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본 공방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스본 공방전은 1147년 제2차 십자군 원정의 일환으로, 무어인이 지배하던 리스본을 기독교 세력이 탈환한 사건이다. 교황 에우제니오 3세의 지원을 받은 십자군은 잉글랜드, 프랑스, 플랑드르 등 다양한 지역에서 모였으며, 포르투갈 왕 아폰수 1세와 협력하여 공방전을 벌였다. 십자군은 리스본을 포위하고 4개월 만에 함락시켰으며, 이 승리는 포르투갈의 레콩키스타를 가속화하고 포르투갈 왕국의 수도를 리스본으로 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영국-포르투갈 동맹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유럽 역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7년 분쟁 - 벤트 십자군
벤트 십자군은 1147년 제2차 십자군 원정 시기에 작센족이 슬라브족을 상대로 벌인 원정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동쪽 확장과 이교도 슬라브족에 대한 기독교 개종 및 영토 확장을 목표로 했으나, 벤드족의 완전한 개종에는 실패했다.
리스본 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날짜 | 1147년 7월 1일 – 10월 25일 |
장소 | 리스본, 포르투갈 |
결과 | 포르투갈-십자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포르투갈 왕국 십자군 |
교전국 2 | 알모라비드 왕조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 아폰수 1세 헤르베 드 글란빌 아르스호트 백작 아르누트 4세 기스텔레의 크리스티안 도버의 시몬 런던의 앤드루 아르첼의 사헤르 윌리엄 롱소드 |
교전국 2 | 무함마드 이븐 하캄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 총 20,000명 포르투갈인 7,400명 영국인 6,400명 독일인 5,400명 플랑드르인 2,400명 |
교전국 2 | 약 15,000명 |
관련 정보 | |
관련 전투 | 포르투갈의 레콩키스타 제2차 십자군 |
2. 배경
1144년 에데사 함락 이후,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1145년과 1146년에 새로운 십자군을 요청했다.[46] 1147년 봄, 교황은 무어인들이 수백 년간 지배해온 이베리아반도에서의 전투를 십자군으로 인정했다.[46] 교황 우르반 2세는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 이베리아 십자군(포르투갈, 카스티야, 레온, 아라곤 등)에게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십자군 못지않게 중요한 전투를 벌이게 될 것이라 역설한 바 있다. 에우제니오 3세는 마르세유, 피사, 제노바와 같은 지중해 도시들에게 이베리아에서 싸울 것을 독려했다. 또한 레온의 알폰소 7세가 무어인을 상대로 벌이는 군사 작전을 제2차 십자군의 다른 원정과 동등하게 간주했다.[47]
레콩키스타는 722년 코바동가 전투에서 무슬림의 패배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5] 1095년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파스칼 2세 교황은 이베리아 십자군에게 본국에 남아 전투를 계속할 것을 촉구했다.[6] 1142년, 아폰수 1세는 리스본 공방전 (1142년)에서 잉글랜드-노르망디 십자군을 이용하여 리스본을 함락하려 했으나 실패했다.[7]
2. 1. 제2차 십자군
1144년 에데사 함락 이후,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1145년과 1146년에 새로운 십자군을 요청했다.[46] 1147년 봄, 교황은 무어인들이 수백 년간 지배해온 이베리아반도에서의 전투를 십자군으로 인정했다.[46] 교황 우르반 2세는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 이베리아 십자군(포르투갈, 카스티야, 레온, 아라곤 등)에게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십자군 못지않게 중요한 전투를 벌이게 될 것이라 역설한 바 있다. 에우제니오 3세는 마르세유, 피사, 제노바와 같은 지중해 도시들에게 이베리아에서 싸울 것을 독려했다. 또한 레온의 알폰소 7세가 무어인을 상대로 벌이는 군사 작전을 제2차 십자군의 다른 원정과 동등하게 간주했다.[47]2. 2. 레콩키스타와 이베리아반도의 상황
레콩키스타는 722년 코바동가 전투에서 무슬림의 패배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5] 1095년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파스칼 2세 교황은 이베리아 십자군에게 본국에 남아 전투를 계속할 것을 촉구했다.[6] 1142년, 아폰수 1세는 리스본 공방전 (1142년)에서 잉글랜드-노르망디 십자군을 이용하여 리스본을 함락하려 했으나 실패했다.[7]3. 리스본 공방전 (1147년)
1147년 7월 1일 십자군과 포르투갈 왕국 연합군은 무어인이 지배하던 리스본을 포위 공격했다. 연합군은 빠르게 리스본 외곽 지역을 점령하고 도시를 포위했다. 무슬림 방어군은 십자군의 공성기를 파괴하며 저항했지만, 4개월 후 십자군의 공성탑이 성벽에 도달하고 도시 내부에 기근이 발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20][42][55]
10월 21일, 무어인 통치자들은 항복에 동의했다.[55] 항복 조건에는 무슬림 수비대의 생명과 재산을 보장한다는 내용이 있었지만,[15][37] 십자군이 도시에 들어서자마자 이 조건은 깨졌다.[50] 10월 25일, 기독교 정복자들이 도시에 입성하면서 약탈이 자행되었다. ''De expugnatione Lyxbonensi''에 따르면, 도시를 떠나는 무슬림들의 행렬이 며칠 동안 이어질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18][53]
