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콩트 드 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콩트 드 릴은 프랑스의 시인으로, 인도양의 레위니옹에서 태어났다. 그는 브르타뉴에서 성장하며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역사학을 공부했고, 1845년 파리에 정착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르콩트 드 릴은 고답파 시 운동을 주도했으며,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대를 연결하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작으로는 『고대 시집』, 『야만 시집』, 『비극 시집』 등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소개되어 한국 현대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위니옹의 작가 - 미셸 우엘베크
    미셸 우엘베크는 프랑스 소설가이자 시인, 에세이 작가이며, 현대 사회의 문제점과 인간의 고독, 욕망을 다룬 작품들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레위니옹계 프랑스인 - 플로랑 시나마 퐁골
    레위니옹 출신 프랑스 축구 선수 플로랑 시나마 퐁골은 르 아브르에서 프로 데뷔 후 리버풀 FC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을 경험하고 FIFA U-17 월드컵에서 득점왕 및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프랑스 A대표팀으로도 데뷔했다.
  • 레위니옹계 프랑스인 - 기욤 오아로
    기욤 오아로는 레위니옹 출신의 프랑스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하며 르 아브르 AC, 파리 생제르맹 FC, 다롄 이팡 등 여러 팀에서 뛰었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으며 2022년에 은퇴했다.
  • 1894년 사망 - 김개남
    김개남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94년 전봉준과 함께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며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제2차 봉기 때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전봉준과 함께 핵심 인물로 평가받지만 노선과 연계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894년 사망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르콩트 드 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르콩트 드 릴
본명샤를 마리 르네 르콩트 드 릴
출생1818년 10월 22일
출생지부르봉 섬, 생폴
사망1894년 7월 17일 (75세)
사망지이블린주, 보아쟁 마을
국적프랑스
직업시인, 극작가, 번역가
문학 활동
활동 기간1846년 - 1894년
사조고답파
영향빅토르 위고
영향을 준 인물쉴리 프뤼돔
카튀르 멘데스
마리아 드 에레디아
프랑수아 코페
주요 작품『고대 시집』
『이방인 시집』
『비극 시집』
『프랑스 혁명 민중사』
『기독교 민중사』
수상
수상레지옹 도뇌르 훈장 2등급

2. 생애

르콩트 드 릴은 인도양의 프랑스령 섬 레위니옹에서 태어나 그곳과 브르타뉴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파리에 정착하여 1848년 프랑스 혁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프랑스 제2공화국이 선포된 후에는 정치에서 물러나 문학에 전념했다. 고답파의 주요 인물로, 《고대 시》, 《야만적인 시》, 《비극적인 시》 등 세 권의 시집과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등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여 이름을 알렸다.[3]

나폴레옹 3세 치하에서 연금과 훈장을 받기도 했지만, 열렬한 공화주의자였던 르콩트 드 릴은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된 후 ''프랑스 혁명 인민사''와 ''기독교 인민사''를 저술하여 새 정부에 대한 신뢰를 회복했다. 1873년 룩셈부르크 궁전의 사서 조교가 되었고, 1886년에는 빅토르 위고의 뒤를 이어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다.[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르콩트 드 릴은 인도양에 있는 프랑스 해외 섬인 레위니옹 생폴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은 레위니옹브르타뉴에서 보냈으며, 음악가 샤를 베네지와 교류했다.[1] 4세부터 14세까지 낭트에서 공부하고 섬으로 돌아와 볼테르, 루소, 라마르틴, 위고 등을 읽고 시와 수필을 썼다. 또한 인도동남아시아를 여행했다.

1837년(19세) 7월 왕정 시대에 대학교(Université de Rennes)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하면서 문학을 접했다. 아버지(육군 외과 의사, 르콩트를 매우 엄격하게 키움)는 그를 사업가로 키우기 위해 동인도로 여행을 보냈다. 그러나 여행에서 돌아온 후, 르콩트는 브르타뉴의 렌에서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역사학을 공부했다. 1841년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2. 파리 정착과 초기 활동

1845년 르콩트 드 릴은 파리에 정착했다.[2] 그는 1848년 프랑스 혁명에 참여하여 루이 필리프 1세 오를레앙 왕이 몰락하는 것을 보았으나, 프랑스 제2공화국이 선포된 이후에는 정치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았다.

