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FT-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노 FT-17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경전차로, 1916년 개발이 시작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실전 투입되었다. 이 전차는 37mm 포 또는 8mm 기관총을 장착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르노 FT-17은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제한적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에서 독자적인 개량형 또는 복제품으로 생산되었다. 현재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 목록 - 수소폭탄
수소폭탄은 핵분열 에너지를 이용해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무기로, 원자폭탄을 기폭 장치로 사용하며 텔러-울람 설계 방식이 표준으로 여겨지고, 원자폭탄보다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다. - 프랑스의 전차 - AMX-13
AMX-13은 프랑스가 개발한 공수 가능한 경전차로, 자동 장전 장치와 요동 포탑을 갖추고 75mm, 90mm, 105mm 주포를 장착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외 식민지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어 장갑차, 자주포 등으로도 활용되었다. - 프랑스의 전차 - AMX-30
AMX-30은 프랑스가 개발한 주력 전차로, 105mm 주포를 장착하고 다양한 파생형과 개량형이 존재하며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사용되었다.
르노 FT-17 | |
---|---|
개요 | |
![]() | |
유형 | 경전차 |
생산 기간 | 1917년 – 1919년 |
사용 기간 | 1917년–1949년 |
개발 국가 | 프랑스 |
설계자 | 루이 르노와 로돌프 에른스트-메츠마이에르 |
생산 업체 | 르노 베를리에 소무아 들로네-벨빌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튀르키예 독립 전쟁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군벌 시대 리프 전쟁 1924년 상파울루 반란 대 시리아 반란 1930년 브라질 혁명 브라질 제헌 혁명 중국 내전 스페인 내전 겨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태국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제원 | |
무게 | 6.5 톤 |
길이 | 5.00 미터 |
폭 | 1.74 미터 |
높이 | 2.14 미터 |
승무원 | 2명 (전차장, 조종수) |
장갑 | 8 ~ 22 밀리미터 |
주무기 | 퓌토 SA 1918 37 mm 포 또는 8 mm 오치키스 기관총 (라이벨 기관총 (FT 31)) |
엔진 | 르노 4기통, 4.5 리터, 열사이펀 수랭식, 가솔린 (휘발유) 펌프, 엔진 오일 펌프, 제니트 프리셋 기화기, 마그네토 점화 |
엔진 출력 | 1500rpm에서 39 마력 (29 kW) |
출력 대비 중량 | 5 마력/톤 (kW/톤) |
변속기 | 슬라이딩 기어, 전진 4단, 후진 1단. 하나의 메인 클러치와 두 개의 보조 클러치 (각각의 트랙에 하나씩)를 사용하여 전차 조종 |
연료 용량 | 95 리터 (약 8시간) |
현가 장치 | 수직 스프링 |
기동 거리 | 60 킬로미터 |
속도 | 7 킬로미터/시 |
파생형 | |
종류 | 샤 카농 (Char canon) 샤 미트라예즈 (Char mitrailleuse) FT 75 BS 샤 시냘 (Char signal) FT 모디피에 31 (FT modifié 31) 미국 M1917 루스키 레노 (Russkiy Reno) |
사용 국가 | |
사용 국가 | 제공된 위키 문서 참고 |
명칭 | |
프랑스어 | , |
일본어 | ルノー FT-17 軽戦車 |
기타 | |
대수 | 3,000대 이상 (프랑스 2,622대) |
가격 | 알 수 없음 |
2. 개발 역사
1916년 5월, 프랑스의 자동차 및 트럭 제조회사인 르노에서 경전차 개발이 시작되었다. 루이 르노가 직접 개발을 주도했으나, 초기에는 엔진 출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엔지니어 로돌프 에른스트 메츠마이어가 개발에 참여하여 설계를 개선했다.
