Berg Publishers 2005
[3] 서적 Other South: Faulkner, Coloniality, and the Mariategui Tradition https://books.google[...] Univ of Pittsburgh Press 2007
[4] 서적 The Sociology of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8
[5] 서적 Contemporary Issues in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dopi 2005
[6] 서적 Приносъ къмъ историята на социализма въ България https://books.google[...] Sofia, Socialist Party Publishing House 1906
[7] 서적 Von Revolution zu Revolution https://archive.org/[...] Wien, Genossenschaftsverlag der "Neuen Erde" 1920
[8] 웹사이트 Lumpenbourgeoisie https://www.google.c[...] 2024-08
[9] 간행물 Third World' a response to professor Worsley 1980-04
[10] 서적 White collar; the American middle classes https://archive.org/[...]
[11] 웹사이트 The Struggle of Humanism and Barbarism. 1. Racial Theory: Enemy of Human Progress https://www.marxists[...] 1943
[12] 간행물 The Intelligentsia (Autumn 1945), in The Yogi and the Commissar and other Essays 1945
[13] 서적 Black Bourgeoisie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