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완다 애국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1987년 르완다 국가 통일 동맹(RANU)에서 이름을 변경한 르완다의 정당이다. 1959년 투치족 군주제 전복 이후 투치족이 우간다로 피난하면서 시작된 난민 문제와 차별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되었다. RANU는 1979년 설립되어, 초기에는 정치적 토론을 위한 단체였으나, 1980년 밀턴 오보테의 부정 선거 이후 급진화되어 우간다 부시 전쟁에 참전하며 군사 조직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1987년 RANU는 RPF로 개명하고, 1990년 르완다 내전을 시작했다. RPF는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 이후 국가 통제권을 장악하고, 파스퇴르 비지뭉구와 폴 카가메를 중심으로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했다. 현재 RPF는 집권 여당으로, 폴 카가메가 당 의장 및 대통령을 역임하며, 르완다의 국가 통합과 민주주의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RPF는 르완다인 간의 화해, 사회 경제적 성장, 국가 평화 확립, 모든 르완다인의 존엄성 회복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완다 집단학살 - 키베호의 성모
키베호의 성모는 1980년대 르완다 키베호에서 발생한 성모 마리아 발현 현상으로, 불안정한 사회 속 평화를 위한 기도와 참회, 속죄를 강조하며 1994년 르완다 학살을 예고하는 듯한 종말론적 환상을 담고 있어,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진정성을 인정받아 '슬픔의 성모 성지'로 조성되었다. - 르완다 집단학살 - 파스퇴르 비지뭉구
파스퇴르 비지뭉구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르완다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르완다 애국 전선에 합류하여 아루샤 협정 협상에 기여했으나 폴 카가메 부통령과의 갈등으로 사임 후 투옥되었다가 사면받았다. - 1987년 설립된 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1987년 설립된 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르완다 애국전선 | |
---|---|
기본 정보 | |
영어 명칭 | Rwandan Patriotic Front |
![]() | |
![]() | |
창립자 | 프레드 르위계마 |
설립일 | 1979년 12월 (RANU), 1987년 12월 (RPF) |
본부 | 키갈리 |
국가 | 르완다 |
색상 | 하늘색 |
웹사이트 | 르완다 애국전선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당 대표 | 폴 카가메 |
사무총장 | 웰러스 가사마게라 |
정치 성향 | 시민 민족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역사적 정치 성향 | 투치족 이익, 사회주의 |
정치적 위치 | 빅텐트 |
이념 | |
주요 이념 | 민족주의, 포퓰리즘, 포괄 정당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르완다 학살 |
2. 배경
1959년 르완다에서 후투족 주도의 혁명으로 투치족 군주제가 무너지고, 투치족은 우간다 등 주변국으로 피난하였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간다 내 투치족 난민들은 차별과 박해를 받았다. 밀턴 오보테 정권은 외국인 난민 관리법을 시행하여 르완다인(바냐르완다)을 임의로 구속할 수 있도록 했다. 1969년 오보테는 '기술이 없는 외국인'을 모두 정부 관련 직업에서 배제하도록 명령하여 수천 명의 르완다인이 영향을 받았다. '바냐르완다'는 르완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통칭하는 말로, 1920년대에 르완다 남부에서 노동자로 이주한 후투족과 난민으로 유입된 투치족을 포함한다. 오보테는 바냐르완다에 대한 인구 조사를 명령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막으려 했으나, 이 조사는 1971년 이디 아민의 쿠데타로 중단되었다.[65]