장 바티스트 유진 에스티엥 대령은 솜 전투에서 영국군이 중전차를 사용한 것을 보고, 프랑스 전차 부대는 대량의 소형 전차 또는 소량의 대형 전차 중 어떤 것을 채택할지 고민했다. 에스티엥 대령의 설득으로 르노의 소형 전차 디자인이 채택되었지만, 대형 전차 샤르 2C와의 경쟁은 전쟁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프로토타입은 1917년 초기에 안정적인 차체임을 증명했지만, 라디에이터 팬 벨트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1917년에는 84대가 완성되었고, 1918년 종전까지 2,697대가 추가로 완성되었다. 총 3,177대가 생산되었으나, 일부 기록에서는 4,000대 이상 생산되었다고도 한다. 군수물자 기록에 따르면 프랑스군에 3,177대, 미국에 514대가 조달되었고, 영국군과 이탈리아군에 24대가 인도된 것으로 추정되어 총 생산량은 3,694대로 추정된다.
FT는 소시에테 데 오토모빌 르노(르노 자동차 회사)에서 설계 및 생산되었다. 루이 르노는 장 B. E. 에스티엔 대령의 방문 후 1915년 12월 21일경부터 이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에스티엔은 홀트 무한궤도 트랙터를 기반으로 한 궤도 장갑차 계획을 세웠고, 조프레 장군의 허가를 받아 르노를 잠재적인 제조업체로 접촉했다. 르노는 자사의 회사가 전쟁 물자를 생산하느라 꽉 차 있고 궤도 차량에 대한 경험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에스티엔은 나중에 슈나이더 회사가 궤도 장갑차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것이 프랑스의 첫 번째 실용 전차인 슈나이더 CA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후 1916년 7월 16일 르노와의 우연한 만남에서 에스티엔은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고, 르노는 긍정적으로 답했다.
루이 르노는 이 새로운 전차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구상하고 기본 사양을 정했다. 그는 FT의 예상 무게를 7톤으로 제한했다. 르노는 당시 생산 가능한 엔진으로는 군대가 요구하는 중전차 유형에 충분한 출력 대 중량비를 달성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다.[3] 르노의 산업 디자이너인 로돌프 에른스트-메츠마이어가 FT의 실행 계획을 세웠다. 루이 르노의 오랜 동료인 샤를-에드몽 세르가 새로운 전차의 대량 생산을 조직하고 감독했다. FT의 궤도는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했으며, 둥근 꼬리 부분은 참호 통과를 용이하게 했다. 엔진은 어떤 경사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르노 FT는 동력 손실 없이 매우 가파른 경사를 오갈 수 있었다. 효과적인 내부 환기는 엔진의 라디에이터 팬에 의해 제공되었으며, 이는 전차의 전방 승무원실을 통해 공기를 끌어들여 후방 엔진실을 통해 밖으로 배출했다.
1916년 9월 15일 솜 전투에서 영국군이 처음으로 중전차를 사용한 후에도 프랑스군은 소수의 초대형 전차(나중의 샤르 2C)보다 다수의 경전차가 더 나은지 고민했다. 1916년 11월 27일 에스티엔은 프랑스 최고 사령관에게 르노 프로토타입의 사양을 기반으로 한 경전차의 즉각적인 채택 및 대량 생산을 제안하는 개인 메모를 보냈다. 1917년 4월과 1917년 6월에 FT 전차에 대한 두 건의 대규모 정부 주문을 받은 후 르노는 생산을 진행할 수 있었다.
FT-17의 설계는 각국의 전차에 비해 가장 혁신적이었으며, 이후 전차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FT-17은 전방에 조종석, 중간에 포탑과 전투실, 후방에 격벽으로 분리된 엔진실이라는 현대 전차에 통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확립했다. 소형 경량 차체와 폭이 넓은 궤도, 전방으로 돌출된 유도륜, 보비 형식의 서스펜션을 갖춤으로써 뛰어난 기동성을 갖추었다.
