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 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 전선은 다양한 정치 세력이 연합하여 구성하는 전선으로, 특히 공산주의 국가에서 공산당이 주도하는 연합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에서 공산당이 여러 정당을 포함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공산주의 전선은 통제 주체를 가리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공산당이 불법이거나 지지를 받지 못하는 곳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전파하기 위해 조직을 만들거나 인수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1930년대 코민테른은 파시즘에 대항하기 위해 비공산주의 세력과의 연합을 강조하는 인민 전선 정책을 추진했다. 이 전략은 프랑스, 스페인, 중국 등에서 정부 구성에 영향을 미쳤지만, 소련의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로 인해 종말을 맞았다. 인민 전선 전략에 대해서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유럽 공산주의 지도자들은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에서는 공산당이 주도하는 인민 전선이 소련의 영향력 아래에서 운영되었으며, 소련 해체 과정에서 인민 전선이라는 이름의 조직들이 각 공화국의 독립을 추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산주의 용어 - 룸펜 부르주아지
    룸펜 부르주아지는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자본주의 체제를 지지하며 외국의 착취를 돕는 계층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며, 룸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의 특성을 결합한다.
  • 공산주의 용어 - 현실사회주의
    현실 사회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구권 국가들이 일당 독재, 계획 경제, 사회주의 이념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자신들의 정치, 경제 시스템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 인민전선 - 인민전선 (스페인)
    스페인의 인민전선은 1936년 총선에서 승리한 좌파 연합으로, 다양한 정당과 단체로 구성되어 반파시즘을 주창했지만, 내전에서 패배하여 해산되었다.
  • 인민전선 - 전러시아 인민전선
    전러시아 인민전선은 2011년 블라디미르 푸틴에 의해 창설되어 그의 지지 기반 확대 및 정부와 시민 사회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 단체와 연합이 참여하여 푸틴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하고 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러시아의 정치 연합이다.
  • 코민테른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코민테른 - 국제레닌학교
    국제레닌학교는 코민테른의 볼셰비키화 결의로 설립된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지도자 양성 기관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소련 공산당의 경험을 교육하여 각국 공산당 간부 및 활동가를 배출했으며, 요시프 브로즈 티토, 호찌민 등 여러 공산 정권 수장을 배출하고 폐교와 재건을 거쳐 현재는 재정대학교로 사용되고 있다.
인민 전선
기본 정보
관련 정보
목표공통의 목표 달성
이념적 기반좌파 또는 중도 좌파 성향
주요 활동선거 참여, 사회 운동
특징다양한 정치 세력의 참여
존립 이유특정 정치적 위기 또는 공동의 적에 대한 대응
역사적 배경
1930년대 유럽파시즘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
프랑스 인민전선, 스페인 인민전선 등
1936년 스페인 총선인민전선 승리, 스페인 내전의 원인이 됨
구성 요소
정당사회주의 정당
공산주의 정당
사회민주주의 정당
단체노동조합
시민 사회 단체
개인진보적인 성향의 지식인, 예술가, 활동가
목표
일반 목표사회 개혁
경제 정의
반파시즘
구체적인 목표노동자 권익 보호
사회 복지 확대
평화 유지
이념적 기반
주요 이념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특징계급 투쟁
사회 평등
민주주의
장단점
장점광범위한 지지 기반 확보
정치적 영향력 확대
사회 개혁 추진 동력 강화
단점내부 이념 차이로 인한 갈등 발생 가능성
정책 결정의 어려움
정치적 불안정성 야기 가능성
현대적 의의
의의다양한 정치 세력 간의 연대 가능성 제시
사회 개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
예시유럽의 좌파 연합 정부
남미의 진보 정권

2. 용어 및 유사 집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의 중국 공산당, 동유럽 등 공산권 국가에서는 공산당 주도로 여러 정당이 참여하는 '전선' 조직이 등장했다. 중국의 통일전선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민 전선,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국민 통일 전선, 동독의 민주 블록 등이 그 예이다. 이들 국가에서 실제 권력은 공산당이 가지고 있었지만, 이러한 연합체를 통해 공산당은 권력을 독점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펼칠 수 있었다.[5]