2. 1. 1959년 혁명과 투치족 난민 발생
1959년 그레구아르 카이반다의 주도로 투치족의 군주제가 전복되자, 보복이 두려웠던 투치족은 우간다로 피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동은 1962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이 시기에 5만에서 7만 명의 투치족이 난민이 되어 르완다에서 유출되었지만, 투치족에 대한 폭력행위는 단속적으로 계속되어, 1990년에는 투치족 난민의 수가 20만 명에 달했다. 그 중 유엔 난민 기구에 난민등록을 한 사람은 8만 2천 명밖에 되지 않았다.[63]당시 우간다는 난민에 대해 엄격한 법률을 가진 나라였다. 난민은 난민 수용소에 감금되었으며, 난민인 부모로부터 태어난 아이들은 우간다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난민의 신분을 물려받았다. 난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당초 마련된 수용소에 난민을 수용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난민 신분의 한 가지 혜택은 아이들이 유엔으로부터 원조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유엔 난민 기구의 장학금 덕분에 많은 젊은이들이 수용소를 벗어나 우수한 인재가 되어 우간다나 그 밖의 나라에서 일자리를 구했다. 그 결과 우간다 사회에서 성공한 투치족이 늘어남에 따라, 투치족을 우간다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 민족 차별이 일어나기도 했다.[64]
2. 2. 우간다 내 투치족 난민의 차별과 저항
1959년 그레구아르 카이반다의 주도로 투치족의 군주제가 무너지자, 보복이 두려웠던 투치족은 우간다로 피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1962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1990년에는 투치족 난민의 수가 20만 명까지 늘어났지만, 그중 유엔 난민 기구(UNHCR)에 난민으로 등록한 사람은 8만 2천 명에 불과했다.[63]당시 우간다는 난민에 대해 엄격한 법률을 가진 나라였다. 난민들은 난민 수용소에 갇혀 있었고, 난민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은 우간다에서 태어났더라도 난민 신분을 물려받았다. 난민 수가 증가함에 따라, 처음 정해진 수용소에 난민을 수용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난민 신분의 한 가지 이점은 아이들이 유엔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유엔 난민 기구의 장학금 덕분에 많은 젊은이들이 수용소를 떠나 유능한 인재가 되어 우간다와 다른 나라에서 일자리를 찾았다. 그 결과 우간다 사회에서 성공한 투치족이 늘어남에 따라, 투치족을 우간다의 위협으로 간주하는 민족 차별이 발생하기 시작했다.[64]
1960년대 후반 정치 위기 동안, 밀턴 오보테 정권은 외국인 난민 관리법을 시행했다. 이 법은 르완다인(바냐르완다)을 임의로 구금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1969년 오보테는 '기술이 없는 외국인'을 모두 정부 관련 일자리에서 제외하도록 명령했고, 수천 명의 르완다인이 영향을 받았다. '바냐르완다'는 르완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총칭으로, 1920년대에 르완다 남부에서 노동자로 이주한 후투족과 최근 난민으로 유입된 투치족이 포함된다. 오보테는 또한 바냐르완다에 대한 인구 조사를 명령하여 어떠한 정치적 영향력도 행사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 조사는 1971년 이디 아민의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바냐르완다 중에는 우간다 치안 부대에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반대로 탄자니아에서 모인 반(反)아민 세력에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중에는 요웨리 무세베니와 구국전선에 참여한 프레드 르위게마가 있었다.[65]