2. 1. 포탑
초기에는 원형 주조 포탑이 사용되었으나, 이후 리벳으로 조립된 다각형 포탑과 용접 융합 포탑으로 변경되었다. 포탑은 Girod of Ugine에서 생산되었으며, 볼베어링 위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했고, 어느 각도에서든지 고정할 수 있었다.[76] 포탑에는 호치키스 M1914 8mm 기관총이나 프토(Puteaux) SA 37mm 포를 장착할 수 있었다.[76]

2. 2. 생산 공장
르노의 공장이 있는 파리 근교 불로뉴-빌랑쿠르에서 FT-17 생산량의 절반 정도가 이루어졌지만, 수요가 많아 다른 회사에도 하청을 주었다. 1918년까지 생산량이 증가했으며, 원래 주문한 3,530대 중 르노가 1,850대(52%), 베를리에가 800대(23%), SOMUA(슈나이더 & 시에의 자회사)가 600대(17%), 들로네-벨빌이 280대(8%)를 생산했다. 1918년에 주문량이 7,820대로 늘었을 때도 생산량은 비슷한 비율로 분배되었다. 루이 르노는 FT-17의 모든 프랑스 제조업체에 대한 로열티를 면제하기로 합의했다.[63]3. 실전 역사
르노 FT는 1918년 프랑스 군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고, 미국 파견군도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사용했다.
1차 대전 종전 후, 르노 FT는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브라질,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일본 등 세계 여러나라에 수출되었으며, 미국 등 세계 대국들도 사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현대 전차에 영향을 주었다. 실전에서는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련 전쟁, 중국 내란, Rif전, 스페인 내란, 에스토니아 독립전등에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이미 구식이었지만 폴란드, 핀란드, 유고슬라비아 등에서 사용되었다. 1940년 독일군의 프랑스 침공 당시 프랑스군에는 8개 대대가 각각 63대의 FT탱크를 장비했고, 3개 전차 소대가 10대씩 장비해 총 534대가 실전 투입 가능했지만, 기관총 탑재형이 대부분이라 독일군의 2호 전차와도 맞서기 힘들었다. 프랑스 전선 발발 당시 이미 구식이라 115개 그룹으로 나뉘어 공항 수비용으로 쓰였고, 독일군 침공으로 전선에 급히 보내진 예비군 중 575대의 FT탱크가 포함되었다. 훗날 독일군은 노획한 1,704대의 FT전차 중 100대는 공항 수비대로, 650대는 경찰 부대나 대 게릴라 부대 등에 투입해 후방에서 사용했고, 일부는 1944년 파리 해방 이전 파리 시가전에도 독일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FT는 프랑스 전차의 선조로서 FT Kégresse, NC1, NC2, Char D1, Char D2를 후손으로 남겼다. 이탈리아도 주력 전차로 피아트 3000을 채용했는데, 프랑스 FT의 복제품이다.
소련은 화이트 러시아군으로부터 파괴된 르노 14대를 노획해 크라스노에 공장에서 1920년에 복구 수리하고, 15대의 복제품을 1920-1922년 사이에 만들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실전에 투입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르노가 소련에 끼친 영향은 1928-1931년 사이에 소련에서 자체 개발된 T-18탱크에 르노와 같은 서스펜션 형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T탱크는 아프가니스탄, 벨기에, 브라질, 중국, 체코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란, 일본, 리투아니아, 네덜란드, 필리핀,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백군, 소련,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노르웨이, 영국, 미국, 유고슬라비아 등에서 사용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1918년 프랑스군과 미군은 르노 FT를 실전에 투입하여 기동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5] 조지 패튼 소령(당시 33세)은 르노 FT로만 구성된 미국 경전차 여단을 지휘했으며, 스스로 운전과 정비를 배웠다. 1918년 5월 31일, FT 탱크는 만(Marne)의 두 번째 전투가 벌어진 쎄송(Soissons)과 빌레르 코테레(Villers-Cottererts) 사이의 Ploisy-Chazelle에서 처음으로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후 FT 전차는 슈나이더 CA1(Schneider CA1)과 샹사몽(Saint Chamond) 탱크와 함께 전투를 벌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 전투가 기동전으로 변화하면서 가벼운 FT 탱크는 열차보다는 트럭이나 트레일러로 전선까지 운반되었다. 연합군은 1917년 말부터 대량 생산 계획을 세워 르노 FT 탱크의 생산량을 12,260대(미군용 4,440대 포함)까지 늘렸다.[65]3. 2.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르노 FT는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브라질,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일본 등 여러 나라에 수출되었다.[65] 미국 등 세계의 대국들도 사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현대 전차에 영향을 주었다. 실전에서는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련 전쟁, 중국 내란, Rif전, 스페인 내란, 에스토니아 독립전 등에서 사용되었다.[65]
이처럼 르노 FT-17은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각국의 기갑 부대 창설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분쟁에 투입되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르노 FT-17은 여전히 사용되었지만, 이미 구식화된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핀란드, 유고슬라비아 왕국 등에서 사용되었다.[9] 1940년 독일군의 프랑스 침공 당시 프랑스군은 8개 대대, 총 534대의 FT-17을 실전 투입 가능했지만, 2호 전차와도 맞서기 힘들 정도로 성능이 부족했다. 프랑스군은 FT-17을 115개 그룹으로 나누어 공항 수비용으로 사용했지만, 독일군 침공으로 인해 예비군에 포함된 575대의 FT-17이 전선으로 급파되었다.독일군은 노획한 1,704대의 FT-17 중 100대는 공항 수비대로, 650대는 경찰 부대나 대(對) 게릴라 부대 등 후방에서 사용했다.[9] 일부는 1944년 파리 해방 이전 파리 시가전에도 투입되었다.