'공산주의 전선'이라는 용어는 냉전 시대에 반공주의 진영에서 공산주의 운동과 관련된 조직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실제 통제 주체"의 정체나 활동을 "가리기 위해 사용된" ''가면''이라는 의미를 내포했다.[5] 세계 민주 청년 연맹, 국제 학생 연합, 세계 노동 조합 연맹, 세계 여성 민주 연맹, 세계 평화 평의회 등이 공산주의 전선으로 지목되었다.[6]

동독의 경우, 의회 내 모든 정당(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자유민주당, 농민당 등)과 단체(청년 운동, 노동조합 연맹 등)가 참여하는 "국민 전선"이 통치했다. 선거에서는 모든 정당의 단일 후보 명단이 제시되었다.[23]

중국의 통일전선은 현대 공산주의 국가에서 운영되는 민족 전선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 8개의 소수 정당의 연합이지만, 실제로는 국공 내전 이전 독립 정당에서 기원한 비공산주의 정당들이 분열되어 국민당에 합류하거나, 중국 대륙에 남아 공산당 지지자들과 동맹을 맺은 결과였다.[24]

3. 코민테른 정책: 1934-1939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 공산당이 창설한 국제 공산주의 조직코민테른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발전시키기 위해 여러 이념적 전략을 거쳤다. 코민테른 제4차 세계 대회 (1922년)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세계 나머지 지역에서 자본주의를 쓸어버리지 못할 것이 분명해진 후 "통일 전선"을 요구했다.[7] 즉, 공산주의 혁명을 지지하는 소수의 노동자들이 공산당 밖의 노동자들과 함께 부르주아지에 대항하여 힘을 합치는 것이었다.[8]

1930년대 초, 독일에서 나치당이 집권하면서 파시즘의 위협이 현실화되자, 코민테른은 반파시즘을 위한 폭넓은 정치 연합을 추구하는 인민 전선 전략을 채택했다. 이전까지 코민테른은 '계급 대 계급' 노선을 통해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사회 파시즘'으로 규정하고 적대시했으나, 독일의 사례를 통해 노선 수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아돌프 히틀러가 소련을 적대 국가로 간주한다고 분명히 밝히면서부터였다.

1934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가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에 대한 변호로 나치를 굴욕시킨 후 코민테른의 사무총장이 되었다. 새로운 정책에 대한 공식적인 승인은 1934년 5월의 ''프라우다'' 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주의-공산주의 협력에 대해 호의적으로 언급했다.[11] 이 재조정은 1935년 7월 코민테른 제7차 세계 대회에서 "파시즘과 전쟁에 맞선 인민 전선"이라는 새로운 정책으로 공식화되었다. 코민테른은 공산당에게 국내 사회 발전을 확보하고 파시스트 독재 국가를 고립시키기 위한 소련과의 군사 동맹을 목표로 모든 반파시스트 정당과 광범위한 동맹을 형성하도록 지시했다. 이렇게 형성된 "인민 전선"은 프랑스, 스페인, 중국에서 정부를 구성하는 데 성공했지만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못했다.[12]

레프 트로츠키는 스탈린의 이러한 현실주의적 전환을 "사회주의 혁명의 전면적 포기에 의한 부르주아 정당과의 야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인민 전선 운동 당시 프랑스 공산당이 파업 운동을 온건한 "권리 획득 운동"으로 유지하고, 사회주의 혁명에 즉시 직결되는 급진적 활동은 자제했다고 평가했다.

인민 전선 운동은 1935년 7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코민테른 제7회 대회에서 제창되었지만, 1939년 8월 소련스탈린이 독소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면서 종결되었다.

3. 1. 독일

1926년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1929년 월가 대폭락과 1931년 일련의 금융 위기 이후 유럽 여론은 급진화되었지만, 좌익 반자본주의 정당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지는 않았다. 1933년 2월 아돌프 히틀러가 권력을 잡은 직후 몇 주 동안 독일 공산당(KPD)과 코민테른은 나치 승리가 짧을 것이며 "히틀러 이후 우리 차례"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11] 그러나 나치 독일 정부의 잔혹함이 명백해지고 붕괴 조짐이 보이지 않자, 공산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히틀러가 소련을 적대 국가로 간주한다고 분명히 밝히면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강해졌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공산당 내부에서는 "계급 대 계급"이라는 독일 모델이 자국의 정치적 상황에서 성공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이 아니며, 권위주의적 민족주의 정부의 더 큰 위협을 막기 위해 어떤 동맹을 구축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졌다. 그러나 프랑스의 앙리 바르베와 피에르 셀로르, 스페인의 호세 불레호스와 아다마와 같은 인물들은 사회 민주당 및 심지어 좌익 자본주의 정당과 충실하게 협력하여 더 큰 유연성을 옹호했지만 권력에서 제거되었다.