3. 르완다 국민 연합 (RANU)
1979년 이디 아민 축출 이후, 투치족 지식인 난민들은 르완다 귀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민족통일 르완다인 동맹(Rwandese Alliance for National Unity, RANU영어)을 설립했다. RANU는 초기에는 지적인 협의체였으나, 1980년 부정 선거 이후 우간다 부시 전쟁에서 요웨리 무세베니를 지지하는 등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했다.[66]
3. 1. RANU의 결성과 초기 활동
1979년 이디 아민이 실각한 이후, 투치족 지식인 난민들은 르완다로의 귀환을 논의하기 위해 최초의 난민 단체인 르완다 민족통일동맹(Rwandese Alliance for National Unity, RANU영어)을 설립했다.[66] RANU는 당초 지적인 협의를 위한 목적이었으나, 밀턴 오보테가 1980년 부정 선거로 대통령에 재임하자 많은 투치족 난민들은 우간다 부시 전쟁에서 요웨리 무세베니 편에 서서 싸우는 등 급진적인 모습을 보였다.[66] 그 결과 오보테는 국민저항군(NRA)이 바냐르완다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비난했다.[66]1982년, 모든 투치족 난민을 수용소에 수용하려는 계획이 실패하고 4만 명의 난민이 르완다로 돌아갔다. 그러나 르완다 측은 그 중 4천 명만이 르완다인이라고 하였고, 우간다 측은 1만 명만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결국 남은 3만 5천 명에 달하는 사람들은 법적으로 애매한 위치에서 몇 년 동안 국경 부근에 방치되었고, 이들 중 많은 젊은이들이 NRA에 가담하게 되었다.[66]
1981년 카밤바의 우간다군 병영을 급습하고 게릴라전을 시작한 NRA의 27명 중에는 투치족인 프레드 르위게마와 폴 카가메가 있었다. 이들은 카훙게의 난민 캠프에서 함께 자란 RANU의 적극적인 멤버였다.[67] 1986년 승리한 NRA가 캄팔라에 들어갔을 때, 전투원의 약 1/4인 16,000명이 바냐르완다인이었으며, 르위게마는 부사령관이었다.[67]
무세베니 정권 수립 후, 르위게마는 국방부 장관 겸 군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실질적으로는 무세베니에 버금가는 지위에 올랐다. 카가메는 군 정보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며, 피터 바잉가나는 NRA 의료부장에, 크리스 부녜녜지는 306여단의 사령관에 임명되는 등 다른 투치족 난민들도 높은 지위에 올랐다. 투치족이 NRA 내에서 상당수의 주요 위치를 차지한 이유는 그들이 이른 시기부터 저항군에 참여하여 경험이 풍부했기 때문이었다.[67]
바냐르완다가 이 싸움에서 세운 공헌은 새 정부에게 인정을 받았다. 무세베니는 집권 6개월 후, 10년 이상 우간다에 거주한 바냐르완다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진다고 선언했다. 1987년 12월, RANU는 캄팔라에서 7차 총회를 열고 그 이름을 르완다 애국전선(RPF)으로 바꿨다. 새로운 RPF는 바냐르완다의 퇴역 군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RANU보다 훨씬 군사적이었다.[68]
3. 2. 우간다 부시 전쟁과 RANU의 무장화
1980년 우간다 대선 이후, 많은 투치족 난민들은 요웨리 무세베니의 국가저항군(NRA)에 합류하여 우간다 부시 전쟁에 참전했다.[66] 밀턴 오보테 정권은 NRA가 바냐르완다(투치족)로 구성되어 있다고 비난했다.[66]1982년, 오보테 정권은 모든 투치족 난민을 수용소에 수용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4만 명의 난민이 르완다로 돌아갔다.[66] 그러나 르완다는 이들 중 4천 명만 르완다인이라고 주장했고, 우간다는 1만 명만 수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66] 결국 남은 3만 5천 명은 법적으로 애매한 위치에서 몇 년 동안 국경 부근에 방치되었고, 이들 중 많은 젊은이들이 NRA에 가담하게 되었다.[66]