1846년, 샤를 푸리에공상적 사회주의에 공감하여 파리로 이주한 그는, 고답파의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지(La Democratie Pacifique) 및 『팔랑주』지(Phalange)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 그는 후에 『고대 시집』으로 묶이게 되는 시와 단편들을 발표하며 유토피아를 추구하고 고대 신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848년 2월 혁명 당시에는 식민지의 노예 폐지 운동에 앞장섰지만, 혁명으로 성립된 프랑스 제2공화국이 1852년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 제2제정으로 전환되자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 이후 그는 번역 등의 부업을 하며 파리에서 문필 활동에 전념했다.[3]

2. 3. 문학 활동과 고답파

1852년 첫 시집 《고대 시집(Poèmes antiques)》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집에서 그는 시는 시의 세계에 갇혀야 한다고 선언하고, 그리스 신화의 신들을 노래했다. 《밀로의 비너스(La Vénus de Milo)》는 그에게 많은 친구들을 안겨주었고, 이들은 고전 문학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다.[3] 1862년 《야만 시집(Poèmes barbares)》을 발표하며 카튀르 멩데스, 쉬리 프뤼돔, 프랑수아 코페, 호세 마리아 데 에레디아 등과 교류했다. 이들은 르콩트 드 릴의 '토요 살롱'에 모였다. 1866년, 이들의 제1차 "현대 고답 시집(Le Parnasse contemporain)"이 발간되며 고답파 운동을 주도했다.

2. 4. 후기 활동과 죽음

프랑스 제3공화국 수립 후 1872년(54세)에 르콩트 드 릴은 상원 도서관 사서로 임명되어 생활이 안정되었다.[3] 이듬해인 1873년에는 그의 운문 비극 『복수의 여신들(Les Érinnyes)』이 오데온 극장에서 상연되었다.[3]

1883년(65세)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2등을 받았다.[3] 1884년(66세)에는 『비극 시집(Poèmes tragiques)』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상을 수상했다.[3] 1885년에는 시왕(Prince des poètes)으로 추대되었고,[3] 1886년에는 빅토르 위고의 뒤를 이어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다.[3]

1894년 7월 17일, 르콩트 드 릴은 이브린 보아쟁 마을(Voisins)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3] 그의 장례식은 생쉴피스 교회에서 거행되었고,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3]

3. 작품 세계

르콩트 드 릴은 낭만주의의 주관적인 감정 표출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묘사와 엄격한 형식미를 추구하는 고답파의 대표 시인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 인도, 북유럽 등 다양한 문화와 신화를 바탕으로 이국적인 정취와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을 썼다.

그의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고대 시집(1852), 야만 시집(1862), 비극 시집(1884) 등이 있다. 또한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호라티우스 등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와 시인의 번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3. 1. 주요 작품 목록