: 이상화된 장면
3. 1. 십자군의 구성과 출정
1147년 5월 19일, 잉글랜드의 다트머스에서 플랑드르, 프리슬란트, 프랑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쾰른 등 다양한 지역 출신의 십자군이 출정하였다.[48][10][11][12][13][2] 이들은 스스로를 "프랑크인"으로 여겼다.[49][14] 왕이나 군주 없이, 서약을 통해 조직된 시민들이 주축이 된 것으로 보인다.주요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52][17]
3. 2. 아폰수 1세와의 협상
두이르이 오도에 따르면 164척의 함선이 성지를 향해 출발했으며, 이베리아반도 해안가에 도착했을 때 약 200척 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악천후로 인해 함대는 1147년 6월 16일 북부 포르투갈 해안도시 포르투에 정박하였다. 그때 십자군들은 주교 피토에스의 페드로 2세에게 설득되어 포르투갈의 국왕 아폰수 1세를 만나게 되었다. 아폰수 1세는 타거스 강으로 진군하여 3월 산타레움을 점령함과 동시에 자신의 왕위를 인정받기 위해 교황과 교섭하고 있었다. 그는 십자군의 선봉대가 도착한 것을 알고는 이들과 만나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다.[50]통일된 지휘체계가 존재하지 않았던 다민족으로 구성된 십자군은 아폰수 1세를 돕는 데 동의하고, 약탈물과 포로 등에 관한 권리를 확인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 아폰수 1세는 "십자군들은 그들이 점령할 도시의 포로들의 배상금과 그 외 모든 것에 관하여, 이것들을 약탈하고, 파괴할 때까지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이 원하는 만큼 약탈하고 빼앗은 다음, 도시를 나에게 돌려주면 된다."[53]라고 말하였다. 또 아폰수 1세는 십자군의 사령관들에게 정복한 영토를 봉토로 나눠주겠다고 약속하였다. 십자군 내에서 자신을 옹호할 사람들의 힘을 확보했으며, 공성전에 참여한 이들과 이들의 후계자들에게 페디카타(pedicata)라 불린 포르투갈에서 교역을 할 경우 부과되는 상업적 세금을 면제해 주었다. 처음에 잉글랜드 십자군은 이러한 제안에 시큰둥하였지만, 허비 드 글랜빌이 이들을 리스본 공략에 참가하도록 설득하였다.[54] 맹세의 담보로 인질들이 교환되었다.[50]
3. 3. 공방전의 전개와 함락
7월 1일 공방전이 시작되어, 기독교 군세는 빠르게 리스본 교외 지역을 점령하고 리스본 리스본 시벽을 포위했다. 비록 무슬림 방어자들이 기독교군의 공성기들을 파괴하였음에도 불구하고,[55] 4개월 후, 십자군의 공성탑이 성벽에 도달하고 (하루 동안의 정지 상태를 초래) 도시 내부에는 기근이 발생했다. 이는 산타렘에서 이주한 인구와 신트라, 알마다, 팔멜라의 주요 시민들이 피난처를 찾았기 때문이다.[20][42] 결국 10월 21일, 무어인 통치자들은 항복에 동의했다.[55]앵글로-노르만 연대기 작가에 따르면, 짧은 폭동을 일으킨 반란은 "쾰른 사람들과 플랑드르 사람들"의 소행으로 돌려진다.[21][43] 10월 25일, 기독교 정복자들은 도시에 입성했다. 항복 조건에는 도시의 무슬림 수비대가 생명과 재산을 유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었지만,[15][37] 기독교인들이 도시에 들어서자마자 이 조건은 깨졌다.[50] ''De expugnatione Lyxbonensi''에 따르면, 적들은 도시를 약탈한 후 토요일 아침부터 다음 수요일까지 세 개의 문을 통해 계속해서 도시를 떠났으며, 그 수가 너무 많아 마치 히스파니아 전체가 그 군중 속에 뒤섞인 것 같았다고 한다.[18][53] 또한 ''De expugnatione Lyxbonensi''에 따르면, 플랑드르인들과 쾰른 사람들이 맹세를 어겼지만, 그들조차도 주민들을 죽이는 것보다 약탈에 더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22]
4. 결과 및 영향
헤이스팅스의 길버트가 주교로 선출되면서, 훗날 영국-포르투갈 동맹으로 이어지는 영국과 포르투갈의 역사적인 관계가 시작되었다.[50] 십자군 대부분은 새롭게 정복한 도시에 정착했고, 일부는 성지로의 여정을 계속했다.[50] 1255년 리스본은 포르투갈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승리는 포르투갈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레콩키스타 운동을 확대시켜 1492년에 종결되었다.[56]
일부 십자군은 이베리아 반도를 돌아 항해를 계속했고,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의 초청을 받아 에브로 강의 토르토사시 함락에 도움을 주었다.[15]
4. 1. 리스본의 함락 이후
십자군 대부분은 새롭게 정복한 도시에 정착했고, 헤이스팅스의 길버트가 주교로 선출되었으나, 일부는 성지로의 여정을 계속했다.[50] 도시 수비병들과의 협정을 통해 도시를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 점령을 돕기 위해 성문을 열고 자신을 희생한 포르투갈의 용감한 전사이자 귀족 마르팀 모니즈 이야기가 생겨났다. 리스본은 1255년 포르투갈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승리는 포르투갈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1492년에 종결되는 레콩키스타 운동을 확대시켰다.[56]일부 십자군은 이베리아 반도를 돌아 항해를 계속했고,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의 초청을 받아 에브로 강의 토르토사시 함락에 도움을 주었다.[15] 그러나 대부분의 십자군은 새로 점령한 도시에 정착하여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세력을 증강시켰다.