1981년 NRA가 카밤바의 우간다군 병영을 급습하며 게릴라전을 시작했을 때, 27명의 멤버 중 프레드 르위게마와 폴 카가메 두 명이 투치족이었다.[67] 이들은 카훙게의 난민 캠프에서 함께 자란 민족통일 르완다인 동맹(RANU)의 적극적인 회원이었다.[67] 1986년 NRA가 승리하여 캄팔라에 입성했을 때, 전투원의 약 1/4인 16,000명이 바냐르완다였으며, 르위게마는 부사령관이었다.[67] 무세베니 정권 수립 후 르위게마는 국방부 장관 겸 군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실질적으로 무세베니에 버금가는 지위에 올랐고, 카가메는 군 정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67] 피터 바잉가나, 크리스 부녜녜지 등 다른 투치족 난민들도 높은 지위에 올랐다.[67] 투치족이 NRA 내에서 상당수의 주요 위치를 차지한 이유는 그들이 이른 시기부터 저항군에 참여하여 경험이 풍부했기 때문이었다.[67]
무세베니는 집권 6개월 후, 10년 이상 우간다에 거주한 바냐르완다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진다고 선언하며 이들의 공헌을 인정했다.[68] 1987년 12월, RANU는 캄팔라에서 7차 총회를 열고 그 이름을 르완다 애국전선(RPF)으로 바꿨다.[68] 새로운 RPF는 바냐르완다의 퇴역 군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RANU보다 훨씬 군사적이었다.[68]
4. 르완다 애국전선 (RPF)
1979년 이디 아민 실각 이후, 투치족 지식인 난민들은 르완다 귀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민족통일 르완다인 동맹(RANU)을 설립했다. RANU는 초기에는 지적인 토론을 위한 단체였으나, 1980년 부정 선거로 밀턴 오보테가 대통령에 재임하자 많은 투치족 난민들은 우간다 부시 전쟁에서 요웨리 무세베니 편에 서서 싸우는 등 급진적인 성향을 보였다. 오보테는 국민저항군(NRA)이 바냐르완다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비난했다. 1982년 모든 투치족 난민을 수용소에 수용하려던 계획이 실패하고 4만 명의 난민이 르완다로 돌아갔지만, 르완다 측은 4천 명, 우간다 측은 1만 명만 수용할 수 있다고 하여 3만 5천 명은 법적으로 애매한 위치에서 몇 년 동안 국경 부근에 방치되었고, 이들 중 많은 젊은이들이 NRA에 가담하게 되었다.[66]
이후 RANU는 1987년 12월 캄팔라에서 제7차 총회를 열고 르완다 애국전선(RPF)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새로운 RPF는 바냐르완다 출신 예비역 군인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RANU보다 훨씬 군사적인 성격을 띠었다.[68] RPF는 단결, 주권 및 안보, 경제, 민주적 지도력, 부패 척결, 모든 난민 발생 원인 제거, 국제 관계, 사회 복지, 그리고 집단 학살 및 그 이데올로기 척결을 목표로 했다.[29]
4. 1. RPF로의 전환과 군사적 성격 강화
1979년 이디 아민 실각 후, 투치족 지식인 난민들은 르완다 귀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최초의 정치 난민 단체인 르완다 민족통일동맹(RANU)을 설립했다. RANU는 초기에는 지적인 토론을 위한 단체였으나, 1980년 부정 선거로 밀턴 오보테가 대통령에 재선되자 많은 투치족 난민들은 우간다 부시 전쟁에서 요웨리 무세베니를 지지하는 등 급진적인 모습을 보였다. 오보테는 국민저항군(NRA)이 바냐르완다인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비난했다. 1982년 모든 투치족 난민을 수용소에 수용하려던 계획이 실패한 후, 4만 명의 난민이 르완다로 돌아갔으나, 르완다는 4천 명, 우간다는 1만 명만 수용 가능하다고 밝혀 3만 5천 명은 법적 지위가 불분명한 채 국경 부근에 머물렀고, 이들 중 많은 젊은이들이 NRA에 가담했다.[60]1981년 카밤바의 우간다군 병영을 기습하며 게릴라전을 시작한 NRA의 27명 중에는 프레드 르위게마와 폴 카가메 두 명의 투치족이 있었다. 이들은 카훙게 난민 수용소에서 함께 자랐으며, RANU의 적극적인 회원이었다. 1986년 승리한 NRA가 캄팔라에 입성했을 때 전투원의 약 1/4인 1만 6천 명이 바냐르완다인이었고, 르위게마는 부사령관이었다. 무세베니 정권 수립 후 르위게마는 국방부 차관 겸 군 부총사령관에 임명되어 사실상 무세베니 다음 가는 지위에 올랐고, 카가메는 군 정보국장에 임명되었다. 다른 투치족 난민들도 고위직에 올랐는데, 이는 그들이 초기부터 저항군에 참여하여 경험이 풍부했기 때문이었다.[61]