1934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가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에 대한 변호로 나치를 굴욕시킨 후 코민테른의 사무총장이 되면서, 새로운 정책에 대한 공식적인 승인이 1934년 5월의 ''프라우다'' 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주의-공산주의 협력에 대해 호의적으로 언급했다.[11]

3. 2. 프랑스

극우 폭동 이후, 사회당(SFIO)공산당(PCF) 간의 협력이 강화되었다. 1934년 6월, 레옹 블룸의 사회주의 정당인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프랑스 공산당과 연합 행동 협약을 체결했다.[13] 이후 급진당까지 참여하여 인민 전선이 결성되었다.

1936년 프랑스 총선에서 인민 전선은 의석 과반수(378석 중 220석)를 차지했고, 블룸은 정부를 구성했다.[11] 그러나 스페인 내전에 대한 미온적 태도와 공산당과 급진당의 갈등 등으로 인해 1938년에 해산되었다.[36]

프랑스 인민 전선은 유급 휴가(바캉스), 노동자의 조합 지위 향상(마티뇽 협정), 주 40시간제 실시, 랑주뱅-왈롱의 교육 개혁 등 노동, 사회 입법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3. 3. 영국

영국에서는 국민 정부의 나치 독일에 대한 유화 정책에 반대하여 노동당, 자유당, 독립 노동당, 공산당, 심지어 윈스턴 처칠 휘하의 보수당 내 반항적인 세력들 간의 인민 전선을 결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주로 공산당이 노동조합 지부를 장악하려는 노력에 분노한 노동당 내부의 반대로 인해 실패했다. 또한 자유주의적 접근 방식과 사회주의적 접근 방식의 양립 불가성으로 인해 많은 자유당원들이 적대감을 보였다.[14]

1936년 12월, 자유당의 리처드 애클랜드, 마르크스주의의 존 스트레이치, 노동당의 G.D.H. 콜, 보수당의 로버트 부스비가 영국 인민 전선(Popular Front (UK))을 결성하여 선거에서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정권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다.[35]

3. 4. 미국

미국 공산당(CPUSA)은 1935년까지 뉴딜 정책에 대해 상당히 적대적인 입장이었으나, 갑작스럽게 태도를 바꾸어 뉴딜 지지 세력과 인민 전선을 형성하고자 했다.[15] 이들은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국 사회당의 노먼 토마스와 사회주의-공산주의 연합 후보를 내세우려 시도했으나, 사회당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자들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인민 전선 시기 동안 공산당은 매우 애국적이고 대중적인 노선을 취했는데, 이는 훗날 '브라우더주의'로 불리게 되었다.

인민 전선의 미국 공산주의 팸플릿 표지. "공산주의는 20세기의 미국주의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애국적인 주제를 사용했다.


역사가 커밋 맥켄지는 인민 전선을 "공산주의자들이 애국심의 상징을 활용하고, 국가 독립의 수호자 역할을 하며, 자본주의를 유일한 해결책으로 간주하며 종식을 요구하지 않고 파시즘을 공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유연한 전략 및 전술 프로그램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산주의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전선 또는 정부를 기반으로 다른 정당과 동맹을 맺는 것"이라고 요약했다.[16] 그는 이것이 공산주의자들이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를 전복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는 변하지 않은 채, 단지 전술적인 수단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6]

한편, 문화 역사가 마이클 데닝은 미국 인민 전선에 대한 공산당 중심적인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며, 미국의 "동조자"들이 실제로 이 운동의 다수를 구성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공산당원이 당시 좌파 미국 문화의 단지 하나의 (선택적인) 요소였을 뿐이라고 본다.[17]

