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 (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厘)는 중국에서 유래한 단위로, 본래는 길이 단위였으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氂' 또는 '釐'로 표기하며, '리'로 발음하지만, 일본에서는 '린'으로 읽는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에 무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쓰인다. 일본에서는 엔의 1/1000을 나타내는 통화 단위로 사용되었으나, 1953년 소액 통화 정리 법률 시행으로 통용이 정지되었다. 현재는 야구 타율 등에서 소수점 셋째 자리 이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화의 보조 단위 - 센티모
    센티모는 기축통화 단위의 100분의 1을 의미하는 통화 단위로, 유로센트처럼 사용되거나 여러 국가 통화의 명칭 또는 유사 형태로 쓰인다.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질량의 단위 - 킬로그램
    킬로그램은 질량의 SI 단위로, 2019년 5월 20일부터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되어 더 이상 국제 킬로그램 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 질량의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리 (수)

2. 어원 및 역사

린(厘)은 본래 '氂' 또는 '釐'로 쓰였으며, 중국에서 유래한 단위이다. 일본에서는 1의 1/1000이자 1센의 1/10 단위인 통화로 쓰였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 , 센(銭[9])과 함께 3대 통화 단위로 제정되었으며, 1린, 5린짜리 주화가 발행되었다. 1873년에는 1린짜리 동전이, 다이쇼 5년에는 5린짜리 청동화가 발행되었다. 1953년 '소액통화의 정리 및 지불금의 끝자리 수에 따른 계산 관련 법률'이 제정되면서 태평양 전쟁 패망 후 린 단위는 폐기되었다. 현재에는 프로야구 등에서 타율을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까지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한다.

2. 1. 어원

'厘'는 '釐'의 옛 약자이다. 본래 '리'로 읽었으나, 중국에서는 지금도 ""로 발음하지만, 일본에서는 언제부터인가 '린'이라고 읽게 되었다. 《손자산경》에 나타나듯이 원래는 길이 단위였지만, 후에 다른 분야에도 사용되게 되었다.[9]

일본에서는 중세 이전에는 분→모→리의 순서였지만, 근세(에도 시대 이후)에는 현재의 순서인 분→리→모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분→리→모의 순서로 일관되어 왔다. 단, '毛' 자는 예전에는 '豪'이었다.[7]

2. 2. 중국

중국에서는 옛날에 '氂|리중국어' 또는 '釐|리중국어'라고 썼다. 손자산경에서는 "1촌=10분, 1분=10리(釐), 1리=10호, 1호=10사, 1사=10홀"이라는 체계가 제시되어 있다.[7] '厘|리중국어'는 '釐|리중국어'의 옛 약자이다. 읽는 법은 본래 '리'이며, 중국에서는 지금도 '리'로 발음한다.[7] 《손자산경》에 나타난 것처럼 원래는 길이 단위였지만, 후에 다른 분야에도 사용되게 되었다.[7]

예로부터 분→리→모의 순서로 사용되었다.[7]

2. 3. 한국

조선 경국대전에는 '황종관에 물의 중량 88분을 기준하였는데, 10리(釐)가 1분(分)이고, 10분이 1전(錢)이고, 10전이 1량(兩)이고, 16량이 1근(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2. 4. 일본

메이지 시대 초기에 , 센(銭[9])과 함께 3대 통화 단위로 제정되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엔보다 더 낮은 단위의 통화가 필요했고, 1린, 5린짜리 주화가 주로 발행되었다. 1873년에는 1린짜리 동전이, 다이쇼 5년에는 5린짜리 청동화가 발행되었다.

1953년 '소액통화의 정리 및 지불금의 끝자리 수에 따른 계산 관련 법률'이 제정되면서 태평양 전쟁 패망 후 엔보다 낮은 단위는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센은 당분간 유지되었지만 린은 폐기되었다. 중일 전쟁 시절 엽서 가격이 1전 5린으로 책정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일본에서는 중세 이전에는 분→모→리의 순서였지만, 근세(에도 시대 이후)에는 현재의 순서인 분→리→모가 되었다.

현재에는 프로야구 등에서 타율 등의 수치를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 이후까지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한다.

3. 용법

린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주로 중국일본에서 사용되었거나 과거에 사용되었던 "리(厘)"의 용법은 다음과 같다.