무세베니는 집권 6개월 후, 10년 이상 우간다에 거주한 바냐르완다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겠다고 선언하며 이들의 공헌을 인정했다. 1987년 12월, RANU는 캄팔라에서 제7차 총회를 열고 르완다 애국전선(RPF)으로 개명했다. 새로운 RPF는 바냐르완다 출신 예비역 군인들이 주축이 되어 RANU보다 훨씬 군사적인 성격을 띠었다.[61] RPF는 단결, 주권 및 안보, 경제, 민주적 지도력, 부패 척결, 모든 난민 발생 원인 제거, 국제 관계, 사회 복지, 그리고 집단 학살 및 그 이데올로기 척결을 목표로 했다.[29]
4. 2. 우간다 군 출신 투치족의 역할
1981년 카밤바의 우간다군 병영을 급습하여 게릴라전을 시작한 국민저항군(NRA)의 27명 중에는 투치족인 프레드 르위게마와 폴 카가메가 있었다. 이들은 카훙게의 난민 캠프에서 함께 자랐으며, 르완다 국민 연합(RANU)의 적극적인 회원이었다.[66]1986년 승리한 NRA가 캄팔라에 들어갔을 때, 전투원의 약 1/4인 16,000명이 바냐르완다인이었고, 르위게마는 부사령관이었다. 무세베니 정권 수립 후, 르위게마는 국방부 차관 겸 군 부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사실상 무세베니 다음 가는 지위에 올랐다. 카가메는 군 정보국장에 임명되었다. 피터 바잉가나는 NRA 의료 서비스 부서장에, 크리스 부녜녜지는 306여단 사령관에 임명되는 등 다른 투치족 난민들도 고위직에 올랐다. 이처럼 투치족이 NRA 내에서 많은 주요 직책을 차지한 이유는 그들이 초기부터 저항군에 참여하여 풍부한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었다.[67]
바냐르완다가 이 싸움에서 세운 공헌은 새 정부에게 인정을 받았다. 무세베니는 집권 6개월 후, 10년 이상 우간다에 거주한 바냐르완다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진다고 선언했다. 1987년 12월 RANU는 캄팔라에서 7차 총회를 열고 그 이름을 르완다 애국전선(RPF)으로 변경했다. 새로운 RPF는 바냐르완다 출신 예비역 군인들로 구성되어 RANU보다 훨씬 군사적이었다.[68]
5. 르완다 내전
1990년 10월,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르완다를 침공하여 르완다 내전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RPF가 우세했으나, 벨기에, 프랑스, 자이르로부터 지원을 받은 르완다 정부군의 반격으로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69] 이후 RPF는 게릴라전 전술을 통해 1992년 르완다 북부의 상당 지역을 점령하기도 하였다.[70]
1993년 RPF와 르완다 정부는 협상을 통해 아루샤 협정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1994년 4월 6일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르완다 대통령과 시프리앵 은타랴미라 부룬디 대통령이 탄 비행기가 키갈리 국제공항 근처에서 격추되면서 휴전은 깨졌다. RPF와 르완다 정부는 서로를 비난했다.[71] 이 사건은 르완다 집단학살의 도화선이 되었고, 이후 약 100일 동안 100만여 명의 투치족이 살해당했다.[72][73][74]
투치족 중심의 RPF는 군사 행동을 재개하여 정부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등 체계적인 방법으로 군사적 장악력을 확대했다.[75] RPF는 1994년 7월 4일 키갈리를 점령하고, 7월 18일에는 르완다의 나머지 지역까지 장악하며 승리했다.