3. 5. 인민 전선의 종말

1939년 8월, 소련나치 독일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중앙 및 동유럽은 독일과 소련의 세력권으로 나뉘었고, 발트 공화국에 대한 소련의 점령과 핀란드 침공으로 이어졌다.[18]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코민테른은 기존의 반파시즘 정책에서 독일과의 평화를 옹호하는 정책으로 급격히 전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나치 침략에 맞선 싸움이 아니라 "제2차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되었으며, 이는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다시 반파시즘 투쟁으로 복귀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9][20]

이러한 급격한 정책 변화는 많은 공산주의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히틀러와 스탈린 간의 합의에 환멸을 느낀 많은 당원들이 당을 탈퇴했다.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는 1941년 6월, 스탈린이 히틀러와 전쟁 상태에 돌입하기 전까지 공산주의자들이 자국 군대에 입대하는 것을 거부하기도 했다.

4. 인민 전선에 대한 비판과 옹호

레온 트로츠키와 그의 극좌 지지자들은 인민 전선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트로츠키는 부르주아 세력과의 협력은 노동 계급의 요구를 최소화하고, 노동 계급이 자체적인 독립적인 정치를 제시할 능력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21] 이러한 견해는 현재 대부분의 트로츠키주의 단체에서 흔히 나타난다. 좌익 공산주의 단체 역시 인민 전선에 반대했지만, 통일 전선에도 반대했다.

유럽 공산주의 지도자 산티아고 카리요는 인민 전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스페인 내전에서 보인 과격한 행동에도 불구하고, 공화주의 지역에서의 연립 정부 기간은 "다당제, 의회, 야당의 자유를 갖춘, 민주주의와 함께 사회주의로 나아가는 구상을 품고 있었다"고 주장했다.[21] 그러나 카리요는 코민테른이 인민 전선 전략을 충분히 밀고 나가지 못했다고 비판했는데, 특히 프랑스 공산주의자들이 레옹 블룸 정부를 완전히 연립하여 지원하지 않고 외부에서 지원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22]

레프 트로츠키스탈린이 제창한 "사회 파시즘론"을 비판하며 "나치에 대항하는 사회 민주주의와 공산당의 통일 전선"을 호소했지만, 그의 호소는 무시되었다.[21] 이후 스탈린은 노선을 전환하여 사회 민주주의와 협력하는 인민 전선을 추진했고, 트로츠키는 이를 "사회주의 혁명의 전면적 포기에 의한 부르주아 정당과의 야합"이라고 비판했다.[21]

스페인 내전 당시 스페인 공산당은 아나키스트와 비코민테른 계열의 마르크스주의 정당에 대해 "혁명보다 반파시즘 전쟁의 승리를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소련 비밀 경찰의 원조 아래 이들을 탄압하고 수많은 활동가를 제거했다.

미국에서는 1936년 대통령 선거미국 공산당미국 사회당에 공동 출마를 호소했지만 거절당했다. 당시 공산당은 뉴딜 정책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내세우는 등 애국심적·포퓰리즘적 노선을 취했다.

인민 전선 운동은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로 종결되었고, 코민테른은 반파시즘보다 "미국·영국 제국주의에 대한 반대"를 강조하면서 각국 공산당과 반파시즘 운동 내부에 혼란을 초래했다. 프랑스 공산당은 당원의 3분의 1이 이탈하고, 정부로부터 비합법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프랑스 점령 초기, 프랑스 공산당은 레지스탕스 운동을 시작하기는커녕, 점령 당국에 기관지 발행을 청원하고, 아나키스트나 트로츠키스트의 명단을 나치에 넘겨주기도 했다. 그러나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프랑스 공산당은 무장 레지스탕스를 시작했고, "총살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으로서 프랑스 사회에서 권위를 되찾았다.

전후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당이 높은 권위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체제 재건에 협력했다. 샤를 드 골 정권에서 프랑스 공산당 서기장 모리스 토레즈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당의 팔미로 톨리아티가 부총리로 입각했다.

"반파시즘 세계 전쟁" 시기, 스탈린식민지에서의 민족 해방 운동에 반대했다. 이는 미국·영국과의 협조를 최우선으로 한 그의 생각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상의 점들로부터, "인민 전선" 전술은 소련이 자유주의 국가에 영향력을 갖기 위해 자본가·중산층과 공산당, 또는 미국이나 영국 등과 소련이 협조하는 통일 전선 정책이라는 측면이 있다.