십진법에 의한 단위계
온도길이십이지시은목비율길이질량만주국 원일본 엔
1000관*☨
100
10(속☨)(전체)석고척*[1]
1복☨(각)하나전(돈☨)
0.1전☨
0.01
0.001호(모)
굵은 글씨는 기본 단위. * 도량형법에서 기본으로 지정된 단위. ☨일본 고유의 단위.
1에 해당하는 단위가 "분"에 대한 상위 단위이며, "리"는 이에 대해 1/100이 된다.


3. 1. 십진법 단위계

십진법에 의한 단위계
온도길이십이지시은목비율길이질량만주국 원일본 엔
1000관*☨
100
10(속☨)(전체)석고척*[1]
1복☨(각)하나전(돈☨)
0.1전☨
0.01
0.001호(모)
굵은 글씨는 기본 단위. * 도량형법에서 기본으로 지정된 단위. ☨일본 고유의 단위.
1에 해당하는 단위가 "분"에 대한 상위 단위이며, "리"는 이에 대해 1/100이 된다.


3. 2. 길이 단위 (일본)

1리는 이며, 미터 (약 0.303mm)에 해당한다. 또한, 고래자 1리는 미터 (약 0.379mm)에 해당한다.[2]

3. 3. 질량 단위 (일본)

1리는 1/100 전이며[3], 37.5 밀리그램에 해당한다.

질량 단위로서의 "리(釐)"에서 유래된 단어로는 리등구(釐等具)가 있으며, 이는 에도 시대에 사용된 저울의 일종으로, 리 등의 미세한 양까지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리칭(厘秤), 리유(厘揉)라고도 불렸다.

3. 4. 무차원량 단위 (한국, 일본)

리는 푼의 1/10이며, 과 함께 사용될 경우 1/1000을 나타낸다고 오해받기도 한다. "3할 2푼 8리"와 같이 사용될 경우, 이는 3.28할을 의미한다. 따라서, 푼은 할의 1/10, 리는 할의 1/100이다.[4]

이때, 리는 전체(10할)에서 보면 0.001(0.1퍼센트, 1퍼밀에 상당)이 되지만, 이 경우 '리'의 의미는 할의 1/100이다. "몇 할 몇 푼 몇 리 몇 모"라고 할 때의 리는 1 "할"(0.1)의 1/100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4]

야구에서 타율 등을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 이후까지 나타낼 때 사용된다.

3. 5. 금전 단위

린은 1의 1/1000이자 1전의 1/10이다. 通貨の補助単位|통화의 보조 단위|일본어상에서 그렇게 설정되어 있다.[9] 메이지 시대 초부터 , 전(銭)과 더불어 3대 통화 단위였다. 제정 당시 일본에서 전보다 더 낮은 급의 통화였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발행된 린 단위의 통화는 1린, 5린 짜리 주화가 주로 발행되었다. 1873년에는 1린 짜리 동전을 발행했고, 다이쇼 5년에는 5린 짜리 청동화를 발행했다. 태평양 전쟁 패망 직후인 1953년에는 '''소액통화의 정리 및 지불금의 끝자리 수에 따른 계산 관련 법률'''이 제정되면서 엔보다 더 낮은 급의 소액 단위가 없어졌다. 그래서 기본적인 단위를 엔(円)으로 하고, 센은 당분간 부수되어 있는 것으로 하되 린은 폐기한다는 정책을 두었다.[1] 중일 전쟁 시절 엽서 가격은 1전 5린이었다.

1944년 7월 28일, 담배 낱개 판매 시 금계 1개 가격은 2전 2리 5모였으나, 단수 발생을 피하기 위해 4개 또는 8개 묶음으로 판매되었다.[5]

인민폐, 신 대만 달러, 만주국 원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 체계(원/위안 → 각 → 분 → 리)가 사용되었다.

일본1873년 1리 경화 「1리 동화」.

4. 현대적 사용

(빈칸으로 출력)

5. 한자

미터법에서 센티(c)를 접두어로 하는 단위의 한자 방으로 쓰인다.


  • 예: 미(米, 미터) + 리(厘) → 糎(센티미터), 와(瓦, 그램) + 리(厘) → 甅(센티그램), 입(立, 리터) + 리(厘) → 竰(센티리터)[1]

참조

[1] 문서 新貨条例 관련 내용
[2] 법률 度量衡法 1891-03-24
[3] 문서 小泉1979, p. 259
[4] 서적 丸善 単位の辞典 丸善 2002-03-25
[5] 뉴스 「金鵄」のバラ売り始める 毎日新聞(東京) 1944-07-28
[6] 문서 Hisamitsu1976 p163
[7] 서적 歴史の中の単位 総合科学出版 1974-11-10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