5. 1. RPF의 침공과 초기 전개
1990년 10월 1일, 프레드 르위게마 소장이 이끄는 르완다 애국전선(RPF)의 군사 부대인 르완다 애국군(RPA)이 르완다를 침공하여 르완다 내전을 시작했다.[31] 10월 2일 프레드 기사 르위게마가 사망했지만,[32][33] RPA의 침공은 초기에 성공을 거두었다. 미국에서 군사학을 공부하던 폴 카가메가 돌아와 RPA를 장악했다.[34] 이후 RPA는 게릴라전을 벌이며 뷔욤바와 루헨게리 지역에 집중 공격을 가했고, 1992년에는 북부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34]5. 2. 아루샤 협정
RPF와 르완다 정부는 협상을 통해 1993년 아루샤 협정을 체결했으며, 이에 따라 RPF 인사들과 다른 난민들은 조국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69]6.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
1994년 4월 6일, 주베날 하비야리마나 대통령이 탑승한 비행기가 키갈리 국제공항 근처에서 격추되는 사건이 발생했다.[37] 이 사건으로 하비야리마나 대통령과 시프리앵 н타рямира 부룬디 대통령이 사망했고, 이는 곧 르완다 대학살로 이어졌다.[38] 약 100일 동안 100만 명이 넘는 투치족이 학살되었고, 추산 15만~25만 명의 여성이 강간을 당했다.[38]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정부군과 맞서 싸워 7월 4일 키갈리를 점령하며 대학살을 종식시켰다.[39][40]
6. 1. 하브자리마나 대통령 암살
1994년 4월 6일, 주베날 하비야리마나 대통령이 탑승한 비행기가 키갈리 국제공항 근처에서 격추되었다.[37] 이 사건으로 하비야리마나 대통령과 시프리앵 은타랴미라 부룬디 대통령이 사망했다.[37] 암살 배후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후투족 극단주의자 또는 르완다 애국전선(RPF) 소행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37] 비행기 격추 사건은 몇 시간 안에 시작된 르완다 대학살의 촉매제가 되었다.[38]6. 2. 집단학살과 RPF의 대응
1994년 4월 6일, 주베날 하비야리마나 대통령이 탑승한 비행기가 키갈리 국제공항 근처에서 격추되었다. 이 사건으로 하비야리마나 대통령과 시프리앵 Нтарямира 부룬디 대통령이 사망했다. 암살 배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후투족 극단주의자 또는 르완다 애국전선(RPF)이 지목되고 있다.[37]비행기 격추는 몇 시간 안에 르완다 대학살을 촉발했다. 약 100일 동안 100만 명이 넘는 투치족이 학살당했고, 15만~25만 명의 여성이 강간당했다.[38] 르완다 애국전선은 정부군과 싸워 7월 4일 키갈리를 점령하고,[39][40] 7월 18일 르완다 전역을 장악하여 집단학살을 종식시켰다.
7. 집단학살 이후 르완다 통치
집단학살 이후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르완다를 통치하며 국가 통합과 민주주의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다. RPF는 국가 통합, 민주주의 및 발전을 위한 권리 운동으로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49]
2000년 이후 폴 카가메 대통령은 세 차례 연속으로 르완다를 통치하며 지역 사회 봉사 활동 (''Umuganda'')와 가차카 법정 등 자립을 보장하는 국가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시행해 왔다.[50]
7. 1. 국민통합정부 구성
1994년 RPF(르완다 애국 전선)가 학살을 종식하고 국가 통제권을 장악한 후, 파스퇴르 비짐운구를 대통령으로 하는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했다. 폴 카가메는 국방장관 겸 부통령이 되었다.[41] 비짐운구 대통령은 6년간 재임하다가 2000년에 자신의 정당을 결성한 후 사임했고, 2002년에 체포되었다.[42] 1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2007년 카가메 대통령의 사면으로 석방되었다.[43]7. 2. RPF의 정치적 역할
1998년 2월, 폴 카가메는 알렉시스 카냐렝그웨의 뒤를 이어 르완다 애국전선(RPF)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2000년 3월에는 국가 대통령이 되었다.[44]폴 카가메는 2003년 대통령 선거에서 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RPF는 여러 소규모 정당과 연합하여 2003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74%의 득표율을 얻었고, 대의원회 53석 중 40석을 차지했다.[45] 200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합은 42석을 차지했고, 카가메는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93%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46] 2013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RPF가 이끄는 연합은 41석을 확보했다.[47] 2017년 카가메는 98.8%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했고, 2017년 8월 18일 7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48]
8. 이념
르완다 애국전선(RPF)은 르완다인들 간의 화해가 사회경제적 성장, 국가 평화 확립, 그리고 모든 르완다인의 존엄성 회복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믿는다.[55][56]
9. 선거 결과
르완다 애국전선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얻으며 집권 여당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폴 카가메는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르완다 애국전선은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결과가 르완다 애국전선의 장기 집권과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에 기인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9. 1. 대통령 선거
선거 | 당 후보 | 득표수 | % | 결과 |
---|---|---|---|---|
2003년 | 폴 카가메 | 3,544,777 | 95.06% | 당선 |
2010년 | 4,638,560 | 93.08% | 당선 | |
2017년 | 6,675,472 | 98.80% | 당선 | |
2024년 | 8,822,794 | 99.18% | 당선 |
9. 2. 국회의원 선거
선거 | 당 대표 | 득표수 | % | 의석수 | 증감 | 정부 |
---|---|---|---|---|---|---|
2003년 | 폴 카가메 | 2,774,661 | 73.78% | 33 | 신규 | 여당 연합 |
2008년 | 3,655,956 | 78.76% | 36 | 3 | 여당 연합 | |
2013년 | 76.22% | 37 | 1 | 여당 연합 | ||
2018년 | 4,926,366 | 73.95% | 36 | 1 | 여당 연합 | |
2024년 | 6,126,433 | 68.83% | 37 | 1 | 여당 연합 |
참조
[1]
논문
Exile, Reform, and the Rise of the Rwandan Patriotic Front
https://www.jstor.or[...]