핀란드는 34대의 FT-17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겨울 전쟁에서 고정 토치카로 사용했다.
3. 4. 한국에서의 운용
일본 제국은 1919년부터 1920년에 걸쳐 르노 FT를 수입하여 운용했다.[10] 1925년 창설된 일본군 전차대에 배치되었으며, 만주사변에도 투입되었다.[10] 만주 사변 당시, 한국인으로 구성된 부대가 르노 FT를 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광복 이후, 한국군이 노획한 르노 FT를 운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 파생형
르노 FT 전차는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FT-17 포전차: SA18 37mm 포 탑재형으로, 생산된 전차의 약 3/5를 차지한다.[81][82][83][84][85]
- FT-17 기관총 전차: 오치키스 8mm 기관총 탑재형으로, 생산된 전차의 약 2/5를 차지한다.[81][82][83][84][85]
- FT BS: 슈나이더사제 75mm 단포신 곡사포(Blockhaus Schneider, 9.5구경)를 탑재한 자주포이다. 1917년 12월 시점에서 700량이 발주되었으나, 실용화되기 전에 전쟁이 종결되어 소수 생산에 그쳤다.[81][82][83][84][85]
- TSF: 비무장 무선 지휘차로, 1917년 12월 시점에서 200량이 발주되었으나, 전쟁 종결까지 소수만이 인도되었다.[81][82][83][84][85]
- FT 케그레스=인스탄: 1920년대 중반 주행 성능 향상을 위해 케그레스 방식 서스펜션과 고무제 궤도를 장착한 개량형이다. 42량이 제작되어 모로코 반란 진압에 투입되었고, 소수는 유고슬라비아와 폴란드에 수출되었으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추가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81][82][83][84][85]
- FT-17 근대화 개수형: 1930년대 초 프랑스는 FT 기관총 전차의 무장을 7.5mm M31 기관총으로 교체하고, 구동륜을 강철제로, 조종수 해치를 더 두꺼운 것으로 변경했다.[81][82][83][84][85]
- FT-SPG: M1897 75mm 야포를 탑재한 자주포로, 1918년에 시제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채택되지 않았다.[63][64]
- STA SPG: FT-SPG와 마찬가지로 M1897 75mm 야포를 탑재한 자주포이나, 엔진과 조종수 위치를 차체 중앙으로 옮긴 형태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채택되지 않았다.[63][64]
- 세모벤테 da 105/14: 이탈리아가 프랑스에서 제공받은 FT-17을 기반으로 105mm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이다. 1919년 퍼레이드에 선보였다.
- '''일본'''은 1919년부터 1920년에 걸쳐 르노 FT-17을 20량 이상 수입하여, 1925년에 최초의 전차 부대를 창설했다. 이 전차들은 3년식 기관총 등으로 무장을 교체하고, 만주 사변 등에서 운용되었다. 또한, 노획한 FT-17도 사용하였다.