제1부 - 클리타임네스트라(Klytaimnestra); - 오레스테스(Orestès).
르메르, 1873. 재판: 1876, 1889.연극아폴로니데(L’Apollonide)1888서정 드라마. 프란츠 세르베이의 음악.
르메르.연극프레데곤드(Frédégonde)1895페르낭 칼메가 언급한 연극 작품번역테오크리토스, 목가와 경구 ; 아나크레온 송가 (Théocrite, Idylles et Epigrammes ; Odes anacréontiques)1861르콩트 드 릴의 새로운 번역, 풀레-말라시와 외젠 드 브루아.번역호메로스, 일리아스 (Homère, Iliade)1866르메르, 1866. 재판: 1874, 1882, 1884.번역호메로스, 오디세이아 (Homère, Odyssée)1868르메르번역헤시오도스, 오르페우스 찬가, 테오크리토스, 비온, 모스코스, 티르타이오스, 아나크레온 송가 (Hésiode, Hymnes orphiques, Théocrite, Biôn, Moskhos, Tyrtée, Odes anacréontiques)1869르메르
테오크리토스 번역, 1861.번역아이스킬로스 (Eschyle)1872르메르번역호라티우스, 작품집 (Horace, Œuvres)1873르메르번역소포클레스 (Sophocle)1877르메르번역에우리피데스 (Euripide)1884르메르기타고대 시집 서문1852마르크 뒤클루; 최후의 시집(1895)에 수록기타시와 시집 서문1855댕튀; 최후의 시집(1895)에 수록기타테오크리토스의 목가와 아나크레온 송가 서문1861풀레-말라시와 외젠 드 브루아; 주제: 번역기타동시대 시인들 연구 서문1864르 냉 존기타호메로스의 일리아스 번역 머리말1867르메르; 주제: 번역기타나의 첫사랑 산문으로1840라 바리에테 12월호에 출판기타호랑이 가죽1841라 바리에테 3월호에 출판기타헤르만의 꿈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화신한 멜로디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메날카스 공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사카토브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디아노라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마르시에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꿈의 강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야소다 공주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기타팔리야-마니1876라 레퓌블리크 데 레트르에 출판기타사회 전쟁의 역사미출판기타프랑스령 인도1858르 프레장에 출판(1858). 에드가르 피시 업데이트; 재판: E. 피시 판 Œuvres, 388권; 그랑 오세앙, coll. 레 쟁투르바블 드 로세앙 앵디앙, 1999.기타인민 공화국 교리문답1870; 2013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기타기독교의 인민사1871, 2013에디시옹 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기타프랑스 혁명의 인민사1871; 2013에디시옹 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기타중세의 인민사1876장 마라스 및 피에르 고세와 공동 집필; 에디시옹 르메르. 장 마라스 언급 없음; 피에르 고세는 페이퍼백 표지에만 언급.기타샤를 보들레르, 악의 꽃, 판, 파리, 풀레-말라시1861레뷔 유럽엔, 1861년 12월. 최후의 시집(1895)에 동시대 시인들의 마지막 부분으로 통합.기타동시대 시인들: 베랑제, 라마르틴, 빅토르 위고, 비니, 바르비에1864르 냉 존에 출판: 서문, 1864년 8월 3일; - 베랑제, 1864년 8월 13일; - 라마르틴, 1864년 8월 20일; - 빅토르 위고, 1864년 8월 31일; - 비니, 1864년 9월 10일; - 바르비에, 1864년 10월 1일. 최후의 시집(1895)에 통합.기타빅토르 위고 알림1887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기타오귀스트 바르비에 알림1887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기타에드몽 아로쿠르 알림1889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기타빅토르 위고 장례 연설1885빅토르 위고팡테옹(Panthéon) 장례식에서 "시인의 이름으로" 연설기타프랑스 아카데미 수락 연설1887프랑스 아카데미 환영 연설, 31일 목요일, 프랑스 학회, 1887.기타레옹 바니에, 5월의 운율: 장미1891기타조르주 부아, 목사님1891댕튀기타몽테스키유, 박쥐1893G. 리샤르기타장 도르니, 고통의 길(소설)1894칼만 레비기타고티에, 이스켄데르, 페르시아 이야기1894파리, 아르망 콜랭, 역사 소설 도서관.기타공화국과 노예제 폐지 지지1848기타에펠탑에 반대하는 예술가들1887


3. 1. 1. 시집

제목연도비고
고대 시집(Poèmes antiques)1852마르크 뒤클루 초판, 르메르 재판 (1874, 1881, 1886). 1891년 참고 판본.
시와 시집(Poèmes et Poésies)1855댕튀 초판, 타리드 재판(1857).
십자가의 길 또는 수난(Le Chemin de la Croix ou La Passion)1856Chez les Auteurs 초판, 1857년 및 1858년 재판.
완전한 시집(Poésies Complètes)1858고대 시집, 시와 시집, 새로운 시집 포함. 루이 뒤보, 풀레-말라시와 외젠 드 브루아 장식.
야만 시집(Poèmes barbares)1862야만 시집(Poèsies Barbares)으로 풀레-말라시 초판. 르메르에서 야만 시집(Poèmes barbares)으로 재판(1871, 전투의 저녁 포함), 1872, 1878, 1881/1882년, 1889년 참고 판본.
전투의 저녁(Le Soir d'une Bataille)1871르메르 초판.
파리의 성화(Le Sacre de Paris)1871르메르 초판.
비극 시집(Poèmes tragiques)1884르메르 초판. 파리의 성화(1871), 복수의 여신들(1873) 포함. 1886년 재판, 1895년 참고 판본.
최후의 시집(Derniers poèmes)1895호세마리아 드 에레디아와 비콩트 드 게르네 출판. 아폴로니데, 수난, 고대 시집(1852) 및 시와 시집(1855) 서문, 동시대 시인들(1864), 샤를 보들레르(1861) 포함. 르메르 초판, 1899년 재판(태양! 금 먼지 포함).
초기 시와 은밀한 서한(Premières Poésies et lettres intimes)1902사후 출판, 파스켈 초판.
악마의 나라들(Les États du Diable)1895사후 출판, 단편. 최후의 시집(1895)에 코자 에 보르지아로 출판.