1996-09-01
[2]
뉴스
Rwanda: It's a Landslide for RPF-Inkotanyi
https://allafrica.co[...]
2018-09-04
[3]
웹사이트
Rwanda – A Chronology (1867–1994)
https://www.sciences[...]
2016-01-25
[4]
웹사이트
Rwanda's struggle for liberation
https://www.newtimes[...]
2011-07-01
[5]
웹사이트
RPF-Inkotanyi Was Driven By Ideological Clarity And Visionary Leadership – Gen. Kabarebe
https://www.ktpress.[...]
2023-04-11
[6]
웹사이트
Seven reasons why RPF-Inkotanyi remains on the right path
https://ingenzi.rw/s[...]
2023-04-02
[7]
웹사이트
RPF ideology supersedes individuals
https://www.newtimes[...]
2014-07-07
[8]
서적
Rwanda: From Genocide to Precarious Peac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8
[9]
논문
Electoral rules of the authoritarian game: undemocratic effect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Rwanda
2010
[10]
논문
Rwanda and Ethiopia: Developmental Authoritarianism and the New Politics of African Strong Men
2015
[11]
간행물
The Price of Progress: Economic Growth, Authoritarianism, and Human Rights in Rwanda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12]
뉴스
How the West's Favorite Autocrat Engineered Africa's Most Dramatic Turnaround
https://www.bloomber[...]
2024-01-25
[13]
웹사이트
Safer to stay silent: The chilling effect of Rwanda's laws on 'genocide ideology' and 'sectarianism'
https://reliefweb.in[...]
2010-08-31
[14]
웹사이트
Don't Ask, Don't Tell: Approaches to Ethnicity in the Ethiopian and Rwandan Peacebuilding Processes
https://jpia.princet[...]
[15]
웹사이트
From ethnic amnesia to ethnocracy: 80% of Rwanda's top officials are Tutsi
https://africanargum[...]
2021-11-24
[16]
논문
Rwanda: population problems, development in question
https://pubmed.ncbi.[...]
1988-04-01
[17]
논문
The precolonial kingdom of Rwanda: a reinterpretation
https://www.jstor.or[...]
1972
[18]
간행물
Colonial Schooling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9]
웹사이트
East Africa Living Encyclopedia
https://www.africa.u[...]
[20]
웹사이트
https://academicwork[...]
2024-08-01
[21]
웹사이트
One . Religion, king, clan and clientship in pre-colonial Rwanda
https://uk.amateka.n[...]
2020-04-12
[22]
논문
Exile, Reform, and the Rise of the Rwandan Patriotic Front
https://www.jstor.or[...]
1996
[23]
웹사이트
What does RANU stand for?
https://www.acronyma[...]
[24]
웹사이트
RPF: Political and cultural awakening
https://www.newtimes[...]
2014-07-28
[25]
논문
The Rwandan Patriotic Front: Politics and Development in Rwanda
https://www.jstor.or[...]
1995
[26]
웹사이트
Fred Rwigyema, the military genius from two countries
https://www.newvisio[...]
[27]
웹사이트
Paul Kagame (1957– )
https://www.blackpas[...]
2018-04-01
[28]
웹사이트
Refworld
https://www.refworld[...]