5. 현존 차량
르노 FT는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지만, 대한민국에는 현존하는 차량이 없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도 르노 FT에 대한 연구와 복원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6. 영향과 유산
제1차 세계 대전 중 등장한 여러 전차 중에서도 르노 FT-17의 설계는 혁신적이었으며, 이후 전차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FT-17은 전방에 조종석, 중간에 포탑과 전투실, 후방에 엔진실을 배치하는 현대 전차의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확립했다. 소형 경량 차체, 넓은 궤도, 뛰어난 기동성을 갖추었으며,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포탑을 최초로 채용했다.
1917년 2월에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었고, 초기 양산형에는 리벳 접합 장갑판의 팔각형 포탑이, 주 양산형에는 둥근 주조 포탑이 탑재되었다. 르노 FT의 회전 포탑은 인력으로 회전시켰다.
FT 프로토타입
FT 프로토타입
극초기형 포탑 기관총 장착형
베르리에(옴니버스) 포탑
지로 포탑 37 mm 포 탑재형
르노 FT-17은 한국에 직접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한국 전쟁 이전 한국군 기갑부대 창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이 1932년 만주에서 FT-17 전차를 사용한 기록이 있으며[24], 이 과정에서 노획된 FT-17을 한국군이 다시 노획하여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6. 1. 기술적 영향
근대 전차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처음 등장했지만, 그중에서도 FT-17의 설계는 각국의 전차에 비해 가장 혁신적이었으며, 이후 전차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FT-17은 프랑스 전차 부대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장-밥티스트 에티엔 장군의 구상에서 비롯되었다. 원래는 둔중한 슈나이더 CA1이나 생-샤몽 돌격전차를 지휘, 지원하는 것이 개발 목적이었지만, 실제로는 보병 지원 및 직협 전차로 사용되었다. 설계 생산을 담당한 르노사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4년에 프랑스 국내에서 20%라는 1위의 점유율을 가진 자동차 제조사였으며, 이미 택시 제조 등으로 대량 수주 경험이 있었다. FT-17 자체의 설계에도 르노사의 창업자인 루이 르노가 크게 주력했다고도 하며, 이러한 점들이 혁신적이고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차를 만들어냈다.
그전까지의 전차에서 채용되었던 자동차와 같은 차대(섀시)에 상자형의 전투실을 얹는 구조가 아니라, 직각으로 조합한 장갑판으로 차체를 구성하는 세미 모노코크 구조였다. 가로 부재가 되는 칸막이로 전투실과 엔진실(엔진은 종치식)을 분리하여, 이로써 엔진의 소음과 열기에서 승무원을 해방했다. 결과적으로 전방에 조종석, 중간에 포탑과 전투실, 후방에 격벽으로 분리된 엔진실이라는 현대 전차에 통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확립했다.
소형 경량 차체와 폭이 넓은 궤도, 전방으로 돌출된 유도륜(본 차량은 구동륜이 차체 후방에 있는 후륜 구동 방식이다), 보비 형식의 서스펜션을 갖춤으로써 뛰어난 기동성을 갖추었다.
FT-17
FT-17 서스펜션
FT-17 서스펜션
서스펜션은 섀시 전체를 지지하는 수직 스프링과, 보비를 지지하는 리프 스프링(판 스프링)의 이중 구조였다. 보비를 지지하는 리프 스프링(판 스프링)은 한쪽 면에서 3개 + 2개와 2개 + 2개로, 전후의 조로 나뉘어 있었다. 좌우의 하부 구조는 유도륜, 구동륜, 상부 롤러(지지륜), 롤러가 한 덩어리의 유닛이 되어, 전체를 차체 측면 전방의 큰 수직 스프링(한쪽 1개, 양쪽 2개)로 지지했다(안쪽에 숨어 있는 스프링). 리프 스프링(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한쪽 9개의 작은 롤러로 구성된, 3개가 1조와 2개가 3조의 보비가 시소처럼 움직이면서 지면에 따라 움직였다. 상부 롤러는 1개의 막대 모양으로 정렬되어 있지만, 궤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막대의 앞단을 스프링으로 들어 올렸다. 유도륜은 앞뒤로 슬라이드할 수 있어, 궤도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었다. 이 기구는 이후 전차에서 표준이 되었다.