5. 소련 블록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구권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로 발전하면서, 동유럽 국가들에서는 공산당 주도의 인민 전선이 형성되어 권력을 장악했다. 비공산당은 공산당의 "당의 지도적 역할"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만 존립할 수 있었다.[23]

예를 들어, 동독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자유민주당, 농민당, 청년 운동, 노동조합 연맹 등 의회 내 모든 정당 및 단체의 "국민 전선"에 의해 통치되었다. 입법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모든 정당의 단일 후보 명단을 받았다.[23]

중국의 통일전선은 현대 공산주의 국가에서 운영하는 민족 전선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이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 8개의 소수 정당의 연합이지만, 모든 정당은 국공 내전 이전 독립 정당에서 기원했다. 그러나 비공산주의자들은 결국 분열되어 국민당에 합류했고, 중국 대륙에 남아있는 정당들은 공산당 지지자 또는 실제 당원들과 동맹을 맺었다.[24]

6. 소비에트 공화국

1988년에서 1992년 사이 소련의 해체로 소련이 해체되고 모든 소련 공화국이 독립했을 때, "인민 전선"이라는 용어는 자유주의적 지식인(대개 지역 공산당원 출신)들이 주도하는 운동을 가리켰다. 일부 공화국에서는 작고 주변적이었지만 다른 공화국에서는 광범위하고 영향력이 있었다. 공식적으로 그들의 목표는 국가 관료 내의 반동적 세력에 맞서 ''페레스트로이카''를 옹호하는 것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은 자신들의 공화국이 소련의 구성원인 것에 대한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처음에 신중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조직하고 대중 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상당한 자유를 얻었다. 발트 3국에서는 곧 지배적인 정치 세력이 되었고, 공화국을 더 큰 자율성으로, 그리고 독립으로 이끌면서, 이전에 설립된 보다 급진적인 반체제 조직들로부터 점차 주도권을 가져왔다. 또한 벨로루시, 몰도바, 우크라이나,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에서 공산당의 헤게모니에 도전하는 주요 세력이 되었다. 조지아에도 인민 전선이 설립되었지만, 4월 9일 비극으로 사회가 급진화되었고, 비슷한 운동의 타협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배적인 반체제 주도 단체에 비해 주변적인 위치에 머물렀다. 다른 공화국에서도 그러한 조직들이 존재했지만, 기존의 정당과 경제 엘리트에게 의미 있는 위협을 가한 적은 없었다.[1]

7. 인민 전선 목록

1934년 2월 6일 극우 폭동 이후 프랑스에서 권위주의 정부가 들어선 것에 대응하여, 사회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은 반파시스트 협력을 시작했다.[1] 레옹 블룸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프랑스 공산당과 연합 협약을 맺었고,[4] 1936년 프랑스 총선에서 인민 전선은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여 블룸이 정부를 구성했다.[11] 1930년대 주목할 만한 인민 전선으로는 프랑스의 프롱 포퓔레르와 스페인의 프렌테 포풀라르가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코민테른이 이탈리아 공산당이탈리아 사회당 간의 동맹을 권고했지만,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사회당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

인민 전선 목록
국가명칭내용비고
프랑스프롱 포퓔레르1930년대 프랑스의 좌익 반파시스트 연합. 레옹 블룸의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가 이끌었지만, 공산주의자사회 민주주의자도 포함.
프랑스새로운 인민 전선2024년 6월 10일에 출범한 프랑스의 광범위한 좌익 선거 연합.
스페인프렌테 포풀라르스페인 내전 전인 1936년에 스페인에서 결성된 선거 연합. 공화좌파가 이끌었지만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 지역 민족주의자도 포함.
칠레프렌테 포퓰라르1937년부터 1941년 2월까지 칠레의 선거 및 정치 좌익 연합.[26]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인민 민주 전선
이탈리아프론테 데모크라티코 포폴라레1948년 이탈리아 총선을 위한 공산주의자사회주의자의 연합.
칠레우니다드 포퓰라르칠레의 좌익, 사회주의공산주의 정당의 연합. 1970년 칠레 대통령 선거에서 살바도르 아옌데의 성공적인 후보 지명을 지지.
시리아시리아 국민 진보 전선1972년에 결성된 정치 연합. 집권 시리아 정부를 지지하는 정당을 통합하며, 아랍 사회 부흥당이 주도.[28]
이라크이라크 국민 진보 전선1974년에 결성된 정치 연합. 아랍 사회 부흥당이 이끄는 친정부 정당들을 통합.
부르키나파소부르키나파소 인민 전선1987년 블레즈 콩파오레 대통령이 조직한 친정부 좌익 정당들의 정치 연합.
우루과이광범위 전선 (우루과이)2005년에 우루과이를 통치하기 시작한 중도 좌익 및 좌익 정당 연합.[29]
페루광범위 전선 (페루)2013년에 설립된 좌익 정당 연합.
베네수엘라위대한 애국 극점우고 차베스를 지지하는 다양한 좌익 정당을 통합하기 위해 2012년에 결성된 선거 연합. 베네수엘라 통합 사회당이 주도.[30]
캄푸치아캄푸치아 민족 통일 전선
캄푸치아캄푸치아 대국민 연합의 애국적 민주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앙 유럽 및 동유럽 국가에서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여러 개의 표면상 비공산당을 포함하는 "전선"을 이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5] 이러한 전선의 예로는 중국의 통일전선 및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민 전선,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국민 통일 전선, 동독의 민주 블록 등이 있다.