3. 1. 2. 연극

번호제목초판 연도비고
1엘렌(Hélène)1852르콩트 드 릴은 1852년 초판부터 엘렌고대 시집에 포함시켰다. 에르네스트 쇼송은 1885년에 이 작품에서 서정적인 주제를 추출했다.
2복수의 여신들(Les Érinnyes)1873고대 비극, M. 마스네
제1부 - 클리타임네스트라(Klytaimnestra); - 오레스테스(Orestès).
르메르, 1873. 재판: 1876, 1889.
3아폴로니데(L’Apollonide)1888서정 드라마. 프란츠 세르베이의 음악.
르메르.
4프레데곤드(Frédégonde)1895페르낭 칼메가 언급한 연극 작품


3. 1. 3. 번역

르콩트 드 릴은 Θεόκριτος|테오크리토스grc의 Ἴδυλλια καὶ Ἐπιγράμματα|목가와 경구grc 및 Ἀνακρέων|아나크레온grc의 ᾄσματα|송가grc (1861), Ὁμήρος|호메로스grc의 Ἰλιάς|일리아스grc (1866)와 Ὀδύσσεια|오디세이아grc (1868), Ἡσίοδος|헤시오도스grc의 Ὠρφικοὶ ὕμνοι|오르페우스 찬가grc, Βίων|비온grc, Μόσχος|모스코스grc, Τυρταῖος|티르타이오스grc, Ἀνακρέων|아나크레온grc의 ᾄσματα|송가grc (1869), Αἰσχύλος|아이스킬로스grc (1872), Horatius|호라티우스la의 Opera|작품집la (1873), Σοφοκλῆς|소포클레스grc (1877), Εὐριπίδης|에우리피데스grc (1884)를 번역했다.

3. 1. 4. 기타

유형제목연도비고
선언문고대 시집 서문1852마르크 뒤클루; 최후의 시집(1895)에 수록
선언문시와 시집 서문1855댕튀; 최후의 시집(1895)에 수록
선언문테오크리토스의 목가와 아나크레온 송가 서문1861풀레-말라시와 외젠 드 브루아; 주제: 번역
선언문동시대 시인들 연구 서문1864르 냉 존
선언문호메로스의 일리아스 번역 머리말1867르메르; 주제: 번역
산문 이야기나의 첫사랑 산문으로1840라 바리에테 12월호에 출판
산문 이야기호랑이 가죽1841라 바리에테 3월호에 출판
산문 이야기헤르만의 꿈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화신한 멜로디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메날카스 공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사카토브1846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디아노라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마르시에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꿈의 강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야소다 공주1847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에 출판
산문 이야기팔리야-마니1876라 레퓌블리크 데 레트르에 출판
역사서사회 전쟁의 역사미출판
역사서프랑스령 인도1858르 프레장에 출판(1858). 에드가르 피시 업데이트; 재판: E. 피시 판 Œuvres, 388권; 그랑 오세앙, coll. 레 쟁투르바블 드 로세앙 앵디앙, 1999.
역사서인민 공화국 교리문답1870; 2013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
역사서기독교의 인민사1871, 2013에디시옹 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
역사서프랑스 혁명의 인민사1871; 2013에디시옹 르메르; 에디시옹 알리아주
역사서중세의 인민사1876장 마라스 및 피에르 고세와 공동 집필; 에디시옹 르메르. 장 마라스 언급 없음; 피에르 고세는 페이퍼백 표지에만 언급.
알림샤를 보들레르, 악의 꽃, 판, 파리, 풀레-말라시1861레뷔 유럽엔, 1861년 12월. 최후의 시집(1895)에 동시대 시인들의 마지막 부분으로 통합.
알림동시대 시인들: 베랑제, 라마르틴, 빅토르 위고, 비니, 바르비에1864르 냉 존에 출판: 서문, 1864년 8월 3일; - 베랑제, 1864년 8월 13일; - 라마르틴, 1864년 8월 20일; - 빅토르 위고, 1864년 8월 31일; - 비니, 1864년 9월 10일; - 바르비에, 1864년 10월 1일. 최후의 시집(1895)에 통합.
알림빅토르 위고 알림1887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
알림오귀스트 바르비에 알림1887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
알림에드몽 아로쿠르 알림188919세기 프랑스 시인 선집(1887-89, 4권), 르메르. 해당 권에 수록.
연설빅토르 위고 장례 연설1885빅토르 위고팡테옹(Panthéon) 장례식에서 "시인의 이름으로" 연설
연설프랑스 아카데미 수락 연설1887프랑스 아카데미 환영 연설, 31일 목요일, 프랑스 학회, 1887.
서문레옹 바니에, 5월의 운율: 장미1891
서문조르주 부아, 목사님1891댕튀
서문몽테스키유, 박쥐1893G. 리샤르
서문장 도르니, 고통의 길(소설)1894칼만 레비
서문고티에, 이스켄데르, 페르시아 이야기1894파리, 아르망 콜랭, 역사 소설 도서관.
청원공화국과 노예제 폐지 지지1848
청원에펠탑에 반대하는 예술가들1887