차체 전방의 대구경 유도륜은 전기 생산 차량에서는 주변부(림)를 강철로 보강한 합판(목제)이었지만, 강도에 문제가 있어 후기 생산 차량에서는 강철로 바뀌었다. 양호한 시계를 얻기 위해 설치한 전주 회전 포탑은 단일의 장포로 360도의 사계를 확보했다. 전차가 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포탑을 갖추는 것은 오늘날에는 당연하게 되었지만, 이것은 FT-17에서 처음 채용된 것이었다.
FT 프로토타입
FT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은 1917년 2월에 제작되었으며, 같은 해 3월에는 150대의 발주가 이루어졌다. 제조는 여러 회사에서 이루어졌으며, 이후 3,800대 이상이 생산되었다. 시제차와 극초기형은 일체 주조된, 키가 낮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원추대형의 포탑을 가지고 있었지만, 초기 양산형에는 베르리에사가 제작한 리벳 접합 장갑판의 팔각형 포탑(베르리에(Berliet) 포탑. 옴니버스(Omnibus) 포탑이라고도 불림)이 탑재되었다. 주 양산형에서는 시제형과는 다른 형상의 둥근 주조 포탑(지로(Girod) 포탑이라고 불림)이 되었다. 이 둥근 포탑 탑재형은 FT-18이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르노 FT의 회전 포탑은, 포탑 내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인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법을 채용하고 있다.
극초기형 포탑 기관총 장착형
베르리에(옴니버스) 포탑
지로 포탑 37 mm 포 탑재형
6. 2. 한국 전차 개발에 끼친 영향
비록 르노 FT-17이 한국에 직접 도입되지는 않았지만, 한국 전쟁 이전 한국군 기갑부대 창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일본군은 1932년 만주에서 르노 NC1과 함께 13대의 FT-17 전차를 사용한 기록이 있다.[24] 이 과정에서 일본군이 노획한 르노 FT-17을 한국군이 다시 노획하여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한국군이 기갑부대 운용 노하우를 축적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참조
[1]
웹사이트
TANQUES E BOMBARDEIROS EM SÃO PAULO: A REVOLTA TENENTISTA DE 1924
https://aventurasnah[...]
2018-07-05
[2]
문서
[3]
웹사이트
Renault FT
https://tanks-encycl[...]
2014-06-10
[4]
웹사이트
CIC – verkenningstocht door de collectie
http://www.collectie[...]
[5]
서적
Le général J.B.E. Estienne, père des chars
L'Harmattan
2010
[6]
서적
Les chars de la Grande Guerre
Groupe Hommell
2009
[7]
서적
Le général Estienne
Lavauzelle
1983
[8]
문서
Quelques souvenirs
[9]
간행물
Les chars de la Grande Guerre
2009-12
[10]
문서
[11]
간행물
Nos chars en 1940 : Pourquoi, combien
Histoire & Collections
2006-11
[12]
서적
Fortress France : the Maginot Line and French defenses in World War II
Stackpole Books
2007
[13]
문서
[14]
간행물
Les chars FT dans la défense du territoire français
https://www.39-45.or[...]
2014-07
[15]
서적
An Army at Dawn: The War in North Africa, 1942–1943
[16]
간행물
Le Blindorama: Afghanistan, 1919 – 2003
Caraktère
2012-04
[17]
간행물
Le Blindorama: Brésil, 1921 – 1945
Caraktère
2012-02
[18]
서적
Tanks of Hitler's Eastern Allies 1941–45
Osprey Publishing
2013-04-20
[19]
간행물
Le Blindorama : La Croatie, 1941 – 1945
Caraktère
2011-04
[20]
간행물
Le Blindorama : La Tchécoslovaquie, 1923 – 1945
Caraktère
2013-12
[21]
학술지
The military situation in the Baltic States
http://www.bdcol.ee/[...]
[22]
간행물
Le Blindorama : Le Finlande, 1939 – 1945
Caraktère
2011-12
[23]
간행물
Le Blindorama : Iran, 1936 – 1945
Caraktère
2016-08
[24]
간행물
Le Blindorama : Le Japon, 1932 – 1945
Caraktère
2012-10
[25]
간행물
Le Blindorama : Les Pays-Bas, 1939 – 1945
Caraktère
2011-06
[26]
웹사이트
History of Cavalry and Armor in the Philippines
http://mechdiv.net.p[...]