동구권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로 발전했을 때, 비공산당은 공산주의에 협력할 의사가 없는 구성원들을 밀어내고 동조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했다. 그 결과 전선은 공산주의자들의 도구로 변질되었고, 비공산당은 공산당의 지속적인 존립 조건으로 공산당의 "당의 지도적 역할"을 받아들여야 했다.

일례로 동독은 의회 내의 모든 정당 및 단체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자유민주당, 농민당, 청년 운동, 노동조합 연맹 등)의 "국민 전선"에 의해 통치되었다. 입법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모든 정당의 단일 후보 명단을 받았다.[23]

중국의 통일전선은 현대에 공산주의가 운영하는 민족 전선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이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 8개의 소수 정당의 연합이다. 비록 모든 정당이 국공 내전 이전 독립 정당에서 기원했지만, 비공산주의자들은 결국 분열되어 국민당에 합류했고, 중국 대륙에 남아있는 정당들은 공산당 지지자 또는 어떤 경우에는 실제 당원들과 동맹을 맺었다.[24]

조국 통일 민주주의 전선은 김일성이 이끌었으며(1946년부터 1949년까지의 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유래), 1948년에 북한이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였을 때 처음 설립되었다. 1992년부터는 모든 마르크스주의적 언급이 ''주체''를 선호하여 폐기되었다.

7. 1. 비공산주의 국가의 인민 전선

1934년 2월 6일 극우 폭동 이후 프랑스에서는 권위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이를 막기 위해, 사회주의자들은 거리에서, 공산주의자들은 국회에서 다른 반파시스트들과 협력하기 시작했다.[1] 1934년 6월, 레옹 블룸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프랑스 공산당과 연합 협약을 맺었다.[4] 1935년 7월, 피에르 라발에 의해 프랑스 정부가 더욱 우경화되자 공산당은 공화당도 포함하는 연합을 제안했고, 이 제안은 받아들여졌다.

1936년 프랑스 총선에서 인민 전선은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고, 블룸은 정부를 구성했다.[11]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 코민테른은 이탈리아 공산당이탈리아 사회당 간의 동맹을 권고했지만, 이탈리아 사회당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

1930년대의 주목할 만한 인민 전선은 프랑스의 프롱 포퓔레르와 스페인의 프렌테 포풀라르이다.

