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콩트 드 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콩트 드 릴은 프랑스의 시인으로, 인도양의 레위니옹에서 태어났다. 그는 브르타뉴에서 성장하며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역사학을 공부했고, 1845년 파리에 정착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르콩트 드 릴은 고답파 시 운동을 주도했으며,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대를 연결하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작으로는 『고대 시집』, 『야만 시집』, 『비극 시집』 등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소개되어 한국 현대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위니옹의 작가 - 미셸 우엘베크
미셸 우엘베크는 프랑스 소설가이자 시인, 에세이 작가이며, 현대 사회의 문제점과 인간의 고독, 욕망을 다룬 작품들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레위니옹계 프랑스인 - 플로랑 시나마 퐁골
레위니옹 출신 프랑스 축구 선수 플로랑 시나마 퐁골은 르 아브르에서 프로 데뷔 후 리버풀 FC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을 경험하고 FIFA U-17 월드컵에서 득점왕 및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프랑스 A대표팀으로도 데뷔했다. - 레위니옹계 프랑스인 - 기욤 오아로
기욤 오아로는 레위니옹 출신의 프랑스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하며 르 아브르 AC, 파리 생제르맹 FC, 다롄 이팡 등 여러 팀에서 뛰었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으며 2022년에 은퇴했다. - 1894년 사망 - 김개남
김개남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94년 전봉준과 함께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며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제2차 봉기 때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전봉준과 함께 핵심 인물로 평가받지만 노선과 연계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894년 사망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르콩트 드 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샤를 마리 르네 르콩트 드 릴 |
출생 | 1818년 10월 22일 |
출생지 | 부르봉 섬, 생폴 |
사망 | 1894년 7월 17일 (75세) |
사망지 | 이블린주, 보아쟁 마을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시인, 극작가, 번역가 |
문학 활동 | |
활동 기간 | 1846년 - 1894년 |
사조 | 고답파 |
영향 | 빅토르 위고 |
영향을 준 인물 | 쉴리 프뤼돔 카튀르 멘데스 마리아 드 에레디아 프랑수아 코페 |
주요 작품 | 『고대 시집』 『이방인 시집』 『비극 시집』 『프랑스 혁명 민중사』 『기독교 민중사』 |
수상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2등급 |
2. 생애
르콩트 드 릴은 인도양의 프랑스령 섬 레위니옹에서 태어나 그곳과 브르타뉴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파리에 정착하여 1848년 프랑스 혁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프랑스 제2공화국이 선포된 후에는 정치에서 물러나 문학에 전념했다. 고답파의 주요 인물로, 《고대 시》, 《야만적인 시》, 《비극적인 시》 등 세 권의 시집과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등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여 이름을 알렸다.[3]
나폴레옹 3세 치하에서 연금과 훈장을 받기도 했지만, 열렬한 공화주의자였던 르콩트 드 릴은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된 후 ''프랑스 혁명 인민사''와 ''기독교 인민사''를 저술하여 새 정부에 대한 신뢰를 회복했다. 1873년 룩셈부르크 궁전의 사서 조교가 되었고, 1886년에는 빅토르 위고의 뒤를 이어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다.[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르콩트 드 릴은 인도양에 있는 프랑스 해외 섬인 레위니옹 생폴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은 레위니옹과 브르타뉴에서 보냈으며, 음악가 샤를 베네지와 교류했다.[1] 4세부터 14세까지 낭트에서 공부하고 섬으로 돌아와 볼테르, 루소, 라마르틴, 위고 등을 읽고 시와 수필을 썼다. 또한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여행했다.1837년(19세) 7월 왕정 시대에 렌 대학교(Université de Rennes)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하면서 문학을 접했다. 아버지(육군 외과 의사, 르콩트를 매우 엄격하게 키움)는 그를 사업가로 키우기 위해 동인도로 여행을 보냈다. 그러나 여행에서 돌아온 후, 르콩트는 브르타뉴의 렌에서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역사학을 공부했다. 1841년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2. 파리 정착과 초기 활동
1845년 르콩트 드 릴은 파리에 정착했다.[2] 그는 1848년 프랑스 혁명에 참여하여 루이 필리프 1세 오를레앙 왕이 몰락하는 것을 보았으나, 프랑스 제2공화국이 선포된 이후에는 정치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았다.1846년, 샤를 푸리에의 공상적 사회주의에 공감하여 파리로 이주한 그는, 고답파의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지(La Democratie Pacifique) 및 『팔랑주』지(Phalange)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 그는 후에 『고대 시집』으로 묶이게 되는 시와 단편들을 발표하며 유토피아를 추구하고 고대 신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848년 2월 혁명 당시에는 식민지의 노예 폐지 운동에 앞장섰지만, 혁명으로 성립된 프랑스 제2공화국이 1852년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 제2제정으로 전환되자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 이후 그는 번역 등의 부업을 하며 파리에서 문필 활동에 전념했다.[3]
2. 3. 문학 활동과 고답파
1852년 첫 시집 《고대 시집(Poèmes antiques)》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집에서 그는 시는 시의 세계에 갇혀야 한다고 선언하고, 그리스 신화의 신들을 노래했다. 《밀로의 비너스(La Vénus de Milo)》는 그에게 많은 친구들을 안겨주었고, 이들은 고전 문학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다.[3] 1862년 《야만 시집(Poèmes barbares)》을 발표하며 카튀르 멩데스, 쉬리 프뤼돔, 프랑수아 코페, 호세 마리아 데 에레디아 등과 교류했다. 이들은 르콩트 드 릴의 '토요 살롱'에 모였다. 1866년, 이들의 제1차 "현대 고답 시집(Le Parnasse contemporain)"이 발간되며 고답파 운동을 주도했다.2. 4. 후기 활동과 죽음
프랑스 제3공화국 수립 후 1872년(54세)에 르콩트 드 릴은 상원 도서관 사서로 임명되어 생활이 안정되었다.[3] 이듬해인 1873년에는 그의 운문 비극 『복수의 여신들(Les Érinnyes)』이 오데온 극장에서 상연되었다.[3]1883년(65세)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2등을 받았다.[3] 1884년(66세)에는 『비극 시집(Poèmes tragiques)』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상을 수상했다.[3] 1885년에는 시왕(Prince des poètes)으로 추대되었고,[3] 1886년에는 빅토르 위고의 뒤를 이어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다.[3]
1894년 7월 17일, 르콩트 드 릴은 이브린 보아쟁 마을(Voisins)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3] 그의 장례식은 생쉴피스 교회에서 거행되었고,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3]
3. 작품 세계
르콩트 드 릴은 낭만주의의 주관적인 감정 표출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묘사와 엄격한 형식미를 추구하는 고답파의 대표 시인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 인도, 북유럽 등 다양한 문화와 신화를 바탕으로 이국적인 정취와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을 썼다.
그의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고대 시집(1852), 야만 시집(1862), 비극 시집(1884) 등이 있다. 또한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호라티우스 등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와 시인의 번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3. 1. 주요 작품 목록
제1부 - 클리타임네스트라(Klytaimnestra); - 오레스테스(Orestès).르메르, 1873. 재판: 1876, 1889.
르메르.
테오크리토스 번역, 1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