2019-02-06
[27]
간행물
La force blindée roumaine pendant l'entre-deux-guerres (1919–1941)
Caraktère
2007-04
[28]
간행물
Le Blindorama : L'Espagne, 1936 – 1945
Caraktère
2014-10
[29]
간행물
Le Blindorama : La Suède, 1935 – 1945
Caraktère
2011-08
[30]
간행물
Le Blindorama : La Suisse, 1936 – 1945
Caraktère
2012-12
[31]
간행물
Le Blindorama : La Turquie, 1935 – 1945
Caraktère
2011-02
[32]
간행물
Le Blindorama : La Yougoslavie, 1930 – 1945
Caraktère
2013-02
[33]
간행물
Les ponts Bourguignon (sur char Renault FT), 1939–1940
Histoire & Collections
2015-07
[34]
웹사이트
Taki's Imperial Japanese Army
http://www3.plala.or[...]
.plala.or.jp
2011-02-04
[35]
웹사이트
Poland's FT17
http://mailer.fsu.ed[...]
Mailer.fsu.edu
2003-03-12
[36]
서적
Pojazdy w Wojsku Polskim: 1918–1939
Oficyna Wydawnicza "Ajaks"
1995
[37]
서적
AFV Weapons Number 59: French Infantry Tanks: Part II
Profile Publications
1973
[38]
웹사이트
The French Renault FT Kegresse Hinstin M2425 Tank
https://tanknutdave.[...]
[39]
웹사이트
https://wwiitanks.co[...]
[40]
간행물
Czołgi Renault w Wojsku Polskim: Część I: Renault FT
Nowa Technika Wojskowa
1997-08
[41]
잡지
Le Testament du père des chars
2017-08
[42]
웹사이트
Surviving Renault FT Tanks
http://the.shadock.f[...]
2022-07-02
[43]
웹사이트
Surviving Six Ton Tanks M1917
http://the.shadock.f[...]
2022-07-02
[44]
뉴스
Rare French Tank Being Taken to U.S
http://www.defendame[...]
[45]
웹사이트
Marne 1918
https://www.museedel[...]
[46]
웹사이트
Museum record entry
http://www.tankmuseu[...]
Tankmuseum.org
2011-02-04
[47]
웹사이트
Projects | Tank Restoration | Tank Restoration UK
https://www.wealdfou[...]
[48]
웹사이트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 Belgium
http://www.klm-mra.b[...]
Klm-mra.be
2010-09-09
[49]
웹사이트
Forum Eerste Wereldoorlog :: Bekijk onderwerp – French Tanks surviving the war
http://www.forumeers[...]
Forumeerstewereldoorlog.nl
2010-09-09
[50]
웹사이트
Military Museum
http://www.muzej.mod[...]
2010-03-07
[51]
웹사이트
Panssarimuseo – Pansarmuseet, Parola – The Armour Museum, Finland – Das Panzer Museum, Finland
http://www.panssarim[...]
Panssarimuseo.fi
2013-03-11
[52]
웹사이트
Musée de l'armée Suisse
http://www.armeemuse[...]
[53]
웹사이트
Carro ligero Renault FT modelo 1917
http://www.ejercito.[...]
Ministerio de Defensa
2014-03-21
[54]
웹사이트
Under restoration
http://www.krigshist[...]
2015-04-21
[55]
웹사이트
Zabytkowy czołg trafi z Afganistanu do Polski
http://www.msz.gov.p[...]
MSZ
2012-10-20
[56]
웹사이트
Robert Tirczakowski 1967–2012
https://dobroni.pl/a[...]
2012-06-18
[57]
웹사이트
Soldier Experience Gallery
http://www.carlisle.[...]
2016-11-01
[58]
웹사이트
National World War I Museum – Permanent Exhibits
http://www.theworldw[...]
Theworldwar.org
2010-09-09
[59]
웹사이트
The Five of Hearts - Renault FT-17 Light Tank
https://history.army[...]
2024-09-09
[60]
웹사이트
Renault FT-17 In Brazilian Army 1921–1942
http://www.ecsbdefes[...]