4. 르콩트 드 릴과 한국 문학

우에다 빈은 1905년 번역 시집 『해조음』을 통해 르콩트 드 릴의 작품을 한국에 처음 소개했다. 『해조음』에는 「정오(Midi)」, 「대기아(Sacra fames)」, 「코끼리(Les éléphants)」 등이 수록되었다.[1] 르콩트 드 릴의 객관적 묘사, 정교한 형식, 이국적인 소재는 한국 현대시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안도 슌지(安藤俊次)는 『밤의 여신(Nox)』, 『태양의 헤라클레스(Héraklès solaire)』 등을 번역했다.[1] 르콩트 드 릴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가곡(예: 포레의 가곡)의 CD 해설 책자에는 원시와 번역 가사가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1]

5. 작품의 음악

르콩트 드 릴의 작품은 쥘 마스네, 가브리엘 포레, 앙리 뒤파르크, 에르네스트 쇼송,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 레이날도 한 등 여러 작곡가에 의해 음악으로 만들어졌다.

5. 1. 주요 작품

작곡가작품명원작 시집비고
쥘 마스네『복수의 여신들』극음악 (1873)
가브리엘 포레『이스파한의 장미(Les roses d'Ispahan)』비극 시집op.39 - 4 (1884)
가브리엘 포레『넬(Nell)』고대 시집op.18 - 1 (1878)
가브리엘 포레『리디아(Lydia)』고대 시집op.4 - 2 (1870)
가브리엘 포레『장미(La rose)』op.51 - 4 (1888)
가브리엘 포레『사라지지 않는 향기(Le parfum impérissable)』비극 시집op.76 - 1 (1897)
앙리 뒤파르크『피딜레(Phidylé)』고대 시집(1882)
에르네스트 쇼송『벌새(Le colibri)』시와 운문op.2 - 7 (1882)
에르네스트 쇼송『나니(Nanny)』고대 시집op.2 - 1 (1882)
에르네스트 쇼송『매미(La cigale)』Op.13 - 4 (1887)
에르네스트 쇼송『엘렌(Hélène)』Op.7 (1887)
에르네스트 쇼송『베다 찬가(Hymne vedique)』Op.9 (1887)
에르네스트 쇼송『결혼의 노래(Chant Nuptial)』Op.15 (1901)
클로드 드뷔시『아마빛 머리카락의 소녀(La fille aux cheveux de lin)』고대 시집(1910)
클로드 드뷔시『자누(Jane)』고대 시집(1881)
모리스 라벨『물레의 노래(Chanson du rouet)』고대 시집(1852)
레이날도 한『리데(Lydé)』고대 시집(1900)
레이날도 한『튄다리스(Tyndaris)』고대 시집(1900)
레이날도 한『필리스(Phyllis)』고대 시집(1900)


참조

[1] 서적 French Global: A New Approach to Literary History 2011
[2] 간행물 Jean Mistler Speech at the Bibliothèque nationale 1977
[3] 문서 Homère, les tragiques grecs (Eschyle, Sophocle, Euripide), Hésiode, Théocrite, Biôn, Moskhos, Tyrtée, Horace, e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