[29]
웹사이트
RPF Inkotanyi
https://rpfinkotanyi[...]
[30]
웹사이트
Why the RPF succeeded
https://www.monitor.[...]
2021-02-02
[31]
웹사이트
Rwanda Pays Tribute to Her Heroes
https://www.ktpress.[...]
2018-02-01
[32]
웹사이트
RPF-Inkotanyi Was Driven By Ideological Clarity And Visionary Leadership – Gen. Kabarebe
https://www.ktpress.[...]
2023-04-11
[33]
웹사이트
Menya amateka ya Fred Gisa Rwigema
https://www.kigalito[...]
[34]
웹사이트
Frontline Districts and Success of RPF Liberation War
https://www.ktpress.[...]
2017-07-03
[35]
웹사이트
Structural violence and the struggle for state power in Rwanda
https://www.accord.o[...]
[36]
서적
Intent to Deceive: Denying the Genocide of the Tutsi
Verso
2020-02-25
[37]
학술지
Politics or Pragmatism?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and the Burying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Juvenal Habyarimana
https://heinonline.o[...]
2018
[38]
웹사이트
Rwanda: A Brief History of the Country
https://www.un.org/e[...]
2023-11-18
[39]
웹사이트
July 4 is Rwanda Liberation Day
https://sfi.usc.edu/[...]
2023-11-18
[40]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Rwandan genocide on 4th of July
https://edu-africa.c[...]
2023-11-18
[41]
웹사이트
42. Rwanda (1962–present)
https://uca.edu/poli[...]
2023-11-17
[42]
웹사이트
Refworld {{!}} Freedom in the World 2012 – Rwanda
https://www.refworld[...]
2023-11-17
[43]
웹사이트
Rwanda's ex-president freed from prison
https://www.reuters.[...]
2021-04-29
[44]
웹사이트
Kagame's Rwanda is still Africa's most inspiring success story
https://www.aljazeer[...]
2023-11-17
[45]
웹사이트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dvocacy Group
https://www.un.org/m[...]
2023-11-17
[46]
뉴스
Rwanda President Kagame wins election with 93% of vote
https://www.bbc.com/[...]
2023-11-17
[47]
웹사이트
With elections over, it's time to walk the talk
https://www.newtimes[...]
2023-11-17
[48]
웹사이트
Rwanda has re-elected president Kagame with more than 98% of the vote
https://qz.com/afric[...]
2023-11-19
[49]
웹사이트
Rwanda's Resilience: the power of forgiveness and unity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https://www.undp.org[...]
2023-11-15
[50]
뉴스
Ten things to know about Rwandans' self-reliance
https://en.igihe.com[...]
2023-11-15
[51]
웹사이트
Who are the new RPF-Inkotanyi Commissioners?
https://www.newtimes[...]
2023-11-16
[52]
웹사이트
RPF 35: President Kagame Re-elected RPF Inkotanyi Party Chairman
https://www.ktpress.[...]
2023-11-16
[53]
웹사이트
Kagame meets new RPF party executive
https://www.newtimes[...]
2023-11-16
[54]
웹사이트
Kagame's Landslide Victory Confirmed in Rwandan Election
https://www.lemonde.[...]
2024-11-05
[55]
서적
As We Forgive: Stories of Reconciliation from Rwanda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09-05-26
[56]
학술지
Promising developments? Children, youth and post-genocide reconstruction under the Rwandan Patriotic Front (RPF)
http://www.tandfonli[...]
2014-04-03
[57]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8]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limit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Genocide in Rwanda
Brookings Institution Press
[63]
서적
https://archive.org/[...]
[64]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6]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7]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8]
서적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wanda
Scarecrow Press
[70]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09
CQ Press
[71]
뉴스
Hutus 'killed Rwanda President Juvenal Habyarimana'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12
[72]
뉴스
Scar tissue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07-10-31
[73]
서적
Shake Hands With The Devil: The Failure of Humanity in Rwanda
Arrow
2005
[74]
웹사이트
Batwa
http://www.unpo.org/[...]
[75]
서적
Shake Hands With The Devil: The Failure of Humanity in Rwan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