Federal University of Juiz de Fora
2015-07-13
[61]
웹사이트
Renault FT Light Tank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62]
문서
ポーランドのRPM社のプラモデルの商品名にも使われている。
[63]
웹사이트
http://www.landships[...]
[64]
Youtube
https://www.youtube.[...]
[65]
웹사이트
http://the.shadock.f[...]
[66]
뉴스
Rare French Tank Being Taken to U.S.
http://www.defendame[...]
[67]
웹사이트
Museum record entry
http://www.tankmuseu[...]
Tankmuseum.org
2011-02-04
[68]
웹사이트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 Belgium
http://www.klm-mra.b[...]
Klm-mra.be
2010-09-09
[69]
웹사이트
Forum Eerste Wereldoorlog :: Bekijk onderwerp – French Tanks surviving the war
http://www.forumeers[...]
Forumeerstewereldoorlog.nl
2010-09-09
[70]
웹사이트
http://www.muzej.mod[...]
[71]
웹사이트
Panssarimuseo - Pansarmuseet, Parola - The Armour Museum, Finland - Das Panzer Museum, Finland
http://www.panssarim[...]
Panssarimuseo.fi
2013-03-11
[72]
웹사이트
National World War I Museum – Permanent Exhibits
http://www.theworldw[...]
Theworldwar.org
2010-09-09
[73]
PDF
http://www.ecsbdefes[...]
[74]
웹인용
Fire and Ice, The Winter War of Finland and Russia
http://www.wfyi.org/[...]
Wfyi.org
2011-02-04
[75]
서적
The Renault FT Light Tank
London
[76]
서적
French Tanks of World War I
http://books.google.[...]
Osprey
[77]
문서
Renault FT
Editions du Barboutin
[78]
문서
Les Chars de la Grande Guerre
Groupe Hommell
[79]
문서
Le général J.B.E. Estienne, père des chars
L'Harmattan
[80]
문서
Les chars de la Grande Guerre
Groupe Hommell
[81]
문서
Chars de France
E.T.A.I.
[82]
문서
The Renault FT Light Tank
London
[83]
문서
Renault FT
Editions du Barbotin
[84]
문서
Le général Estienne
Lavauzelle
[85]
문서
Quelques souvenirs
[86]
웹인용
Taki's Imperial Japanese Army
http://www3.plala.or[...]
.plala.or.jp
2011-02-04
[8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1-04
[88]
문서
Pojazdy w Wojsku Polskim: 1918-1939 (Polish Army vehicles)
Oficyna Wydawnicza "Ajaks"
[89]
문서
Czołgi Renault w Wojsku Polskim - Część I - Renault FT
Nowa Technika Wojskowa Nr. 8/97
[90]
PDF
http://the.shadock.f[...]
[91]
PDF
http://the.shadock.f[...]
[92]
뉴스
Rare French Tank Being Taken to U.S.
http://www.defendame[...]
2010-11-06
[93]
웹인용
WW1 US Model 1917 Two Man Six Ton Light Tank
http://www.hayesotou[...]
[94]
웹인용
"|Museum record entry"
http://www.tankmuseu[...]
Tankmuseum.org
2011-02-04
[95]
웹인용
Ropkey Armor Museum
http://ropkeyarmormu[...]
Ropkey Armor Museum
2010-09-09
[96]
뉴스
Tank Leaves a Combative Path, Answer Man Finds
http://www.washingto[...]
2007-04-22
[97]
웹사이트
http://www.armorfort[...]
[98]
웹인용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 Belgium
http://www.klm-mra.b[...]
Klm-mra.be
2010-09-09
[99]
웹인용
National World War I Museum - Permanent Exhibits
http://www.theworldw[...]
Theworldwar.org
2010-09-09
[100]
웹인용
Musée de l'armée Suisse
http://www.armeemuse[...]
[101]
웹인용
Forum Eerste Wereldoorlog :: Bekijk onderwerp - French Tanks surviving the war
http://www.forumeers[...]
Forumeerstewereldoorlog.nl
2010-09-09
[10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archive.toda[...]
2012-08-05
[103]
웹사이트
http://www.panssarim[...]
[104]
웹사이트
canadiansoldiers.com article
http://canadiansol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