  • 프랑스 인민 전선: 1930년대 프랑스의 좌익 반파시스트 연합으로, 레옹 블룸의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가 이끌었지만, 공산주의자사회 민주주의자도 포함되었다.
  • 새로운 인민 전선: 2024년 6월 10일에 출범한 프랑스의 광범위한 좌익 선거 연합.
  • 스페인 인민 전선: 스페인 내전 전인 1936년에 스페인에서 결성된 선거 연합으로, 공화좌파가 이끌었지만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 지역 민족주의자도 포함되었다.
  • 칠레 인민 전선 (''프렌테 포퓰라르''): 1937년부터 1941년 2월까지 칠레의 선거 및 정치 좌익 연합.[26]
  • 인도네시아 인민 민주 전선
  • 이탈리아 인민 민주 전선 (''프론테 데모크라티코 포폴라레''): 1948년 이탈리아 총선을 위한 공산주의자사회주의자의 연합.
  • 우니다드 포퓰라르: 칠레의 좌익, 사회주의공산주의 정당의 연합으로, 1970년 칠레 대통령 선거에서 살바도르 아옌데의 성공적인 후보 지명을 지지했다.
  • 시리아 국민 진보 전선: 1972년에 결성된 정치 연합으로, 집권 시리아 정부를 지지하는 정당을 통합하며, 아랍 사회 부흥당이 이끌었다.[28]
  • 이라크 국민 진보 전선: 1974년에 결성된 정치 연합으로, 아랍 사회 부흥당이 이끄는 친정부 정당들을 통합했다.
  • 부르키나파소 인민 전선: 1987년 블레즈 콩파오레 대통령이 조직한 친정부 좌익 정당들의 정치 연합.
  • 광범위 전선 (우루과이): 2005년에 우루과이를 통치하기 시작한 중도 좌익 및 좌익 정당 연합.[29]
  • 광범위 전선 (페루): 2013년에 설립된 좌익 정당 연합.
  • 위대한 애국 극점: 우고 차베스를 지지하는 다양한 좌익 정당을 통합하기 위해 2012년에 결성된 선거 연합으로 베네수엘라 통합 사회당이 이끌었다.[30]
  • 캄푸치아 민족 통일 전선
  • 캄푸치아 대국민 연합의 애국적 민주 전선

7. 2. 공산주의 국가의 인민 전선 (현재)

중국의 통일전선은 현대 공산주의 국가에서 운영하는 민족 전선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중국 공산당과 8개의 소수 정당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정당이 국공 내전 이전 독립 정당에서 기원했지만, 비공산주의자들은 결국 분열되어 국민당에 합류했고, 중국 대륙에 남아있는 정당들은 공산당 지지자 또는 어떤 경우에는 실제 당원들과 동맹을 맺었다.[24]

7. 3. 과거 공산주의 국가의 인민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의 중국 공산당을 비롯한 중앙 유럽 및 동유럽 국가에서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여러 개의 표면상 비공산당을 포함하는 "전선"을 이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전선의 예로는 중국의 통일 전선 및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민 전선,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국민 통일 전선, 동독의 민주 블록 등이 있다.[5] 이러한 국가에서 권력을 잡은 것은 전선이 아닌 공산당이었지만, 이러한 연립은 당이 해당 국가에서 권력을 독점하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게 해주었다.

동구권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로 발전했을 때, 비공산당은 공산주의에 협력할 의사가 없는 구성원들을 밀어내고 동조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했다. 그 결과 전선은 공산주의자들의 도구로 변질되었다. 비공산당은 공산당의 지속적인 존립 조건으로 공산당의 "당의 지도적 역할"을 받아들여야 했다.

일례로 동독은 의회 내의 모든 정당 및 단체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자유민주당, 농민당, 청년 운동, 노동조합 연맹 등)의 "국민 전선"에 의해 통치되었다. 입법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모든 정당의 단일 후보 명단을 받았다.[23]

중국의 통일전선은 현대에 공산주의가 운영하는 민족 전선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일 것이다. 그것은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 8개의 소수 정당의 연합이다. 비록 모든 정당이 국공 내전 이전 독립 정당에서 기원했지만, 비공산주의자들은 결국 분열되어 국민당에 합류했고, 중국 대륙에 남아있는 정당들은 공산당 지지자 또는 어떤 경우에는 실제 당원들과 동맹을 맺었다.[24]

조국 통일 민주주의 전선은 김일성이 이끌었으며(1946년부터 1949년까지의 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유래), 1948년에 북한이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였을 때 처음 설립되었다. 1992년부터는 모든 마르크스주의적 언급이 ''주체''를 선호하여 폐기되었다.