길버트 오브 헤이스팅스가 리스본의 주교로 선출되면서 나중에 영국-포르투갈 동맹을 형성하게 될 영국과 포르투갈의 역사적인 관계가 시작되었다.
4. 2. 포르투갈과 유럽에 미친 영향
헤이스팅스의 길버트가 주교로 선출되면서, 훗날 영국-포르투갈 동맹으로 이어지는 영국과 포르투갈의 역사적인 관계가 시작되었다.[50] 1255년 리스본은 포르투갈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56] 이 승리는 포르투갈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레콩키스타 운동을 확대시켜 1492년에 종결되었다.[56]도시 수비병들과의 협정을 통해 도시를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닫히는 성문을 열고 자신을 희생하여 기독교 군대가 도시를 점령하는 것을 도운 포르투갈의 용감한 전사이자 귀족 마르팀 모니즈 이야기가 전설로 생겨났다.[50]
참조
[1]
서적
A Vanished World: Medieval Spain's Golden Age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12-04
[2]
서적
A New History of Portug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66-01-02
[3]
간행물
The Authorship of the ''De Expugnatione Lyxbonensi''
1932
[4]
문서
West
2013
[5]
문서
Riley-Smith
1990
[6]
서적
The Crusades
2004
[7]
문서
Villegas
2013
[8]
서적
2010
[9]
문서
Riley-Smith
1990
[10]
문서
Cologne was allied with London in the incipient wool trade
[11]
서적
The Second Crusade: Extending the Frontiers of Christendo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12]
서적
Franks and Saracens: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Karnac Books
[13]
서적
Medieval Iberia: Readings from Christian, Muslim, and Jewish Sour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4]
간행물
The Authorship of the ''De Expugnatione Lyxbonensi''
[15]
문서
Runciman
1951
[16]
문서
Henry was a kinsman of Ranulf de Glanvill of Suffolk
[17]
문서
Phillips
2007
[18]
문서
Brundage
1962
[19]
문서
The prominence of Hervey de Glanvill has suggested to some readers that Osbernus was an Anglo-Norman cleric with special attachment to him and his house.
[20]
문서
Osbernus, who adds "As a result the basest element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had gathered there, like the bilge water of a ship, a breeding ground for every kind of lust and impurity."
[21]
서적
De expugnatione Lyxbonensi.The conquest of Lisbon.
https://babel.hathi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04-16
[22]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022-06-04
[23]
서적
Lisbon: a cultural and literary companion
2002
[24]
문서
Riley-Smith
1990
[25]
서적
A New History of Portug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66-01-02
[26]
문서
West
2013
[27]
문서
Riley-Smith
1990
[28]
서적
The Crusades
2004
[29]
문서
Villegas
2013
[30]
서적
2010
[31]
문서
Riley-Smith
1990
[32]
문서
ケルンは初期の羊毛交易の中でロンドンと同盟していた。
[33]
서적
The Second Crusade: Extending the Frontiers of Christendo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01-08
[34]
서적
Franks and Saracens: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Karnac Books
[35]
서적
Medieval Iberia: Readings from Christian, Muslim, and Jewish Sour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6]
저널
The Authorship of the De Expugnatione Lyxbonensi
1932
[37]
서적
Runciman (1951)
[38]
웹사이트
Ranulf de Glanvill
[39]
서적
Phillips (2007)
[40]
서적
Brundage (1962)
[41]
문서
The prominence of Hervey de Glanvill
[42]
문서
Osbernus
[43]
서적
De expugnatione Lyxbonensi.The conquest of Lisbon.
https://babel.hathi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04-16
[44]
서적
Lisbon: a cultural and literary companion
2002
[45]
서적
Riley-Smith (1990)
[46]
서적
Riley-Smith (1990)
[47]
서적
Riley-Smith (1990)
[48]
문서
Cologne was allied with London in the incipient wool trade
[49]
저널
The Authorship of the De Expugnatione Lyxbonensi
1932
[50]
서적
Runciman (1951)
[51]
웹사이트
Ranulf de Glanvill
[52]
서적
Phillips (2007)
[53]
서적
Brundage (1962)
[54]
문서
The prominence of Henry Glanvill
[55]
문서
Osbernus
[56]
서적
Riley-Smith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