8. 일본의 인민 전선 운동

일본에서는 프랑스 인민 전선 운동의 영향으로 1930년대에 반파시즘 운동이 일어났으며, 가타야마 센 등이 참여했다.[36]

9. 대한민국에서의 인민 전선

대한민국에서는 해방 직후 좌우익 간의 이념 갈등이 극심해지면서 인민 전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국전쟁 이후 '인민'과 같은 단어는 북한을 연상시키는 금기어가 되었다.[1] 민주화 이후, 진보 세력은 다양한 형태로 야권 통합 및 연대를 모색해 왔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의 후보 단일화 실패, 이후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등의 정당을 통한 독자적 세력화 시도 등 다양한 실험이 있었다.[1]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더불어민주당정의당 등 진보 정당과의 정책 협력을 국정 운영의 동반자로서 모색하기도 했다.[1]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이념적 차이, 선거 연대 문제 등으로 인해 갈등을 빚기도 했다.[1]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반윤(反尹) 연대'를 기치로 공동 대응에 나서고 있다.[1] 2024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선거 연합을 통해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을 창당하는 등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r front European coalition https://www.britanni[...] 2021-10-15
[2] 웹사이트 popular front https://www.merriam-[...] 2021-10-16
[3] 논문 Rethinking the Popular Front https://www.tandfonl[...] 2021-10-16
[4] 웹사이트 Popular Front https://www.oxfordre[...] 2021-10-16
[5] 웹사이트 front noun https://www.merriam-[...] 2021-10-16
[6] 서적 American Communism and Soviet Russia 2003
[7] 논문 Left Turn: A Reassessment of the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in the Third Period, 1928-33 https://www.research[...] 2000
[8] 웹사이트 Theses on Comintern Tactics http://www.marxists.[...] 2008-02-20
[9] 논문 Reflections on the Origins of the 'Third Period': Bukharin, the Comintern,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Weimar Germany
[10] 웹사이트 popular front European coalition https://www.britanni[...] 2021-10-15
[11] 웹사이트 1914-1946: Third Camp Internationalists in France during World War II http://libcom.org/li[...]
[1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2009
[13] 웹사이트 The Seventh Congress, Marxist Internet Archive http://www.marxists.[...]
[14] 논문 The Liberal Party and the Popular Front: An assessment of the arguments over progressive unity in the 1930s http://www.liberalhi[...] 2000
[15] 서적 Liberals and Communism: The "Red Decade" Revisited https://books.google[...] Columbia UP
[16] 서적 Comintern and World Revolution, 1928-1943: The Shaping of a Doctrin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4
[17] 서적 The cultural front : the laboring of American cul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Verso 2010
[18] 웹사이트 German-Soviet Nonaggression Pact https://www.britanni[...] 2021-11-05
[19] 서적 Rethinking Antifascism: History, Memory and Politics, 1922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21-11-05
[20] 웹사이트 Did Communism Give Peace a Bad Name? (Book review) https://www.h-net.or[...] 2021-11-05
[21] 서적 Eurocommunism and the State. Lawrence and Wishart 1977
[22] 서적 Eurocommunism and the State
[23] 서적 Encyclopedia of Populism in Ame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4] 문서 Judicial politics as state-building Palgrave Macmillan
[25] 서적 Georgia from National Awakening to Rose Revolution Ashgate Publishing 2005
[26] 논문 "The Chilean Socialist Party and The Popular Front 1933-41." https://www.jstor.or[...] 1976
[27] 웹사이트 The Palestinian Left and the Multi-Layered Challenges Ahead https://www.palestin[...] Rosa Luxemburg Foundation 2020-11-25
[28] 웹사이트 الجبهة الوطنية التقدمية http://pnf.org.sy/?p[...] 2020-11-25
[29] 뉴스 Uruguay set to return left-wing Broad Front movement to power https://www.irishtim[...] 2020-11-25
[30] 뉴스 Venezuelan opposition leaders jailed, accused of planning escape while under house arrest https://www.cbc.ca/n[...] 2020-11-25
[31] 웹사이트 Uusi kansanrintama vai uusi punamulta? – Suomi kaartaa vasemmalle https://www.kaleva.f[...] 2019-05-12
[32] 웹사이트 Antti Rinne: Tämä on uusi punamulta https://www.verkkouu[...] 2022-01-05
[33] 서적 Russia's Foreign Policy: Change and Continuity in National Identity Rowman & Littlefield 2006
[34] 문서 世界の戦慄・赤化の陰謀 東京日日新聞社 1936年
[35] 간행물 The Liberal Party and the Popular Front 2006
[36] 서적 世界の戦慄・赤化の陰謀 東京日日新聞社〔ほか〕 193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